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물리교사의 예제문제에 대한 인식

        조은하(Cho Eun Ha),신승희(Shin Seung hee),김성원(Kim Su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물리교육에 있어서 많은 학생들은 물리를 어렵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물리 개 념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교사들은 학생의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물리수업에서 예제 문제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물리교사의 예제문제에 대한 인식을 알기 위해 예제문제 활용 이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에서 활용하는 예제문제의 유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물리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 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물리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예제문 제 활용의 효과는 학생들의 물리 개념 이해 도움, 예제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 의 물리 개념의 이해 정도 파악, 학생들에게 물리 개념과 공식의 적용 방법 제시, 학 생들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이상적인 접근 방법 제시, 학생들에게 물리 내용의 이해 기준 제공이었다. 교사들이 수업에서 활용하는 예제문제 유형은 개념학습 예제문제 와 탐구학습 예제문제로 구분되며, 개념학습 예제문제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요구되 는 수행방법에 따라 양적 수행 예제문제와 질적 수행 예제문제로 분류된다. 이에 비 해 탐구학습 예제문제는 양적 수행과 질적 수행이 동시에 요구되는 예제문제이다.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pplying worked-out examples through contemplating the application of worked-out examples and their effect on teaching and learn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of 12 physics teachers who teach in high school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mainly fiv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worked-out examples recognized by teachers. First, the worked-out examples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physics. Second, it can b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Third, it suggests a way to apply the notion and formulas of physics. Fourth, it suggests the ideal way of problem-solving for the students. Fifth, it provides the standard for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e worked-out examples utilized by the teachers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their meaning and characteristics. Worked-out examples used by teachers are mainly divided into those for concept learning and those for inquiry learning. Depending on the executive methods required for the problem-solving procedure, the worked-out examples are subdivided into quantitative-executive worked-out examples and qualitative-executive worked-out examples. Lastly, worked-out examples for inquiry learning process require both quantitative-executive and qualitative-executive by including the research study in worked-out examples with experimental executive procedure and outcome data, which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from discovering the problem to generalization.

      • KCI등재

        Worked-out Example을 통한 중학생들의 수에 대한 학습

        이일웅,김구연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제곱근과 실수 단원에 대한 Worded-Out Examples을 활용하여 중학생 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수학적 숙련도(mathematical proficiency)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WOE는 “학생의 학습을 위하여 전문가의 풀이 과정을 상세히 제공하는 도구”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과정과 구조의 학습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WOE 문항을 개발하여 6 명의 중학생들이 활용하도록 하고 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사고과정은 이해한 내용을 활용하여 적절한 단계로 문제를 풀어가는 ‘이해 · 계산’, ‘계산 · 추론’, ‘이해 · 계산 · 추론’으로 나타났다. 또 한 학생들 대부분이 ‘적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thinking and understanding through working on Worked-out Examples on numbers and operations, specifically, radical and real number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et of Worked-out Examples; middle school students independently worked on them. Then two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framework of mathematical proficiency. The data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seemed to go through the processes involving a combination of understanding and computation, computation and reasoning, and understanding, computation and reasoning. Also, it appeared that most of the students have difficult solving problems involving with radical and real numbers in related to strategic competence.

      • KCI등재

        WOE(Worked-out Example) 기반 원격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손진주,김소희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WOE-based remote learning program for underachieving students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venth grade were selected for their under achievements in math and participated in the WOE-based remote learning program, which was comprised of a total of 12 intervention sessions. The students' abilities to solve math word problems were measured 18 times throughout,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ce stage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math word problems used in the study consisted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age, in which students studied and solved problems for themselves by consulting WOEs that were fully presented, and the compensatory learning stage, in which they solved problems by consulting WOE where completion effects were applied and had a Q&A session with their teacher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hree participants became proficient with the type of word problems in each session and improved their abilities to solve math word problems after the intervent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 WOE-based remote learning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proficiency of math word problems and ability of solving math word problems for underachieving middle school math students. 본 연구는 수학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WOE 기반 수학 문장제 원격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3명을 대상으로 12번의 중재로 구성된 WOE 기반 수학 문장제 원격 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 참여자의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은 중재 전, 중재 중, 3주 후에 총 18번 측정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답안을 참고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자율 학습 단계, 답안이 일부 소거된 WOE를 참고하여 교사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보충 학습 단계로 구성되었다. 세 학생 모두 문장제 문제 유형에 숙달하였으며, 중재 및 유지 단계에서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이 향상 및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WOE 기반 원격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 문장제의 숙달도와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PBL 수업에서 해결된 예와 부분과제 제시가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은철(Eunchul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해결된 예의 제시와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이 PBL 수업에서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해결된 예의 제시와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이 PBL 수업에서 흥미 수준을 높이고, 과제난이도 인식을 감소시키는데 적절한 교수-학습적 지원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범학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검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PBL 과제를 제시한 뒤, 사전에 PBL에 대한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PBL 수행을 위한 집단을 편성하고, PBL 과제를 수행하였다. PBL 수행 중에 비교집단은 교수-학습적 지원을 제공하지 않았고, 실험집단1은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을 지원하였고, 실험집단2는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과 해결된 예를 제시하였고, 실험집단3은 해결된 예를 제시하였다. PBL이 모두 종료된 이후에 사후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과 해결된 예를 모두 제시 받은 실험집단2는 비교집단, 실험집단1, 실험집단3 보다 사후 흥미 수준은 높았고, 사후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은 낮았다. 이와 함께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를 수행한 실험집단1은 비교집단과 실험집단3 보다 사후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이 낮았고, 해결된 예를 제시 받은 실험집단3은 비교집단과 실험집단1 보다 사후 흥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worked-out examples’ and ‘part-task and whole-task’ on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in the PBL clas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worked-out examples’ and ‘part-task and whole-task’ were confirmed as appropriate support for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in the PBL class. For empirical verif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72 3rd grade student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a PBL task, and their level of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perception was measure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small groups and did PBL activities. Experimental treatment is as follows. The comparative group did not provide teaching-learning support. Experimental group 1 gave ‘part-task and whole-task’. Experimental group 2 gave ‘part-task and whole-task’ and ‘worked-out examples’. Experimental group 3 gave ‘worked-out examples’. After the completion of PBL, the level of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perception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As a result, experimental group 2 had a higher level of interest than the comparative group,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3. And the level of the task difficulty was low. Experimental group 1 had a lower level of task difficulty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3. Experimental group 3 showed higher level of interest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1.

      • KCI등재후보

        기능중심의 절차적 교수방법과 완성된 예제 중심의 교수방법이 예비 유아교사의 컴퓨터 리터러시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신선희(Shin Sun-Hee),진선미(Jin Sun-Mi),신상희(Shin Sang-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터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할 때 기능중심의 절차적 교수방법과 완성된 예제 중심의 교수방법 효과를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컴퓨터’ 교과목 수강생인 H대학의 예비 유아교사 중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 총 50명이다. 연구방법은 통제집단의 경우 컴퓨터 활용 관련 기능을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기능중심의 절차적 교수방법을 적용하였고, 실험집단에서는 완성된 예제를 제시하고 관련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는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였다. 교육내용은 파워포인트를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설명할 수업자료를 개발하는 것과 동영상을 편집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완성된 예제 중심의 교수방법을 적용한 집단에서 사용의 용이성, 유아의 적합성, 교육적 가치, 흥미성, 디자인에 관한 컴퓨터 리터러시 능력이 높게 나왔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quantitatively two different approaches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comprising of the procedural instructions or the worked-out examples.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the computer literacy training courses in the H university of which total 50 preschool preparatory teachers taking a children computer class were participating. Thes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qual numbe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these two groups, a procedural instruction composed of sequential study of individual computer functions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an worked-out example based i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tents of the instructions applied were mainly composed of the prepar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preschool children including a text type presentation and a multimedia movie. The learning achievement of participants was estimated in terms of 5 parameters; the usability, the suitability for the preschool children, the educational value, the degree of amusement, and the excellency of visual design.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means and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each groups were compar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an worked-out example was applied exhibits higher level of computer literacy in every parameters analyzed in the study.

      • KCI등재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Worked-Out Example(WOE) 정보 유형의 효과 연구

        정재원(Jung, Jaewon),홍정화(Hong, Jeonghwa),신윤희(Shin, Y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소거된 WOE 정보 유형이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선수지식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WOE 소거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22명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선수지식 수준과 소거된 WOE 정보 유형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어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하였다(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학습이 끝난 후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을 측정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선수지식이 높으면서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높았다. 반면 선수지식 수준이 낮으면서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선수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 문제해결원리를 완성해 나가는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며 선수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문제해결방법을 소거한 WOE 보다는 문제해결원리를 소거한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ded information based on learners’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2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level of prior knowledge and type of faded information: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rked-out example (WOE) group,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and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fter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were analysed using two-way ANOVA. The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showed the lowest extraneous load, the highest germane load and the highest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faded principle WOE type was effective on the low prior knowledg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a faded information strategy that considers learners’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and a faded principle WOE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a faded-method WOE strategy for both novices and exper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