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갑상선분화암 환자에서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을 이용한 유효반감기의 측정

        윤재식,이재곤,이기현,임광석,최학기,이상미,Yoon, Jae Sik,Lee, Jae Gon,Lee, Ki Hyun,Lim, Kwang Seok,Choi, Hak Ki,Lee, Sang Mi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4 핵의학 기술 Vol.18 No.1

        갑상선 분화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서 I-131의 유효반감기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양의 계산뿐만 아니라 환자의 격리 입원기간의 결정, 환자로부터 가족들이 받게 되는 선량을 계산하는데 유용한 값이다. 하지만 이 값은 물리적반감기와는 달리 실측을 해야만 얻을 수 있어 입원 격리중인 환자에게 계측하기가 기술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의 초기촬영과 지연촬영 사이의 체내잔류방사능량을 이용하여 전신과 갑상선에 유효반감기를 추정해 보았다. 또한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 GFR, 투여량이 유효반감기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유효반감기 측정을 위해 전신에 체내잔류방사능량과 갑상선의 잔류방사능량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의 전신을 흥미영역으로 설정한 후 배후방사능을 보정하여 전신의 체내잔류방사능량을 획득하였고, 갑상선 부위에 ROI를 설정한 후 배후 방사능을 보정하여 갑상선의 잔류방사능량을 획득하였다. 초기영상과 지연영상의 측정값 사이의 비율을 계산하여 전신과 갑상선의 유효반감기를 구하였다. 또한 유효반감기와 GFR, 혈중크레아티닌 농도, I-131 투여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신의 체내잔류방사능량을 측정한 값의 유효반감기는 $17.06{\pm}5.50$시간으로 나타났고 갑상선의 잔류방사능량을 측정한 값의 유효반감기는 $17.22{\pm}5.41$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두 유효반감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87). GFR 값이 올라갈수록 전신의 유효반감기(r=-0.407, P=0.003)와 갑상선 유효반감기(r=-0.473, P=0.001)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중크레아티닌 농도가 올라갈수록 전신의 유효반감기(r=0.309, P=0.029)와 갑상선 유효반감기(r=0.371, P=0.008)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투여량은 두유효반감기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환자 입원기간의 최적화 연구와 기존 유효반감기를 구하기 위해 종사자의 피폭 및 복잡성을 보완하여 간편하게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분석된 갑상선의 유효반감기를 적용한 MIRD schema의 내부피폭선량 평가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ffective half life of I-131 is useful to calculate radiation dose, period of hospitalization, and exposure dose of surrounding people from pati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ive half life in whole body and thyroid in using of value of residual radioactivity obtained from the early and delay images of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 Als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ffective half life and serum creatinine, GFR, and administration dos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targets were 50 patients administration high dose of I-131 from February to August in 2013, having normal range of serum creatinine and over $30{\mu}IU/mL$ of TSH levels. After administration radioactive I-131, the early scan in the 3rd day and the delay scan in the 5-6th day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residual radioactivity in the whole body and thyroid, ROI was set and then background radioactivity was corrected to estimate. The effective half life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measured values between the early and delay images. To compare the effective half lives of the whole body and thyroid, it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each correlation of the effective half life, GFR, serum creatinine, and the dose of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ll of the analysis were determin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0.05. Results: The effective half life of the whole body was $17.06{\pm}5.50$ hours and of the thyroid was $17.22{\pm}5.41$ hours. The two effective half lif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P=0.887). As the value of GFR was increased, the effective half life of whole body (r=-0.407, P=0.003) and of thyroid (r=-0.473, P=0.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value of serum creatinine was increased, the effective half life of whole body (r=0.309, P=0.029) and of thyroid (r=0.371, P=0.008)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dministration dose, effective half life did not have correlations. Conclusion: The effective half life of I-131 of patients treated for their thyroids were estimated only by using the images of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 Also, the correlations with the effective life, GFR, and serum creatinine were examined. This study might be utilized for a study on optimization for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of patients treated by high dose of I-131 and on evaluation for internal absorbed dose of MIRD schema in application of the effective half life.

      • KCI등재

        연금분배시장(DM)에서종신연금과 확정연금 비교 분석: 경험생명표별 사망률견인(Mortality Drag) 관점

        홍수연,정창호,성주호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4 리스크 管理硏究 Vol.25 No.3

        평균 수명이 연장 되면서 안정적인 은퇴소득을 확보하려는 퇴직자들이 늘고 있다. 이에 대한 금융적 해법으로 우리는 연금상품을 언급하게 된다. 특히 사망률이 적용되는 종신연금의 경우는 장수하면 할수록 조기에 사망하는 연금수령자로부터 일종의 장수축하금에 해당하는 생존보조금(mortality cross- subsidy)을 수령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경제적 수익을 측정하는 개념이 사망률견인(Mortality Drag; MD)이다. 종신연금에 가입하고 아울러 장수하는 연금수령자들은 그러하지 못한 연금수령자에 비해 장수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는 MD효과를 얻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험개발원이 정기적으로 산출하는 경험생명표(5회, 6회 및 7회) 개선에 따른 MD 효과를 종신연금과 확정기간형연금을 비교분석하여 계량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실제로 사망률이 개선됨에 따라 MD 효과가 증가하며, 특히 남자는 65세 이후, 여자는 70세 이후에서 증가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예정이율 변화에 대한 MD 변화율도 분석하였는데, 나이가 적을수록 그리고 남자보다는 여자가 금리에 대한 MD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D 효과를 수익률 개념으로 추정하기 위해 확정기간형연금을 선택한 연금수령자가 종신연금과 동일한 금전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목표수익률을 산출하였다.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의 목표수익률이 높게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남자(65세 이후) 그리고 여자(70세 이후)는 모두 가급적 빨리 그리고 저금리가 진전되면 될수록 종신연금을 구매하는 것이 더욱 유리함을 시사하고 있다. With average future lifetime have been expended, retirement income have been of interest to many people. And there are many resources for retirement income. Among them, I think annuity is the most accessible facility easily we can. Annuity is classified to whole life annuity and annuity-certain, the former is to use mortality table, the latter is not to use mortality table. In the case of whole life annuity, the people who have a long life can get a mortality cross-subsidy from the people who have a short life. The people who have a long life could have the opportunity of hedging the longevity risk for themselves. But the people who have a short life and select other annuities besides a whole life annuity could become to give up the opportunity of hedging the longevity risk. Here we call it Mortality Drag(hereafter MD). This paper will compare whole life annuity and annuity-certain through MD. If the mortality rate will decrease, MD will decrease. And the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ere is the situation of increasing MD in case of after 65-year-old male and 70-year-old female. Next, this paper do sensitivity analysis on MD related to interest rates. When interest rate changes by 1% ponit, MD changes on average by 35% in the male, by 37% in the female. The younger people are, the higher interest rate sensitivity. And the female than the male has higher interest rate sensitivity. And also, if the people want to have annuity-certain on same condition with whole life annuity, what target return of rate is? When the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Inrand Revenue, Modernising Annuities, 2002.interest rate of whole life annuity is 4%, target return of annuity certain is 455% in the 65-year-old male, 4.32%% in the 65-year-old female.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우리나라 생명보험 소비의 결정요인 -생존보험과 사망보험을 중심으로

        최정호 ( Jung Ho Choi ),양성은 ( Sung Eun Yang ) 한국보험학회 2011 保險學會誌 Vol.90 No.-

        본 연구는 생명보험의 소비를 상품별 구분 없이 수입보험료라는 단일의 측정치로 측정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생명보험 상품을 생존보험과 사망보험으로 구분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변수들이 생명보험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검증결과, 생존보험과 장기적으로 정(+)의 관계를 갖는 변수는 노년부양비, 기대여명, 교육수준이며, 소득, 유소년부양비, 인플레이션, 금융부문의 발달정도는 생존보험과 부(-)의 장기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득, 유소년부양비, 노년부양비, 인플레이션은 사망보험과 장기적인 정(+)의 관계에 있는 반면, 기대여명, 교육수준, 금융부문의 발달정도는 사망보험과 장기적인 부(-)의 관계에 있다. 또 VECM모형 분산분해 결과 생명보험 상품에 관계없이 생명보험의 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소득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o overcome limitation of prior studies which measure life insurance consumption with single measurement - premium volume, we categorized life insurance products into pure endowment and whole life/term insurance, and analyzed the effect of variables of prior research on the consumption of two insurance products respectively. Our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sumption of pure endowment has prov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old dependency ratio, life expectancy, education level and negatively related to income, young dependency ratio, inflation, and financial development. Also, the consumption of whole life/term insuranc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come, young dependency ratio, old dependency ratio, infla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life expectancy, education level, and financial development. With respect to VECM model variance decomposition, income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on life insurance consumption regardless the type of life insurance products.

      • KCI등재

        식생활교육(食生活敎育)의 철학(哲學)

        劉權鍾 ( Yoo Kwon-jong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현대 연구자들의 식생활이 인간과 자연의 전체적인 생명체계에 끼치는 중요한 영향에 관한 고찰과 식생활에 관한 동양의 고전적 지혜를 함께 참조하여 현대 한국인의 바람직한 식생활 교육에 필요한 철학적 이념과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그리고 동양의 고전적 지혜가 현대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근거를 인지생물학적 이론, 예를 들면 자기생산, 신체화 등의 이론으로부터 이끌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동양의 고전적 지혜는 현대인의 생활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지 않으면 안되는 원리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특히 강조하고자 한 내용은 첫째 인간의 식생활은 자신의 인생 뿐 아니라 지구 전체의 생명체계와 긴밀한 연관을 맺는 것이므로 인간의 식생활에 바람직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둘째 그 바람직한 습관은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음식 예절을 오늘날에 맞도록 다시 정립하고 그것을 습관화하는 것, 셋째 그로써 항상 경건한 태도를 잃지 않는 식생활 문화를 건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idea and practical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contemporary Korean's better food lives referring to Asian traditional wisdoms as well as to contemporary scientific researches about the important influences of human food life on the whole system of lives on the earth. Theory of a biology of cognition, for example Autopoiesis, embodiment, is referred to for the sake of making the traditional wisdoms and their practice rightful. And it is argued that the traditional wisdoms of Asian philosophy must be applied to the contemporary Korean's food life. The specially stressed are three. The first, human food lives are related very closely not only to one's personal life but also to the whole life system of the earth, and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build up a better food life habit. The second, the better habit must root in the old ones and be modified to the contemporary life styles. The last, it will be hopeful to construct a culture of food life that would not loose the everyone's attitude with reverence to the human personal life and the whole life on the earth.

      • KCI등재

        1987년~1998년 신문지면에 사용된 전생활(全生活)백화점의 지역시설로서 의미

        박연정(Park, Yeon-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1980년대 말 신문 지면에 등장한 ‘전생활백화점’의 의미를 건축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전생활백화 점은 판매 이외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백화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난 용어이다. 단어 자 체로 보면 ‘전생활’은 전(全)과 생활(生活)의 합성어로 전체 생활을 의미하므로, 구분된 생활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대 이후 도시와 건축에서 생활유지를 위해 필요한 공간과 건축물 등을 분류하고 구분한 지역시설로 설명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시설로 ‘전생활백화점’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지역시설의 구분체계에 서 일반적으로 백화점은 3차(광역) 생활권의 시설이다. 하지만 용어가 등장한 당시 백화점의 입지와 프로그램분석을 통해 백화점이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일상생활범위 내에 위치하고 아파트에 거주하는 그들의 일상생활을 위한 공간들을 포함하 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전생활의 전(全)은 1차, 2차 생활, 3차 생활의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입지적 으로는 1차생활권에 위치한 3차생활 지역시설이었다. 이러한 특수한 백화점은 현재까지도 유효하기에 유의미하며 더 이상 전생활백화점이라는 용어는 별도로 사용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the term 'Whole life Department Store' that appeared in newspapers' in the 1980s. A term of 'Whole Life Department Store' is appeared to explain the emergence of department stores, including the space for a wide range of programs and services they need to live, as well as sales. This word, "Whole life", is a compound of the Whole(全) and Life(生活) and word means the entire life. This will assume that you are separated life. So I was thinking that it could be described as regional facilities that classify and distinguish the necessary space for living and building maintenance, etc. in city and architecture since the modern. And Based on this, I would understand the whole life department as regional facilities. Generally a department store is a regional facilities for higher level living area. I analyzed the location and program of department stores at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the term. Through this analysis department store was located in the daily range around the apartment complex and contained spaces for the daily life of the inhabitants apartment complex. It is significant in this particular department to be valid today and the term of 'Whole Life' department store is not longer used.

      • KCI등재

        짐멜의 개인법칙과 죽음 이해

        박병준 ( Park¸ Byoungj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1 가톨릭철학 Vol.- No.37

        본 논문은 짐멜 철학의 핵심 개념인 개인법칙과 죽음의 관계와 삶에서 죽음이 주는 철학적 함의를 구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1장에서 짐멜의 개인법칙을 검토하고, 2장에서 삶의 전체성과 총체성을 만드는 죽음을 논의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짐멜 철학의 개인법칙에 담긴 철학적 함의와 오늘날 부상하고 있는 철학실천의 관점에서 그 의의를 밝힌다. 짐멜의 개인법칙은 주체에 기반한 상호 주관성과 보편성을 추구하던 근대 사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며, 개개인의 고유한 주체성을 극대화함으로써 현대 사상에 미친 영향이 크다. 짐멜은 개인 법칙을 개인과 삶, 사회와 문화, 도덕과 윤리를 다루는 그의 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삼는다. 짐멜은 개인법칙을 통해서 삶에서 드러나는 모든 개인의 공통성보다는 오히려 개개인의 고유성과 개인의 삶의 전체성과 총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개인법칙은 개인성의 극대화를 통해 인간 행위의 준거를 보편의 질서가 아닌 개개인의 행위의 질서 위에 세운다. 그리고 개인의 개별적 행위의 객관적 근거를 그의 인격과 삶의 총체성과 전체성에 찾고자 한다. 이때 무엇보다도 죽음이 중요한 계기로서 작용한다. 짐멜 철학에서 죽음은 삶의 종말이거나 삶의 단절로서의 의미를 넘어서 삶을 전체적이며 총체적으로 모아 의미 충만하게 만드는 삶의 핵심 요소이다. 개인의 삶 전체성으로부터 개인의 행위의 당위성을 끌어내고자 하는 개인법칙에서 죽음을 배제한 채 객관적인 개인법칙의 성립은 사실상 어렵다. 그만큼 죽음은 짐멜의 개인법칙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이다. 죽음은 오늘날 실존철학에서 인간 현존재가 존재의 의미 밝힘을 통해 자기실현을 하고, 본래적인 자기 실존을 획득하는 주요 계기로 이해되듯이, 짐멜 철학에서 개인의 삶과 행위에 당위를 부여하는 삶의 불가결한 요소로 이해된다. 모든 것이 개인화되고 있는 오늘의 사회 안에서 개인법칙은 단순히 개인의 개인성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삶을 총체적이며 전체적으로 만들면서 자기 행위를 책임 있는 행위로 만들도록 촉구하는 역할을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death in life illust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w of the Individual and death, which are the core concepts of Simmel’s philosophy. This paper reviews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in Chapter 1 and discusses the totality of life created by death in Chapter 2. Finally, Chapter 3 reveals the significance of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contained in the individual laws of Simmel’s philosophy and the philosophical practice that is emerging today.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begins with criticizing modern thinking, which pursues subject-based mutual subjectivity and universality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odern thinking by maximizing each individual’s unique subjectivity. Simmel incorporates the Law of the Individual as a core concept of his philosophy surrounding individuality and life, society and culture, and morality and ethics. Simmel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uniqueness and an individual life’s totality rather than the similarity of all individuals revealed in life through the Law of the Individual. The Law of the Individual establishes the basis of human action on the order of individual actions rather than the universal order through the maximization of individuality. It also seeks to find the objective basis of an individual’s actions in the totality of their personality and life. Above all, death acts as an important occasion. In Simmel’s philosophy, death goes beyond the meaning of the end or severance of life, and is a key element of life that gathers life as a whole and full of meaning.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establish an objective individual rule without death from the individual rule that seeks to derive the justification of an individual’s actions from the totality of an individual’s life. As such, death is a key concept in understanding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Death is understood as an indispensable element of life that gives justification to individual life and behavior in Simmel’s philosophy, just as human existence is understood as a major opportunity to realize itself through clarification of the meaning of existence in today’s existential philosophy. The Law of the Individual does not simply emphasize individuality but also urges people to make their lives holistic and make their actions responsible especially in today’s society where everything is personalized.

      • KCI등재

        고통의 전체론적 이해에 근거한 변신론의 구상

        최규하 ( Choi Gyuh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만연한 고통과 악의 현실에 직면하여 유신론 측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능하고 전선한 신의 존재를 옹호하고자 하였는데, 그 주요한 방식 중의 하나는 고통이 그보다 더 큰 어떤 탁월한 선을 위해 허용되는 것임을 밝히는 것이었다. 하지만 고통을 상쇄하는 어떤 선을 제시함으로써 신의 선함을 변호하려는 변신론은 내적인 한계에 직면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곧 고통이 지니는 본질적 악함이 그 고통이 상쇄된 이후에도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통을 상쇄하는 어떤 선을 제시하기보다, 고통의 부정적 가치가 신과의 인격적 관계 안에서 어떻게 무산될 수 있을지를 밝히는 변신론을 구상하고자 하였다. 유기적 전체를 이루는 각 부분들은 전체와의 관계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됨을 주장하는 댄시의 조건주의에 따르면, 유기체적인 삶의 부분들은 독립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전체 삶과의 관계 하에서 그 최종적인 가치가 결정되는 것이며, 삶의 전반적인 온전성에 대한 위협이나 훼손으로 촉발되는 고통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특정시점에서 겪고 있는 고통의 최종적인 가치는 내세를 포함하는 전체 삶과의 관계 하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한 개인의 전체 삶은 ‘신과의 완전한 일치’라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짜여져 있을 때 탁월한 긍정적 가치를 지니게 되며, 이러한 가치로운 전체의 부분이 됨으로써 고통은 그 부정적 가치가 최종적으로 무산된다. 또한 인간은 신과의 완전한 일치를 통해 신의 영원에 참여하게 되었을 때 영원의 관점에서 자신의 삶전체를 한꺼번에 전반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고통을 포함한 삶의 각 부분이 자신의 소중한 삶의 제거 불가한 부분을 구성함을 깨닫고 이들을 인정하며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논문은, 고통 앞에서 전지하고 전선한 신의 존재를 변호하기 위한 변신론이 아니라, 인간이 고통의 경험과 마주하고도 신에 대한 믿음을 간직하는 것이 비합리적이지 않으며 나름의 종교적 경험 위에서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음을 논증하는 변신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Facing suffering and evil prevalent in the world, many theists have tried to defend the existence of an omnipotent and perfectly good God in various ways; and one of the favored ways is to suggest that suffering be allowed for the sake of some greater good that is to be brought about on account of that suffering. However, this attempt does not seem to be successful enough: the intrinsic badness of suffering still remains even after suffering has been balanced off by some greater good. Therefore, rather than proposing some candidates of good by which suffering is supposed to be balanced off,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defense that shows how the badness of suffering can be defeated in the sufferer’s life as a whole. According to Dancy’s conditionalism, the value of each part of an organic whole is determined by its relationship with the whole; likewise, parts of one’s life come to have their final value not independently but in accordance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life as an organic whole. Thus, in the case of suffering, which is elicited by the damage or threat to one’s integrity in general, its final value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whole life including the afterlife. One’s life acquires excellent value when its parts are organically interwoven around her perfect personal union with God; and when suffering makes a part of this valuable whole, its negative value is finally defeated. Also, when one participates in God’s eternity through her union with God in the afterlife, since she is now capable of looking through every part of her whole life all at once from the perspective of eternity, she fully understands that each part including suffering makes an indispensable part of her precious life and gratefully accepts it. Dealing with this issue, in this paper I do not intend to propose a theory to defend the existence of an omnipotent and perfectly good God in front of suffering; rather, I aim to show that keeping one’s belief in God while experiencing suffering is not irrational at all but sufficiently justifiable on the basis of one’s own religious experience.

      • KCI우수등재

        세대 간 소통을 위한 국어생활 교육 방안

        박인기(Park, In-gee)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4

        The tendency that our Korean language life irritates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e the Korean language life as the value neutral that is just managed. It should focus on the ‘Korean language life’ as the curriculum content to educate. The ‘Korean language life’ as the subject to teach can be structured into content ranges and communicable levels. The Korean language life should be educated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Moreover, curriculum innovation for the appropriate Korean language life education is necessary.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curriculum innovatio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holeness of the Korean language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xperiences should be increased, and aim for a kind of holistic education which allows Korean language experiences can be done in general. Second, the experience that can understand linguistic sensitivity between generations should be provided. On this point, platitude of older generations and neologism of new generations should be focused as a meaningful educational contents. Third, the Korean language activities focusing on life experiences should have importance. For the realistic language activities,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and debate’ should be strengthened to release or reduce severance and crisis including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between generations. Fourth, the cultural experiences should be done in the Korean language life, and strengthen the activities to interpret such. Therefore, ‘cultural feature of words’ in the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further. Fifth,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to dissolve and fuse mutual opposing elements within the Korean language phenomenon. The Korean language life education should find the model that fuses different language experiences through virtuous circulation.

      • KCI등재

        짐멜의 삶의 역동적 형식으로서의 죽음과 불멸

        홍경자 ( Hong¸ Keungj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1 가톨릭철학 Vol.- No.37

        본 논문은 국내에서는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짐멜의 죽음 관에 대해 규명하고 있다. 짐멜은 당시의 생철학자들과는 달리 삶과 연관된 죽음의 문제에 깊이 연구하면서 죽음을 주체로서의 개인을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파악한다. 죽음은 단순히 삶의 외부에 설정된 경계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짐멜은 죽음을 밖에서 기다리는 난폭한 존재나 어느 특정한 순간에 인간에게 덮쳐오는 운명, 등 뒤에서 비수로 찌르는 사신으로 파악하지 않고, 실존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죽음이 삶 자체에 불가피하게 내재해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당시에 죽음을 이해했던 낭만주의자들의 사고방식을 깊이 수용하면서 자신의 철학을 전개해 나갔던 짐멜은 죽음이 ‘삶의 내재적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생철학자들이 죽음의 문제를 삶의 종말이나 혹은 삶과 대립하는 개념으로만 단순하게 파악했다고 비판한다. 이 점이 당시의 생철학자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짐멜 사유의 독특함이다. 짐멜에게 중요한 것은 죽음을 삶의 형식과 관련하여 파악하는 것이고, 이러한 파악은 죽음을 해명하는 실마리이자 핵심 개념인 ‘삶’과 ‘형식’에 대한 고찰이 선행될 때 더욱 분명해진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은 우선 삶의 본질과 형식에 관한 형이상학적 논의로 시작한 뒤, 죽음과 불멸에 대한 논의로 확대, 심화해 나가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Simmel’s view of death,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earnest in Korea. Unlike the philosophers of life at the time, Simmel deeply studied the problem of death related to life and understood death as an important factor in completing oneself as an individual. Death is not simply a boundary set outside of life. In that sense, Simmel does not conceive of death as a violent being waiting outside for death, a fate that strikes humans at any moment, or being stabbed in the back by a dagger, but understands that death is inevitably inherent in life itself. Simmel developed his philosophy while deeply embracing the way of thinking of romantics who understood death at the time. He criticizes that although death is an ‘inherent form of life’, those who studied biophilosophy simply grasped the problem of death only as an end of life or confrontation with life. This is the uniqueness of Simmel’s thinking, which is clearly different from biophilosophers of the time. What is important to Simmel is to grasp death in relation to the form of life. This understanding becomes clearer when considering ‘life’ and ‘form’, both which are clues and key concepts that explain death, is preceded. In this regard, this paper first begins with a metaphysical discussion on the essence and form of life, and then expands and deepens into a discussion on death and immort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