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천왕봉과 안양산을 중심으로 한 무등산응회암의 암석학적 연구

        정우철(Woochul Jung),길영우(Youngwoo Ki),허민(Min Huh) 한국암석학회 2014 암석학회지 Vol.23 No.4

        중생대 능주분지 내 형성된 무등산응회암은 기존에 여러 암석으로 명명되었으나, 무등산응회암 내 용결구조, 피아메, 암편, 기질의 탈유리화 등을 고려할 때, 무등산응회암이라는 통일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왕봉 지역과 안양산 지역 무등산응회암은 야외에서 경계가 뚜렷하지 않지만, 암석화학 및 광물화학적 특징과 연대측정 결과에 의해 천왕봉과 안양산 지역 무등산응회암으로 대분된다. 두 지역 무등산응회암은 섭입대 환경의 동원마그마에서 기원한 칼크-알카리 계열의 데사이트질 용결응회암이며, 결정질 응회암이다. 천왕봉 지역 무등산응회암은 안양산 지역 무등산응회암을 형성한 마그마에서 주로 사장석 정출에 의해 형성되었다. Even though Mesozoic Mudeungsan tuff, located within Neungju Basin, has been named several rock names, it should be named as Mudeungsan tuff due to several evidences, such as fiamme, welded texture and rock fragments in the Mudeungsan tuff. Volcanic eruption boundary between the Cheonwangbong and Anyangsan areas is not clear, but petrochemical and mineral chemical evidences with different ages indicate clear petrological boundary between Cheonwangbong and Anyangsan. The Mudeungsan tuffs from Cheonwangbong and Anyangsan is welded crystal tuff with dacitic composition and were generated from cogenetic calc-alkaline magma in the volcanic arc environment. Geochemical events indicate that magma beneath Cheonwangbong was seems to have been evolved from the magma beneath Anyangsan due to fractional crystallization dominated by plagioclase.

      • KCI우수등재

        주왕산 국립공원의 지형경관과 지질학적 지배 요인 : 용결상과 주상절리

        황상구(Sang Koo Hwang),김재호(Jae Ho Kim)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3

        주왕산 지역은 산세가 웅장하고 4계절의 경관이 아름다워 1976년에 12번째 국립공원(107.4 ㎢)으로 지정되었으며, 특히 주왕 계곡은 암돔, 단애, 동굴, 폭포와 폭호 등에 의해 지형경관이 수려하여 2003년 명승 11호(9,177.5 ㎡)로 지정되었다. 주왕산응회암의 두꺼운 치밀용결대가 지형적 경관면에서 가장 멋진 절경을 드러내며 주왕산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게 만든 주체이다. 이 치밀용결대에는 급수대, 학소대, 신선대, 망월대, 기암과 병풍바위 등의 많은 암석단애들을 가지고 그 단애에 주왕굴, 무장굴, 연화굴 등의 동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능선에 여러 암돔을 이루고 그 계곡에 여러 폭포와 폭호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암석단애들은 치밀용결대가 수직절리에 의해 이루어진 절벽이고, 동굴들도 치밀용결대의 단애에서 수직절리를 따라 좁게 형성된 것이며, 암돔과 폭호들은 수직절리에 의한 절벽이 침식된 지형경관이다. 이들 수직절리는 주왕산응회암이 냉각되는 직후에 생성되는 주상절리에 해당되는 냉각절리이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은 주왕산응회암의 치밀용결대에 여러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수직으로 발달하는 주상절리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Juwangsan area(107.4 ㎢) has been designated as the twelfth National Park in 1976, because it has magnificent aspect and seasonally spectacular landscapes. Juwang valley(9,177.5 ㎡) has been designated as Noted Scenery No. 11 in 2003, because it has the same topographical landscape as rock domes, rock cliffs, caves, waterfalls and plunge pools. The most spectacular landscapes are exhibited in the densely welded zone of the Juwangsan Tuff. The rock cliffs generated from vertical joints in the densely welded zone, in which there are the same many rock cliffs as Geupsudae, Haksodae, Sinseondae, Mangwoldae, Giam and Byeongpungbawi, three caves such as Juwanggul, Mujanggul and Yeonhwagul in the cliff. The cliffs and caves are landscapes that were generated from vertical joints in the densely welded zone, and the rock domes and waterfalls are landscapes of erosional vertical joint planes in the zone. The vertical joints are columnar joints formed during cooling of the Juwangsan Tuff. Therefore the topographical features cause the cooling columnar joints that are vertically intersected in the densely welded zone of the Juwangsan Tuff.

      • KCI등재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재질특성과 보존처리제 적용 효과

        이명성,이재만,이선명,김사덕,모리마사유키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3

        The Usuki Stone Buddha Statues in Japan are carved on mainly dark gray welded lapilli tuff accompanied by lenticular fiamme. This rock is composed of matrix which contains feldspar and opaque minerals with some phenocrysts of quartz and feldspar. The matrix is slight to highly welded. The statues have been weathered and weakened by salt and freezing of water.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ock, consolidants and water repellents were applied. The absorption ratio of the rock was highly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of the water repellents, the consolidant OH 100, as well. Ultrasonic velocity revealed similarly higher values in the treated rock by KSE 300 and OH 100, compared to non-treated rock. KSE 300, especially, highly increased the Equotip surface hardness. All studied consolidants and water repellents were found to change the original color of the stone. SNL, specifically, resulted the significant change in color. In addition, KSE 300 were observed to improve resistance to weathering such as microcrack and fracture through freezing-thawing test after treatment.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주요 구성암석은 용결응회암으로 암회색을 띠며 렌즈상 피아메가 발달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암편을 함유하고 있다. 이 암석은 대체로 장석 및 불투명 광물 등으로 이루어진 기질에 석영과 장석 반정이 관찰되며 강용결에서 약 또는 미 용결까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인다. 또한 지하수에 의한 염류 석출, 동결 파쇄 등 다양한 풍화요인에 의해 강도가 저 하된 상태이다. 이 암석의 용결 및 풍화상태에 따라 보존처리제의 표면처리 실험 결과, 흡수율은 발수제가 강화제에 비해 높은 감소를 보이며 강화제 중에서는 OH 100이 높은 감소율을 보인다. 초음파속도는 전체적으로 KSE 300과 OH 100이 비슷한 강도증가를 보이며 에코팁 표면경도는 모든 시료에서 KSE 300이 높은 경도증가를 나타냈다. 색변화는 강화제가 발수제에 비 해 적었으며 발수제 SNL은 표면색의 변화가 현저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동결-융해 실험 결과, 미처리 시료에 비해 KSE 300으로 처리한 시료가 균열 및 깨짐 등에 대한 풍화 저항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남한에서 주상절리의 분포와 암석학적 특성

        안건상(Kun Sang Ahn) 한국암석학회 2014 암석학회지 Vol.23 No.2

        남한에서의 주상절리 분포지역과 그들의 형태학적, 암석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현재까지 보고된 남한의 주상절리 분포지역은 최소한 68개 지역이다. 이들은 지리적 여건과 화산활동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 한탄강유역에는 16개 지역에 주상절리가 발달하는데, 15개 지역은 제4기의 현무암질 용암이며, 나머지 1지역은 백악기 화산암이다. 2) 제주도의 주상절리는 18개 지역이다. 이들 모두 신생대 제4기에 분출하였으며, 대부분은 현무암질 용암이고, 산방산과 백록담 등은 조면암이다. 제주도 주상절리는 칼러네이드와 엔태블러춰가 잘 발달하며, 끌자국도 선명하게 관찰된다. 3) 울릉도와 독도에서는 국수바위를 비롯한 5개 지역에서 관찰되며, 이들은 제4기 조면암이다. 4) 포항-경주-울산의 8개 지역에서 돔형, 방사상, 수평 및 수직 주상절리가 발달하는데, 이들 모두는 제3기 화산암이다. 충청남도 평택-아산지역, 그리고 강원도 고성의 제3기 현무암에서 주상절리가 관찰된다. 5) 남해안과 서해안에는 모두 15개 지역에서 주상절리가 관찰되는데, 이들은 백악기에 분출한 화산암으로 현무암에서 유문암까지, 용암에서 용결응회암까지 다양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등산과 주왕산의 주상절리도 백악기에 분출한 용결응회암이다. 남한의 주상절리를 지역별로 분류하면, 강원도가 5개, 경기도 13개, 충남 2개, 경북 14개, 전북 1개, 전남 10개, 경남 5개, 제주 18개 지역이다. 주상절리의 형성 시기는 중생대 백악기가 18개, 신생대 제3기가 12개, 그리고 신생대 제4기가 38개 지역이다. 화산암의 마그마계열은 알칼리암계열이 36개, 비알칼리암계열이 32개 지역이다.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collate distribution, morphology, petrology of columnar joint in South Korea. Reported columnar joint areas in South Korea are 68, until the present time. These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 by geography and volcanic activity. 1) The 16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 Hantangang region. The 15 areas in this region are composed of basaltic lava in the Quaternary period, and the other 1 area is composed of volcanic rocks in the Cretaceous period. 2) The 18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 Jeju island. Most of them are composed of basaltic lava(alkali basalt and Hawaiite), and the Sanbangsan and Baegrokdam area are composed of trachyte in the Quaternary period. Colonnade, entablature and chisel mark of the columnar joint are typically occur in basaltic lava. 3) The 5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to the Ulleung island and Dokdo including Guksubawi. These are consisted of relatively well-formed trachyte columns in the Quaternary period. 4) The 8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to the Pohang, Gyeongju and Ulsan region and consist of the Tertiary period volcanic rock. It’s shape are dome, radial, horizontal and vertical. The 4 columnar joint areas are reported in the Pyeongtaek and Asan city of Chungcheongnamdo and Gosung of Gangwondo. All of them are the Tertiary period basalt. 5) The 15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ibuted into the west and south coast region. Those are consisted of various rock type(from basalt to dacite), various occurrences(lava flow to welded tuff), and various diameters(20 cm to several meters). The columnar joint of Mudeung mountain and Juwang mountain are welded tuff in the Cretaceous period. The columnar joint is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in South Korea, 5 in Gangwondo, 13 in Gyeonggido, 2 in Chungnam, 14 in Gyeongbuk, 1 in Jeonbuk, 10 in Jeonnam, 5 in Gyeongnam, and 18 in Jeju. The columnar joints in South Korea can be arranged in order of formative period, 18 in the Cretaceous period, 12 in the Tertiary period, and 38 in the Quaternary period. By magma series, 36 are belong to alkaline series and 32 are belong to sub-alkaline series.

      • KCI등재

        전라남도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에 관한 연구

        손정모,안건상 한국지구과학회 2016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7 No.6

        The columnar joints in Goheung are developed in three places of Yuju-san area, Palyeong-san and Yongbawi area. Vertical and fan-shaped columnar joints which have maximum width 100 m and maximum heigh 50 m are developed in the Yuju-san area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next to the road near the the Yuju-san and along the coast of Jijuk-do. Thick columnar joints of maximum width 1m are developed in the Paryeong-san area. Horizontal columnar joints of maximum width 50 cm at length of polygon side are developed on dyke in the Yongbawi area. The columnar joints show high rate of rectangles and pentagons in the number of polygons. The length of polygon side of columnar joints in study area ranges from 10 to 100 cm, and 20 cm among the range appears in high frequency.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vertically to the ground from the cooling surface in Yuju-san and Palyeong-san area. Columnar joints in Yongbawi area are developed vertically to the contact of country rocks. As a result, the columnar joints began cooling from the country rock contact. And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vertically to contact surface. The rocks in columnar joints is rhyolitic welded tuff in Yuju-san and Palyeong-san area, dacite in Yongbawi area. In the acid volcanic rocks flow structure well developed. The white phenocryst mineral about 2 mm size by eye, is usually feldspar, and includes some quartz. The rate of SiO2 is 70wt.% or more. It is the last stage of differentiation to calc-alkaline series. The columnar joints of the Yuju-san area are expected to be distributed along a band that extends to about 1km east of the stone pit. 전라남도 고흥지역에는 도화면 유주산 지역, 팔영산 지역 그리고 용바위 지역의 세 지역에서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유주산 지역에는 폭 최대 100 m, 높이 최대 50 m 규모로 수직방향과 부채꼴 모양의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유주산 근처의 도로변과 지죽도 해안에도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팔영산 지역에서는 기둥면의 폭이 최대 1 m에 달하는 굵은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용바위 지역은 암맥 내에서 지표면과 수평한 최대 폭 50 cm의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이 지역 주상절리의 4각형과 5각형이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기둥면의 폭은 10-100 cm 범위이지만, 20 cm가 최대 빈도율을 보인다. 유주산과 팔영산 지역에서 주상절리는 냉각면인 지표와 수직으로 발달한다. 용바위지역에서 주상절리는 관입한 주변암과의 접촉부와 수직으로 발달한다. 결과적으로 이지역의 주상절리는 주변암의 경계부로부터 냉각이 시작되어 접촉면과 수직한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본 주상절리를 구성하는 암석은 유주산과 팔영산 지역에서 유문암질 용결응회암이고, 용바위의 암맥을 이루는 암석은 데사이트이다. 산성화산암에는 유상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육안상 2 mm 정도의 백색 반정광물은 대부분 장석이고, 일부 석영을 포함한다. 주상절리를 구성하는 암석의 SiO2 함량은 모두 70wt.% 이상이며, 칼크알칼리계열의 분화 마지막 단계이다. 유주산지역 주상절리는 채석장에서 동쪽으로 약 1 km 이상 분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의 특징

        안건상 ( Kun Sang Ahn ),손정모 ( Jeong Mo Son ) 한국도서(섬)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2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morphology and petrology of the columnar joint in south coast of Jeungdo, Shinangun, Jeollanamdo. The source rock of the columnar joint is the welded rhyolitic lapilli tuff erupted in the late Cretaceous period of the Mesozoic. The rock fragment of laplli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structure and rock type. One is a dark colored fiamme(up to 5cm) which is concordant with compressed face by self-pressure. The other is the granite(up to 20cm of size) or andesite, which is sporadically distributed, irrelevant to welded direction. The columnar joint in the coast covers about 300m from the Ojingeobawi, and its general pattern is fan form. The columnar joint forms radial and dome structure with a radius of 20m. Columnar joints mostly form a shape of colonnade structures. The length of the column face is generally about 30cm. The number of polygons of the columnar joint is around 4 to 7, and most of these polygons are distributed pentagon and hexagon. The angles between column faces range from 80°to 140°. The structure and the rock``s characteristics of the columnar joint are effective in high landscape for geotourism. The columnar joint is also valuable to geological field study courses since it includes educational factors of earth scienc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