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관련요인이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영숙 ( Young Suk Seo ),남진열 ( Chin Yeol Nam ),김상미 ( Sang Mi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의 관련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경험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J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26일부터 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남학생 156명, 여학생 174명 총 330명이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χ2검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서 고교시절 개인의 배경 요인 중 봉사활동 기관결정자, 참여태도, 사전교육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봉사활동 기관을 자신이 결정하였을 때,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참여태도가 적극적이었을 때 등이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서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배경요인 중 봉사활동기관 담당자와의 관계, 이타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봉사활동기관 담당자와의 관계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연구에서 사회봉사활동을 자원봉사활동으로 지속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색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 of social service activity in high school influencing upon continuation of university students`s volunteering activity. The subjects were 330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male students 156, female students 17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χ2,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related factor in high school period and volunteering activity experience in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er of organiz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y, participation attitude, whether preliminary education exists or not. When an attendant decided organiz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y by "myself", there was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When an attendant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service activity in high school, there was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 of social service activity experience in high school influencing upon continuation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in relationship with person in charge in volunteering activity organization and altruism.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with person in charge in volunteering activity organization and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there was variable giving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In the future, various study is required to explore factor that makes social service activity lead to volunteering activity.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이 남한사회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경숙(Park, Kyung Sook),신원우(Shin, Wo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에 있어서 자원봉사활동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결과,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및 사회적응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으나 자원봉사활동 참여여부, 자원봉사활동 참여 특성이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서구 가양동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이며, 유의표집방법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로 자료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233부를 회수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에 대한 자원봉사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의 데이터로 문화적응에 대한 자원봉사 특성의 하위요인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원봉사 만족도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만족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문화적응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문화적응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참여자들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volunteer activity. Until recently, the results of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only acculturation and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but not the assess how the decision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traits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influenc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reside in Ga-Yang dong, Gang-Seo gu, and total 233 materials were utilized as data analysis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method. Statistical analysis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d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how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decision and traits on acculturation, volunteer activity status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activity and have high satisfaction showed their high acculturation. Theoretical implic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Above all, it is clear that North Korean defectors need volunteer activity programas supporting their settlement in the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in it. And,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he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n the volunteer activity programof North Korean defectors.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에 있어서 자원봉사활동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결과,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및 사회적응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으나 자원봉사활동 참여여부, 자원봉사활동 참여 특성이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서구 가양동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이며, 유의표집방법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로 자료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233부를 회수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에 대한 자원봉사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의 데이터로 문화적응에 대한 자원봉사 특성의 하위요인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원봉사 만족도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만족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문화적응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문화적응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참여자들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volunteer activity. Until recently, the results of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only acculturation and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but not the assess how the decision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traits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influenc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reside in Ga-Yang dong, Gang-Seo gu, and total 233 materials were utilized as data analysis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method. Statistical analysis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d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how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decision and traits on acculturation, volunteer activity status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activity and have high satisfaction showed their high acculturation. Theoretical implic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Above all, it is clear that North Korean defectors need volunteer activity programas supporting their settlement in the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in it. And,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he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n the volunteer activity programof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학교계획 봉사활동, 스스로계획 봉사활동, 물질기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개인적 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이경상(연구원) ( Kyeong Sang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물질기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개인적 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나눔 관련 활동들의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 개인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물질기부의 세 부분으로 나눠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는 다문화수용도, 공동체의식, 자아존중감, 진로성숙, 리더십, 학교적응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2015년 5월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고 1∼3학년 청소년들 중 층화다단계집락표집에 의해 표집된 7,05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집단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표준화가중치를 부여한 후 빈도분석, 교차표분석, 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지난 1년간 한국 청소년들의 78.1%가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45.1%가 스스로 계획한 봉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51.8%가 물질기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나눔 관련 활동들은 물질기부,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의 순으로 청소년들의 사회적, 개인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시간 확대, 청소년 물질기부의 제한적 활성화를 정책적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 of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y,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and material donation activity on the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and further to suggest policy improvements through these sharing activ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y,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and material donation activity. The 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multicultural acceptance, community spirit, self respect, career maturity, leadership and school adaptation. In May 2015 self-reported group surveys were conducted; group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6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1-3 grade), and high school students (1-3 grade). 7,05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by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fter giving the standardized weights. The results showed that 78.1% of participants have taken part in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ies, 45.1% of participants have participated in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and 51.8% of participants have participated in material don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se sharing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the order of material donation activities,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and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is, the policy improvements of sharing activities present that adolescents would spend more time doing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and adolescents’ material donation activities would be promoted within the limited range.

      • KCI등재

        대학생의 노인대상 자원봉사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송현애(Hyun ae S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1 No.-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로 인해 노인부양문제가 점차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대학의 봉사기능이 강조되면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의 이러한 두 흐름을 연결시켜 대학생의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을 질적 연구를 이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9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봉사활동 보고서를 분석해 본 결과, 대학생들의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은 심리적인 부담, 교육적 성찰의 기회, 덤으로 얻어지는 보상, 대인관계에서의 보람, 노인세대와의 관계 증진, 자기 향상, 이타주의 정신 함양 등 7가지로 범주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더불어 특히 노인과의 좋은 관계 형성, 자기성장과 발전, 유용감, 적재적소 배치, 자원봉사관리자의 인정과 보상 등과 같은 요인들이 대학생들의 노인대상 봉사참여 지속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노인대상 봉사활동 참여가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고, 더불어 대학생의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upport for the aged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social problem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as the service function of the university is emphasized,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volunteering activity are more and more increas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olunteering activity participation experience for the ag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obtained from analysis of reports of 96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volunteering activities for the a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is study, generally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volunteering activities for the aged had seven kinds of experience: psychological burden, academic achievement, receiving the rewards, pleasur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hancement in relationship with the aged, the personal growth, improvement in altruism.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ged, the personal growth, the feeling of usefulness, the appropriate placement and the manager s recognition were main effect on the will for continuing volunteering activity. I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ing for the aged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possibility was looked into whether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ing for the aged could become the alternative alleviating the social problem generated by the aging or not.

      • KCI등재

        해외봉사활동 참여 대학생의 진로개발 지원 사전교육 방향 탐색

        이지연(Lee Ji yon),연경심(Yeon Kyung s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본 연구는 진로발달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의 해외봉사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의 보다 긍정적인 진로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해외봉사활동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외봉사활동 관련 문헌과 해외봉사단 파견 주요 기관의 사전교육 프로그램 및 대학생 대상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우선 문헌 탐색을 통해, 해외봉사활동과 대학생 진로발달 간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해외봉사활동이 단순히 개인의 노력이나 재능을 기부하는 자선적, 전통적 개념을 넘어서는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고, 둘째 해외봉사활동 참여 대학생들은 그 활동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진로 방향설정이나 진로 탐색의 시야를 넓힐 수 있는 계기를 얻게 되며, 셋째 해외봉사활동을 통해 이들은 일과 관련된 경험과 기술, 취업에 필요한 일반적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현재 해외봉사활동 수행 기관 및 단체의 사전교육 내용을 탐색한 결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봉사 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와 기술, 소양교육, 안전교육 중심으로 사전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해외봉사활동이 참여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사전교육에 진로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내용 요소가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봉사활동과 연계하여 대학생의 진로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사전교육 내용 구성 방향으로, 첫째 자기이해 과정 제공, 둘째 현지 활동과 연계한 진로설계 기회 제공, 셋째 자신의 전공 또는 관심영역과 관련한 현지 활동 프로그램 기획 기회 제공, 넷째 봉사활동 전 과정을 포괄, 누적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개발 경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searching for a direction in organizing prior training programs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 critical mo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increasingly participate in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searched the literature on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and investigated prior training programs organized by overseas volunteering organiz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For a start, the literature review of this study found out a positive relation between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and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First,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have presented the progress from traditional charitable concept of volunteering such like contribution of personal efforts or talents. Second, university student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set a direction of career path and have a wider view on career exploration. Third, the students were able to get work- related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exposed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improve capacities required for employment. Next, this study revealed that existing prior training programs of overseas volunteering organizations and agencies mainly dealt with information and techniques required for implementing volunteering activities, elementary abilities and safety issue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to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reached that prior training programs should contain contents and educating items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ents. Thus,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s in designing prior training programs for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connection with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Thus, the prior training programs should set a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provide an opportunity of designing a career path in relations with local activities, enable the students to plan a local program based on their majors and interests and give a chance to develop a portfolio accumulating activities of the whole process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대학생 봉사활동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서의 일일 기부 농활

        김성한 한국공공사회학회 2019 공공사회연구 Vol.9 No.4

        Volunteering activity should by all means be beneficial for both volunteers and beneficiaries. Volunteers acquire chance to encourage their sense of giving through the activity. At the same time, beneficiaries should be the actual beneficiaries of the activ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current volunteer work of university students is achieving this goal fully. Problems are emerging as students are mandatory in universities for volunteering. Rather than coming up with way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article suggests “a daily farming activity linked to donations“ as a supplementary activity, acknowledging to some extent the reality that some problems are bound to emerge. This activity have relatively no problem with what mindset students are engaged in, and this activity can be helpful to the volunteers, the rural community, and the beneficiaries of the donation, even if it is not sustainable. This activity could be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current volunteer work. 모름지기 봉사활동은 봉사자와 봉사 대상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활동이어야 한다. 봉사자는 활동을 통해 나눔을 평생 실천하려는 계기를, 봉사 대상은 활동의 명실상부한 수혜자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이 과연 이와 같은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적지 않다. 대학에서 봉사활동을 의무적으로 부과하다 보니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보다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 그 보완 활동으로 ‘기부와 연결된 일일 농활’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활동을 하는지가 ‘상대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며, 지속성이 없어도 봉사자와 농촌 사회, 그리고 기부금의 수혜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활동이다. 이와 같은 일일 기부 농활 은 현재의 봉사활동이 갖는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한 가지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봉사활동 참여 동기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

        손지유,이지혜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ocial capita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mong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4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y, andsocial capital. Second,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motivationand social capita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in setting a way toimprove social capital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in university social volunteer education and toset a direction for revitalization of social volunteer.

      • KCI등재후보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 연구

        박정희,김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1

        Purpose of this study actual conditions and service activity of teenagers volunteerism activity really diagnose current teenagers volunteerism activity system because searches individual fantast affecting for degree and it is presents registration point hereafter. Used “Korean Youth Panel Research (KYPS: 2003-2005 year)” data enforcing in Korean Youth Development circle to achieve purpose of study. Study finding, first,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availability of middle Second-year class in middle school, number of times, time were the highest on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actual conditions by class, and I appeared participate most to helping hands among service activity type. Second, among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reason, “because is reflected in results” by each class appeared highest. Third, service activity really correlation analysis result about fantast who is a dog affecting for degree, sex fantast appeared statistically inanely in all of the volunteerism activity 7 area. Also, results fantast appeared senior who is meaning helping hands participation time and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y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among volunteerism activity 7 area. Furniture month income fantast appeared senior circumscriptively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y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among volunteerism activity 7 area. Fourth, 6 areas except helping hands appeared statistically nonmean even if is it kicks volunteerism activity by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reason. helping hands is misgovernment miracle than other area because can participate easily shortly really that difference that is meaning only definitely statistically to helping hands because degree is high appeared see can. That is, because everybody should takes part in volunteerism activity if is a studies youth compulsorily that our country youth do not participate to various volunteerism activity territory according to special quality that is a dog, is volunteerism activity participation relationship is high but very individual fantast who affect for degree that is uncommon be. These results look like do gong is not reaching greatly to pure meaning and original concept of ‘Volunteerism activity’ coinciding in purpose of volunteerism activity itself far from being today our teenagers volunteerism activity spot expects volunteerism activity as ‘Service learning’ as new paradigm.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봉사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을 탐색하여 현재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제도를 진단하고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2003년-2005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년별 봉사활동 참여실태에서 중1의 봉사활동 참여여부, 횟수, 시간이 가장 높았고, 봉사활동 유형 중 일손돕기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봉사활동 참여이유 중 각 학년별로 “성적에 반영되기 때문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봉사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 성별변인은 지역사회개발 활동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적변인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시간 및 횟수와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구 월평균 소득변인은 지역사회개발활동 참여횟수만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봉사활동 참여이유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참여도는 일손돕기 참여시간 및 회수, 위문활동 참여시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개인특성에 따라 다양한 자원봉사활동 영역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학업청소년이라면 의무적으로 누구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원봉사활동 참여의지는 높으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은 드물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오늘날 우리의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현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봉사학습’으로써의 자원봉사활동을 기대하기는커녕 자원봉사활동 자체의 순수한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자원봉사활동’의 원래 개념에도 크게 못 미치고 있음을 명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해외 교육 봉사활동 체제에 대한 연구: 니카라과를 중심으로

        한재영 ( Han Jae-young ),서혜애 ( Seo Hae-ae ),차정호 ( Cha Jeong-ho ),홍준의 ( Hong Jun-euy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1

        국립국제교육원에서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단기 해외 교육 봉사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 연구는 이 봉사활동의 체제를 분석함으로써 봉사활동 준비, 수행, 정리 단계의 현황을 파악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봉사활동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분석하고 봉사활동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니카라과에서 수행된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탄자니아, 필리핀, 동티모르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봉사단장이 작성한 일지와 결과 보고서 등을 수집하였고, 문화역사활동이론에 따라 6가지 요소별로 봉사활동을 정리하였다. 봉사활동의 주체는 예비 교사, 현직 교사, 대학 교수로 구성되며, 객체에는 수업, 현지 요청 활동, 사후관리, 행사, 홍보, 휴식, 준비, 정리 등이 포함된다. 봉사활동의 도구에는 언어와 비언어, SNS, 수업 교보재, 시설 등이 있으며, 커뮤니티에는 한국과 현지의 대학 구성원, 대사관이나 현지의 한국인, 현지 코티처, 현지 학교 구성원, 안전이나 건강, 학교 운영과 관련된 현지 상황과 음식 등이 있다. 규칙에는 사업 지침, 비행기 탑승 규정, 현지 학교의 규정, 예절, 문화, 단체 활동 규칙 등이 있으며, 역할 분담은 주체와 커뮤니티의 인적 자원들이 각자 맡는 다양한 역할을 말한다. 봉사활동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6가지 요소 내 갈등과 요소 간 갈등으로 구분하여 논의했으며, 전체 봉사활동 체제를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 교사의 해외 교육 봉사활동에 대하여 7년간 장기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기초가 된다.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NIIED) supports a short-term overseas education volunteer activity for ODA countries for pre-service teach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is volunteer activity in the stages of preparation, performance and wrapping-up by analyzing the system of the volunteer activity. In addition, we attempted to analyze the conflict in the volunteer activity and discuss a development plan. We analyzed the volunteer activity performed in Nicaragua, and compared it with the cases in Tanzania, Philippines and Timor-Leste. We gathered the data such as the journals written by the director and final reports, etc. and analyzed the data by the frame of six element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research subject includes pre-service teacher, in-service teacher and professor, and the object consists of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requested by ODA countries, post management, event, advertisement, rest, preparation and evaluation. The tool included 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social media, educational materials and classroom facilities. The community consisted of university staff, embassy, co-teachers, foreign school members, foreign situation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and food, etc. The rule included NIIED regulations, airplane regulations, foreign school rules and culture, and group rules. The division of labor refers to the various roles which the subjects and the community members are taking part in. The conflicts in the volunteer activity were classified into those inside the element and those between elements. The system of the volunteer activity was represented in a fig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basis of long-term research on the overseas education volunteer activity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대학생 해외동사활동 참여동기가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모(Kim, Jung-Mo)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has the goal to provide the proper participation motive of the foreign volunteer activity by analyzing influences on self-identity according to foreign volunteer activity’s participation motive by university students. Of 242 university students who go to affiliated university in Korean University Council For Social Service(KUCSS), I selected 367 volunteers as research targets who were chosen of the 25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overseas volunteers in 2013 and did foreign voluntary service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nd I used survey results of 324 volunteers finally in actual analysis by apply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 di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8.0 for Windows of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analyze influences of foreign volunteer activity’s participation motive by university students on self-identity.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tudy presented that ‘leisure activity(β=-.331)’, ‘social relation(β=.148)’, and ‘career development(β=.113), had influences on it as the result of foreign volunteer activity’s participation motive by university students on self- receptivity. Second, the study presented that the conformity of regression equation model was low(R2=.086) so the explanation ability was short as the result of foreign volunteer activity’s participation motive by university students on subjectivity. Third, the study presented that ‘career development(β=.328)’ had influences on it as the result of foreign volunteer activity’s participation motive by university students on goal orientation. Fourth, the study presented that ‘rank reward(β=.286)’, ‘religious belief(β=.111)’, and ‘career development(β=.108), had influences on it as the result of foreign volunteer activity’s participation motive by university students on future certain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