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 및 군집분석

        허선영,장후은,이종호 한국지리정보학회 202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considere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Korean universities and performed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the spatial range with high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onnectivity. By university establishment type,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of the major national university was superior overall, especially in the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sector and the infrastructure sector, compared to private universities and general national universities. The spatial pattern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showed relatively clear differences by city and province. In term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by sec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ional gap was not large in the talent training sector and the infrastructure sector, but the regional gap was relatively large in the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sector and the start-up sector.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a spatial range with high connectivity in terms of similarity and spatial proximity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atterns, it is divided into 15 clusters. It is found that most of major national universities are included in one of 15 clusters where all sector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re strong. Therefore, as a policy measure to achieve regional innovative growth through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hub & spoke network-type collaboration system in which a major national university acts as a hub and nearby local universities play a spoke role. 본 연구는 한국 대학들의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고, 산학협력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학 설립유형별로는 거점국립대학의 산학협력역량이 전반적으로 우세하며, 특히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서 사립대학이나 일반국립대학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은 시·도별 차이가 비교적 명확히 나타났다. 부문별 산학협력 역량에서, 인재양성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간 격차가 크지 않으나,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창업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 간 격차가 비교적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학협력 패턴의 유사성과 공간적 근접성 측면에서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군집분석을 한 결과 15개 군집으로 나누어졌으며, 산학협력 전 부문이 강하게 나타나는 군집에서 거점국립대학이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협력의 효과성 제고를 통해 지역혁신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거점국립대학이 허브(hub) 역할을 하고인근의 지역대학들이 스포크(spoke) 역할을 하는 허브 & 스포크(hub & spoke) 네트워크형 협업 체계의 구축을 제안한다.

      • KCI등재

        대학의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미치는 영향

        황경연,성을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Universities are introducing and utilizing several systems to respond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import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bined effect of institutional factors o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we presented a conceptual model in which university institutional factors combinatorially affect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Major institutional factors of universities to promot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clude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human resources for industry-university linkages. Six-year data from 2016 to 2021 on institutional factors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were obtained through Higher Education in Kore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was used for data analysis. Seven solutions describing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were derived through fsQCA. In the seven solutions, the number of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number of non-tenur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number of personnel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erved as key conditions. As a result, it is evaluated that the key factors influencing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are the number of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the number of non-tenur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the number of personnel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대학은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주요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결합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을 통해 대학의 산학협력 관련 제도적 요인을 검토하였고,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결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요 산학협력 촉진 제도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산학협력중점교수, 산업체 연계인력 등이 있다. 제도적 요인과 산학 공동연구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한 자료는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간의 자료이다. 자료 분석에는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fsQCA)이 활용되었다. fsQCA 결과에서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를 설명하는 7개의 솔루션이 제시되었다. 7개의 솔루션에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수, 비전임 산학협력중점교수 수 및 기술이전·사업화 담당자 수가 핵심 조건인 솔루션이 각각 5개, 5개, 4개이었다. 결과적으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수, 비전임 산학협력중점교수 수 및 기술이전·사업화 담당자 수가 산학 공동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제도적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산학협력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의 운영 실태와 제도 개선 방향

        허선영(Heo, Sun-Young),장후은(Jang, Hoo-Eun),이종호(Lee, Jong-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2011년부터 시행된 교육과학기술부의 LINC 사업을 통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산학협력 중점교수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산학협력 활동의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의 70%를 LINC 사업비에 의존하고 있는 프로젝트 사업의 특성상 LINC 사업에서 중도 탈락하거나 LINC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가 존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비롯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법・제도적, 재정적,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LINC project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the number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s been sharply increased for the last five years. It is viewed tha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ve played a prime role for promot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threat that about 70 per cents of total expense needed for maintain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are dependent upon finances of the LINC projec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will be disappeared, if a university or college fails to be selected in the LINC project or the government decides to suspend the LINC project.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and policy alternatives on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this paper conducts a literature survey, a questionnaire survey,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the persons concer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legal, financial and structural dimensions.

      • KCI등재

        산학협력의 장애요인 및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POB(Positive Organization Behavior) 관점에서

        홍은영,최종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5

        기존 산학협력의 연구에서, 산학협력의 연계(LINK)는 경로의존성에 의해 향후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통해 다양한 채널의 폭을 가진다. 다양한 상호채널의 폭을 통해 산학협력의 연계(LINK)는 더욱 더 강력해지나, 반면 거래관련 장벽이 늘어나게 된다. 즉, 대학과 기업 간 링크(university- industry linkages) 관계를 다루는 문헌은 많이 검토되어져 왔지만, 상대적으로 이들 간에 존재하는 장벽과 그 장벽을 줄일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이 다뤄지고 있지 않다. 산학협력 정책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산학협력의 장애물에 대한 연구의 부족은 효과적인 정책을 설계하는데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산학협력의 상호채널의 폭과 산학협력의 장벽에 대해 기존의 문헌을 조사하고, 대학행정의 POB(Positive Organization Behavior)을 통해 산학협력의 장벽을 낮출 수 있는지를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정책점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In a study of the existing Collaboration, U-I Collaboration linkage(LINK) has a width of the various channels through continuous mutual cooperation by the path-dependency. U-I Collaboration linkage(LINK) through the various channels is more powerful, whereas this increase trade-related barriers. In other words, It has been discussed in many literatures about the U-I Collaboration linkage(LINK). However, relatively a study on the factor of the barrier about U-I Collaboration linkage(LINK) is a minority. Given the importance of policies to establish an associ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support system, the lack of research on the obstacles to U-I Collaboration linkage(LINK) will be a serious obstacle for designing effective policies.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 width of mutual cooperation and the barrier of U-I Collaboration, analyze to lower the barrier of U-I cooperation through POB(Positive Organization Behavior)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the Automotive, Biotechnology, and Electronics Firms in Malaysia

        Rajah Rasiah,Chandran Govindaraju VGR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9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22 No.4

        This paper seeks to examine existing explanations of driver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The Probit regression results support prevailing theory on the importance of R&D intensity, partner diversity and access to wider channels of information matter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However, categorizing size as a dichotomous dummy variable of SME and large firms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hile actual employment siz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z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Separate Probit estimations for the specific industries of automotive, biotechnology and electronics indicate the following as the important drivers. First, R&D intensity, importance of university as a source of knowledge and age were important in automotive firms. Second, R&D intensity, channels of R&D information and R&D partner diversity were important in biotechnology firms. Third, the channels of R&D information and R&D partner diversity were important in electronics firms. Siz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utomotive and electronics firms but the coefficients were negative when a dummy was used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actual employment was used. Closer examination showed highe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means among medium size firms.

      • KCI등재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에 관한 연구

        안영진(Ahn, Young-J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최근 많은 대학들은 대학의 전통적 역할인 연구와 교육 이외에도 기업가적 대학 활동의 일환으로 산학협력에 발 벗고 나서고 있어, 이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독일의 많은 대학들은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일찍부터 지식 및 기술 이전을 포함한 산학협력을 강화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독일 대학의 산학협력의 방향과 추진상황 그리고 산학협력의 주요 특성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슈투트가르트대학, 뮌헨공과대학, 하이델베르크대학 그리고 아헨공과대학을 사례로 하여, 이들 대학의 산학협력 활동을 집중적으로 살펴 보았다. 연구의 결과, 독일 대학들은 공동 및 계약연구 협력의 진흥, 기술이전기관의 운영, 창업센터의 설치를 통한 창업 및 창업교육의 강화 확대 그리고 산학 융합 연구캠퍼스의 구축 등을 통해 산학협력을 활성화시켜 나가고 있음이 밝혀졌다. In recent years, many universities are engaging i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s an activity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in addition to research and education, which is a traditional role of universities. German univers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have been strengthening the activities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early 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main meas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Germ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s of four universities such as Stuttgart University, Munich Technical University, Heidelberg University, and Aachen Technical University are intensively focused and surveyed.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German universities are actively promoting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through joint researches, operation of technology transfer offices, strengthening of start-ups and start-up education programs through establishment of start-up center, and expansion of industrial-academic convergence campus.

      • KCI등재

        대학 산학협력정책의 경로의존성 분석

        신현석,선애경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4

        This study is aimed to unravel the issues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olicy through analysis of its historical path in the Korean context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policy. To attain the purpose this study divides the changing process of th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olicy into two periods at the turning point of enacting the law of promoting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analyzes the changing process of th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olicy in the perspective of such the causes of its path dependency as power asymmetries, goal displacement, institutional interdependence, and policy legitimat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① to understand the particularity of th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olicy as a complex entity, ② to pursue the higher goal and value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ctivitie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activities themselves, and ③ to create the foundation of inducing autonomous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ies and universities. 본 연구는 산학협력정책이 지나온 역사적 경로를 한국적 맥락에서 분석하여 정책 변화과정의 경로의존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학 산학협력정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학협력촉진법의 제정을 분기점으로 하여 산학협력정책의 흐름을 크게두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에서 이루어진 정책의 변화과정을 권력 불균형, 목표대치 현상, 제도의 상호의 존성, 정책의 정당성이라는 경로의존의 원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① 복합체 적인 산학협력정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의 필요, ② 산학협력 활동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보다 상위의 목적 및 가치 추구, ③ 대학과 산업계 및 다양한 관련 주체들이 자발적으로 산학협력을 이끌어갈 수 있는 기반의 조성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산학 연계 마케팅 프로그램이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에 미치는 영향

        이원준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3 專門經營人硏究 Vol.26 No.1

        Both corporation and university can expect positive results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efforts. It is therefore important for the academic and practical purpo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marketing performance, but previous studies about this relationship have examined ristrictly compared to other research areas of marketing. This research get its points because marketing research areas can be expanded by focusing on new theme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ing program based o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three dimensions of consumer's love for brand. If this program has effects on marketing performance, participation group will rate overal level of perceived love for brand(brand intimacy, brand passion, brand commitment) higher than exclusion group will. Also self-brand image congruence is expected to show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group has higher level of brand love than exclusion group,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 and self-brand image congruence hav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m partialy. According to the research implications, corporation and university need to be more proactive to develop industry-university marketing programs for their mutual benefits.

      • KCI등재

        새로운 매체로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장기적 협력 가능성 :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독제약의 산학 협력형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의거하여

        홍정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기존의 기업과 함께하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업에서 예술이 단발적으로 홍보 이미지로 사용되는 사실과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역시 마케팅적인 측면에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을 진단하고, 이에순수예술이 장기적으로 기업과 협력적으로 콜라보레이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역사적인 흐름을 팝아트에서 시작하며, 기존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업의 사례들을 한계와 함께 분석한다. 기존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산업과 마케팅이 중심으로 진행된 것과 다르게, 순수예술이 중심으로 있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으로는 유니레버와 테이트 모던과 현대자동차의 문화예술산업을 사례로 들고 있다. 사례로 둔 두 사업은 지속적으로 콜라보레이션을 유지하고 있고, 산업적 생산이나 홍보의 차원을 넘어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들에게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로절린드 크라우스가 동시대 예술에서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면서 포스트 매체의 조건으로 “매체를 재창안하기”를 선언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면, 아트 콜라보레이션의이러한 과정은 ‘아트 콜라보레이션’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역시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대규보 자본을 바탕으로 한 사례들의 초석에는 산학협력형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연구자가 진행했던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독제약의 산학협력 사례를 그 근거를 두고, 교육의 측면 외에도 미학적 가치도 도출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순수예술과 협력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것의 미학적 함의를 재고하고, 산학협력의 과정이 이것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아닐까 제시한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fact that art is used as a temporary promotional image in the art collaboration business with existing companies, and that research on art collaboration is also tilted in the marketing aspect, and thus the potential that pure art can collaborate with companies in the long term. For this, above all setting Pop-art on the start point of the history of art collaboration, then the cases of the art collaboration these days are analyzed with their problem. Unlike the previous art collaboration centered on industry and marketing, the art collaboration centered on fine art researched in this paper cites the culture and art industries of Unilever at Tate Modern and Hyundai Motor. These two cases maintain their cooperation continuously, and beyond industrial production or marketing, they open up new potential not only for artists but also for enterprises and consumers. Considering the “re-inventing medium” mentioned after diagnosing a situation of contemporary art scene by Rosalind Krauss, this process of art collaboration could be possibilities for ‘art collaboration’ regarded as a new-medium. And the cornerstone of these large-scale capital-based cases could be the industry-academic art collaboration. Based on the case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between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Painting and Korean-German Pharmaceuticals, this paper will derive aesthetic values in addition to the aspect of education. For long-term art collaboration with fine art, this paper suggests considering its aesthetic implication. And Industrial-University process could be a way to expand its foundation.

      • KCI등재

        대학 산학협력단 성과향상의 모형정립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구경영 ( Gu Kyoung 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이 연구는 오늘날 산학협력의 제도적 정착의 추세에 따라 대학과 기업 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는 대학 산학협력단의 성과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에서의 산학협력성공의 영향요인 및 성과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AHP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 산학협력단의 산학협력성공의 영향요인으로 법·제도적 요인, 재정적 요인, 역량강화요인을 선정하고 성과요인은 목표적 요인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산학협력성공의 영향요인에 대해서는 정부 산학협력 정책의 적절성이, 산학협력단의 성과요인에 대해서는 산학협력단 수익이 선정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전문가들을 통한 설문조사와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검토를 통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suggesting the method of improving the outcomes level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rganization playing the medium role between university and corporate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ization trend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This study conducted AHP analysis based on the effect factors and outcome factor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success in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se, this study set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 financial factor, empowerment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as the effect factor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success. And it set objective factor as the outcome factors. As a result, the appropriatenes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government is selected as for the effect factor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success and the profit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rganization as for the outcome factor. In the following research, I expect more survey through many experts and more studies through examining the various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