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성인대학생 적응지원 사례 분석

        채재은(Chae Jae-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3

          본 논문은 미국의 성인대학생 지원 사례를 분석하여 “성인대학생 친화적인” 대학 운영과 정부의 고등교육정책 방안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성인대학생이 증가한 역사적 배경, 이로 인한 고등교육의 변화, 성인대학생들의 적응 장애 요인, 그리고 미국 대학과 정부 차원의 성인대학생 지원정책을 분석하였다. 미국 사례를 선택한 이유는 성인대학생이 전체 미국 대학생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고,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정책이 실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미국 사례는 성인대학생 친화적인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미국 사례는 종전의 ‘대학 중심’의 고등교육 행정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전통적인 대학생 위주로 운영되는 현재의 고등교육시스템을 성인대학생들이 학업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혁신해야 한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기회 확대를 위해서는 학자금 지원 확대, 시간제 등록 활성화 등과 같은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이니셔티브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전일제, 수업연한(기간)중‘의 정형화된 고등교육모델을 보다 유연하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universities in designing "older undergraduate students friendly" policies and programs by examining the United States" support system for thes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scusse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increase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changes in the US" higher education brought by the increase in those students, the challenges facing older students and the support systems for these students created by the US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case of the US was chosen because older undergraduate students consist of about 40% of the total college students and thus various programs for these students were developed.<B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policies on Korean older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student centered" higher education paradigm should be replaced with the current "universities centered" paradigm which has been strengthen by the overdemand for higher education. Second,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system which mainly serves the tradi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be transformed in a way that enable adults to combine work and study. Third, the government should be proactive in supporting older students by increasing the student aid. Lastly, it should make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more diverse and flexible to accommodate various needs of older students.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타전공과 비교하여

        김경미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affects a person’s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Recent researches claim that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vary according to cul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how colleg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also how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major affect other majors compared to those of other under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basic psychological need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CESD) were measured on 146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major and 187 other majo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tudy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luence of autonomy between counseling and other major student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relatednes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ounseling major students differed from other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ways to increase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course of fostering counseling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scussed.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기본심리욕구는 개인의 심리적 건강과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영향이 문화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상담전공 학부생의 기본심리욕구가 타전공 학부생과 비교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전공 학부생 146명, 타전공 학부생 187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 우울을 측정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영향을, 우울에는 부적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상담전공 학부생과 타전공 학부생간의 자율성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계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담전공 학부생과 타전공 학부생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상담전공 학부생 양성과정에서 이들의 기본심리욕구를 높이는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의 비교

        신효정,민혜리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가 전공계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교에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공계열을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로 구분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은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에서 유사한 개념으로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었다. 학습결과와학습과정에 대한 인식의 요인구조 및 요인부하량이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해당주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 학문분야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 학습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주요한 문항들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만족도간의 관계는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간에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에 대한 인식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으며,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과 자연․이공계열의 학생들 모두학습과정에 대한 인식보다 학습결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가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students' maj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rning experienc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is study, whether the survey items can be conducted on both groups - humanities/social science majors and natural science/engineering majors -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rning experiences and course satisfaction shows similar trend in both groups were investigated. The data for this research came from the online 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S University,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cepts of undergraduate students on learning experiences had configural invariance and metric invarianc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different major groups had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but no scalar invariance. Undergraduate students in both major groups showed that their opinions on learning outcomes had much larger effects on course satisfaction than the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의진 ( Han Eui Jin ),황보명 ( Hwang Bo My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이 독서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및 전남지역의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34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량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 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일반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중에서 일반만족(전반적 만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년 평균 4권 이상 독서하는 대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가장높았으며, 년 평균 1권 이하로 독서하는 대학생들이 전반적인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만족도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취업활동의 하위요인(자기이해, 정보수집, 현상인식)들은 모두 독서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일반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이 자기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만족과 교과만족은 정보수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일반만족은 현상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할수록 취업을 위한 자기이해뿐만 아니라 현상인식과 정보수집에도 적극적인 활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활동을 활성화시키려면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고, 전공교과뿐만 아니라 전공교수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whether under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vary according to reading volumes and figure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To this e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students of four-year college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responses from a total of 234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reading volumes, among the sub factors(gener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relationship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of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general satisfaction(overall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those undergraduate students that were reading at least four books on average per year showed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while those undergraduate students that were reading not more than one books on average per year showed the lowest overall satisfaction. However, other sub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or the sub factors (self-understanding, information collection, phenomenon recognition) of vocational activities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reading volume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general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positively affected self-understanding and gener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positively affected information collection. In addition, general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phenomenon recognition too. These results mean that when undergraduate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ey will not only understand themselves but also actively recognize phenomena and collect information to get a job. Therefore, to activate undergraduate students`` vocational activities, measures to enhance the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major curriculum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major professors should be sought for.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융합 수업 개발 기초 연구

        공하림,김윤희 한성어문학회 2022 漢城語文學 Vol.47 No.-

        This study proposes the operation of convergence classes needed to cultivate the basic understanding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explores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the major-Korean convergence classe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urriculum that fosters and strengthen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major competence during the academic period. Although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for foreign undergraduates who have entered domestic universities, the number of TOPIKs is usually intermediate. In addition, it has been mentioned by many preceding researchers that there is som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major course of the university in the unpaid. In addition, it has been mentioned by many preceding researchers that there is som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major course of the university in the unpaid. The difficulty of major mathematics may be the cause of foreign undergraduates to give up their studies in the middle.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ajor-Korean convergence class design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strengthening the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basic understanding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departments,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help students successfully study major lectur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jor vocabulary books for foreign students and the use of blended learning. Due to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rona, the experience of blended learning of domestic and foreign learners is being accumula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domestic undergraduate and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o be able to produce active academic discourse together, fusion education for strengthening Korean communication capac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for local universities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cultivating understanding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performing major tasks self-directedly.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의 전공 기초 이해 역량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전공-한국어 융합 수업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여 융합 수업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학부생의 경우, 학업 기간 동안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과 학과 전공 역량을 함양해 나가도록 교육과정이 설계된다. 국내 대학에 진학한 외국인 학부생은 보통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급 정도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을 가지고 있다. 혹은 무급(無及)인 경우도 대다수 존재하여 대학의 전공 과정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전공 수학의 어려움은 외국인 학부생들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과 전공 기초 이해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전공-한국어 융합 수업 설계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적용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전공 학습을 위한 기초 어휘집 개발과 체험형 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이 함께 어울려 활발한 학문적 담화 산출을 할 수 있도록 이를 위한 전공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과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전공-한국어 융합 교육 등의 설계와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 학부생들의 전공 강의 이해 역량 함양과 자기주도적으로 전공 과제를 수행해 내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n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경진 아시아지적장애인연맹 산하 아시아저널센터 2018 Asia-Pacific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n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278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 modified questionnaire related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as used. Further, the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sex, grade, and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IBM SPSS 2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specializ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D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 Second, the junior and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an sophomore undergraduates. Third, the undergraduate students specializing in physical education who had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an other undergraduates who did not have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Awareness as Correlate of Undergraduate Students’ Utilisation of Library Software in Universities in South-West, Nigeria

        Odunola, Oluwole Akanmu,Tella, Adeyinka,Oyetola, Solomon Olusegun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 Vol.1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and utilisation of library software by undergraduate students in universities in South-west Nigeria. Th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of the ex post facto was adopted using a sample of 1,527 selected from the total population of 239,048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universitie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finding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tent of utilisation of library software by undergraduate students was high. Also, the majo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utilised library software in the university libraries between two to three times a week. Similarly, the findings show that awareness had an influence on the utilisation of library software by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universities (r = 0.563, N = 1333, P < 0.05). The study concluded that awareness influenced the utilisation of library software by undergraduate students in universities. The study, therefore, recommends that the importance of the awareness of library software should be emphasized in the library to enhance its utilisation by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 KCI등재

        단대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

        김태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Digital LiteracyCompetency of Several Different DepartmentsTaeyoung Kim Abstract: Survey was used to examin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students of Health and Sciences and Culture and Art colleges in a 4-year university of Gwangju. Undergraduate students in 6 different departm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 total of 371 respondent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m were compared with students of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ifferences of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based on their personal variables (gender, major, etc), and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Participants generally presented positive results in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among subarea ‘ethics’ was to be the most highest score. Student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which is the same result of the previous study. Students also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cording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which were the sam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Key Words: Undergraduate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llege, Survey 단대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김 태 영* 요약: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단대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알아보았다. 두 개의 단과대 6개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371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인문사회대 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대별 학생들의 변인(성별, 소속학과 등)과 성격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와 성격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대체로 긍정적이었고, 하위영역 중 ‘윤리’가 가장 높았다. 학생변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에서는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성별’과 ‘소속학과’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성격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는 역량의 하위영역인 ‘기술적 사용’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생의 성격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 상관관계는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핵심어: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성격특성, 단대, 설문조사 □ 접수일: 2022년 3월 28일, 수정일: 2022년 5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호남대학교 부교수(Professor, Honam Univ., Email: ktkty@naver.com)

      • KCI등재

        대학생의 낙관성, 감성지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하나(Ha-na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 감성지능 및 우울정도를 확인하고, 우울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서술적 조사연구로 설계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와 S시의 2개의 대학교에서 2016년 4월 8일에서 30일까지 수집되었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166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참여자들은 자가설문지를 통해 낙관성, 감성지능 및 우울정도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낙관성 평균점수는 3.67±0.51, 그 중 간호대학생의 낙관성 평균점수는 3.66±0.49, 일반대학생의 낙관성 평균점수는 3.69±0.55, 대학생의 감성지능 평균 점수는 3.56±0.49, 그 중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평균점수는 3.53±0.49, 일반 대학생의 감성지능 평균점수는 3.60±0.51, 대학생의 우울 평균점수는 8.28±7.48, 그 중 간호대학생의 우울 평균점수는 10.97±7.65, 일반대학생의 우울 평균점수는 5.50±5.54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대학생의 낙관성과 감성지능은 우울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강한 상관관계 정도는 간호대학생이 일반대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낙관성과 감성지능은 우울에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도도 간호대학생이 일반대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은 물론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낙관성과 감성지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quantified optimism,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ression levels, and explored potential key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level in undergraduate students. We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at D city and S city, between April 8th and 30th of 2016.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a total of 166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They were asked to fill i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optimism, emotional-intelligence,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version 22.0. The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 for optimism was 3.67±0.51, 3.66±0.49, and 3.69±0.55 for overall undergraduate students,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undergraduate non-nursing students, respectively. Moreover, the mean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3.56±0.49, 3.53±0.49, and 3.60±0.5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8.28±7.48, 10.97±7.65, and 5.50±5.54,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exists among optimism,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ression. This correlation was stronge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an undergraduate non-nursing students. Optimism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ke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The degree of this influence was highe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an undergraduate non-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a program that empowers optimism and emotional intelligence is necessary to manage depress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 내 소집단 활동에 대한 내외국인 학부생의 인식

        박현진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79 No.-

        This paper investigates students’ perception about small-group activities conducted in a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with both Native speakers and Non-native speakers enrolled, and it aims to provide a tool to support learning for both categories of student.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a survey conducted on 38 Korean students and 39 non-Korean students, followed by focus group interviews. The survey was aimed at discovery perceptions about 1) understanding of a major-related course, 2) small group activities with both Korean and non-Korean students, 3) expectations and concerns related to small group activities, and 4) expectations towards the teaching faculty and other students. Results are as follow. With regar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ajor course, Korean students did not express any difficulty except for class presentations and cooperative learning, while the non-Korean students found mostly difficult class presentations,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loanwords, and understanding the textbook. With regards to small group activities which includes both cohorts of learners, positive answers to the survey were more numerous than the negative. Highly rated item regarding expectations for Korean students are ‘opportunity to make foreign friends’, ‘opportunity for language learning’, while for non-Korean students were ‘receiving explanations about the content’ and ‘practicing Korean speaking’. A difficulty highlighted by the Korean students was ‘Not being able to contribute to the group work’, while the non-Korean students expressed the problem of not having a successful communication due to their Korean pronunciation. With regard to expectations for small group activities, students would like their instructor to be more careful about the percentage of Korean and non-Korean learners in each group, to give more information, and to check how each group is proceeding during the assignment. Students would like as well colleagues to have an ‘active attitude’ to group-work, and for Korean students to help non-Korean students. All students expressed the wish for more attention to the level of difficulty and amount of tasks and the preference for more engaging tasks. This paper can be considered an exploratory study on small-group works to understand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major course classe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non-Korean students. Results can be therefore used to improv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이 연구는 한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수강하는 전공 수업 운영 시 활용할 수 있는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전공 수업을 듣는 내외국인에게 도움을 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부에서 전공 수업을 듣는 한국인 38명과 외국인 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포커스그룹 인터뷰로 연구방법을 다각화하였다. 인식 조사는 첫째, 전공 수업 수강에 대한 이해, 둘째, 내외국인이 함께 수항하는 수업과 소집단 활동, 셋째, 소집단 활동 시 기대와 우려 내용, 넷째, 교수와 동료학생, 과제를 대상으로 희망사항으로 나누어서 실시되었다. 그 결과 전공 수업 이해는 한국인은 발표와 협동학습 이외에는 어려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인은 발표와 한자어와 외래어 사용, 교재내용이해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표시했다. 내외국인이 함께 수강하는 수업과 소집단 활동은 내외국인 모두 긍정적인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보다 높았다. 기대하는 점 중 한국인은 ‘외국인 친구를 사귈 기회’와 ‘언어 학습 기회’, 외국인은 ‘전공지식 설명’과 ‘한국어로 대화하기’가 높게 나타났다. 어려운 점의 경우 한국인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외국인은 ‘발음’ 때문에 소통되지 않는 것이 높게 나타났다. 소집단 활동 시 희망 사항 중 교수에게 바라는 점은 ‘내외국인 비율 조정’과 ‘중간 설명 및 팀별 상황 확인’이었고 동료 학생에게는 ‘적극적인 참여’와 ‘한국인이 외국인을 도와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과제 성격으로는 ‘과제 난이도와 양 조정’, ‘재미있는 과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외국인 비율이 증가하는 전공 수업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집단 활동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의 인식 조사 결과가 수업 중 협동학습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