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u-러닝에 관한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정보보안 인식 연구

        서금택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0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u-러닝에 관한 대학생의 성별, 학년별, u-러닝의 경험 유?무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하면, 첫째, 성별에 따라 u-러닝의 학습효과 및 정보보안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년별에 따라 u-러닝의 학습효과 및 정보보안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u-러닝의 경험 유?무에 따라 u-러닝의 학습효과 및 정보보안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전북의 00대학교의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138명을 대상으로 약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학습효과 및 정보보안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습 흥미도와 만족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극적인 학습 참여와 문제해결력 향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보안 인식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에 따른 학습효과 및 정보보안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습 참여와 문제해결력 향상에서는 1, 4학년이 2, 3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 흥미와 학습 만족도 그리고 정보보안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u-러닝 경험 유무에 따른 학습효과 및 정보보안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습 흥미도에서는 u-러닝 경험 무집단이 유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도에서는 u-러닝 경험 유집단이 무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학습 참여와 문제해결력 향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정보보안 인식에서는 u-러닝 경험 유집단이 무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과학영재학교(KSA)의 u-러닝에 대한 관심도 분석 :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이경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국내 최초 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Korea Science Academy: KSA)가 2007년 3월부터 ‘교육인적자원부 u-러닝 연구학교’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에서 변화(educational change)란 결국 교사가 무엇을 생각하고 행동하느냐에 달려있다(Fullan, 2007: 129)는 인식 하에, u-러닝에 대한 KSA 교원의 관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가 이루어진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의 u-러닝 연구학교 정책이 올해로 3년차를 맞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천적인 모형이 부재할 뿐만 아니라 u-러닝에 대한 개념적 합의조차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둘째, 현재 교육기관인 KSA가 향후 교육방법에 대한 시범 및 연구기관으로 발전할 것이 요구되고 있어(정현철 외, 2006), KSA의 u-러닝 적용은 이러한 전환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을 근거로 관심단계설문지(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SoCQ)를 사용했으며 비형식적 인터뷰(one-legged interview)와 개방형 질문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KSA 교원은 u-러닝에 대한 비호의적 비사용자(hostile nonuser)였다. 둘째, 연구위원은 일반 교원에 비해 u-러닝에 대한 관심도는 높았으나 저항감(resistance) 또한 높았다. 셋째, KSA 재직기간이 짧은 교원이 u-러닝에 더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넷째, 교과에 따라 u-러닝에 대한 관심도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u-러닝이 KSA에서 성공적으로 도입․운영되기 위해서는 이들의 관심도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처방(interventions)이 필요하다. 특히, u-러닝과 학교변화에 대한 전문적 지식, 대인기술을 함께 갖춘 변화촉진자(change agent)와의 파트너십(partnership)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Science Academy, the first highschool for the science gifted, has beeninitiating u-learning sup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Development since March 2007. According to Fullan(2007: 129), implementingchange depends on what teachers do and think. Thus, this study investigatedthe concerns of teachers about u-learning at KSA.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of change, the study utilizedthree ways to assess concerns: (1) 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2)one-legged interview and (3) open-ended concerns statement. The results of thestudy indicate that, at first, the majority of teachers are the hostile non-userover u-learning. Secon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u-learning committeehave more concerns about u-learning than other teachers, but they also tend tobe resisters. Third, teachers who have been a shorter period in KSA have moreconcerns. Fourth, according to their subject, the profile of the stages of concernsshowed various patterns. Implications to succeed in u-learning at KSA include differentiatinginterventions based on teachers' concerns. Most importantly, the partnership isbuilt between KSA and the change agent who has expert knowledge about notonly u-learning but also educational change.

      • KCI등재

        초등학교 실과 교과에 대한 u-러닝 적용 방안 탐색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실과 교과에 대한 u-러닝 적용 방안을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u-러닝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유비쿼터스 환경과 미래교육의 모습을 살펴보았고, u-러닝의 개념을 여러 방향에서 고찰하고 새롭게 정의하였다. u-러닝에 대한 선행 연구로써 다양한 u-러닝 기초 연구를 살펴보았고, u-러닝의 효과성 분석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u-러닝의 실과 교과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u-러닝의 특징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u-러닝의 요소가 실과 교과와 관련성이 높은지 따져 보았다. 이를 통해 실과 교과에 대한 u-러닝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의 핵심인 u-러닝의 실과 교과 적용 방안 탐색을 위하여 먼저, u-러닝 교과 적용 가능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요소는 u-러닝의 기술적 요소,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5대 계층, u-러닝 교수-학습 모델로부터 논의되었다. 이와 같이 논의된 u-러닝 적용 가능 요소 중 u-러닝 기초활동유형과 유비쿼터스 5단계 정보서비스를 실과 교과의 5학년, 6학년의 각 한 단원에 적용하는 방안을 예시하였고 이 예시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method how we can apply the u-learning to the Practical Arts. For this purpose, the u-learning was reviewed theoretically, First, I reviewed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a future education, and considered the concept of u-learning in the various directions and defined the new concept of e-learning. And then, I reviewed the various basic studies about u-learning, and examined the various studies about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u-learning. In Addition, the elements of u-learning were checked whether they have any relevance to Practical Arts to search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u-learning with Practical Arts. Through this process,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u-learning with Practical Arts was shown highly. And then, the applicable elements for applying the u-learning with the subject were produced firstly for searching the method applying the u-learning to the Practical Arts. These elements were discussed from the technical elements of u-learning, the five steps of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u-learning. Finally, the methods applying the u-learning basic type of activity and the five steps of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with the specific units of the Practical Arts were exemplified. And then the validity of these examples was verified.

      • KCI등재후보

        u-School을 위한 u-러닝 서비스 모델 탐구 - u-러닝 연구학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선관,이철현,서정희,한희섭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2

        학교 교육 환경은 정보사회의 발달 속도만큼 급격하게 발전을 하고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의 ‘U-러닝 코리아 로드맵’ 연구는 u-러닝 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 주었으며, u-러닝 연구학교를 통한 실험이 지난 3년간 이루어졌다.연구학교들은 개인용 모바일 디바이스가 주어져 학습자들이 이동성을 갖고 능동적으로 무선환경에서 학습 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사이버 가정학습을 통한 가정에서의 학습활동과 연계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각 교과에서도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맞추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맞는 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실과 교육은 특히 체험 위주의 학습 활동이 많으며 활동 공간도 교실 외에도 실습실, 재배원 및 교외의 다양한 환경에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한 환경 요소의 중요성으로 학교에서 실질적 교육활동을 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u-러닝 환경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이 연구에서는 지난 3년간에 걸쳐 이루어졌던 u-러닝 시범학교 운영결과를 토대로 u-러닝 교육 관련 요소들을 추출하여 다음 단계의 발전적 u-러닝 환경으로서 Push형 정보제공 서비스, 상황인지 서비스, 행위 제안 서비스를 위한 요소들 간의 서비스 모델을 제안 하였다.제시된 모델은 실과 교육의 체험학습의 활성화와 실과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며, 다음 단계 u-러닝 연구의 기본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Educational environment of school has rapidly changed as fast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Report of KERIS(2005), u_learning Korea Load-Map, shows the direction of u-Learning research and u-Learning research schools have applied and studied as the map for the last three years(2005~2007). At the research schools, students can use the personal mobile devices- PDA, T-PC, UMPC, etc- for learning. Furthermore blended learning in school has connected students with their home learning by LMS. According to this change of new paradigm, the school education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he new educational model towards ubiquitous society. Especially there are a lot of classes based on the experiential learning method using various practical laboratories, school garden or off-school learning facilities in the practical course. However these subjects could not realized in school because of the environment condition. We expect that u-Learning make solve these problems for a practical course. This study extracts the educational elements from the case studies of the research schools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presents the new service model of the educational elements for u-school based on u-information service, context-aware service and u-behavior proposal service as the next step of u-Learning. The proposed service model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alization of the practical classes based on the experiential learning method and to be a basic model for a study of the next stage.

      • KCI등재

        e-러닝과 u-러닝의 차이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분석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우석구 ( Suk Koo W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현장의 교사들이 e-러닝과 u-러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직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e-러닝과 u-러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익숙성 측면에서 절대 다수의 교사들이 u-러닝과 달리 e-러닝 개념에 익숙해 있었다. e-러닝은 널리 퍼진 개념이지만 u-러닝은 서서히 알려져 가고 있는 개념으로 보인다. 둘째, 친근성 측면에서도 다수의 교사들이 u-러닝에 친근성을 갖고 있지 못하였다. u-러닝은 자신의 체험과 업무와 관련이 없다고 인식한 것이다. 셋째, "e"와 "u"의 의미와 정의에 관해서도 e-러닝보다는 u-러닝에 있어서 훨씬 다수의 교사들이 그 알파벳의 의미와 정의를 모르고 있었다. u-러닝에 익숙하지도 친근하지도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관심도의 경우에도 u-러닝이 e-러닝보다 관심도가 많이 낮았다. e-러닝 만큼 u-러닝이 학교에 보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섯째, e-러닝과 u-러닝의 교사와 학교교육에 영향력 측면에서는 e-러닝과 u-러닝 모두 영향을 줄 것으로 믿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것도 교사의 자발적인 교육체제로 보지는 않았다. 때문에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다수의 교사들이 모두 e-러닝과 u-러닝 모두 연수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다양한 연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수업경험에 있어서도 다수의 교사들이 현장의 수업에서 e-러닝과 u-러닝을 이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교사들이 기회가 되면 연수를 받을 의향이 있으며 수업에서의 이용을 고려하고 있었다. e-러닝과 u-러닝의 보급에 노력을 해야 할 명분으로 보인다. 끝으로 많은 교사들이 e-러닝과 u-러닝은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별개의 교육체제가 아니라 e-러닝을 대체할 발전된 교육체제로서 u-러닝을 파악하고 있었다. u-러닝으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e-러닝이 자연스럽게 교수-학습과정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e-Learning and u-Learn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subjects of which were school teachers. The results and its interpretations were as follows: First, unlike u-Learning, absolute majority of teachers was well acquainted with e-Learning. It appears that the concept of e-Learning is widespread, whereas that of u-Learning is not. Second, unlike e-Learning, many teachers were not familiar to u-Learning. They answered that u-Learning would not be related to their work yet. Third, some teachers did not know the meaning of "e" while majority of teachers did not know the meaning of "u". One possible reason is that they are not familiar and intimate with u-Learning. Fourth, teachers` interest in u-Learning was lower than that in e-Learning. It seems that u-Learning is less popular than e-Learning in school settings. Fifth, majority of teachers agreed that not only e-Learning but also u-Learning would affect on teachers and schooling. Sixth, majority of teachers barely had training experience on u-Learning as well as on e-Learning. Seventh, many teachers did not utilize e-Learning and u-Learning in their classes. Varied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e-Learning and u-Learning would be necessary. Finally, many teachers regarded e-Learning and u-Learning as being different each other. However, they did not think e-Learning and u-Learning were totally different education systems, but they thought of u-Learning as an alternative, developed education system. It shows that for u-learning to be successfully introduced into schooling, e-Learning should be implemented gradually.

      •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의 유비쿼터스를 활용한 u-러닝 교실모형 구축 방안

        차덕환(Cha Deog-Hwan),이종호(Lee Jong-Ho)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8 전자상거래학회지 Vol.9 No.3

          Students and instructors should be ready for the ubiquitous education system, which breaks down the borders between class-work space and cyber space because of the progress of the early stage of ICT education from e-Learning to u-Learning. The ubiquitous system which not only harmonizes people, environments, computers, and spaces but also enable people to share information at any time might be widespread in the foreseeable future. It makes easier to share and create information among the students and instructors; it will form more effective education environment which births prominent people.<BR>  This thesis will show how to use the ubiquitous education plan to catch up with the current trend it will be applied to the elementary?middle?high school in and out class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u-Learning class model<BR>  In recent, the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mainly have computer courses and it makes possible to raise the students to the leaders of the ubiquitous period. We gave them chances to access to the ubiquitous environment in advance and learn it theoretically. These things facilitate the students with adapting an era of rapid changes. Finally, we will get various effects as a result of applying a brand-new u-Learning class model to them.<BR>  When students have stated the term, u-Learning, They do not have any back ground knowledge on it. However, they have been motivated by the explanation of u-Learning class model through the computer. This system is more effective than the previous classes based on aptitude; they are eager to Self-Directed Learning utilize this system personally to get study effects. u-Learning will become more common for the classes based on aptitude because of its effectiveness.<BR>  At this time instructors should upgrade u-Learning class model and construct its infrastructure moreover, they should tailor the system for the students of the elementary?middle? high school after analyzing the lead schools previously adopted it. Finally, it is their portions to improve u-Learning as a brand-new Teaching and Learning class model for the elementary?middle?high school.   사람, 사물, 컴퓨터, 공간이 하나가 되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각종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가까운 미래에 펼쳐지면, 교사와 학생들이 그 안에서 정보를 만들고 공유하고 평가하는 효율적인 교육 사이클이 형성되어서 보다 창조적이고 가치 있으며 능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미래교육으로서의 u-러닝이 시행된다.<BR>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초ㆍ중ㆍ고등학교에 u-러닝 교실모형을 교실 수업과 교실 밖 환경에서 유비쿼터스 교육을 활용하는 방안을 시도해 보았다.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컴퓨터실, 일반교실, 모둠학습실에서 미래의 유비쿼터스 시대에 주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유비쿼터스 환경을 보다 먼저 접해보고 먼저 터득하여 변화하는 시대에 빠르게 적응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새로운 u-러닝 교실 우수모형을 제시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BR>  u-러닝 교실 우수 모형을 활용하여 기존의 모형 보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에 기하였으며 미래지향적인 교육정보인프라 설비기준을 제시하므로서 미래형 교실모형을 제시하였다.<BR>  앞으로 u-러닝 교실 모형을 보완하고 먼저 시도한 u-러닝 선도학교들의 결과를 발판으로 하여 초ㆍ중ㆍ고등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u-러닝 교실 우수 모형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 KCI등재후보

        u-러닝 연구학교의 효과성 분석 연구

        이철현,한선관,이상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u-러닝 환경을 수행하는 연구에 참여한 20개의 연구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측면의 u-러닝 효과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학교의 학생들은 타블렛 PC(TPC), 울트라 모바일 PC(UMPC), PDA, 매킨토시 랩톱 컴퓨터 등 다양한 모바일 학습 도구를 이용하였다. 1주제 연구학교의 학생들은 TPC와 UMPC를 이용하였고, 2주제 연구학교 학생들은 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하였다. 3주제 연구학교의 학생들은 매킨토시 노트북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u-러닝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교수 학습 전략이 각 연구학교에서 개발, 적용되었다. 효과성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연구반과 통제반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초등학교에서 국어와 사회 교과에서 연구반이 통제반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 차이를 나타냈다. 만족도와 효과성 인식 측면에서는 대체적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나 3주제 연구학교가 1, 2주제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개방적 응답에서는 u-러닝이 학습태도, 학습의 흥미와 집중력 향상, 상호작용 증대, 학력 향상의 기대, 학습 소외 학생들의 감소 등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u-러닝 적용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좀 더 발전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biquitous learning (u-learning) on learning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students. 20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implement u-learning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students were given various mobile learning tools such as Tablet PC (TPC), Ultra Mobile PC (UMPC), Personal Display Assistant (PDA), and Macintosh laptop computer. We analyze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1st type subject based on Tablet PC(TPC) and Ultra Mobile PC(UMPC), 2nd type subject based on cyber home education system, and 3rd type subject based on Macintosh notebook PC in u-learning research schools and checked the effectiveness as results from it. Different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se tools have been applied to class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performance in general: however, in two elementary schools, the experimental classes had higher performance scores in language art and social studies than the control classes. On the other hand,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satisfaction and future use were found in all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oposes a practical framework of employment of u-learning.

      • u-러닝 시범학교 사례를 통한 문제 제시 및 분석

        원은석(Won, Eunsok)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8 지식과 교양 Vol.- No.1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운 기술이 학교 현장에 보급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시범학교의 u-러닝의 실태를 분석해보고 u-러닝 교육환경 구축에 필요한 사항과 개선 사항을 분석해 보는 것은 앞으로 u-러닝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러닝 시범학교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학교라는 공간에서의 u-러닝이 나아갈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모색해보고자 한다.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u-learning pilot schools is important to build an enhanced u-learning educational environment. As new technologies based on ubiquitous services began to be spread to education fields, it is necessary to suggest efficient and correct directions for improving u-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atus of u-learning pilot schools conducted from 2005 to 2007 and to explo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for u-learning in aspects of infrastructure, contents and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 평생학습사회에서의 m-러닝 : 개념적 논의와 미래교육에 주는 시사점

        임정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7 평생학습사회 Vol.3 No.2

        이 연구는 최근 첨단 교수학습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m-러닝의 개념을 e-러닝 및 u-러닝과의 관련 하에 탐색한 뒤,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기반한 미래교육을 위하여 m-러닝에 관한 논의가 주는 시사점을 모색해 보기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m-러닝의 개념을 모바일 기술이나 기기의 특성을 강조하는 기술적 개념, d-러닝, 즉 원격교육부터 시작되어 e-러닝에 이른 뒤 그 연장선 상에서 m-러닝을 바라보는 교육적 개념, 그리고 m-러닝을 u-러닝의 범주 하에서 u-러닝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파악하는 확장적 개념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덧붙여서, m-러닝과 u-러닝 을 이동성과 편재성의 두 측면에서 함께 논의함으로써 인터넷 기반의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체제를 지칭하는 개념이 e-러닝을 넘어 u-러닝으로 발전하는데 있어서 m-러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m-러닝이 미래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 e-러닝, m-러닝, u-러닝 등 첨단 정보통신공학을 활용한 교육을 지칭하는 개념간의 상호관련성 이해, 미래교육의 교육적 특징과 속성 파악, 미래교육을 위한 교육적 원리와 이론 정립의 필요성, 미래 교수학습 활동 설계를 위한 방향의 안내 등이 제안되었다. Mobile technologies, like mobile devices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have the potential to introduce new innovations in the areas of education. m-learning, a new form of education using mobile internet systems and handheld devices, can offer students and teachers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and gain access to educational materials, independent of time and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definition of m-learning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m-learning for the future of education in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this study, m-learning was defined in three ways: technical perspective, educational perspective, and extensive perspective. Under extensive perspective, for example, m-learning was defined as "a prior step to proceed toward ubiquitous learning, and a learning system which facilitates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and supports interactive ac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t any time or at any place by means of mobil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such as Tablet PC, PDA, or handheld phone." In addition, the concepts of m-learning and u-learning were discussed in terms of mobility and ubiqu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ome considerable suggestions for preparing the future of education based on ubiquitous learning.

      • KCI등재

        학습활동 중심의 컴포넌트 기반 u-러닝 허브 사이트 설계 및 구현

        박찬(Chan Park),성동욱(Dong-Ook Seong),장영희(Young-Hee Jang),이혜진(Hye-Jin Lee),유재수(Jae-Soo Yoo),유관희(Kwan-Hee Yo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학습활동 중심의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설계·구현한 u-러닝 허브사이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u-러닝 환경에서 다양한 단말기를 통하여 교육활동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u-러닝 허브사이트의 기능을 컴포넌트 단위로 세분화 하며, 각 컴포넌트는 클래스들의 상속과 조합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허브 사이트의 기능을 구성한다. 즉 접속하는 단말기와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본이 되는 부모 클래스를 바탕으로 자식 클래스를 추가하거나 조합하여 하나의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다양한 단말기를 지원 할 수 없는 기존의 e-러닝 시스템과 달리 동일한 시스템 하에서 시간, 장소, 단말기와 프로그램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활동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러닝 환경을 제공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u-learning hub site systems which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learning activities oriented components. The proposed systems are composed of component which can process the functionalities for coming into action of learning activities through various devices. Specially, each component is broken into class units by which learning activities of users can be performed on various devices. When users try to connect u-learning system in hub site, the system explores devices of users and connection program and then selects components that are fit to the activities and combines them in realtime. Through the methodology of u-learning hub site,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provides u-learning environment so that users can use the learning activity services taking no influence on time, place, devices and programs under the consistent system. That is different to traditional e-learning system which cannot support various devices of users di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