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대학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연구동향

        조보람(Boram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2003년부터 2022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77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내용, 전공영역, 관련변인의 동향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별 동향은 간호학과 언어학에서 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가상현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가상현실 활용 수업이, 매개변인으로는 몰입이, 종속변인으로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활용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2 to January 2023. 77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3 to August 2022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major area, and trends in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the most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a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2. Secon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ird, as for the trend by major area, utilization was high in nursing and linguistics.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programs and studies on their effects were the most common. Fifth,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showed that classes using virtual realit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low as mediating variab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research trend of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우리나라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연구의 실태 및 동향 분석

        장서연,신동훈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about domestic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We have selected and examined 67 theses concerned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in academic journals of educational science councils. Selected theses are analyzed by 8 standards; the fields and subjects of research, the forms, years, purposes of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s and the trends of research. The major results of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domestic researches for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fields, subjects and purposes of research are analyzed as being evenly distributed. Second, domestic researches about climate change and energy education have increased since 2010. Third, domestic researches about climate change and energy education have encountered changes of viewpoint and diversity of themes, ect. Fourth, domestic researches about climate change and energy education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 the forms of research, the levels of subjects and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research about climate change and energy education.

      • 청소년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 동향

        김민정(Min Jeong Kim)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3 상담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22년까지 KCI에 등재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학술 논문 63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대상, 자료조사 및 연구 방법, 측정도구, 연구 주제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연구는 2009년에 시작되었고 2011년까지 없었으나 2012년 이후로 꾸준히 실시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의 학급은 중·고등학생이 대부분이었으며, 주로 학교 재학 청소년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셋째, 자료수집 방법으로 질문지가 49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주로 양적 연구가 실시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로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의 청소년 회복탄력성 척도가 37편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다섯째, 주로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변수와 관련된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이 중 회복탄력성은 주로 매개변수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추후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nalyzed 63 academic research papers on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registered in KCI from 2009 to 2022 by year, research subjects, data survey and research methods, measuring instruments, and research subjects.. Results: First, domestic research on the resilience of adolescent began in 2009 and was not conducted until 2011, but has been steadily carried out since 2012. Second, most of the classes covered by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ordinary teenagers. Third, questionnaires were most commonly used in 49 volumes a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Fourth, 37 studies used the 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YKRQ-27) by Shin Woo-yeol, Kim Min-gyu, and Kim Joo-hwan (2009) as a tool for measuring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Fifth, studies were conducted mainly on the variables of resilience, and resilience was set as a parameter.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ain implications and future recommendations of research related to the resilience of youth recovery.

      • KCI등재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에 대한 고찰

        이병혁,박경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s directivity, the problems mentioned in that research, and what we have to do henceforward for improving the problems by examin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 last 10 years since the government had announced the plan related to the assessment and testing accommod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09. Research output released from 2008 to 2017 were searched by key words like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special(or disability)’, and then 25 theses and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participants, research with no human participants was most often. The similar result was found in the subject matters, that is, research with no specific subject matters was most often. It was found that most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as research methodology, and many studies addressed the alternate(alternative) assessment itself and recognition of teachers/actual conditions on the assessment as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concretely the issue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laws and system(rules)’, ‘the developmental(or support) of standards and directions’, ‘the teacher empower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EP’. 이 연구는 2009년 ‘장애학생 학력평가제 및 평가조정제 실시’에 대한 계획 발표이후 지난 10여 년 동안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 그동안 수행된 연구의 방향성과 이 연구들에서 언급된 문제점 그리고 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후속 과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정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 ‘평가’, ‘특수’(혹은 ‘장애’)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고 최종적으로 논문 25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에서는 제도나 규정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고, 평가대상 교과의 경우에도 과목을 특정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의 경우, 문헌분석과 설문조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연구주제는 대안평가 자체에 대한 연구와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후속과제에 대해 법과 제도(규정)의 정비와 기준 및 지침 개발(혹은 지원), 교사의 역량 강화, 학업성취도평가와 IEP와의 관계 정립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다루었다.

      • KCI등재

        무용축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김현남 ( Hyun Nam Kim ) 대한무용학회 202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8 No.6

        This study grasped the research trends on dance festivals,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The dance festival covered here was selected comprehensively, including not only big events in the dance industry, but also local festivals and religious events.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review, and Netminer which is big data analysis program.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comprehensively selecting the concept of a particular dance festival, looking only at domestic research trends. Covid-19 has made our lives differently changed, as well as dance festival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identify current research trends by identifying trends in dance festival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dance festivals or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아동·청소년 인권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KCI국내학술지 중심으로-

        이은주,이미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아동청소년 인권에 대한 연구동향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KCI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1994년 – 2017년까지 논문이며, 자료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총 310편이다. 본 연구문제는 연도별 연구동향, 학술지별 연구동향, 연구유형별에 따른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에서는 2016년 47(15.0%)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학술지별에서는 법과 교육연구 20(6.45%)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논문유형별에서는 인권인식 및 실태조사연구가 165(53.23%)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국가인권위원회 업무의 일환으로 인권에 관한 교육 및 홍보를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교육 현장에서 재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에게 각 개인의 인권에 대한 관심과 참여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청소년인권이 성인에 의해 교육되며 보호되는 존재로 인식되어 왔으나 향후, 청소년이 주체가 되어 참여와 현장 중심의 실천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함께 실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아동청소년 인권연구의 사각지대라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의의는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domestic journals. The data of this research centered on KCI domestic journals from 1994 to 2017, and the data are total 310 from 1994 to 2017. This study examined trends in research trends by year, research trends by journals, and research trends by research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7 (15.0%) were the highest in year 2016, and 20 (6.45%) were the highest in law and education research. Third, human rights perceptions and survey researches were the highest with 165 (53.2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nded to include education and publicity on human rights as part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In addition,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concern about human rights and to engage for who enrolled students and students outside of school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Although adolescent rights have been recognized as being protected and educated by adults, it will be necessary for young people to be able to exercise their rights and obligations together in participation and field-based practice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analyzed from 1994 to 2017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study of adolescent rights research.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 연구동향 분석 : 2010년~2020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장성화(Sung-Hwa JANG),이주연(Ju-Yeon LEE)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5 No.1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무용동작치료의 연구동향을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검색서비스를이용하여 석/박사 학위논문 총 120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맞게 코딩,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에 석박사학위논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2014년 이후 2020년까지 10편 이상의 꾸준한 학위논문 연구가 진행되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학위논문의 연구대상은 성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유·아동, 청소년, 노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의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통합적 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사례연구와 개관연구에 대한 연구가진행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에 따라서 다양한 연구변인들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연구가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dance movement therapy, focusing on domestic master s and doctorate thesis from 2010 to 2020.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20 master s and doctorate papers using the search service of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The selected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st number of master s and doctorate thesis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4, and more than 10 steady thesis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4 to 2020. Second, adul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subjects in the dissertation on dance movement therapy, followed by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 Third, research method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followed by integrated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integrative research. Fourth,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research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nd research on case studies and overview was being conduc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dissertation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by various research depending on the subject.

      • KCI등재

        초등 실과교육에서 인공지능 관련 국내 연구 동향

        장현진 ( Jang Hyun J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실과교육에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RISS에서 초등, 실과, 컴퓨터, 정보, 로봇, 소프트웨어, 코딩,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1992년부터 2020년 5월까지 총 152편의 논문을 선정 및 분석하였다. 실과교육 연구 내에서 인공지능 용어를 직접 사용하는 연구는 많지 않지만, 인공지능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컴퓨터, 로봇, 프로그래밍 등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연구 유형의 동향은 개발연구 40편, 조사연구 30편, 실험연구 28편 등의 순으로 많았다. 연구 내용의 동향은 교육내용·교육과정 연구 34편, 교재·자료·교구 연구 34편으로 많았으나, 교수학습·평가연구 14편, 교육 본질 연구 2편으로 적은 편이었다.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세부 주제는 2000년대 전후로 컴퓨터와 정보, 2000년대 후반은 발명, 이후 2015년까지는 로봇, 그리고 2018년부터는 소프트웨어 교육 등으로 확장 전이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인공지능 관련 세부 주제별로 연구 내용의 동향을 살펴보면, 컴퓨터·정보 주제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및 평가 연구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교육 효과성 연구가 부족한 편이었다. 전기·전자·발명 주제는 교육 효과성과 교육 본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었다. 로봇 주제는 교육내용, 교육효과성 및 교육개선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교수·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었다. 소프트웨어 주제는 교육 본질에 관한 연구나 실과교육 내 타 주제와의 연계·융합교육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 실과교육 내에서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직접적 연구의 확대 필요성, 인공지능을 다루는 것에 대한 교육적 본질과 의미 연구의 필요성, 융합교육 관점에서 인공지능을 다루는 연구의 필요성, 실과교육 학자들의 초등 인공지능 및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참여 활성화 등의 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ISS database was searched by key words such as elementary, practical arts, computer, information, robot, software, cod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total of 152 papers were selected from 1992 to May 2020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lthough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that directly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erm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es, studies on detailed themes such as computers, robots, programming, which are hardware and software that are the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 trends of the research types were followed by 40 development studies, 30 survey studies, and 28 experimental studies. The trend of the research contents was large with 34 studies on educational contents and curriculum, 34 studies on textbooks, materials, and teaching aids, but was insufficient with 14 studies on teaching and evaluation, and 2 studies on the nature of education. The themes of research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extended to computers and information around the 2000s, inventions in the late 2000s, robots until 2015, and software education from 2018. In addition, the trend of research content was analyzed for each them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expanding direct research using the term artificial intelligence, conducting research on the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nature and mea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ducting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rms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in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공과대학 여학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황순희(Hwang, Soonh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20 공학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focused on domestic research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67 domestic researches (academic articles & graduate theses) which were published since 1996 were collected using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earch service. All of these 67 researches have been review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analytical criteria such as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journal’s research field and research subjects.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related research o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has been growing since 1996. Secondly, there were more researches of both academic journals and graduate theses, using quantitative method compared to those with the other research methods. Thirdly, the research themes could be classified as follows: gender-awareness, female engineering students’(hereafter, FES) psychological variables, customized education for FES, career related variables, FES’s properties and counselling for them. Fourth, regarding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search topic, 41.79% of the researches were related to FES’s ‘career’ related factors as well as diverse correlat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studying on FES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s well as adopting different research perspectives. Also, practical and educational treatments for FES are required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 KCI등재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국내 연구동향 : 2010년~2020년을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술지 46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내용, 관련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단일대상의 경우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조금 많았고, 혼합대상일 경우 ‘교사-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자료수집 방법별 동향은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의사소통에 따른 효과성 연구가 높았다. 여섯째, 관련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종속변인으로는 수업태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주제로 진행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의사소통 연구의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domestic treend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ethods 46 journals from 2010 to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earch peri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rends of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research on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is on the rise,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9. Second, as for the trend of each research subject, in the case of a single subject, studies targeting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and in the case of mixed subjects,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teacher-college studen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in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ourth,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used as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high. six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communication was the most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lass attitude was the most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trends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conducted on the topic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communicatio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