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간추정법을 이용한 교통수요추정

        이승재,김용훈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2

        This paper presents the travel demand estimation using interval estimation methods during the trip generation stage, and then followed the other three stages of the four stage trip estimation. We have used real data of Dae-jun City. To estimate travel demand using the interval estimation method, a reliability level was set to 95% by a upper bound value, a middle value and a lower bound value. The four stage traffic demand analysis procedure was equally applied and finally interval traffic was estimated. The result showed a difference between maximum values and middle values depending on the destination during the trip generation stage. It depends on an explanation ability of regression analysis. Most of interval estimation ratio resulted in the traffic assignment stage showed ±5~18% difference on the average and ±30~50% at the most. 장래교통수요에 대한 예측은 기본적으로 4단계 수요추정방법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각 단계마다의 변화가 최종수요예측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즉, 장래에 대한 예측이 많은 변동성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수요예측분석과정은 점 추정치(point-estimation)의 값을 입력자료로 분석하여 최종결과물 또한 점추정값으로 제시하고 있어 교통수요의 가변성 및 탄력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교통 상황이 급속히 변화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볼 때 교통수요가 갖고 있는 가변성과 탄력성을 반영하여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구간추정방식(Interval-estimation)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래교통수요 예측 과정의 가장 초기단계인 통행발생단계의 회귀분석모형 적용시 구간추정방식을 적용하여 상한값과 하한값을 함께 산출하였다. 상한값과 하한값에 의한 발생․도착량에 대해 4단계 교통모형을 적용하여 발생량-도착량에 대한 Balancing, 통행분포, 통행배정의 4단계과정을 적용하였고 수요분석 각 단계에서의 도출된 결과에 대해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통행배정 된 교통량의 변화비율을 링크특성과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요분석 시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이 가져오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신뢰구간에 의한 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수요추정의 가변성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요분석의 가변성에 따른 링크교통량의 탄력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교통수요 추정시 분석방법의 가변성 및 탄력성을 고려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의 단계별 검증방안 개선연구

        박민철,성홍모,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1

        Although passenger and freight traffic O/D, which are fundamental input data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and the feasibility stud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easibility of a transportation project, there is no strict validation methods by a step of the estimation of traffic O/D data in Korea. It has been also proposed that existing validation methods need to be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organized validation method by each step of traffic O/D estimation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raffic demand data in Korea. To do this, we reviewed validation processes in various countries and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o apply a stepwise validation method to traffic O/D estimation in Korea through a practical analysis using real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raffic demand can be improved by appling a scheme of traffic O/D validation. In addition, we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sets as well as a systematic process for a stepwise traffic O/D validation. 여객 및 화물 기종점 통행수요는 예비타당성조사 및 타당성평가에서 기초 입력자료로 활용되며 교통사업의 시행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기종점 통행수요는 주로 4단계 교통수요모형을 통하여 추정이 되고 있으나 각 단계를 거치면서 발생한 오차를 줄이는 것이 당면과제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기종점 통행량의 추정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검증방법론이 존재하지 않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검증방법론도 개선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통행수요 검증사례를 통하여 그동안 국내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 단계별로 간과하였던 검증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통행수요 추정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득이 가능한 범위에서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의 단계별 검증방법을 전국 지역 간 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에 적용한 실제 사례로 분석하고 그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기종점 통행수요 추정의 단계별 검증방법론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그동안 간과하였던 검증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국내의 기종점 통행량 자료의 신뢰도를 제고할 여지가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존 체계 구축이 교통수요 추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명주,성홍모,백승한,임용택,이영인 대한교통학회 2011 대한교통학회지 Vol.29 No.1

        This paper investigates some critical errors influencing travel demand estimation in Korea Transportation Data Base (KTDB), and through this investigation reasonable traffic analysis zone (TAZ) size and internal trips ratio are analyzed. With varying zone size, the accuracy of travel demand estimation is studied and appropriate level of zone size in KTDB is also presented. For this purpose zonal structure consisting of location of zone centroid, number of centroid connecters has been constructed by social economic index, and then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test, coefficient of correlation are performed. From the results, this paper shows that the optimum levels of zone system were various according to the order and capacity of roads, and also shows that the smaller TAZ, the less error in this research.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of traffic demand estim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zone size smaller.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분석의 중요한 오차요인 가운데 하나인 존 체계 구축에 따른 교통수요 추정 결과의 영향을 국가교통DB 전국 지역 간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현재 배포되는 Network 수준 및 해당사업(고속도로, 국도, 국지도 및 지방도 / 차로수)에 따른 적정 존 체계 수준, 내부 통행비율 수준 등에 대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더불어, 존 체계 수준에 따라 교통수요 추정 결과의 정확도가 도로위계, 도로용량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교통DB의 전국 지역 간 자료의 적정한 존 체계 수준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변수를 고려한 적정 Centroid의 위치와 Connector 연결지점 및 개수 등 존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존 체계 구축이 교통수요 추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F-test와 상관계수 분석, 평균통행거리 및 통행시간분석, 오차율 분석, 총 주행거리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로위계, 도로용량에 따라 적정 존체계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즉, 현재의 시군구 단위 존 수준에서 추가적인 존 세분화를 수행할수록 국도, 국지도 및 지방도 / 편도 1차로 도로의 교통수요 추정 결과 신뢰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뢰성 높은 교통수요 추정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되도록 읍면동 단위의 존 수준까지 존 세분화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고속도로 IC간 교통수요 추정과 이를 통한 교통정보 제공 알고리즘 개발

        이준,조한선,권영인 한국도로학회 201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3 No.3

        The objective of VMS(Variable Message Sign) is to provide the traffic information downstream to drivers upstream so that they can choose their routes or expect the travel time to arrive the destination. Because there is not enough time and space to show the message, VMS message should be selected carefully. However, the message of VMS has been simply selected among the pre-designed message sets based on the priority rule of events. If the traffic demand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is identified along the freeway, message can be sele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a route that more drivers will use. In this study, a time sliced OD(Origin/Destination) estimation method will be developed using the detector information of the on-ramp, exit ramp, and the main lanes. And the strategy of a priority rule of message was planned. VMS(Variable Message Sign)는 도로의 이용자에게 하류부의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경로선택을 위한 의사결정정보와 목적지까지 이동하기위하여 소요되는 통행시간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VMS에 표출할 수 있는 정보의 개수는 표출면수에 의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기 구축된 이벤트의 메시지 표출우선순위는 발생된 이벤트의 심각도만을 고려하여 우선순위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VMS를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통행수요가 많은경로에 교통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때 그 정보의 수혜자가 가장 많을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간으로 기종점을 파악하여 더욱 많은 운전자가 경로선택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제공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도로와 진출입 램프의 검지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분할 기종점 추정방법론으로 통행수요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기종점자료를 바탕으로 정보제공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제공 전략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카드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요 추정

        이민혁(Lee, Min Hyuck),전인우(Jeon, In Woo),전철민(Jun, Chul M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요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스마트카드 데이터에 기록된 익명의 승객들을 에이전트로 활용하여, 노선 조정 이후의 정류장 및 노선 단위 수요를 분석한다. 각 에이전트는 버스, 지하철 등의 복합수단과 500m 이내 도보 환승을 고려한 최소 통행시간 경로에 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데이터에서 약 120만 명의 승객을 추출하여 실제 노선 신설 사례에 대한 수요 추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노선의 일 평균 수요 및 정류장 단위 수요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고, 1인당 약 5분 이상의 통행시간 감소가 예측되었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ng public transport demand using the smart card big data. It is an agent-based model that can analyze demand by route and station level. Each agent is assigned to the minimum travel time path considering multi-modal and transfer within 500m. The simulation of an actual route adjustment case was performed using about 1.2 million passengers extracted from the smart card data. When compared with validation data, the average daily demand of that route and the demand per station were very similar. In addition, a decrease in travel time of more than 5 minutes per passenger was predict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