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송ㆍ금대 고분벽화 속 묵서와 그 시각적 의미

        지민경(Ji, Minky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3

        중국의 고대 묘실 벽화 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묵서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었다. 구체적으로 묵서는 벽화 이미지 해석 시 참조되는 설명문으로, 공인의 작업을 지시하는 숨겨진 안내서로, 또는 묘주의 신분과 업적을 기록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된 바 있다. 그 중에서 기존의 연구는 묘지명을 대체하는 문자기록으로써의 묵서의 기능에 집중하였고 따라서 묵서는 피장자의 삶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사회 환경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 정보원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단순한 역사 기록물로 보기에 묵서는 기존의 묘지명을 비롯한 부장 기록물들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면 묵서에는 특별한 문장 형식이 발견되지 않고 문법도 무시되기에, 재료와 장식, 문장 형식 등에서 규칙을 보이는 묘지명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또한 그 내용도 묘주를 비롯한 고분 축조에 관련된 자들, 즉 후손과 묘지 건설자 등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담아내고 있어 묘주의 업적과 가문의 위세를 칭송하는 전통적인 묘지문과는 구별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묵서에 관한 인식을 재고하고 기록물이 아닌 묵서의 다른 기능과 의미를 찾아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북송·금대 묘실 벽화 속 묵서에 주목한다. 한대에서 시작하여 위·진시기까지 유행하다 사라져버린 묘실 묵서는 북송 말엽의 벽화묘에서 다시금 나타나는데, 기존의 묵서와 달리 그 형식과 내용이 다양해진다. 북송 이후의 묵서의 재출현은 벽화묘의 대량생산과 유행에 의한 것인데 이는 궁극적으로 벽화묘 주문자에게 일어난 변화를 암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벽화묘 주문자의 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이러한 특성이 묵서의 형식과 내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다. 나아가 묵서는 반드시 벽화와 함께 출현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묵서를 기록물이 아닌 벽화의 종속 이미지로 바라보며, 묘실 벽화 이미지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묘실 벽화 속 묵서는 문자의 권위를 지닌 이미지로써 그려졌으며 벽화에 보이는 상징성이 강한 다른 이미지들과 함께 묘주와 후손의 부와 권위에 대한 사회적 욕망을 시각화하는 도구로 활용되었음을 밝힌다. Ink inscriptions on ancient Chinese tomb murals serve many functions: as explanatory text for ease in interpreting mural images, as hidden instructions to mural painters, and as a textual record of the identity and achievements of the deceased.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ir role as textual records, and therefore have recognized ink inscriptions as an important source of historical information, similar to other textual records found in tombs such as epitaphs. In this light, however, ink inscriptions in tomb murals have not been fully studied beyond this function, and their unique formats and other roles have not been highlighted. In fact, ink inscriptions in tombs ar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other textual records found in tombs,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variety of content: they portray not only the deceased’s, but also various people’s lives, including tomb owners (the descendants of the deceased), and tomb builders (artisans). Focusing on the unique formats and functions of ink inscriptions in tomb murals, this paper discusses their significance in a broad context.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ink inscriptions of the Song-Jin tomb murals that show a wide variety of formats and contents. During the Northern Song period, ink inscriptions re-appeared in tomb murals after almost disappearing around the en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is was mainly due to the mass production of mural tombs, which further stems from the changes that occurred to tomb owners in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By analyzing these changes, this paper shows how tomb owner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formats and contents of ink inscriptions. Furthermore, based on the fact that ink inscriptions always appear together with mural paintings, this paper argues that ink inscriptions should be considered part of the tomb mural itself; more specifically, as an authoritative image symbolizing the use of letters, the power of knowledge, and high social status. In conclusion, ink inscriptions are used in murals as a means of visualizing the desire of tomb owners for the wealth and prosperity of their family along with other symbolic images.

      • KCI등재

        익산 쌍릉 조영의 역사적 배경

        강종원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3 백제문화 Vol.- No.69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how Twin Royal Tombs in Iksan was constructed and what issues the buried person had through investigating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win Royal Tombs in Iksan have been known as the tomb of King Mugang and his queen, but the recognition that they might be the tomb of King Mu and his queen also coexisted. Several investigations and studies have confirmed a high possibility that the big royal tomb could belong to King Mu since 1917. However, there are still issues regarding the burial period and the Sureung, along with controversial disagreements for the small Twin Royal Tomb regard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buried person.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issues of the burial person of the Twin Royal Tombs, considering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King Mu. Who returned to Sabi palace in 630 and to the Iksan palace in the lunar New Year in 639 for the ceremony of enshrining the relics at the West Stone Pagoda of Miruksa Temple. This implies that he was able to be buried in the Iksan area after his death at the Iksan palace. It also means that King Mu constructed his tomb in Iksan while he resided there. Therefore, it indicates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ig royal toom dates back to 639 at the earlies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issues on the buried person of the small royal tomb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King Euija`s mother`s death in 642, which was mentioned in the Nibonsoki. There are arguments that the buried person could be Queen Satak, the mother of King Uija, who died in 642. However, it is unclear considering Queen Satak as the mother of King Uija, who died in 642 in terms of the Inscription of Sarira Enshrinement. In particular, there was a rebellion, and the mother’s entire family, including related nobles, was punished. It suggests that the political power had been shifted from the Iksan clan to the Sah cla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king’s mother was the biological mother of King Euija and a woman of the local gentry in the Iksan area. It indicates that the buried person at the Tomb of the Small King is the king’s mother, the biological mother of King Euija, who died in 642, and the tomb was constructed in 642. The reason why the Twin Royal Tombs were built 180 meters apart can be estimated as the fact that Queen Sataek, the second wife of King Mu, was still alive and her political influence was still powerful, which prevented the joint construction of a tomb for King Mu and Queen Sunhwa of placement of Queen Sunhwa’s tomb next to King Mu’s tomb. 이 글은 쌍릉에 관한 문헌자료와 고고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 쌍릉이 익산에 조영된 역사적 배경과 피장자 문제를 고찰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익산 쌍릉은 후조선 무강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알려져 왔으나 무왕과 무왕비의 무덤이라는 인식도 공존하였다. 그리고 1917년 이후 여러 차례의 조사 및 연구를 통해 대왕릉은 무왕의 무덤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만 조영 시기와 수릉의 문제가 있으며, 소왕릉의 경우에는 여전히 조영 시기와 함께 피장자의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쌍릉의 축조 시기와 피장자 문제를 당시의 정국상황을 통해 파악해 보았다. 630년에 사비로 환궁하였던 무왕은 639년 정월 미륵사 서탑의 사리봉안 의식을 위해 익산 왕궁으로 다시 돌아왔으며, 익산 왕궁에서 사망함으로써 익산지역에 안장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무왕은 익산 거주 중에 자신의 능을 익산에 조성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무왕의 무덤인 대왕릉의 조성 시기는 빨라도 639년을 소급하기 어렵지 않을까 한다. 소왕릉의 조영 시기와 피장자 문제는 『日本書紀』에서 확인되는 642년에 사망한 ‘國主母’의 실체를 통해 파악해 보았다. 642년에 사망한 의자왕의 어머니를 사탁왕후로 보면서 소왕릉의 피장자를 사탁왕후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렇지만 <사리봉영기>의 내용을 통해 볼 때 사탁왕후를 642년에 사망한 의자왕의 어머니로 보기 어렵다. 특히 의자왕의 어머니가 사망한 후 정변으로 어머니의 일가를 비롯해 관련 귀족들이 숙청되었다. 이는 정치세력의 변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익산세력에서 사씨세력으로의 권력변동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즉, ‘國主母’는 의자왕의 친모이면서 익산지역 재지세력의 여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소왕릉의 피장자는 642년에 사망한 ‘國主母’인 의자왕의 친모이며, 조성 시기는 642년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쌍릉이 180m 떨어져 조성된 배경은 무왕의 제2비인 사탁왕후가 생존해 있었고, 그녀의 영향력으로 인해 선화왕비를 무왕과 합장하거나 봉분을 무왕릉 옆에 조성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낙랑칠기 연구와 식민지주의

        오영찬 ( Young Chan Oh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3 백제문화 Vol.1 No.49

        본고는 일제강점기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칠기의 조사 및 연구 현황과 식민지주의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1909년부터 낙랑고분이 발굴되면서 소량의 칠기 편들이 출토되었으며, 대량의 완형 칠기가 출토된 것은 1916년이다. 이 해에 발굴조사된 석암리 9호분에서 이미 기년명 칠기가 출토되었으나, 발굴자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다가,1924년 석암리 고분군 발굴 이후에야 기년명 칠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1931년 남정리 116호분에서 유명한 채회칠협이 출토되는 등 일제강점기에는 낙랑고분에서 다량의 칠기가 출토되었고, 대다수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을 거쳐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하지만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일부 칠기들은 일본, 미국 등지의 개인이나 박물관에도 소장되어 있다.낙랑고분 출토 칠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중요 칠기 유물이 발굴된 직후에 집중되었는데, 1924년 평양 석암리고분군과 1931년 남정리 116호분의 발굴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히 칠기의 명문 연구를 통해 제작지와 제작시기를 규명함으로써 낙랑고분의 피장자와 낙랑문화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하였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칠기의 제작기법과 문양에 대한 연구는 낙랑고분 출토 칠기에 대한 높은 평가와 함께 공예적 활용을 통해 실제칠기 작품의 창작으로도 이어졌다.낙랑고분 출토 칠기에 대한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낙랑칠기’ 용어에 대한 재검토와 정확한 성격 파악이 이루어져야 하며, 훼손이 심한 칠기 유물의 상태를 보완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 출토 당시 촬영된 유리건판 사진과발굴 기록 등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고, 아울러 보존과학과의 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 of the research on the lacquerware from Nangnang tombs, from BCE 108 to CE 313 and the colonialism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nitially, a few shreds of lacquerware was uncovered from Nangnang tombs in 1909 and many more lacquerware were excavated in 1916, maintaining its initial forms. In 1916, some lacquerware with inscriptions were excavated from Seogam-ri tombs no. 9, but it was not until 1924 that the archaeologists noticed these inscriptions. Most of the lacquerware from Nangnang tombs- such as the famous painted lacquer basket with narrative motifs from Namjeong-ri tomb no. 116- were stored in Japanese Governors-General of Korea Museum since they were discove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w they have become a part of the collec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owever, some lacquerware from Nangnang tombs have been carried out of Korea and are found in various private collections and museum collections in Japan and in other countries. Bulk of the primary researches on the Nangnang tomb lacquerware are concentrated on the following two studies: the 1924 excavation of Seogam-ri tombs and the 1931 excavation of Namjeong-ri tombs no. 116. Much researches conducted on these lacquerware and their inscriptions led to knowledge on the craft workshops and the production age. This led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Nangnang culture and the life of the buried from the Nangnang tombs. Furthermore, the researches on the design and the making techniques allowed lacquerware of this time to be highly evaluated and it led to prospering the craft of modern lacquerware. For future progress of lacquerware studies, I shall point out a few things. The academic terms ``Nangnang lacquerware`` need to be reviewed for its more accurate usage. Also the glass plate photographs and the field no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to be surveyed more for collecting a wider range of data. Moreover, interdisciplinary research should also be conducted by the field of conservation science.

      • 일제강점기 금관총의 조사와 의의

        김대환 국립중앙박물관 2014 고고학지 Vol.20 No.-

        일제는 식민 지배의 정당성을 찾기 위해 고적 조사 사업을 실시하면서 한반도의 유적을 비롯하여 경주 지역의 고분을 여러 차례 발굴했다. 그러나 신라 고분은 구조가 복잡했기 때문에 조사는 항상 실패했고, 1920년까지 신라 고분에 대한 이해는 매우 낮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21년 금관총의 발견은 신라 고분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바꿔놓았고 신라 고분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금관총의 발견과 조사 과정은 조선총독부의 고적 조사 사업뿐만 아니라 당시 일본 고고학계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고적조사과가 발족하였고 금관총 보고서 간행에 참여한 일본인 연구자들은 새로운 경험을 통해 근대적인 고고학 지식을 축척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금관총의 발견은 신라 고분을 무분별하게 조사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식민 지배를 정당화할 수 있는 유물에 눈이 먼 제국 관료들의 지원 아래 신라 고분은 처참하게 유물 수집의 대상이 되었다. 금관총은 당시 제도적 장치가 있었음에도 공식적인 발굴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에 일본인들에게 문화재 수집에 대한 좋지 않은 태도 또는 의식을 자리 잡게끔 했다. 즉 조사나 기록은 적당히 하고 금관과 같은 유물을 도굴식으로 최대한 많이 수집하고자 하는 그릇된 인식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한편 유물의 출토 맥락을 중시하는 전통보다 유물 그 자체를 연구하는 경향도 이즈음부터 아주 강해졌다. 우메하라 스에지의 금관총 유물 조사는 유물 중심의 연구가 일본고고학에 자리 잡는 데 매우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The Japanese carried out excavations on the tombs of the Gyeongju region, as well as on other sites of the Korean peninsula, as part of their ancient remains investigation project, which was undertaken in order to justify their colonial rule. However,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Silla tombs, the excavations were never successful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illa tombs remained limited up until the discovery of Geumgwanchong Tomb, resulting in an intensive investigation of the tombs. The discovery and excavation of Geumgwanchong Tomb greatly influenced not only the ancient remains investigation project initia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but also the Japanese archaeological community. It resulted in the founding of the ‘ancient remains investigation division’ and provided those archaeologis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writing up of excavation reports new experiences which provided them with an opportunity to accumulate archaeological knowledge. Unfortunately, however, the discovery of Geumgwanchong Tomb also marked the beginning of a period of reckless excavation of the Silla tombs. Although institutional devices were in place at the time, the excavation of Geumgwanchong Tomb did not take place according to these formal measures, and thus came to provide the Japanese with a problematic perception towards the coll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other words, it contributed to the problematic attitude of collecting as many artifacts as possible, such as gold crowns, through an approach that almost amounted to ‘grave-robbing’, with very little interest in proper excavation or recording. In addition, it is also from this time that the archaeological approach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study of the artifacts themselves, rather than the context of their discovery, came to be firmly established.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Umehara Sueji(梅原末治)’s investigation of the Geumgwanchong Tomb artifa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artifact-centered research in Japanese archaeology.

      • 장무이묘 명문전 낯설게 바라보기: 중국 위진시기 명문전과의 비교를 통해

        김병준 ( Kim Byung-joon )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1 No.0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unique in many ways. First, there are nearly a hundred of them. Second, there are multiples bearing the same inscriptions. Third, their production methods, including type of firing, are diverse. Fourth, the forms of the bricks are inconsistent. Fifth, the positioning of the sides with inscriptions or stamped designs and those with no designs (as well as the vertical orientation of the inscriptions) are inconsistent. Sixth, most bricks bear inscriptions written reverseds. Seventh, white lime has been painted on the surfaces of the inscribed bricks. Despite these aspects, however, a comparison with Chinese inscribed bricks from the Weijin Dynasties reveals that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indeed connected to their counterparts and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forging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ulture. Moreover, the understanding of the inscriptions as not just a series of Chinese characters, but as textual objects with characters stamped on them, a focus on how the inscribed bricks were placed inside the tomb, and the observation of them from viewers’ perspectives can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 ‘이사지왕’명 대도와 금관총의 주인공

        김재홍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4 고고학지 Vol.20 No.-

        이 글은 금관총에서 출토된 ‘이사지왕(尒斯智王)’명 대도의 자료를 분석하여 금관총 피장자와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하여 대도의 생산과 유통이라는 시각에서 작성되었다. 명문대도를 포함한 환두대도는 목관 내부에 부장한 것이 아니라 목관 바깥 남측과 북측, 그리고 부장궤에서 출토되었다. 대도의 명문은 (1) ‘이사지왕(尒斯智王)’, ‘이(尒)’, ‘십(十)’과 (2) ‘십(十)’, ‘팔(八)’, ‘이(尒)’로서 선각하였다. 문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었는데, 패용법과 용도에 따라 정치[(1) ‘이’], 도치[‘이사지왕’, ‘십’, (2) ‘이’], 횡치(‘팔’)로 읽는 방법이 있다. 이는 사용방법(유통)과 관련되므로 소유자를 고려한 것이었다. 명문을 새긴 방법과 시점은 두 가지가 있는데, ‘이사지왕’, ‘이’, ‘십’과 ‘십’, ‘이’는 선을 그어 새긴 선각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팔’자는 다른 도구와 기법으로 새겼다. 명문을 새긴 시점은 (1)의 경우에 금속제 부속구를 결합하여 칼을 완성한 이후로서 끌 등의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새겼다. 곧 이사지왕은 명문대도를 사용한 소유자임을 알 수 있다. 내용 중에 ‘이사지왕’은 이사지라는 이름을 가진 왕이며, ‘이’는 이사지왕의 약칭이었다. ‘십’은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거나 무덤에 묻힌 영(靈)이 무덤을 벗어나지 못하게 봉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5~6세기 신라 금석문에서 왕이라는 칭호는 ‘전세이왕(前世二王)’ ‘칠왕(七王)’과 같이 보통명사로 사용하거나 ‘내지왕(內智王)’과 같이 고유명사로 사용되는 두 가지의 예가 있다. 고유명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왕밖에 없으므로 이사지왕은 신라 국왕을 지칭하는 왕호이다. 당시 신라 국왕은 왕경의 신라 6부와 지방 소국이나 촌의 간지들을 통합한 존재로서 마립간이자 왕이었다. ‘이사지왕’명 대도를 포함한 환두대도는 신분을 상징하는 징표였으므로 왕실공방에서 제작하여 분배하였다. 따라서 이사지왕명 대도는 이사지왕이 생산의 주체이자 소비의 주체였던 것이다. 금관총의 주인공은 목관 내에 대도가 없는 것으로 보아 대도를 착용하지 않고 있었다. 명문대도가 주인공의 신체 부위에 착장되지 않았으므로 명문대도를 사용한 이사지왕은 금관총 피장자가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이사지왕은 국왕을 지칭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사지왕은 자비왕이나 소지왕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이루어진 왕권 강화와 관련하여 이사지왕이라는 왕호를 해석하였다. 따라서 명문대도=이사지왕의 관계는 성립하지만 금관총의 주인공은 이사지왕이 아닌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sword from Geumgwangchong Tomb which contains the ‘Yisajiwang’ inscription with the intent of exploring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buried within the tomb. The carved inscrip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1) ‘尒斯智王’, ‘尒’, and ‘十’; 2) ‘十’, ‘八’, and ‘尒’. Three different methods of inscription were identified; given that inscription method is associated with use (circulation), this fact seems to indicate that the inscription was intended to be relevant to the sword’s owner. The inscription was carved using a sharp implement after all of the metal components were attached and the sword was finished. All of this suggests that ‘Yisajiwang’ was the owner of this sword. In the epigraphic material of Silla in the fifth to sixth century, the title ‘wang’ (king) was used both as a common noun and as a proper noun. When used as a proper noun, the title was used only to refer to the ruler of the kingdom. Therefore, Yisajiwang can be understood as a kingly title used to refer to the ruler of the Silla Kingdom. Swords with round pommels, of which the inscribed sword is an example of, were symbols of status which were produced in the royal craft workshops and distribut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word with the ‘Yisajiwang’ inscription, Yisajiwang was both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Given that the swords were not found within the coffi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individual buried within Geumgwanchong Tomb did not wear a sword. Given that the sword was not worn in death, it is possible that the Yisajiwang who owned the sword was not the deceased buried within Geumgwanchong Tomb, and therefore ‘Yisajiwang’ may indeed refer to the ruler of the kingdom.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while Yisajiwang can be identified as the owner of the sword with inscription, the deceased buried within Geumgwanchong Tomb may not necessarily be Yisajiwang.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묘지명에 나타난 서술 원리와 그 양상

        김기림 ( Gi Rim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여성 묘지명 서술 원리와 서술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여성 묘지명은 남성 문인들이 썼다. 남성 서술자들은 여성 생애를 재구성하고 서술하는 데에 남성 묘지명 쓸 때와는 다른 원리를 적용하였다. 그것은 不出-숨김, 드러내지 않기와 종인 원리, 의가 원리이다. 불출-숨김 원리는 여성에 관한 것들을 드러내어 서술하지 않거나 남성에 속하는 것으로 만들기, 뒤로 숨겨 서술하는 방식이다. 이에 남성 서술자들은 여성의 이름, 자호를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자손을 서술하는 데에 있어서도 남성 묘지명에 있다고 하는 언급으로써 여성 묘지명에서는 자손을 기재하지 않았다. 남성 서술자들은 종인 원리에 의해 여성 행위를 능동적 형태로 표현하지 않는다. 여성을 둘러싸고 있는 남성 인물들의 행동, 상황에 따라 여성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서술한다. 여성 행위에 앞서 반드시 남성 인물들(남성의 가족 범위에 속하는 인물들)을 먼저 거론한다. 특히 남편에 대한 ``따름의 행위``는 상대적으로 부각한다. 이에 남편이 죽은 후의 행실을 집중적으로 서술하기도 한다. 묘지명 서술자들은 의가 원리에 의해 남편 집안, 곧 시가에서의 행위를 집중적으로 서술한다. 이 가운데서 특히 부각되어 서술되는 것은 가세의 부흥, 시가 남성들의 존속, 가문의 경제적 위세를 드러내는 것과 관련된 일들이다. 이 세 가지 원리는 여성 묘지명 서술자들이 내용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서술 방식도 남성 묘지명 서술 방식과 다르게 한다. 이는 곧 여성 묘지명 글쓰기의 원리이기도 하며 이로써 볼 때 여성 묘지명은 또 하나의 사회 문화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escription principal and the description aspect which it follows in woman inscription on a tomb. Woman inscription on a tomb had been wirrten by male author in Chosun Danysty. The male author re-compounded woman life with differant principles and methods from with male inscription on a tomb. There was the principle of hiding, the principle of following anather people and the principle of family prosperity The principal which it hides distinguishes the fact that regarding the woman and it does not describe, it hides after the thing which belongs in the male. The male author don`n say woman name. It does not refer the descendants from woman inscription on a tomb. It refers the descendants from substitution male inscription on a tomb. The male author does not describe the conduct of the woman with the spontaneous. The woman confront in the males and it acts. Specially, the male author describe woman actions when her husband had died. The male author describe the devotion of woman to the family of husband. For example a family reconstruction, arranging the cemetery again and expanding house. The three principles regarded as a standard which male author described womna inscription on tomb. From like this viewpoint the woman inscription on a tomb also keeps the character of one social culture discussion.

      • 장무이묘 명문전 낯설게 바라보기: 중국 위진시기 명문전과의 비교를 통해

        김병준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1 No.-

        장무이묘 명문전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낯설다. 첫째, 명문전이 백여 점에 육박할 정도로 많다. 둘째, 똑같은 명문이 다수 확인된다. 셋째, 소성 방식 등 제작 방식이 다양하다. 넷째, 명문이 찍힌 전돌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다. 다섯째, 명문이나 문양이 찍힌 면과 아무 문양이 없는 면의 위치 및 명문의 상하 방향이 일정하지 않다. 여섯째, 명문의 대부분이 반서로 찍혀 있다. 일곱째, 명문전 표면에 흰색 석회가 칠해져 있다. 그러나 시야를 넓혀 중국 위진시기의 명문전과 비교하면 장무이묘의 명문전은 더 이상 낯선 물건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명문을 문자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문자가 전돌에 압인된 하나의 기물로 이해하여 그것이 무덤 속 어디에 어떻게 위치해 있었는지를 주목하고, 이를 관람자의 시선에서 바라보아야 장무이묘의 명문전이 갖는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게 된다.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unique in many ways. First, there are nearly a hundred of them. Second, there are multiples bearing the same inscriptions. Third, their production methods, including type of firing, are diverse. Fourth, the forms of the bricks are inconsistent. Fifth, the positioning of the sides with inscriptions or stamped designs and those with no designs (as well as the vertical orientation of the inscriptions) are inconsistent. Sixth, most bricks bear inscriptions written reverseds. Seventh, white lime has been painted on the surfaces of the inscribed bricks. Despite these aspects, however, a comparison with Chinese inscribed bricks from the Weijin Dynasties reveals that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indeed connected to their counterparts and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forging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ulture. Moreover, the understanding of the inscriptions as not just a series of Chinese characters, but as textual objects with characters stamped on them, a focus on how the inscribed bricks were placed inside the tomb, and the observation of them from viewers’ perspectives can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 KCI등재

        ‘下部思利利’ 명문과 가야의 部

        백승충(Baek Seung-Chung) 부산경남사학회 2006 역사와 경계 Vol.58 No.-

        This paper is to study the organization of the Gaya(加耶)'s unique “The Two Bu(部) System of Upper-Lower(上ㆍ下2部制)” by making basic analysis on the word ‘Ha-Bu-Sa-Ri-Ri(下部思利利) inscribed on the earthenware excavated in Jeopo-ri(苧浦里), Hapcheon(陜川), which is the only material to demonstrate the organization of Bu(部) in the Gaya.<br/> The E-zone 4-1 tomb in Jeopo-ri, where the earthenware inscribed with the inscription ‘Ha-Bu-Sa-Ri-Ri’, was build in the 2nd quarter of the 6th century, when the Gaya was in favorable relationship with Silla(新羅). The inscribed earthenware was originally interred with the buried man, Sariri(思利利) in Ha-Bu(下部), who came from Okjeon(玉田) and was assumed a low or middle level of working staff after moving to and being settled in this area around the period of the Marriage League with Silla. It has high possibility that the Gaya's upper-lower two Bu's name had been produced by itself. The system itself was imported from Silla, affected by Goguryo(高句麗) and was operated through the influence of Baekje(百濟).<br/> Unlike that of Three Kingdoms(三國), the Gaya's Bu features upper-lower two system, which consisted of Gara-guk(Jisan-dong Ancient Tomb's Group;加羅國) and Dara-guk (Okjeon Ancient Tomb's Group;多羅國). Gara-guk, the leading state of the Gara Regional League, organized the governing place of Gara-guk and Dara-guk bordering with the kingdoms into two parts of Sang-Gara-Do(上加羅都) and Ha-Gara-Do(下加羅都). Along with the forming of Gara Regional League, these two neighboring groups worked jointly on the iron resources and international issues and formed a political league of “The Two Bu System”, typical to the ancient state.<br/> Around the 6th century, the Jisan-dong Ancient Tomb's Group held a dominant position and had an influence on the Okjeon Ancient Tomb's Group. Nevertheless, the Okjeon Ancient Tomb's Group had held its originality to keep multiform cultures as shown in the interment of defensive affairs and prestige materials and various cultural exchanges with neighboring areas. Through the article on the Marriage League and the inscription ‘Ha-Bu-Sa-Ri-Ri', we can find the double functions that the Okjeon Ancient Tomb's Group kept its own originality, and played a gateway role toward the Jisan-dong Ancient Tomb's Group.<br/> Finally, from the organization of Gaya's upper-lower Bu system, Gara-guk, developed around Goryeong(高靈) and Hapcheon, was based on the framework of league system, but it can be affirmed that it has also a feature of an ancient state partly instituted with section system.

      • KCI등재

        『한중록』의 집필목적과 그 영향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4 No.-

        영조는 세자가 비행을 일삼다가 미치광이가 되어 장차 나라가 망할 것이 분명하다고 판단하여 죽음을 처분 하였다. 그가 지은 묘지명에는 세자가 죽음을 피하지 못하였다고 하였고, 공식 기록은 薨逝로 선포하였다. 영조를 계승하여 왕이 된 정조는 사도세자의 비행과 관련된 이야기를 제외하고 聖君의 자질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강조하는 새로운 지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자신이 즉위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일들은 『명의록』과 『속명의록』에 서술하여 충역을 분명히 구분 하였다. 혜경궁은 영조와 정조의 평가와는 다른 각도에서 사도세자가 죽은 이유를 설명한 『한중록』을 저술하였다. 1795년에 쓴 「회고」를 제외한 「친정신원」, 「임오화변」, 「병인추록」은 목적의식이 분명하고, 정확한 사실에 기초한 것으로서 사료적 가치가 충분하다. 혜경궁은 자신의 서술을 뒷받침하기 위해 친정에서 가지고 있던 어찰첩을 정리하도록 지시하였다. 혜경궁의 『한중록』은 1806년 時派가 정국을 장악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고, 혜경궁이 순조에게 요구한 일들은 시차를 두고 모두 이루어졌다. King YoungJo(英祖) punished death of the Crown Prince that go out of one’s mind with commit an irregularity. YoungJo concluded certainty national ruin if the Crown Prince accede to the throne. YoungJo wrote an inscription on a tomb-stone[墓誌銘] that the Crown Prince cannot escape death. An official record promulgated ‘a Crown prince die[薨逝]’. King JeongJo(正祖) wrote a new inscription on a tomb-stone who had natural disposition of sage king except for out of one’s mind. And then wrote a 『Moungeuirok 明義錄』, 『Sokmoungeuirok 續明義錄』 that divide clearly a loyal retainer or a traitor in the ascend the throne. Hyegyeonggung(惠慶宮) wrote a 『Hanjungrok 閑中錄』 that described by reason of death SaDo Crown Prince differ from King YoungJo and JeongJo. All but 1795’ 「review 回顧」were enough historical material of value. It was clear a sense of purpose and based on the correct an actual fact. Hyegyeonggung instructed arrangement of King’s letters for her 『Hanjungrok 閑中錄』 to secure evidence supporting the fact. 『Han jung rok 閑中錄』 had effect on bring stability to the political situation by SiPa(時派). Hyegyeonggung’s requests came true settle things one by King SunJo(純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