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밀핵`, `반투명`, `우주율`, 그리고 자아의 형상 - 성찬경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장인수 ( Jang In Su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성찬경은 `밀핵`, `반투명`, `우주율` 등의 조어를 통해 자신의 시를 설명하려고 했다. 이들 조어들은 시학의 일반적인 개념으로 정착하지는 못했지만, 그의 창작방법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가 되고 있다. 그것들의 조어 방식에서 우리는 그의 심리적 동기를 찾아볼 수 있다. `밀핵`은 그의 오랜 지병인 `결핵`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다. 그는 `결핵`을 `생명력의 소진(consumption)`으로 파악했고, 의미의 고밀도를 추구하는 `밀핵`은 그 반대 방향에서 생명력을 예술적으로 승화하여 만들 어지는 것으로 상상했다. `밀핵`의 아이디어는 `사리`나 `보석` 등 고체 이미지로 변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모두 `자아의 형상`과 관계가 있다. `반투명`의 아이디어는 상징주의 시론에서 착상한 것으로 보이거니와, 이는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개자로서 `예수`, 천상과 지상의 매개자로서 `시인`의 존재에 대한 실존적인 물음으로 이어진다. `반투명`은 그의 또 다른 고질인 피부병과도 관련이 있다. 그는 `반투명`에 대해 쓰면서 `소양증`에 대해서도 썼으며, `막`이라고 하는 신체적인 이미지를 발전시켜 나갔다. 이와 같은 이미지들은 `피부자아`를 연상시킨다. 성찬경은 `오로라`의 형상에서 자신이 고안한 `우주율`의 전형을 발견한다. `오로라`의 이미지는 `막`의 피부자아의 비전을 자연현상에 투사한 것이다. `오로라`의 너울거림은 그대로 자기만의 호흡, 예술적 자아의 내적 리듬으로 상상된다. 성찬경은 `밀핵`에서 `우주율`, 더 나아가 `일자시`로 이어지는 그의 실험이 일관성을 띠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밀핵`의 상징적 방법은 점차 인접예술이나 종교· 사상 등의 영향으로 추상적 ·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변해갔다. 그는 자아의 형상을 자주 시에 투영하면서 존재의 비의에 다가가고자 했고, 그로 인해 우리 시사에서 보기 드문 형이상학적 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의 시와 시론을 대중에게 알리는 과정에서 독창적인 조어를 사용했고, 각종 공연을 활용함으로써 트릭스터로서의 정체성을 만들어갔다. Seong Chan-Gyeong used some coined words in his prose to explain on his own poems. `Dense core`, `translucence`, `universe rhythm` are them. They were not accepted in general poetics, but they became a key to understand on his creation methodology. We can find his psychological motivation in his coinage system. The `dense core` was a cue from tuberculosis, his chronic disease. He thought of `the tuberculosis` as `the consumption of life`, and he regarded `the dense core` as the opposite of it. He imagined that the `dense core` was a fruit of the artistic sublimation. He transformed the image of `dense core` into the other solid image like the small crystal or the jewel. They have relevance to the image of ego. The `translucence` was a cue from the pruritus, his other disease. This idea developed into the imagination of the membrane. It have relevance to the subject of `le moi-peau`. He seek the model of `universe rhyme` in an aurora. It was a havenly version of `le moi-peau`. He imagined the inner rhythm after seeing an aurora in the television. He approached to the secret of existence through exploring the image of his own ego.

      • KCI등재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과 치유성 연구

        김지연(Kim, Ji-yeo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5

        본 연구에서는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을 탐색하여 그 치유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러한 이 연구의 방향성은 일반적 시론과 동양의 음양오행을 융합해 통찰하고, 시 치료의 시야를 전위적으로 확대해 보려는 시도였다. 동양에서는 우주・자연의 생명이 음양오행이 生剋하는 원리를 통해 변화와 순환의 과정을 거쳐 조화를 이룬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양오행에 관한 기존 학설을 검토하여 ‘음양오행 체계’ 분류표를 만들어 이성선 시 해석의 토대를 세웠다. 이성선은 시, 우주, 삶이 합일되는 세계를 꿈꾸며 치열하게 시 창작에 몰입했다. 이성선은 전 詩作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광대한 우주와 모두 하나로 꿰어진 생명이라고 역설했다. 우주의 신비를 생명의 언어로 시화하려는 이성선의 시적 동경은 그의 시를 음양오행의 시각으로 해석하게 하는 단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木・火・土・金・水의 오행이 生剋하는 이성선의 시를 오행 상징 ‘나무’・‘달’・‘산’・‘별’・‘물’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생명의 우주율이 형상화된 오행생극의 자연시로 조명해 분석했다.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과 치유의 힘은 ‘나무’―생명의 우주율을 꿈꾸는 영원의 꽃, ‘달’―원초적 생명에의 동경과 열정, ‘산’―생명의 조화를 주재하는 터전, ‘별’―견고하고 의로운 생명의 빛, ‘물’―생명의 원천과 정화 등으로 해석되었다.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은 시적 자아와 우주와의 교감을 통해 치유의 연금술을 보여주었다. 음양오행의 생명관과 가치에 대한 연구는 자아와 우주의 교감, 몸과 자연의 경계를 해체하고 통합시켜, 역동적 치유성을 탐구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주었다.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이성선 시의 생명의 우주율을 탐구한 이 연구가 시 치료에 있어서 하나의 방법론으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Lee Sung-sun’s poetry imagination in his figurative descriptions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shown in his poetry, and its healing effect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to combine common poetic theory with the Easter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o widen the view on the poetry therapy. Lee Sung-sun has been aspiring to create a world that combines poetry, universe and life. He expresses the combination of the universe and motions of the poetic-self through dance in his poetry. Lee Sung-sun’s poetry depicts an image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gracefully joined in unison and yet in opposition of one another. He depicts universe of life through nature poetry with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the East, people found the truth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rough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is study systematize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by considering existing theories. Image of the wood, fire, earth, metal and water in his poetry are analyzed and he explains how these elements have the capacities of therapy. Imagery depicted in the imaginat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Lee Sung-sun’s poetry shows capacities to heal through communion of poetic-self and universe. Through the perspective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 hope that this study, which explored universe of life, will be considered as one methodology in poetry therapy.

      • KCI등재

        예비교사의 동아리 활동을 통해 본 교육대학의 문화탐구: 리듬분석적 접근

        이유리,주성범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enri Lefebvre’s 'rhythm analysis' theory, which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ub activities. It is believed that Henri Lefebvre’s "Rhythm Analysis" theory will provide a module to understand not only the school organization but also the learner's personal culture as well as the learning cultu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in-depth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ub activities through discourse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Unlike general universities, clubs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can predict that the formation of emotional consensus and emotional rituals and timeliness that they have are permeated by regular patterns.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culture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t can lead to a change in anticipation of the negative and harmonious rhythms revealed at this time and to the rhythm that is resolved and virtuous. This dimension can be proposed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that can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diversity of organizational culture beyond individual culture, and can be provided as a driving force for more detailed follow-up research. In addition, the emotional, cognitive, and cultural aspects revealed in school culture can be interpreted as mental science, not natural science aspects,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ory and promote objective thinking. 본 연구는 앙리 르페브르의‘리듬분석’이론을 예비초등교사들의 동아리 활동경험을 분석하고자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앙리 르페브르의‘리듬분석’이론이 교육대학교의 학습문화와 교육환경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학교조직은 물론 학습자 개인문화를 이해하고자하는데 모듈을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에 기반 한 담론분석으로 예비초등교사들의 동아리활동경험에 대한 심층연구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교육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동아리는 종합대학교와는 다르게 예비교사들에게 정서적인 공감대 형성과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례와 시간성이 규칙적인 패턴으로 스며들어 있다는 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교육대학교의 문화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때 드러나는 부정리듬과 조화리듬을 예상하고 해소와 선순환 되는 리듬으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은 개인문화를 넘어 조직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분석 틀로 제안할 수 있으며 더욱 세밀한 후속연구에 원동력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문화에서 드러나는 정서적, 인지적, 문화적 측면을 자연과학적인 측면이 아닌 정신과학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객관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데 발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코스모폴리탄 주체의 귀환: 하길종의 <수절>(1973)과 “세계”라는 문제

        박현선 한국극예술학회 2016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2

        The paper examines a prominent Korean filmmaker Ha Kilchong’s 1973 epic film Her Fidelity that articulates Ha’s stylistic signature and idiosyncra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as a ‘regional cosmopolitan subject.’ It has not been many analyses on Her Fidelity since the film was rather considered as a ‘failure’ in terms of a commercial acceptance as well as artistic auteurism. However, the paper argues that Her Fidelity discloses significant aspects of regional cosmopolitanism during 1970s in South Korea and expresses Ha’s self-reflective and allegorical mode of cinematic aesthetics. Especially, it pays attention to three aspects. First, the film reflects Ha’s personal and transnational trajectory of returning home as he had returned from the United States after getting a Master’s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econd, the cinematic style of the film show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Ha’s work, which refers to the dialectics of allegory and rhythm. Lastly, the film articulates the regional cosmopolitanism through its generic hybridity of epics and action drama. In this fashion,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Her Fidelity as a political aesthetics of cosmopolitan subjectivity in the 1970s South Korea. Ha’s cosmopolitanism departs from the universal figure of cosmopolitan diaspora who roams around the world. While a global cosmopolitan subject travels around the world or imagines himself or herself residing in a universal metropolis, a regional cosmopolitan subject hold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of the world and the regional home, reflecting politic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of specific problems and experiences in local places. Anchoring on the notion of home-return and local places, Her Fidelity shows Ha’s attempt to configure the return of a cosmopolitan subject in the allegorical aesthetics of the world, which is at the same universal and regional at the age of violence. 이 글은 1970년대 대표적인 영화감독 하길종의 두 번째 장편극영화이자 혼성장르영화, <수절>(1973)을 중심으로 ‘지역적 코스모폴리탄 주체’로서 하길종이 보여준 독특한 작가의식과 세계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하길종 영화의 트레이드마크인 ‘청춘’의 영화도, 현대물도, 모더니즘 작품도 아닌 영화 <수절>은 흔히 그의 영화 중에서 가장 주목받지 못했던 실패작들 중의 하나로 이야기되어왔다. 그러나 하길종의 작품세계 및 영화사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 <수절>의 무게는 텍스트 안과 밖으로 재고할 지점이 많다. 본 논문은 1970년대의 한국이라는 ‘특수한’ 장소에서 ‘보편적’ 한국영화를 기획했던 하길종의 영화미학이 <수절>의 작가적 인장이 되었음에 주목하며 다음 세 가지 특징으로 이 작품을 재평가한다. 첫째, <수절>은 하길종의 유학 경험과 트랜스내셔널한 궤적을 자기반영적으로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둘째, 이 영화의 스타일에는 하길종의 작품들을 관통하는 두 가지 모티프들인 알레고리와 리듬의 변증법적 시학이 정초되어 있다. 셋째, 현대물이 아닌 시대극을 통해서 하길종은 역설적이게도 코스모폴리탄 세계의 지평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펼쳤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수절>이 그의 어떤 작품보다도 야심찬 기획이었으며 미학적, 정치적, 윤리적 도전이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하길종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은 세계를 떠돌아다니는 코스모폴리탄 디아스포라의 형상과는 거리가 멀다. 어떤 고향의식도 거부하고 익명의 도시생활에 익숙한 다문화주의 코스모폴리탄 주체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고립과 개입이 지닌 동시성을 의미한다면, 지역적 코스모폴리탄 주체는 특정 장소와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치적 윤리적 책임들을 외면하지 않는다. <수절>에서 고향과 장소에의 정박, 그리고 회귀성은 분명히 특수성을 향한 그의 집착을 보여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간 속에 산포해있는 여러 미학적 정치적 알레고리들은 글로벌 보편성의 영역으로 확장되어 있다. 다시 돌아온 장소에서 외부 타자와의 관계를 외면하지 않으며 내부 주체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는 코스모폴리타니즘. 이것을 보편성과 지역성의 변증법적 시학으로 “세계”라는 문제를 풀어보려 했던 하길종의 독특한 시도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 KCI등재

        음식기호의 매개적(媒介的) 기능(機能)과 의미작용(意味作用) : 백석론(白石論)

        정유화 ( Jeong Yu-hwa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2

        이 논문은 白石의 詩를 구축하고 있는 음식기호의 媒介的 機能과 意味作用을 탐색한 것이다. 그 내용을 보면, 먼저 백석은 幼年時節의 몸에 기억된 節氣의 특별한 음식들을 想像界的 코드로 構造化하고 있다. 이 코드의 음식기호는 우주와 몸을 合一해 주는 매개 기능을 한다. 그래서 상상계적 자아는 우주적 세계와 합일되어 쾌락적 욕망을 실현하고 있다. 반면에 현실 속의 일상적 음식들은 象徵界的 코드로 구조화된다. 이 코드의 음식기호들은 자아와 세계의 대립적인 관계를 매개해 준다. 그런데 상징계적 자아는 이 對立을 극복하기 위해 현실 속에서 自己 正體性을 찾기보다는 상상계로 回歸하여 그것을 찾는다. 이러한 회귀는 곧 反文明, 反帝國主義를 표명한 것이다. 그리고 風物 紀行詩에 등장하는 음식들은 實在界的 코드로 구조화된다. 이 코드의 음식기호는 過去와 現在, 個人과 歷史를 이어주는 동시에 공동체 구성원들의 同一한 몸意識을 가능케 해준다. This essay is aimed to explore how the mediating and signifying of food sign system works in Baeksuk's poetry through memory theory and psycho-analytic method. The food sign is a controlling agent in his poetic texts. At first, it is by imaginary code that he structures foods memorized in his childhood body. As special foods of seasons and holidays, those food signs of the code function as an intermediate between universal rhythm and bodily rhythm. Therefore, the imaginary self is to construct the monism world in which soul, body, and self are unionized into one through the food because the imaginary self seeks pleasure principle. On the contrary, the general foods in reality are structured in a symbolic code. The food signs of the code function as an intermediate of the opposite relations between the symbolic self and the outer world. Interestingly the symbolic self seeks the imaginary world rather than the self-identity in reality in order to get over the dualistic world. The return to the imaginary world is to manifest the poet's attitude toward the anti-civilization, that is, the anti-imperialism. And the foods in travel poetry of landscape are structured in a reality code. According to the code, food has a signifying function as it is connected to human body in a materialistic sense. Accordingly, food sign is an intermediate to link the past to the present and an individual to a history. In addition, it should be stressed that it is able to organically unionize the different consciousness of time and space that community people have as well as their bodies.

      • KCI등재

        스포츠 리듬 트레이닝이 대학 배드민턴 선수의 운동기능 체력과 운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영,김동화,이수근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여자 배드민턴 선수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스포츠 리듬 트레이닝을 실시하여운동기능체력 및 운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배드민턴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더 효율적이고효과적인 배드민턴 훈련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한 D대학교의 여자배드민턴선수 6명을 대상으로 보호자와 지도자의 참여 아래 실험 목적 및 연구 방법과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설명을 충분히 설명하고, 실험참여 동의서를 받아진행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하여 배드민턴 경기력에 영향을 주는 운동기능 체력(민첩성, 순발력, 평형성, 협응성,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과 운동 수행 능력(클리어, 드롭)을 측정하고, 12주간, 주 3회, 60분간 스포츠리듬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내용으로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첫째, 12주간 스포츠 리듬 트레이닝 프로그램 시행 전과 시행 후에 따른 여자 대학교배드민턴 선수들의 운동기능 체력 중 근지구력, 순발력, 평형성, 협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근력, 심폐지구력, 민첩성에서 평균적으로 상승세는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12 주간 스포츠 리듬 트레이닝 프로그램 시행 전과 시행 후에 따른 여자 대학교 배드민턴 선수들의 운동 수행능력 중 백핸드 클리어와 백핸드 드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포핸드 드롭에서 평균적으로상승세는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12주간의 스포츠 리듬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대학교 여자 배드민턴 선수들의 부분적인 운동기능 체력 향상과 배드민턴 수행 능력에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특히 초·중학생과 여자배드민턴 선수들의 취약점이라 할 수 있는 백핸드 후위 스트로크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훈련프로그램으로서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성찬경과 그의 영문학 연구

        장인수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8

        이 논문에서는 성찬경 시 연구에서 그동안 거의 논의 되지 않은 그의 영문학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성찬경 시론 형성의 비밀을 밝혀보고자 한다. 딜런 토머스는 작시 상 많은 이미지를 활용하고, 이미지들을 변증법적으로 확장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는 이미지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여 시적 밀도를 높이고자 한다. 성찬경은 토머스의 이미지들이 막대한 에너지의 투입이 필요한 시 자체의 ‘기구’와 같은 것에 의해 점점 확장해간다고 본다. 그 ‘기구’ 같은 것을 성찬경은 ‘밀핵’이라는 조어로 구체화한다. 성찬경의 ‘반투명’이라는 개념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상상력’에서 착안한 것이다. 블레이크에게 상상력이란 하느님의 존재, 영원성을 느끼게 해주는 정신적인 감각이다. 상상력이야말로 유한한 인간이 신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매개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상상력은 블레이크에게 예수 그리스도였다. 성찬경은 이 상상력 개념을 ‘반투명’으로 바꾸어 부른다. 그의 그리스도에 대한 희구로서 ‘반투명’은 1980년대의 정치적 상황과도 겹쳐서 읽어볼 만한 지점이 있다. 성찬경의 ‘요소시’는 의미의 밀도를 추구한 ‘밀핵시론’을 형태상의 밀도 추구로 혁신하고자 한 시도이다. ‘밀핵시’와 ‘요소시’를 그가 연속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은 제라드 맨리 홉킨스의 일기에서 발견한 어휘들의 나열 덕택이었다. 홉킨스의 어휘들은 가공하지 않은 질료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울 수 있다는 점을 성찬경에게 알려주었다. 또 일상 회화와 작성된 산문의 중간 형태의 리듬인 홉킨스의 돌발 리듬을 성찬경은 ‘우주율’이라는 조어로 변형하여 수용한다. 성찬경의 영문학 논문들은 이 복잡한 창작 개념들을 한데 묶어 자기만의 시적 체계를 세우려고 한 그의 강한 지성과 의지의 편린들을 담고 있거니와, 그의 시와 시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영문학 논문들을 검토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