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omantic Control of Histor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이성범 한국비평이론학회 2008 비평과이론 Vol.13 No.1

        Once the universal history of Christian teleology weakened its own authority with the rise of modern society, individual (national or personal) histories started to have their own internal telos. That is, the gradual decrease of theological monism leads to the valuation of time-dependent change. Now temporal differentiation characterized as irreversible, unrepeatable, and irreplaceable rises to the surface as a new parameter of the modern notion of time. What is at issue here is that as soon as eschatological totality loses its influential power, individual histories have their own totalizing programs. I define the diachronic ordering of different histories as Romantic time discipline. In her poem, "Eighteen Hundred and Eleven" (1812), Anna Letitia Barbauld (1743-1825) becomes involved in this Romantic chronology in a global context. She reveals how the British Empire is determined to incorporate local others into its own master plot. I term this kind of globalization Romantic globalization. The politics of difference, which celebrates local differences against global capitalism,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Romantic globalization especially in an era of global capitalism. In the name of the politics of location, the war of positions or the politics of postcoloniality, the politics of difference values non-classed, non-national, local identities as an epistemological center, a subject-position, and a site of resistance to guard against global capitalism. It argues for local differences tackling the totalizing pressure of Capital that serializes them at a global level. The presence of heterogeneities, led by local subjects troubling the conceptual authority of the classed or national subject, regionalizes the master plan of transnational capitalism. The politics of difference, however, has two problematic postulates. One is that it tends to abandon any kinds of the interconnectedness of differences as a repercussion of its rejection of monolithic totalization. The other is that although the politics of difference, of course, has its own advantage in that the existence of local histories can question global totalization, it is likely to fall into the de-historicized essentialization of differences. Avoiding both the totalizing repression of global totality and the fetishized notion of difference, I suggest the decentered netting of local differences. This new paradigm is characterized by the multifocal, glocalized flow of differences.

      • KCI등재

        The Romantic Control of Histor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Sungbum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08 비평과이론 Vol.13 No.1

          Once the universal history of Christian teleology weakened its own authority with the rise of modern society, individual (national or personal) histories started to have their own internal telos. That is, the gradual decrease of theological monism leads to the valuation of time-dependent change. Now temporal differentiation characterized as irreversible, unrepeatable, and irreplaceable rises to the surface as a new parameter of the modern notion of time. What is at issue here is that as soon as eschatological totality loses its influential power, individual histories have their own totalizing programs. I define the diachronic ordering of different histories as Romantic time discipline.<BR>  In her poem, "Eighteen Hundred and Eleven" (1812), Anna Letitia Barbauld (1743-1825) becomes involved in this Romantic chronology in a global context. She reveals how the British Empire is determined to incorporate local others into its own master plot. I term this kind of globalization Romantic globalization.<BR>  The politics of difference, which celebrates local differences against global capitalism,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Romantic globalization especially in an era of global capitalism. In the name of the politics of location, the war of positions or the politics of postcoloniality, the politics of difference values non-classed, non-national, local identities as an epistemological center, a subject-position, and a site of resistance to guard against global capitalism. It argues for local differences tackling the totalizing pressure of Capital that serializes them at a global level. The presence of heterogeneities, led by local subjects troubling the conceptual authority of thc classed or national subject, regionalizes the master plan of transnational capitalism.<BR>  The politics of difference, however, has two problematic postulates. One is that it tends to abandon any kinds of the interconnectedness of differences as a repercussion of its rejection of monolithic totalization. The other is that although thc politics of difference, of course, has its own advantage in that the existence of local histories can question global totalization, it is likely to fall into the de-historicized essentialization of differences. Avoiding both the totalizing repression of global totality and the fetishized notion of difference, I suggest the decentered netting of local differences. This new paradigm is characterized by the multifocal, glocalized flow of differences.

      • KCI등재

        차이의 정치와 민주주의 - 아이리스 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충한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1 No.-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politics of difference of Iris Marion Young. In particular I will focus on the meaning and the limits of Young’s political theory with social justice. Young basically believes that the theory of social justice should start from the interest of social structure and system. for individuals that pursue good lives. However, Young thinks that justice as a distribution cannot solve the problem of structural injustice. For Young, a just society is a society in which individuals can freely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present their opinion without domination and oppression. Young maintains that we will achieve a such a just society throughout the politics of difference. I will firstly examine Young’s dissatisfaction with a distributive theory of justice. Then I will look at her theory of justice as the politics of difference. Secondly,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politics of difference and deal with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Lastly, I will insist that Young’s politics of difference show us the direction of democracy in plural society. Furthermore I will maintains that Young’s theory of justice should not distinguish between issues of good life and justice. 이 글의 목적은 아이리스 영(Iris Marion Young)의 차이의 정치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 고 그에 관한 비판적 검토를 수행하는데 있다. 영은 기본적으로 사회정의의 관심사가 개인 이 추구하는 좋은 삶의 가치들을 각자 자유롭게 실현해 나가는데 필요한 사회 구조와 체계 를 마련하는데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은 한 사회가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동등 한 고려와 존중을 토대로 하는 정의의 원칙에 따라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규정하는 사회의 기본구조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는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할 수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영은 그러한 분배 지향적 정의론은 사회에 깊숙이 고착화된 구조적 부정의 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룰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영은 이런 생각을 “정의관은 분배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지배와 억압이라는 개념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표현한다. 따라서 영은 분배 지향적 정의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에 존재하는 구조적 부정의 의 면면들을 드러내는 동시에 그런 구조적 부정의를 해결해나갈 수 있는 실천적 방법론을 모색한다. 영에게 있어 정의로운 사회는 개인이 자신의 고유성과 개별성을 자유롭게 표현 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사회, 억압과 지배가 없는 사회다. 영이 볼 때 우리가 그런 사 회로 나아가기 위해 추구해야할 정치는 바로 차이의 정치다. 우리는 먼저 영이 분배 지향 적 정의론에 대해 갖는 불만이 무엇인지 확인한 후에 그녀가 추구하는 정의론과 차이의 정 치가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차이의 정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의의와 한계 를 정리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아이리스 영의 차이의 정치는 억압과 지배를 양산하는 사 회 구조를 허물고 공론장에 타자성을 수용할 수 있는 다원주의 정치질서의 한 형태를 보여 준다고 평가할 것이다. 동시에 그러한 정치는 좋은 삶과 정의에 대한 문제들을 구분하지 않는 방식을 채택하면서 현존하는 질서의 틀을 수정하고 확장해나갈 때 차이의 인정을 통 한 구조적 부정의의 해체와 진정한 자유와 해방이라는 정의의 이념에 다가설 수 있다고 주 장할 것이다.

      • KCI등재

        디아스포라적 正體性과 差異의 政治 -재일코리안의 國籍, 言語, 이름을 통한 接近-

        이상봉,박수경 한일민족문제학회 2013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4 No.-

        Diaspora is the results of the territorial boundary of nation state. ‘Politics of identity’ in modern which seeks the value of national identity, the differences of diaspora are the object of discrimination or exclusion, because ‘politics of identity’ could not afford to contain diaspora’s heterogeneity. On the other hand, ‘politics of difference’ in post-modern requires recognition of differences which can not assimilate into national identity. That is, the difference is not only a mechanism of discrimination but also a kind of post-modern value called hybridity. Among various diaspora, specially diaspora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has experienced colonial rule and division of nation has a wide and deep zone conflict with uniform national identity. This thesis deal with the repressive mechanism which has built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symbolic representation called nationality, language and name in the historical experiences and practical movement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urthermore we examine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diasporic identity which break up uniform national identity in the new project of ‘politics of difference’ and ‘diasporic space’. ディアスポラは国民国家の領域的境界が作り上げた産物である。同質性の価値を追求する近代の‘アイデンティティの政治’によってディアスポラに内在する差異は差別と排除の対象であった。近代の同質的アイデンティティとしては彼等の混種性を認め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からである。これに対して‘差異の政治’は普遍的同質性という言葉では同化されることができない差異を積極的に剥き出し、また、それを認めることを要求する。つまり、差異は差別のメカニズムとして働くこともあるが、混種性という積極的な価値として成り立つこともありうる。多様なディアスポラの中で、特に在日コリアンのように植民地と民族分断を経験したディアスポラの場合、国民国家中心の画一的アイデンティティと衝突する亀裂の地点が遥かに広く深い。彼等において、日常でアイデンティティを表す国籍、言語、名前という近代的表象は同質性を強いる差別のメカニズムであると同時に差異と混種の可能性でもある。このような問題意識に基づいて、本稿は在日コリアンのディアスポラの歴史的経験と実践的活動を中心に、近代国民国家の空間の中で国籍、言語、名前という象徴的な表象がアイデンティティを作り上げるメカニズムとその抑圧性を明らかにした。そして、更にディアスポラ的空間と‘差異の政治’という新たな企画の中で、これらの同質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表象がディアスポラ的アイデンティティとして生まれ変わる可能性と意味を考察した。

      • 들뢰즈의 권력과 정치

        사공일(Sa Kong, Il)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人文 科學 Vol.23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wer and politics that Gilles Deleuze describes, especially, the power of representation and language, and the nomad politics or Master‘s politics. First of all, representation connotes the meaning of something copied from the original one. Through the becoming philosophy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Deleuze tries to refuse the power of representation and restore the creative possibility of simulacre deprived by such representation and identity and resemblance. Also, Deleuze emphasizes the relations of power inherent in language. According to Deleuze, the elementary unit of language is the order-word. He insists the function of language is not to be informational and communicational, but to transmit an order-word. In this sense, language enforces a codification of the world according to orthodox categories and classification. That is called the politics of language. Deleuze solves the matter of power in language in terms of chromatic linguistics. Chromatic linguistics is to emphasize the continuous variation of language. Finally, Deleuze stress the rhizomatic or molecular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which deconstructs the molar organization that codify rules and systems. This rhizomatic process is similar to notion of the line of flight, which rejects the power that control subjects oppressively. This notion is related to the politics of creativity. This politics is comparable to the Taoist notion of we-wei, which means letting Nature take its own course. In this sense, this politics dismantles the institutional and hierarchical power and embodies the positive and becoming power which flies the danger of state apparatus. That is the nomad politics or the politics of Laotzu’s Master.

      • KCI등재

        본질주의 비판과 차이의 철학

        윤진숙(Yun Jin-Sook)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法學論叢 Vol.16 No.-

        다양성과 다원성으로 표현되는 현대사회에서는 지금까지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라 여겨왔던 이론이 하나의 거대이론으로서 여겨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 문화에 의해 비판적 극복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주로 논의 되어 왔던 주체나 지식, 권력과 같은 거대담론으로부터 벗어나서 보다 미시적인 영역에 관심을 기울이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논의되는 주제는 여성문제이다. 하지만 여성 내에서도 계급, 인종, 민족, 성적 지향 등 다층적인 차이의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인종에 대한 본질주의, 젠더에 대한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은 차이의 철학의 단면을 보여 줄 수 있는 좋은 예이다. 지금까지의 철학이나 이론들은 서구권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지만 지배적 서구이론이 비서구권 문화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 비서구권에서 젠더에 관련된 차별이 행해 질 때 서구의 소수 특권계층을 기준으로 형성된 여성에 대한 개념과 법적 보호의 필요성이 그대로 비서구권의 여성에 여과 없이 적용된다면 또 하나의 인종에 기반을 둔 제국주의의 탄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모든 사물을 젠더라는 하나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환원주의로 귀결될 가능성을 지였다는 점에서 젠더만을 기준으로 한 본질주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젠더의 입장에서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강요하기 때문에 모든 것은 일단 젠더의 차원에서만 논의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차이"의 문제는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적 구조에서 벗어나 개인의 삶 속에 내재 하는 것이다. 인간의 공동생활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정치적 해방의 규범적 이상으로서의 공동체를 대신하여 보다 급진적으로 차이의 정치학(a politics of difference)을 전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차이의 정치학을 제시하는 하나의 모델로서, 큰 공동체보다 는 비억압적 현대 도시 모델이 이상적일 수 있다. 그러한 도시에서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서로의 이해관계를 도와주는 이러한 사회관계는 다양성이 공존하는 이방인과의 중재 관계 속에서 더불어 사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모델은 차이의 철학이 반영되는 또 하나의 대안이 된다고 여겨진다. In today's diverse and pluralistic modem society, a theory that has been perceived as objective and neutral until recently is now being considered as one grand theory, and is becoming a target of critical subjugation throughpostmodern culture. We live in an era that has moved away from grand discussions of often argued subjects, knowledge, or power, an era that shows more interest in microscopic fields. In such a situation, the most typical topic being discussed is women issues. However, there also exists the problemof multilayered differences among women, such as class, race, ethnic origin, and sexual orientation. Specifically, the criticism of essentialism regarding gender and race is a good example that can reveal certainaspects of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So far, philosophy and theories have been discussed mainly in the western world. However, the dominating western theories cannot be applied directly to non-western cultures. If gender-related discrimination takesplace in a non-western world, and the necessity of ideology and legal protection for women, which was formed on the basis of a few privileged class groups of the western world, could be applied as it is without any filtering to non-western women, then there i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nother imperialism based on gend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with essentialism that takes gender as the only norm in that it carries the potential of ending up as reductionism, which looks at all things from the same perspective of gender. Because from the gender's perspective the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is emphasized, everything is discussed at the level of gender, but in reality, diverse factors are applied in a complex way. The problem of "difference" is something that is immanent in the life of the individual, which goes beyond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woman and man.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ty life for human being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olitics of difference, more radically substituting the community as the normative ideal of political freedom. As one model of such politics of difference, the model of a non-oppressive modem city can be more ideal than a large community. In such a city, there exists no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being dominated, and social relationships that help one another's interests signifies living together in an arbitrative relationship with strangers where diversity coexists. This kind of model is thought to be another alternative that reflects the politics of difference.

      • KCI등재

        여성주의 정치 패러다임 전환의 이론적 모색

        임국희(Lim, Gook-Hee) 한국여성연구소 2011 페미니즘 연구 Vol.11 No.2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여성운동은 차이를 인식하는 한편 연대라는 중요한 과제를 내세웠다. 그러나 오히려 이러한 전략 때문에 2000년대 이후 여성운동은 정체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글은 그 이유를 2000년대 이후 한국 여성운동에서 받아들이고자 했던 차이의 정치나 횡단의 정치 개념이 모두, 구체적인 타자성을 인식하는 것에 실패하고 자아 개념으로 되돌아오는 자아-권리 정치 패러다임에 기반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필자가 보기에 자아-권리 정치는 정체성의 정치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는 면이 있지만, 다른 한편 일정부분 그 한계를 넘어서지 못하는 면이 있다. 이 글은 조디 딘의 성찰적 연대 개념과 주디스 버틀러의 불투명성 개념에서 자아-권리 정치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고,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성찰적 연대의 개념은 연대에 대한 새로운 이해방식을 제시하고, 불투명성 개념은 구체적인 타자성을 인식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딘과 버틀러가 제시하는 바 윤리의 정치 패러다임으로 나아갈 때, 차이는 물론 연대의 가능성도 포괄하는 페미니스트 정치학을 구성해나갈 수 있다고 제안한다. This study undertake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s of contemporary feminist theorists who have contributed in development of the feminist politics. Though the awareness of feminist movements in Korea in 2000s is still an important issue, the decision to examine the theoretical reviews was to provide a breakthrough in the attempt to divert the feminist political strategies. In the literature review I analyze the different notions of feminist political strategies that have been proposed by feminist theorists. The notions of “politics of difference” by Iris M. Young and “transversal politics” by Nira Yuval-Davis have theoretical drawbacks that they could not develop a way of communicating between politically oppressed groups because they have focused only on the generalized others rather than the concrete others in that they strongly grounded on the self-right politics. Therefore, the existing feminist politics will be needed to divert through the ethic in consideration of the concrete others is the essential idea of this study. To achieve this, Jodi Dean’s “reflective solidarity,” and Judith Butler’s “opacity” are examined. A new feminist ethical politics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lf and the other, and the ethical aspects of responsibility followed by such relationship.

      • KCI우수등재

        정치와 비-정치의 경계

        윤은주(Eun-Joo Youn) 한국철학회 2009 哲學 Vol.0 No.100

        서로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자유롭게 정치적 행위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영역에서 소외된 다양한 다름의 정치화를 통한 소통 가능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아렌트의 정치 개념에서 정치의 범주를 살펴보고, 경제적 문제의 정치화를 통해 정치적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가 생각해볼 것이다. 정치적 영역의 확장을 위해 인간의 삶을 자연적 삶과 정치적 삶으로 구분하고, 사적 영역에 갇혀 있던 몸의 다름을 공적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공적 영역의 외연을 확장하는 것은, 공적 영역으로부터 해제되어 정치와 비-정치의 경계에 놓이게 되는 삶의 불안함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기-존재-없음을 인식시키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인식을 깨뜨리기 위한 정치 개념의 새로운 정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다름의 인정으로부터 자유의 실현인 정치의 가능성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at communication-possibility through politicalization of the non-political of physical difference in society. My subject is problem of eliminating groups-especially sexual minority- from the public for difference. With physical or sexual difference, the public discriminate against them. But they are members of our society. If it is so, we have to communicate with them. We know that essential political attitude is communicating with us. And communication with us has nothing to do with difference in particular. Supposing that the politics are thinking and speaking in freedom, we will deal with the problem of sexual difference as subject of differentiation from the political. Especially, we are going to discussion about problem in boundary of the political and the non-political. The political and the non-political have twofold aspect in Greek life; the political is bios(the public, political life), the non-political is zoe(the private, natural life). Sexual difference belongs to zoe. But sexual problem is very important political, so that is set on the boundary of the political and the non-political. The decent society means non-humiliating society that in systematical or personal people recognizes with us as human-being. If so, we is hoping to come about the decent society.

      • KCI등재

        미국과 중국 간 정치적 마찰이 중국인의 미국 제품 구매거부에 미치는 영향

        신선애,이진권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olitical conflict between U.S. and China around the trade disputes on young Chines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ur of U.S. clothes and cosmetics. We find from a difference-in-difference (DID) analysis of their responses on actual consumption behaviour before and after the political conflict that the political conflict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purchase of U.S. clothes and cosmetics even when the effect of the direct intervention of China government is controlled. This means that young Chinese are voluntarily willing to reduce consumption of U.S. commodities when China faces a political conflict with 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which one can build a way to minimize such a negative economic effect of political conflicts with China. Moreove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the effect of political conflict has been investigated and confirmed with the reported actual purchasing behaviour data rather than purchasing intention data that most previous studies adopted, and with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ur (e.g., government intervention) being controlled.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젊은층 소비자를 대상으로 미국 의류-화장품 및 맥도날드 소비행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미중 간의 무역정책 관련 정치적 갈등이 미국 제품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이중차이(difference-in-difference: DID) 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정치적 이슈가 중국 소비자의 미국 상품에 대한 구매거부 (boycott)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미중 간의 무역마찰은 중국의 젊은층 소비자들의 미국 의류-화장품 및 맥도날드에 대한 소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미국제품에 대한 소비감소는 단순히 중국 정부의 직간접적 소비규제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자발적으로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미중 무역마찰이 전반적으로 맥도날드 구매횟수를 유의하게 감소시키지는 않지만 평소 미국에 적대감이 강했던 집단에 대해서는 평균구매금액을 감소시켜 미국 대표브랜드로서의 영향과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영향이라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에 직면했을 때 대처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실제 소비행위와 관련한 응답자료를 통해 DID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구매의도만을 활용하여 정치적 갈등의 구매거부 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들 및 실제 거래자료만을 활용하여 분석한 선행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정부 개입 효과 분리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서도 그 학술적 기여를 찾아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Gender differences in politeness strategies in Korean conversation

        최윤정 ( Youn Jeoung Choi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용봉인문논총 Vol.- No.46

        의사소통에서 언어는 정보 전달의 역할뿐만 아니라,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도 보여준다. 사회언어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보여주는 언어의 형태를 ‘politeness’라는 용어로 연구해왔다. 본 논문은 Brown과 Levinson의 politeness 개념(negative face want/positive face want)에 기초하여 한국어 대화상에서 나타나는 성별에 따른 politeness strategies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20∼30대 초반의 남성과 여성으로 혼합 구성된 두 그룹을 선정하여 그들의 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 한국어 대화상에서 남녀간의 politeness strategies의 차이점은 남성의 경우 반대의사를 표명하거나 요구사항이 있을 때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반면(negative face want), 여성의 경우에는 동일한 상황에서 남성에 비해 간접적인 face threatening acts의 성향을 보여주었다(positive face want). 결국 Brown과 Levinson의 politeness 개념이 언어와 문화의 차이점을 초월하여 한국어 남녀의 대화상에서도 확인됨을 알 수 있다. Language in our communication function not only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ut also for showing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and hearers. In fact, in the field of sociolinguistics, linguistic forms showing these kinds of relationships have been studied in terms of politeness. Based on Brown and Levinson’s politeness strategy(negative face want/positive face want), this paper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conducting such face threatening acts as disagreement and request. This paper analyzed Korean conversations of two mixed groups from early 20 to early 30. As a result, the differences of politeness strategi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is Korean convers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le speakers conduct disagreement and request without redress, in a direct way(negative face want).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speakers conduct those face threatening acts with relatively indirect way, or with positive politeness strategy(positive face want). Consequently, this paper confirms that Brown and Levinson’s theory on politeness strategy in Korean conversations is supported, regardless, culture-specific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