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론의 관점에서 본 유럽통합과 국가기구의 재구성: 이주민의 국경통제 사례를 중심으로

        임운택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5 EU연구 Vol.- No.39

        There are up to date very little research on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state theory. besides, some researches focusing on retrenchment or disappearance of the established state functions owing to emerging of new European institutions and actors have failed to explain a close connection between state - and European integration project. Instead of that, this article based on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state' which draws on the materialist theory of Poulantzas and Neogramscianism explains the European Union to be the result of state project at European level analyzing restructuring of hierarchical orders between European and state apparatus under the perspective of reconfiguration of existing power and domination relationships. Ensemble of the European status apparatus consisting of individual status apparatus, European apparatus and the European legislation could be more clearly clarified in the case of Frontex, where some important functions regarding the border regime managed in the past by state are transferred into the European level in the conflict with the European migration policy. Eventually, all of this should depend on harsh conflict between society and state apparatus. 지금까지 국가론의 관점에서 유럽통합과정을 고찰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한편, 유럽통합을 국가의 형태변화로 파악하려는 기존의 연구는 유럽의 새로운 제도와 행위자의 등장으로 인해 국가의 기능의 축소 혹은 소멸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국가와 유럽통합 프로젝트 간의 연관성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폴란차스에 의해 제기되고 네오그람시주의자들에 의해 채택된 '국가의 국제화'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유럽과 국민국가 간의 국가기구 위계질서의 재편을 유럽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배구조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 유럽연합(EU)은 궁극적으로 유럽차원의 국가프로젝트임을 규명한다. 개별 국가기구, 유럽기구, 그리고 유럽의 법률구조로 구성된 유럽국가기구의 총체성은 유럽 이주정책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과거 국가에 의해 관리되었던 국경체제의 영역이 유럽차원으로 확대되어 가는 FRONTEX(유럽국경관리청) 사례를 통해 잘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사회와 국가기구 간의 갈등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 KCI등재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 -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

        강대중(Kang, Dae Joong),김의태(Kim, Euitae),박지숙(Park, Jisuk),최선주(Choi, Seonjoo),최일선(Choi, Ilse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주로 거대담론으로 다루어진 평생학습을 미시 혹은 중시적 접근으로 이론화하는데 필요한 중심 개념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생학습의 시간축, 공간축, 의미축을 포착하기 위해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을 평생학습이론의 중심 개념으로 제시하였다. 학습 자자세는 학습활동을 사회문화역사적 현상으로 파악하기 위한 개념으로, 조건화된 학습자가 학습 사건을 경험하며 성취하는 행위자성이다. 학습관리장치는 인간의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학습활동에 개입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집합체이자 요소들(담론, 제도, 조직, 도구 등) 사이의 네트워크이며 학습자와 연결된 권력/지식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 맥락지식은 과학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의 이분법을 넘어 학습활동이라는 맥락에서 의미를 갖는 지식이다. 세개념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학습관리장치는 맥락지식의 유통을 통해 학습자를 (재)생산한다. 학습자자세는 맥락지식의 변형과 창출 및 유통을 위한 새로운 학습관리장치의 생성을 가능케 한다. 맥락지식의 유통은 학습활동의 발생 조건이다. 세 개의 중심 개념에 대한 후속 작업을 통한 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해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전개되어 온 평생학습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를 향후 과제로 제안하였다. Lifelong learning has so far been studied mainly within a macro discourse, being more of a policy rhetoric than a concept to figure out human learning activities. While adult learning theories have given plausible explanations for the learning phenomena within certain phases or stages of life in adulthood, it does not succeed in exploring lifelong learning activity and its impact on the formation of one’s life itself.  In addition to the given macro discourse, this paper proposes a lifelong learning theory from the micro- and/or meso-level approach. To account for life stages (the progressive lifespan angle), domains of life (the horizontal life-wide angle), and life meanings (the axial life-deep angle), we introduce three core concepts and discuss their interrelationship. (1) Learner positions show what learners exhibit when experiencing learning events. (2)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es represent all factors such as discourses, institutions and learning tools as well as the network among the factors, which engage in one s learning activities. (3) Contextual knowledge reveals what learners read into their learning activities. As to the interrelationship,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es (re)produce learner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contextual knowledge. Learner positions enable learners to create new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to distribute, modify, and create contextual knowledge. Contextual knowledge lays the groundwork for learning activities. These core concepts require being substantiated and embodied by a empirical case studies to derive a lifelong learning theory that can tell more about our learning lives. 

      • KCI등재후보

        개념적 도식, 지시장치에 대한 콰인의 이해와 분석

        박정식 ( Jung Sik Park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4 기독교철학 Vol.19 No.-

        이 글에서는 개념적 도식, 지시장치에 대한 콰인의 이해와 분석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우리의 개념적 도식은 원시 인류이래로 계속해서 진화 발전하여 왔다. 콰인은 일종의 개념적 도식이라 할 수 있는 언어의 지시 장치에 대하여 분석한다. 그는 어린이가 시초의 단어들의 습득에서부터 일반용어와 단칭 용어의 구분 그리고 복합 일반용어와 관계용어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추상적 용어의 습득에 이르는 발전과정을 분석하면서, 이와 유사한 발전단계를 우리 조상들도 원시인류이래로 거쳐 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콰인은 이러한 언어의 지시장치의 발달과정의 성찰을 통해 그 발달과정에서 우리 조상들이 범한 시행착오와 오류를 시정하고, 우리의 물려받은 개념적 유산을 미래의 과학적 이론과 과학적 언어에 더욱 합당하게 개정, 개혁해 나가야함을 주장한다. 콰인은 우리의 대상세계 인식은 개념적 도식에 입각하여 이루어진다는 입장을 제시한다. 콰인은 우리는 개념적 도식으로부터 떨어질 수 없으며, 우리의 개념적 도식을 개념화되지 않은 실재 세계와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없음과 세 계에 관해 말하기 위해 우리 자신의 특수한 언어에 고유한 어떤 개념적 도식을 세계에 부과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콰인의 이러한 입장이 개념적 도식의 상대주의를 주창하거나, 상대주의적 진리관을 옹호하는 것으로 과대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우리의 대상, 세계 인식은 개념적 도식에 근거하여서 이루어지며, 세계에 관해 말하기 위해 우리 자신의 특수한 언어에 고유한 어떤 개념적 도식을 세계에 부과할 수밖에 없다는 콰인의 입장은 기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만, 이러한 입장에 대해 근원적인 측면에서 한 가지 보완적인 입장을 제시할 수 있는데, 그것은 육스쿨의 환경세계설이다. 육스쿨의 환경세계설에 의하면, 고양이와 원숭이와 인간은 각기 자신의 생물학적 종의 특성에 맞는 환경세계를 지각하고 구성한다. 세계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 그 자체가 아니라, 고양이, 원숭이, 그리고 인간의 생물학적 신체와 지각 능력에 따른 대상 세계이다. 비록 우리 인간은 다른 생물학적 종에 유래가 없는 이성과 언어라는 고차적인 인식능력을 소유하고 있어서, 앞으로의 계속되는 획기적인 과학의 발전에 의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엄청나게 증진될 것이지만, 그러한 경우에도 여전히 몸을 가진 우리 인간 종의 인식적 능력과 구조에 입각한 대상 인식이라는 근원적인 한계점을 자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is paper argues about Quine’s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conceptual scheme and the apparatus of reference. According to Quine, our conceptual scheme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the day of primitive race on. He analyzes the referential apparatus of language, which could be entitled a kind of conceptual scheme. He analyzes the process of child’s acquisition of referential apparatus from the initial words eventually to abstract terms via the distinction of general terms and singular terms, the compound general terms and the relative terms. Also he presumes that our ancestors have evolved such similar phases since primitive race. Quine suggests that we have to rectify the errors and falsities of our ancestors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steps of development of referential apparatus and that we have to improve and revise our conceptual property inherited from them toward being more suitable for the scientific theory and language. Quine mentions that our knowledge of objective world is realized through the conceptual scheme. He emphasizes that we don``t detach ourselves from it and compare it objectively with an unconceptualized reality and that to talk about the world we already imposed upon the world some conceptual scheme peculiar to our own special language. I want to emphasize that Quine neither make a declaration of the relativism of conceptual scheme nor give support to the relativism of truth. In principle I could accept Quine``s view that our knowledge of objective worl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onceptual scheme and that to talk about the world we already impose upon the world some conceptual scheme. However, I want to suggest a complementary viewpoint, which is Uexkull’s environment-world theory. According to Uexkull’s environment-world theory, a cat, a monkey and a man each perceive and constitute the objective world grounded on the peculiarity of their own biological species. The world is not the world as it is in itself but the world based on the biological body and perceptibility of them. By virtue of the fact that we have the high-level cognitive ability of reason and language, we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other biological species. And by way of the future continuous development of science we will surprisingly Improve our knowledge about the objective world. But even in such case it could be important to recognize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our knowledge of objective world is based on the cognitive capacity and mind’s structure of our species as physical beings.

      • KCI등재

        몰입' 개념으로 본 3D 입체 영화의 미래

        김형래(Kim, Hyung-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1

        기술의 발달로 영화의 실감과 몰입효과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몰입은 어떤 데에 ‘빠져듦’을 의미하는데 영화는 이런 효과를 여러 장치들을 통해 증강시키고 있다. 특히 3D 입체 영화는 입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관객이 3D 이미지 속에 존재하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몰입효과는 최근의 3D 영상뿐만 아니라 예술사에서 모든 시각적 예술이 노렸던 효과인지 모른다. 더욱이 짧은 영화사만을 살펴본다고 하더라도 이 같은 사실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영화가 기술의 발달로 무성에서 유성으로, 흑백에서 천연색으로, 표준스크린에서 와이드스크린으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발전한 과정을 살펴보면 이 모두 몰입효과의 증대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몰입효과를 강화함으로써 관객은 더 영화관을 찾게 되고 이를 통해 영화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영화사는 몰입의 영화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몰입 개념은 지금까지 주로 게임과 관련하여 다루어졌고 영화이론에서는 매우 단순하게 정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개념을 영화와 관련하여 세분할 필요성을 느끼고 영화사와 영화이론사를 통해 이 개념의 의미를 확장하고자 했다. 이에 그리피스의 연속 편집과 주제적 편집,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바쟁의 사실주의, 보드리의 장치이론, 캐롤의 인지주의이론 등이 몰입 개념을 중심으로 재고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영화에서의 몰입 개념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감각적 몰입, 지적 몰입, 내화면 몰입, 외화면 몰입이 그것이다. 그런데 3D 입체 영화와 관련하여 우리는 지금까지 ‘감각적 몰입’ 효과만을 거론한 경향이 있다. 앞으로 3D 영화가 산업에만 매몰되지 않고 예술적 기능을 다하려면 앞서 언급한 다양한 몰입 효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explain what the Stereoscopic 3D Cinema looks like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n the near future it will get sensually more absorbing skills and images, so that it can be more successful in the film industry. However, its future is not determinated only in this way, but there will be the other ways, to develop the artistic potentiality of the Stereoscopic 3D films. To make this, I think that we should understand well, what the concept of the immersive effect is. I have classified four sort of immersive crafts in the films: there are the sensual immersion, the intellectual immersion, the on-screen immersion, and the off-screen immersion. At first they have been defined, and then they have been found out and renamed in the film history. The film history and its theories tell us that they are none other than a history of the immersion. According to my research, in the classical film theory of editing, the continuity editing and the alternate editing of Griffith belong to the sensual immersion, and his thematic editing to the intellectual immersion. And the Soviet montage of Eisenstein belongs not only to the in-screen immersion but also to the intellectual immersion. In addition, the realism of André Bazin has to do with the off-screen immersion and also with the intellectual immersion. As we have seen, the films have basically the innate absorbing characters. A French film theorist Jean-Louis Baudry criticizes this characters with his apparatus theory. But in opposition to Baudry, the american philosopher of art Noël Caroll is critical of the apparatus theory and develops his cognitive film theory. However, it shows that the cognitive strategies of the film produces also inevitably the absorbing and immersive effect. It means that we must acknowledge unavoidably the immersive character of the films. Therefore, instead of that we criticize the commercial characters of the absorbing effect, we should to try to choice the best combination of the four categories suggested above, to make a good film.

      • 답력을 고려한 조절식 브레이크 페달 분석

        김기태(Ki Tae Kim),심재경(Jae Kyung Sh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There are some researches about adjustable brake pedal apparatus for automobiles to mitigate any inconvenience of conventional brake pedal apparatus. However, previous researches consider only the initial positions and the orientations of adjustable brake pedal apparatus. In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at some initial positions of an adjustable brake pedal, it is not that convenient to push the pedal because it requires more foot effort. In this paper, the foot effort, which is defined as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foot and the pedal, is analyzed and some design guide lines are proposed.

      • KCI등재

        들뢰즈의 장치론을 활용한 학습관리장치 개념 탐색 -주체화의 선 개념을 중심으로-

        이경림,김의태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2

        학습관리장치는 학습자를 특정한 방향으로 조건화하는 기제이다(강대중 외, 2017). 학습관리장치 개념을 활용한 경험연구가 축적되고 있으나, 학습관리장치 논의는 여전히 시론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연구는 들뢰즈의 장치론, 특히 ‘주체화의 선’ 개념을 활용하여 학습관리장치 개념을 보완하고 정교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사회과학 영역에서 장치는 이데올로기, 권력, 통치성을 매개하여 주체를 (재)생산하는 기제로 다루어졌다. 장치의 예속성을 통한 주체화에 주목한 교육/학습 연구는 교육/학습 실천이 학습자를 권력에 예속하여 (재)생산하는 장치로 작동함을 드러냈다. 하지만 들뢰즈는 장치를 이루는 주체화의 선이 그로부터 탈주함을 주목함으로써 장치의 예속성이 불완전함을 시사했다. 학습관리장치는 학습자를 조건화하는 예속의 기제이지만, 들뢰즈가 주목한 이 예속의 불완전성은 학습자의 새로운 주체성 발현을 배태할 수 있다. 학습관리장치에 내재하는 예속화와 새로운 주체성 발현이라는 상반된 특성은 학습관리장치의 유지, 변화, 생성, 또는 소멸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다. 학습관리장치의 예속성과 그 불완전성을 들뢰즈의 장치론을 통해 설명한 이 연구는 교육/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변화를 학습자 (재)생산 측면에서 조망하게 하며, 교육/학습에서의 미시적, 중시적 차원에 주목하도록 한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셜 미디어와 유목적 삶: 들뢰즈.가타리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소셜 미디어 문화현상

        오창호 ( Chang Ho Oh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4 언론과학연구 Vol.14 No.4

        본 논문은 오늘날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현상의 의미를 욕망론의 관점에서해명해 보았다. 특히, 들뢰즈·가타리의 무의식적 욕망론에 입각하여 소셜 미디어이용현상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무의식적 욕망론의 특징은 소셜 미디어를 “주체(인간)-대상(기계)”이라는 이원적 구도에서 “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라는 기능적이고 도구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인간 연속체”라는 일원적 구도로 접근한다는 점이다. 일원적 구도에서는 인간도 기계도 자연도 없이 오로지 이것이 저것을, 혹은 저것이 이것을 접속하고 생산하는 과정이있을 뿐이다. 그것은 소셜 미디어에 대한 특정한 이해관계에 얽매인 당사자의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를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관점을 배제한 채 무관심하고 초연한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 문화 현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주위에서 목격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행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는것이 가능하며 각 유형의 문화적 의미를 그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욕망의 배치로설명하였다. 소셜 미디어, 욕This paper explore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 inthe light of desire theory. To do this, this paper adopts the perspectivewhich consider social media in terms of the “machine-humancontinuum” instead of as a “subject (human) - object(Machine)” dualistic composition. The dualist focus on the functionof the instrument on the base of “Who”, “What”, “for whatpurpose” and “by how” problematic. But the unitarist considersneither human nor machine without relationship. They see onlyprocess of production that are connected to it in terms of access tothe unconscious desire. This approach is not by way of a particularinterest in social media bounded to the perspective of theparties, but indifferent and detached perspective position. I intendedto explain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through Deleuze & Guattari”s theory of desire.

      • Analysis of intermolecular binding forces between lignin nanofilms in electrolyte solutions

        송유정,임찬웅,이동욱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Lignin has been spotlighted as an abundant biorenewable resource in various industries. Consequently, studies on the molecular binding mechanism of lignin became essential to develop optimal design of lignin into higher-valued products. In this study, interaction forces between lignin nanofilms were directly measured using a surface forces apparatus (SFA)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electrolyte solu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by DLVO and hydrophobic theories. Additional measurements between CH<sub>3</sub>-SAM and lignin film confirmed that hydrophobic interaction dominated overall interaction of lignin film. Furthermore, lignin incorporated hydrophobic composites showed enhanced compressive strength, which validated lignin as a reinforcing binder without any addition of other polymeric materials. As the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mposite decreased, which corresponds to adhesion force decrease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measured with SFA.

      • 조절식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형태 합성

        김민형(Min-Hyung Kim),심재경(Jae Kyung Shim),임득재(Deuk Jae Im),권진욱(Jin Wook Kw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Brake pedal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that control the speeds of the vehicles. However, there are many drivers who feel uncomfortable while driving the vehicles with the fixed brake pedal apparatuses that cannot be adjusted to the drivers. Therefore, researches on adjusting the positions and the orientations of the brake pedal apparatuses instead of adjusting drivers’ seats are continuously progressing in today’s automotive industries. In order to design an adjustable brake pedal apparatus, the positions of the design parameters that cannot be changed in vehicles are verified and previous patents of the adjustable brake pedal apparatuses are analyzed based on Graph Theory before the beginning of actual design processes. As a consequence, most of the adjustable brake pedal apparatuses are comprised of seven links and two to three loop independences. In this paper, the outcomes of the type synthesis of the adjustable brake pedal apparatuses are enumerated based on Graph Theory and a new model of the brake pedal apparatus are presented.

      • KCI등재

        아상블라주의 개념과 지리학적 함의

        김숙진(Sook-Jin Kim)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3

        최근 관계적, 물질적 전환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아상블라주라는 개념은 현대 사회공간이론의 가장 친숙한 어휘가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아상블라주 본연의 개념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개념의 전체적인 틀과 사유의 방식을 제공한 들뢰즈와 가타리의 작업에 주목한다. 유사개념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푸코의 장치 개념을 아상블라주의 한 유형으로 봄으로써 아상블라주가 탈영역화뿐만 아니라 (재)영역화라는 두 가지 모두의 성향에 의해 구성됨을 확인하였으며, 관계의 외재성은 아상블라주 이론이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과 같은 다른 형태의 관계적 사고와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임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아상블라주는 분석적 측면에서 형성과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경험주의의 가치를 재조명할 수 있고, 정치적 측면에서 아상블라주의 다양체(multiplicity)와 중첩결정에 대한 용인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다수의 정치적 프로젝트, 실천, 결과의 실질적 공존과 새로운 공간적 상상력에 개방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Assemblage has become a popular concept in modern socio-spatial theories with relational and material turn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cept of assemblage focusing on Deleuze and Guattari. By comparing similar concepts such as Foucault’s apparatus and Actor-Network Theory,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assemblage emphasizes not only deterritorialization but also (re)territorialization, and that the exteriality of relations is a critical aspect that differentiate assemblage from other relational spatial concepts. Assemblage can highlight the value of empiricism as an analytical tool, and be open to new spatial imaginations as well as multiple existences and possiblities of alternative political projects and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