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법 : 인터넷기반서비스발전기금의 헌법적 문제점

        황성기 ( Sung Gi Hwa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27 No.1

        This government is preparing a bill of `Framework Act on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hereinafter `the bill`) from the year 2009. The bill contains an article about fund for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service(hereinafter `the fund`). According to this article, the fund will be composed of contribution by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mainly. This study analyzes the fund and contribution by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 think that the fund and contribution by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are unconstitutional as follows. Firstly, the fund and contribution by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violate rule of law, because they lack some clear legal grounds required by the principles from rule of law Secondly, the fund and contribution by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lacks justifying rationales required by the principle of so-called `Sonderabgabe`, which is originated from Germany`s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The justifying rationales required by the principle of `Sonderabgabe` are composed of `homogeneity of the contributing group` (Gruppenhomogenitat), `objective proximity`(Sachnahe), `responsibility of the contributing group` (Gruppenverantwortung), `usefulness for the contributing group` (Gruppennutzigkei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corporates and applies these principle and rationales for reviewing of the constitutionality of funds and compulsory contributions in many cases. Especially, the range of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which compulsory contribution are imposed is so broad, and the logical correlation between the fund and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is not clear. Because the fund and contribution by Internet-based service business operators lacks all justifying rationales, they violate the principle of so-called `Sonderabgabe`.

      • KCI등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김종운 ( Jong 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8 중등교육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히고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상담 활동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의 3개 중학교 남녀 학생 305명 (남 160, 여 145)이었으며, 측정도구는 Young(1996)의 인터넷 중독 척도, 송원영(1998)의 자기통제력 검사, 그리고 김광일과 김재환 및 원호택(1990)의 한국형 간이 정신건강 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인터넷 중독 수준을 세 집단으로 나누고 자기통제력과 정신건강의 평균차이를 비교한 결과 경미한 중독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해, 상당한 중독집단이 경미한 중독집단에 비해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정신건강 상태 또한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간에는 다소 높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중독과 정신건강 간에는 다소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정신건강은 인터넷 중독 성향을 44.7%, 자기통제력은 인터넷 중독 성향을 5.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건강이 인터넷 중독의 주요한 예측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고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을 치료하고 상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대처기술 훈련이 포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caused teenagers to be addicted to the Internet and in which way the factors affected their internet addiction in an effort to encourage them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in a more sound w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79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o include 154 boys and 143 gir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grade shows a statistical and meaningful difference. Third grade students shows lower addiction tendency than first and second grade.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level, the group of higher-level internet addiction shows lower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than the group of lower-level internet addiction. Second,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shows high correlation to internet addiction.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s that self-control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level and mental health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level as well. Third, The variance of self-control that indicat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s R²=.055, mental health is R²=.447. Thus,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has a big impact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include strategies such as coping skill training, self-control training and stress management to improve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in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addicted to the Internet.

      • KCI등재

        인터넷영화 관람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논의

        김수남 ( Su Nam Ki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0 현대영화연구 Vol.6 No.1

        Nowadays the Internet of digital age its function has expanded to accessing portal and e-commerce sites that require the one section of information area in world. In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s tecnic makes speedly change in the part of total cultures and social life. The Universality of using internet has an effect on the classical contents and the medea industry by the constructing new environment of information system. The strong new medea system creates new paradime of film culture off line. Especially a internet movie house and VOD are expanded through internet It`s makes change a film industry`s system. The very big facination of internet are autonomy and an alternating current and accessibility of internet. There is advantage that the netizen uses proper informations and community in the space of internet and they exchange between various peoples over the various space and time. A movies is a media which is closely connection with thechnologe. Recently many film makers and producers and audiences achive their purpose of film making by internet which is new internet technic with film. Now there are many right functions of the viewing internet movie. The right functions are a internet marketing and publicity, and the convenience of viewing movie and the activity of distribution channel. But the right functions of viewing movie are easily opened before the reverse functions. Which are illegal download and copy and distibution. It is very important point that how we make highlighting the advantage of the right functions by compensate the defect. Above all we must establish the correct internet film`s culture by growing heightened awareness on digital rights management. This discussion is studied on the right and reverse functions of the viewing internet movie changing by internet to keep the healthy internet film culture.

      •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연구

        안세근(Ahn Sekeun),조정희(Cho Chunghee)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인터넷 사용은 청소년들에게 사이버강의, 메신저를 토한 의사소통, 정보수집, 취미나 여가활동 등으로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인터넷을 사용해 인터넷 중독으로 일상생활에서 부적응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많다. 연구 결과 생활수준이 어렵고, 켬퓨터와 인터넷의 사용기간이 길고, 인터넷 용도가 학습보다는 게임시간이 길수록 인터넷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중독정도에 따른 자기통제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중독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자기통제력이 낮았다. 이 결과 인터넷 중독정도는 자기통제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통제력이 낮은 청소년들은 쉽게 인터넷에 중독될 경향이 높기 때문에 부모들의 관심과 통제가 필요하다. 인터넷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과 오락성 게임 등에 집착해 중독되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 청소년들의 가정환경을 점검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우리 사회 전체의 관심과 대응이 필요하다. The Internet has become an indispensable tool for teenagers who use it for cyber lectures, messenger-based commun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Many teenagers, however, have difficulty in adjusting to their everyday life because of an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This research shows that teenagers who belong to lower-income families, who use computers and the Internet for long hours, and who use the Internet for games rather than studying are more likely to become addicted to the Internet. Furthermo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s of Internet addiction and self-control was found. Teenage groups marked by higher degrees of Internet addiction evinced lower degrees of self-control. The research finding therefore shows that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is related to self-control. Because teenagers characterized by lower self-control are more likely to becomevictims of Internet addiction, they need parents special care and control. The Internet can benefit as well as entrap its users. To prevent Internet addiction of teenagers, it is necessary for the whole society to examine family environments of teenagers and implement care as well as policy measures.

      • KCI등재

        멀티미디어시대 “인터넷 방송”의 규범형성에 대한 연구

        지성우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7 No.-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smartphone, ‘one person media’ has become activated. And as a result, broadcasting of individual media through the internet has become a social issue. The Internet is often referred to as "sea of ​​information." Even though peop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ime and space, they can freely communicate and share common interests through the Interne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5G broadband technology, a great amount of video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as a result, personal broadcasting (Internet Broadcasting Through Internet or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rapidly activated.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provide images in real time through a high-resolution camera. And consumers are able to watch broadcasts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However, illegal contents containing pornographic and violent nature are spreading indiscreetly through Internet broadcasting.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some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regulat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accordance with current broadcasting law.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view that respects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Internet, it should be based on the general regula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rather than the strict regulation of broadcasting. In this paper, I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analysis, I propose a desirable regulatory scheme for Internet broadcasting from the viewpoint of future law.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govern content and structural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broadcasting, only in case of necessity and only under strict conditions. However, such restrictions should be limited to the extent that freedom of expression of the Constitution is not hindered. 최근 ICT 기술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1인 미디어’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개인들의 방송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흔히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 라고 일컫기도 하는데, 개인들은 이제 시간적ㆍ공간적으로 격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을 통해 서로 자유롭게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5G 광대역 통신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대량의 영상정보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개인방송(Personal Broadcasting Through Internet or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상에서 콘텐츠 공급자는 실시간으로 영상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수요자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이 콘텐츠들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 방송은 방송사업자가 향유하던 독점적 지위를 허물고 인터넷이라는 통합적인 정보망을 통해 개인 간의 물리적 격차를 해소하고 사회적 평등을 구현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반면, 최근 정보통신망을 통한 인터넷방송 진행 중 선정성과 폭력성이 높은 불법적인 콘텐츠들이 무분별하게 유포되는 문제점도 동시에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개인들의 ‘인터넷 방송’에 대해 현행 「방송법」상의 ‘방송’에 준하는 규제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인터넷에서의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는 견해에 의하면 방송의 엄격한 규제보다는 개인 간의 통신에 적용되는 표현의 자유(Freedom of Expression)의 일반적인 규제에 의하여야 한다고 한다. 정부는 최근 관련 전문가들과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인터넷규제 공론화협의체’를 신설하여 인터넷 방송의 규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향후 규범적 측면에서 무분별한 불법적 콘텐츠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 방송’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헌법․단행법적 관점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의 인터넷 개인방송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향후 인터넷 방송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방안을 제시하였다. 미래법적 관점에서는 개인들의 ‘인터넷 방송’에 대해서는 매우 엄격한 조건 하에서, 일부 필요한 경우에 한정하여 방송에 준하는 내용규제와 구조적 규제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규제는 헌법상의 표현의 자유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한정되어야 한다.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윤리적 관점에서의 인터넷중독에 대한 시론적 연구

        김봉섭 ( Bong Seob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6

        지금까지 인터넷중독과 관련한 연구는 주로 (1)인터넷 과다 사용 (2)중독 (3)현실상황 장애의 매커니즘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접근은 인터넷중독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중독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심리적·정서적 접근 방법을 도입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는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었다. 하지만 인터넷중독에 대한 근원적 탐구 즉, 인터넷을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를 접근하는 인간의 가치체계와 근본적으로 관련이 있는 윤리적 접근은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인터넷윤리와 관련하여 목적론적 윤리관, 의무론적 윤리관, 덕 윤리관, 책임 윤리관을 제시하였다. 또한, 네가지 윤리관을 적용하여 인터넷중독은 각각의 윤리관에 근거하여 정당성을 부여받을 수 없는 행위임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토대로 인터넷중독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개입 방안으로 인터넷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지금까지 통속적 컴퓨터 윤리학 강좌에서 탈피하여 이론적 컴퓨터 윤리학으로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Until now, the study of Internet addiction have focused on (1)Internet overuse (2)addiction (3)the real situation of disability in order. This approach have given a social awareness about Internet addiction as well as have been used as base for introduction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eans to prevent and treat Internet addiction. However, There are very few an ethical approach that is related in human values that what purpose does people use Internet for and how to use Internet.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teleological, deontological, virtue and responsible ethics of Internet addiction. And, this study insist that Internet addiction is a wrongdoing on the basis of four ethical views. Based on these claims, this study stress the needs for Internet ethical education as a program to prevent and treat Internet addiction and se to tu1rn pop1 computer ethics into theoretical computer ethics.

      • KCI등재

        미디어 책무성 관점에서의 인터넷 자율규제제도 비교연구

        황용석(Yong-Suk Hwang),이동훈(Dong-Hoon Lee),김준교(Jun-Kyo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9 언론과 사회 Vol.17 No.1

        인터넷의 보펀 미디어화와 사회적 의존도 증대는 인터넷의 영향력에 대한 우려와 그 에 따른 제도적 수용 논의를 촉발시켜왔다. 특히 우리 사회는 여론 형성에 대한 인터 넷의 미디어적 영향력에 초점을 두고 인터넷 규제논의를 진행시켜왔고 현 제도적으로 도 불법 콘먼츠에 초점을 둔 해외 주요 국가들의 자율규제와는 차이를 보인다 본 연 구에서는 이러한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며 인터넷 규제 논의의 체겨|호덤 위해 미디어 책무성 표엠에서 국내외 인터넷 규제체계를 비교 분석하고,01를 토대로 실천적 합의 를 이끌어내고자 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자율규제체계 도입 국가의 다양 한 공동규제형식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책무성 구현체계로서 자율규제모델의 한국 적 실현 묘보때| 대한 합의를 도출했다 특히 인터넷 규제체계에서 관련주체 간의 상호 협력을 토대로 한 적극적 실천체계가 강조되고 있디는 점에서 민간 영역에서의 자율 적 답책장치로서 자율규제기구의 활성화는 미디어가 사회적 신뢰를 형성히는 주요한 방법이며 동시에 불필요한 제도적 규제를 줄이는 방법이다. 따라서 범세계적인 추세 에 맞는 인터넷기업에 의한 자율규제로 과도한 입법규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민간 에서 답책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The growth of Internet media and social dependence on Internet media have triggered concerns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 and discussion on the institutional adoption of the Internet. In particular, our society focused on the effects of Internet media in discussing Internet regulation. Our current system on Internet regulation is different from the self-regulation system by main foreign countries emphasizing on illegal and harmful contents on the Internet. This study tried to draw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et regulation systems at home and abroad from the perspective of accountability in order to organize Internet regulation discussion considering our situation. After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to examine various co-regulation systems adopted by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ngland, France, Germany, and so on, we drew implications on the Korean practical plan as the actual system of government accountability for the Internet. Especially, we found that stimulating self-regulation organizations as an autonomous answerability system by the private sectors would be a good way not only to form socially reliable media also to reduce unnecessary institutional regulation in the fact that active practice systems based on mutual cooperation among related key players are stressed in the Internet regulation system.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private sectors need to make appropriate answerability measures as a self-regulation system-one of global trends-to minimize excessive legislative control by government.

      • KCI등재

        인터넷광고의 법적 의의에 관한 일고찰

        이민영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08 성균관법학 Vol.20 No.3

        From our constitutional setup which adopts a free democracy with basic principle, the commercial expression belongs as well to category of freedom of expression as political opinion or ideology and personal belief. Therefore the advertising, which is one form of commercial expression and propagates ideological, knowledge, information etc. in the unspecific majority, becomes the protected object of constitution guarantee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Internet advertising is understood width most widely with Internet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conceptualized as the advertisement which is delivered in internet protocol methods. On the other hand, with following hereupon mobile advertising which takes marketing advertisement through mobile media leads to be excluded from the range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 of internet advertising. So it is entirely meaningful to conceptualize and designate the advertisement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by the medium of internet as online advertizing, because mobile advertising can belong to the realm of online advertizing. Synthetically speaking, it stands to reason that internet advertising be communication form on which conceptual definition of advertising encounters the facts related to internet. As an actual condition where the internet advertising extends in many sidedness is very complicated, it is nevertheless not so simple to define the concept of internet advertising. From this angle of vision, it would be necessary to style advertising communicated by the medium internet online advertising which is a wider concept merging internet advertising with mobile advertising for the purpose of making up in protection and extension of the internet advertising users' rights and interests.

      • KCI등재

        인터넷뱅킹 확산이 은행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 및 시사점

        김규수 ( Kyu Soo Kim ),전봉걸 ( Bong Geul Chun ) 한국금융연구원 2016 韓國經濟의 分析 Vol.22 No.1

        IT기술이 금융 특히 은행서비스에 활용될 경우 비용절감 및 수익성 제고에 기여할것인가는 이론적인 문제일 뿐 아니라 실증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인터넷전문은행의 도입을 추진할 때도 IT기술을 활용한 금융서비스가 기존 지점 영업중심의 서비스보다 더욱 효율적인지를 미리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은행업무가 인터넷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면 처리비용절감, 실시간거래에 따른 편리성 증대, 글로벌 거래의 용이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은행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은행은 점포 확장 등과 같은 제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인터넷뱅킹을 통해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뱅킹 이용고객에게 수수료 인하, 금리 우대 등과 같은 혜택을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인테넷뱅킹을 유도하기 위한 은행의 혜택은 수익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터넷뱅킹을 위한 IT관련 투자 확대도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뱅킹 업무의 확대가 은행의 수익성에 어떤 방향으로 영향을 줄지에 대해서는 실증적으로 검증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국내 은행의 2001~2014년중 연간 자료를 활용하여 인터넷뱅킹 및 모바일뱅킹 이용 규모와 은행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에서 인터넷뱅킹의 도입은 장기적으로 은행의 수익성 등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를 통해 인터넷전문은행이 신규로 시장에 진출하여 성공적으로 정착하거나 기존 은행이 핀테크 등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기간에 다른 경쟁기관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여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roliferation of internet banking has been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fitability of commercial banks by saving their customer management costs or by increasing service fees.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internet-only-bank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net banking or mobile banking on the banking service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et and mobile banking and profitability of banks, using a data from 2001 to 2014. We also interpret the result from the perspective of succeed internet-only bank in Korea. According to our findings, the widespread use of internet banking has enhanced the efficiency of banking business by reducing the reliance of banks on profit from interest and increasing the share of non-interest revenue of banks such as fees. It is, however, found that internet or mobile banking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profitability of individual banks. In addition,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internet banking has not affected to an increase in the share of demand deposit. 17) In conclusion, the broad use of internet banking has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 profitability of individual bank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nks should develop proactive measures to make the full use of internet and mobile banking, as an omni-channel. To be successfully set up, internet-only banks should also learn from the lesson of history of internet banking. Further in-depth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internet banking on the profitability of banks need to be done using accumulated appropriate data in the future.

      • 초등학생 인터넷 중독 과정에 대한 경로 분석

        신재한(Shin, jae ha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process in elementary students and to compare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proces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level. The conclusion for offering specific ways or measures that can prevent teenagers from internet addiction is as followings. First, to prevent internet addiction, it is required to recognize correctly the path in the order shown internet addiction proces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not to get reality separation obstacle which is in the final step, and not to have a positive expectation. According to a hypothetical interperson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and parents to figure out the internet uses of learners by checking internet addiction self-diagnosis test, K-criterion, and its result. Second, in order to reduce the difficulty of daily living due to the internet, above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al education should be enhanced so that learners may not have positive expectations on the internet, and it is asked to guarantee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that offer students to do other activities except internet. Third, because the learner’s difficulty of daily living due to the internet is the major cause of reality separation obstacle with a medium of withdrawal symptoms or tolerance, the connected systems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should be established for learners to live a regular life, a healthy life, a committed school life, and an amicable home life, not to have any difficulties of daily living. Fourth,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uitabl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in terms of teenager’s sex and grad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과정의 영향력에 대한 경로 분석을 분석하고 인터넷 중독과정의 영향력을 성별과 학년별로 서로 비교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인터넷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방안 및 대책을 제안하는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중독 과정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나타난 경로 순서를 정확하게 인식해야 하는 것은 물론, 마지막 단계인 현실구분장애가 오지 않도록 처음부터 인터넷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가상적대인관계지향성을 가지지 않도록 학습자 스스로 인터넷 중독 자기진단검사를 실시하고, 교사나 학부모는 인터넷 중독 자기진단검사의 결과를 점검하여 반드시 학습자의 인터넷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인터넷으로 인한 학습자의 일상생활장애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가 인터넷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하지 않도록 정보 통신 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하고 인터넷 외에 다른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인터넷으로 인한 학습자의 일상생활장애가 금단이나 내성을 매개 변인으로 하여 현실구분장애의 가장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학습자가 일상생활장애가 발생하지 않고 규칙적인 생활, 건강한 생활, 열성적인 학교생활, 원만한 가정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 간의 상호 협조적인 연계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적합한 인터넷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해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