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제 교육에 관한 연구 :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이철주(Lee, Chul-J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emperance in Aristotle’s Ethica Nicomachea and investigated methods of temperance education. Temperance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helping humans develop mature personalities and gaining necessary virtue for humans to live as members of a society. Aristotle’s “temperance” suggests moderation related to pleasure and is associated with physical pleasure. The scope and domain of moderation go beyond the pleasures of taste and touch. The parameters of temperance can be identified as the target, amount, and timing. Further, temperance and moderation can be compatible, and temperance can cultivate the virtues of moderation. Aristot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bits to cultivate temperance. To foster temperance, this study suggests five steps for law of habit formation. 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나타난 절제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절제 교육 방법을 탐구한 것이다. 절제는 불완전한 인간을 성숙한 인격체로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하며 인간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덕목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절제’는 즐거움과 관련된 중용이고, 신체적인 즐거움과 관련된다. 절제의 범위와 영역은 육체적 즐거움에서 미각과 촉각의 즐거움 이상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절제의 기준과 변수는 대상, 양, 그리고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절제와 중용은 양립될 수 있으며, 절제를 통해 중용의 덕들이 함양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절제를 함양하는 방법으로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에 절제 함양을 위해 ‘습관 설계 법칙’ 5단계를 제안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도덕성 분석을 통한 절제교육 방안 연구

        송석재 ( Seok Jae S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본 연구는 도덕성 분석을 통해 절제교육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양에서는 공자와 정약용을 서양의 경우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를 그 대상으로 삼았고, 공자의 경우는 인(仁)을, 정약용은 사덕(四德)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용의 덕을, 칸트는 정언명법을 도덕성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도덕성은 서로 그 내용과 성격은 다르지만 모두 절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문제는 절제능력의 형성인데, 절제능력을 길러주는 방법은 다양하고 많다. 하지만 여기서는 강화, 즉 상과 벌에 주목해 보았다. 그 이유는 강화로서의 상과 벌은 행위의 기준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절제능력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인 모델링, 격리, 설득 등과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도덕교육이 도덕성을 함양, 확충하는 것이라면, 우리는 도덕성과 공통적으로 관계하는 절 제능력의 형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고, 게다가 절제능력의 형성이 상, 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우리는 도덕교육 방법으로 상과 벌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This study is trying to find what temperance education is the most effective through analyzing morality. For this study, Confucius and Jung yak-yong in the Orient are adopted as a target, Aristoteles and Kant in the West are also adopted. The analyzing is performed on the premise that Confucius`s morality is based on benevolence, Jung yak-yong`s morality is based on four virtues, Aristoteles` morality is based on the virtue of mean, and Kant`s morality is based on categorical imperative. Through the analyzing, even though each morality has different contents or types, it is made firm that each morality is premised on temperance. The solution consists in forming temperance ability, and there can be various ways of building up temperance ability, but the most effective way is to praise or punishment. Because both praise and punishment do a primary role i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a moral behavior and When praise and punishment go side by side with modeling, isolation and reasoning which are another ways to help build up temperance ability, they are very significant as moral education method in view of being able to maximize the effect. In short, if moral education is to cultivate or to expand morality, to form temperance ability is needed. and as temperance ability is built up by praise or punishment in general, we cannot help paying attention to both praise and punishment as moral education method.

      • KCI등재

        차티스트 빈센트의 금주운동 도입과 갈등

        남철호 ( Nam Cheol-ho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8 No.-

        This theme focused on the Teetotal Chartism problems in the 19th century British society. I have followed the revisionist`s views. I have two results in this study. Firstly, although the chartists and temperance movements have not lacked historians, teetotal chartism is now forgotten. Late victorian teetotalers wanted to stress their movement`s political and religious respectability, but also to play down its disagreements with the organized working class. Fusion between Chartism and temperance in the 1840s was far from inevitable. But teetotalers, Henry Vincent, William Lovett, and Collins disliked F. O`Connor. It have originated Chartism. Secondly, chartists found a temperance alignment difficult. 1) It cut across the sociability that helped the movement to cohere. 2) Religion caused more difficult, and 3) Class loyalties offered a third obstacle to teetotal Chartist union. But, the long-standing radical attitudes and pragmatic necessities were carried forward into Chartism by the London craftsmen who founded the new movement. From the mid-1830s onwards, loosely-affiliated, non-religious, and only half-acknowledged working men`s temperance groups and individuals clustered on the fringe of organized teetotalism, and by the late 1830s some Chartists were publicizing affinities between Chartism and temperance. Henry Vincent was among the movement`s supporters in spring 1841. Why did Teetotal Chartism prosper at this time? Unfavourable economic circumstances accentuated the Chartists` continuing concern with poverty, and the evils associated with drunkenness were so patent that many Victorian reformers were tempted to exaggerate its salience among poverty`s causes. Teetotal Chartists found in drink the reason why their movement had crumbled before government repression during 1839. Teetotal Chartism flourished after 1839 largely because the events of that year, the need for a middle class radical alliance. Vincent`s temperance manifesto produced a second wave of Teetotal Chartist societies early in 1841. Teetotal movement was popular with shopkeepers, small employers and artisans. And Vincent and Lovett were not pursing an impossible political alliance. Teetotal Chartism in 1840s was a nutrition which 19th Chartism have continued. I have convinced that this study caused an educational effect some extent if being published as planned, and as studied.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nch64610@chol.com)

      • KCI등재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절제와 시민교육

        장지원 ( Chi Won C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3

        이 논문은 플라톤의 『법률』에 등장하는 절제(sophrosyne)와 시민교육의 의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플라톤은 『법률』에서도 『국가』와 같이 한편으로는 이상적 인간상 및 정치체제를 고민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법률』에서 그는 폴리스의 구성원들이 절제를 통해 좋은 습관을 갖는 것을 기초 교육으로 정의하고 이를 지향했다. 『법률』에서 절제는 시민교육의 목적이며 절제의 함양은 합창가무(chorus)와 전문(prooimion)을 통한 설득으로 완성된다. 차선의 공동체 마그네시아(Magnesia)는 시민들을 절제의 덕으로 습관화시킬 때 훌륭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is study is for enhancing the boundaries of educational thought of Plato, especially by analyzing his latest work Nomoi.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lato`s educational thought based on Politeia, however Nomoi has many ideas and implications on education for Magnesia, ideal city described in Nomoi. In Nomoi, he defined education as having good habit and custom, and emphasized temperance(sophrosyne). The meaning of temperance is applied to both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and education of citizen in Magnesia. Children internalized sophrosyne by practicing chorus(singing and dancing). Citizen is Magnesia naturally obey and agree with the law because in law in Magnesia, there is prelude which announce the meaning, object, and outcome of obeying the laws. Playing chorus and persuading the people by preludes are means to make Magnesia temperat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무감각과 그 용례를 통한 절제의 이해

        윤대열 새한철학회 2023 哲學論叢 Vol.113 No.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ain insensiblity(anaisthesia) that presented in Nicomachean Ethics Ⅲ. 10-15. To achieve this aim, I suggest two ways. One is to examine the use of insensiblity. I will examine the uncommonness, which is a difficulty of approaching insensiblity. The other is to confirm what anaisthesia can means ethically in endoxa(the common opinios). Aristotle discusses Nicomachean Ethics based on endoxa, but he mentions that insensiblity is a case that generally hard to find. This paper start from this one contradiction. As a result, Aristotle’s anaisthesia may be rare in terms of human nature, but it is not a vice independently claimed by Aristotle, and there are things in common with Aristotle’s insensibility among other everyday remarks. Through this process,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insensibility is not simply a vice related to temperance, but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judgment, belief, and counting based on that sense, and I will explain what Aristotle’s own insensibility is an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Aristotle’s temperance. 본 논의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3권 10장부터 12장에 나타나는 무감각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무감각의 용례를 검토하는 것이다. 무감각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인“드물음”에 대해서 검토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무감각이 일반적인 통념 안에서 윤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통념에 기반하여 논의를전개하는데 반해, 무감각은 일반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사례라고 언급하는 이 한 가지 모순점에서 출발한다. 결과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야기하는 무감각이 일반적으로 많지 않다는 설명은 인간 본성적인 측면에서 드물 수는 있지만, 외부의 다른 일상적인 발언들 속에서도 아리스토텔레스와 공유할 수 있는 무감각의 발언이 있음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감각이 단순히 신체적 감각과 관련된 악덕이 아니라, 그러한 감각에기반한 판단과 믿음 그리고 헤아림의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며, 이러한 가능성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 고유의 무감각은 무엇일 수 있는지 그 방향성을모색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절제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낭만주의적 시의식과 내면 탐구 -1930년대 후반 문단과 노천명의 초기시

        김진희 ( Jin Hee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5

        1931년부터 『이화』의 주요 필자로 활동하기 시작했던 노천명은 1938년 첫 시집 『산호림』 출간 후, 감정의 절제라는 측면에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이 글은 1930년대 후반의 문단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감정의 절제``를 현대시의 특성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이를 통해 노천명 시인이 갖는 문학사적 위상을 규명하고 있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서정시의 핵심은 시인이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시인의 주관성이나 내면성과 연관된다. 특히 자기탐구의 문제는 1930년대 서정시의 새로운 국면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 노천명의 작품이 다양한 퍼소나들을 통해 내면의 성찰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은 현대시의 본질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낭만주의적 의식은 현실 너머를 꿈꾸는 현대적 시인으로서의 자의식의 근원이 되는 한편, 노스탤지어와 그리움, 고통과 소외의식에 반응하게 만드는 허무의식의 심연으로 작용하는데, 이런 특성은 부재와 결핍을 환기하는 당대 역사성을 함축한다. 그리고 감정의 절제라고 포괄적으로 평가되던 노천명의 시인으로서의 능력은,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여성적이고 현대적인 시법을 구사함으로써 새로운 언어 감각으로 확장되고 있다. 노천명 시인은 1930년대 후반, 1930년대 시문학이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자아의식의 탐구와 현대적 언어 감각의 발견 등을 통해 현대시의 내면을 성숙시킨 시인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이다. When her first collection of poems Sanholim (The Coral Forest; 珊瑚林) was published in 1938, Noh Cheon-Myeong had been writing for the Ewha (Pear Blossoms; 梨花) as one of the main members since 1931. She got spotlit with her emotional temperance. Considering the trend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is paper concretely defines the ``emotional temperance``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which eventually examines the status Noh Cheon-Myeong ha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modernistic sense, the essence of lyrics is for a poet to reveal her own feelings, which should be related to subjectivity or internality. The matter of self-exploration, in particular, can be a new aspect of lyrics of the 1930`s. This nature of modern poetry can be clearly seen in Noh`s poems, which pursue introspection through a variety of personae. Meanwhile, the sentiment of romanticism serves as an abyss of nihilism that responds to nostalgia, longing, agony, and alienation, as well as becomes an origin of self-consciousness for a modernistic poet who dreams of something beyond the reality. This feature implies the historicity de nos jours which evokes absence and deficiency. Cheon-Myeong Noh`s potential as a poet, which has been largely appreciated as emotional temperance, is extending to a new sense of language based on inheritance of the tradition and feminine and modernistic prosody Noh can be positioned as a poet who made it possible to mature the inner side of the modern verses in the late 1930`s, via examination of self-consciousness and discovery of a modern linguistic sense on the basis of what the poetic literature achieved in the 1930`s.

      • KCI등재

        헬레니즘철학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영혼 훈련 개념

        장영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9

        This Treatise is aimed at examining how ‘psyche’ and ‘askesis’ to be changed from classical Greek philosophy and Hellenistic philosophy to early Christianity. Psyche is integrating concept in Greek philosophy, which is formed a unified system from it’s various roles and functions. Early Christianity chooses not psyche but pneuma, and regard to be ontologically superior pneuma to psyche. However psyche and pneuma have a similar meaning, and pneuma has a material images much more than psyche. Futhermore temperance and self-restraint are main concepts relating askesis in Greek philosophy. We are temperate by self-restraint. If we want to be happy, we have to pursue to exercise of temperance. The practice of the soul in Greek philosophy was influenced to spiritual exercises in early Christianity. It has not only self-control and self-restraint but also a metaphysical aspect of selftranscendency. Though the practice of the soul is just in need of our effort, spiritual exercises is in need of God’s help in addition. All of the practice of the soul and spiritual exercises are aimed to change the way of life to enjoy the best life. But they have a difference not in method, but in external features. 본 논문은 특히 그리스 고전기로부터 헬레니즘 철학의 영혼 훈련 개념이 초기 그리스도교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영혼과훈련의 개념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스철학의 영혼개념은 그리스 서사시와 비극으로부터 철학에 이르기까지 상당기간에 걸쳐체계화된 통합 개념이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도교에서는 프쉬케가 아닌 프네우마를 선택하였을 뿐만 아니라 프쉬케보다 프네우마를 존재론적으로 우월한것으로 설정한다. 사실 그리스에서 프쉬케와 프네우마는 일차적으로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생명력과 관련하여 어떤 측면에서는 프쉬케보다는 프네우마가 훨씬 물질적 이미지를 강하게 가지고 있다. 실제로 그리스철학에서는 프네우마보다는 프쉬케가 영적 이미지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월적인 ‘영’으로서의 프네우마의 선택은 그리스철학의 전통적 개념과 구별하기 위한 초기그리스도교의 선택이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나아가 그리스철학에서 훈련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개념들이 바로 절제와 극기이다. 우리는 극기를 통해 절제를 획득하게 된다. 만약 우리가 행복하게살기 원한다면 반드시 절제하기 위한 훈련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스 철학의영혼 훈련은 방법론적으로 초기그리스도교의 수도자들의 영성 훈련에 많은영향을 미쳤다. 그리스도교의 영성 수련은 그리스철학의 영혼 훈련의 자기지배 및 자기 극복의 윤리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신과의 관계에서 자기 초월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그리스철학의 영혼 훈련은 진리를 인식하기 위한 자기 자신의 노력에 의해 가능하지만, 그리스도교의 영성수련은 자기 자신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신에 의한 구원이라는 능동적인 측면과 수동적인 측면이 있다. 그리스철학과 그리스도교에서 영혼 훈련은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가장 좋은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데목표가 있다. 나아가 기본적으로 영혼을 훈련시키는 방법에서 상호 유사성이나타나지만 그리스도교의 자기초월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차이점이 있다.

      • 헬레니즘철학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영혼 훈련 개념

        장영란 ( Chang Young-r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 존재론 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특히 그리스 고전기로부터 헬레니즘 철학의 영혼 훈련 개념이 초기 그리스도교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영혼과 훈련의 개념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스철학의 영혼 개념은 그리스 서사시와 비극으로부터 철학에 이르기까지 상당기간에 걸쳐 체계화된 통합 개념이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도교에서는 프쉬케가 아닌 프네우마를 선택하였을 뿐만 아니라 프쉬케보다 프네우마를 존재론적으로 우월한 것으로 설정한다. 사실 그리스에서 프쉬케와 프네우마는 일차적으로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생명력과 관련하여 어떤 측면에서는 프쉬케보다는 프네우마가 훨씬 물질적 이미지를 강하게 가지고 있다. 실제로 그리스철학에서는 프네우마보다는 프쉬케가 영적 이미지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월적인 ‘영’으로서의 프네우마의 선택은 그리스철학의 전통적 개념과 구별하기 위한 초기그리스도교의 선택이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나아가 그리스철학에서 훈련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개념들이 바로 절제와 극기이다. 우리는 극기를 통해 절제를 획득하게 된다. 만약 우리가 행복하게 살기 원한다면 반드시 절제하기 위한 훈련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스 철학의 영혼 훈련은 방법론적으로 초기그리스도교의 수도자들의 영성 훈련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리스도교의 영성 수련은 그리스철학의 영혼 훈련의 자기 지배 및 자기 극복의 윤리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신과의 관계에서 자기 초월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그리스철학의 영혼 훈련은 진리를 인식하기 위한 자기 자신의 노력에 의해 가능하지만, 그리스도교의 영성 수련은 자기 자신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신에 의한 구원이라는 능동적인 측면과 수동적인 측면이 있다. 그리스철학과 그리스도교에서 영혼 훈련은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가장 좋은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데 목표가 있다. 나아가 기본적으로 영혼을 훈련시키는 방법에서 상호 유사성이 나타나지만 그리스도교의 자기초월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차이점이 있다. This Treatise is aimed at examining how ‘psyche’ and ‘askesis’ to be changed from classical Greek philosophy and Hellenistic philosophy to early Christianity. Psyche is integrating concept in Greek philosophy, which is formed a unified system from it’s various roles and functions. Early Christianity chooses not psyche but pneuma, and regard to be ontologically superior pneuma to psyche. However psyche and pneuma have a similar meaning, and pneuma has a material images much more than psyche. Futhermore temperance and self-restraint are main concepts relating askesis in Greek philosophy. We are temperate by self-restraint. If we want to be happy, we have to pursue to exercise of temperance. The practice of the soul in Greek philosophy was influenced to spiritual exercises in early Christianity. It has not only self-control and self-restraint but also a metaphysical aspect of selftranscendency. Though the practice of the soul is just in need of our effort, spiritual exercises is in need of God’s help in addition. All of the practice of the soul and spiritual exercises are aimed to change the way of life to enjoy the best life. But they have a difference not in method, but in external features.

      • KCI등재

        고대정치에서 입헌주의 관념에 관한 연구

        조찬래(Cho Chan-Rai)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3

        The Idea of constitutionalism in ancient politics may be considered as the institutional device for protecting the rights of individual by setting the limits on the public sphere. Despite its importance to actual politics, it has not received the enough attention by many political philosophers. This article is meant to clarify the specific nature and meaning of the idea of constitutionalism in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by analyzing its transforming process systematically. Plato's idea of constitutionalism may aim for building up a political community that is to treat law as the supreme power and achieve the virtue of temperance. The temperance may hep cultivate the minds of respect for state institutions and attitudes of obedience for legalistic purposes among the members of the political community. It may be more important for them to put them into practice as molded into their minds by education like the social custom. Building on this idea of Plato, Aristoteles can develop his idea of constitutionalism which has been estimated to take a major step forward. His constitutionalism that may be possible in the ideal state, include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rule by law, common interest, rule over willing subjects and oneness of good man and good citizen. These elements may work as the institutional guideline to evaluate the actual states and raise their political and moral conditions. Although the ideas of constitutionalism of Plato and Aristotle may contribute to realizing the legality and legitimacy of political power, they have the problems in that they may not overcome the bounds of ancient times, and do not suggest the legal remedies to carry out constitutional rule in some detail as well.

      • KCI등재

        엘리자베스 펠프스의 금주 소설을 통해 본 금주 운동의 의의

        안동현(Ahn, Dong-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본 논문은 엘리자베스 펠프스의 세 편의 금주 소설을 통해 금주 운동의 성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교 사회주의자였던 펠프스는 금주 운동가였고 그녀의 금주 소설들은 이러한 관심사를 표현한다. 금주 운동에 대한 그녀의 관심은 하층민과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과 일맥상통한다. 『친구들: 듀엣』은 릴라이언스 스트롱이라는 이름의 젊은 여성의 이야기다. 그녀는 중산층 여성으로서 보호받는 삶을 살았지만 금주 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다. 소설은 금주 모임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그려내 독자들이 금주 운동에 대해 우호적 태도를 갖도록 한다. 『어부 잭 이야기』는 술이 잭의 삶을 어떻게 파괴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 소설은 술의 위험에 대해 독자들에게 경고하는 역할을 하며, 교육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이한 삶』은 금주 운동을 위해 자신의 삶을 바치는 한 성직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주인공 베이어드는 술로 인해 삶이 망가진 사람들을 돌보고, 사람들이 술을 마시지 못하도록 마을 술집을 폐쇄하려고 한다. 그는 이런 노력으로 인해 목숨을 잃는다. 술의 생산과 유통을 막으려는 그의 시도는 궁극적으로 금주 운동가들이 원했던 것이었고 이 시도는 수정헌법 18조인 금주법으로 결실을 보았다. 금주법이 14년 만에 폐지된 것은 금주법 자체의 문제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상황에서 금주 운동이 왜 필요했는지, 술로 인한 폐해가 어떠한지, 금주 운동가들이 그 현실을 바꾸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를 생생하게 그린 그녀의 금주 소설들은 위대한 성취로 기억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temperance movement through Elizabeth Phelps’s three temperance novels. As a Christian socialist, Phelps was an activist for the temperance movement and her novels embody this interest of hers. Her interest in the temperance movement is in line with her interest in the lives of the working class and women. Friends: A Duet is a story of a young woman named Reliance Strong. She has lived a sheltered life, but by participating in the temperance movement, she discovers her value and finds meaning in her life. The novel paints the events in the temperance meeting in a positive light, which makes readers receptive to the temperance movement itself. Jack the Fisherman focuses on how alcohol ruins the protagonist’s life. The novel serves as a warning to the reader about the dangers of alcohol,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ne’s education and environment. A Singular Life deals with the story of a clergyman who dedicates his life for the temperance movement. The clergyman looks after those whose lives have been ruined by alcohol and tries to shut down town bars to prevent people from drinking. His life gets threatened, and he eventually loses his life because of these efforts. His attempt to close down bars and to take alcohol out of circulation was ultimately what the temperance activists wanted. This attempt came to fruition with the Prohibition. The repeal of the Prohibition just after 14 years reveals the problems of the Prohibition itself. Nevertheless, Phelps’s temperance novels, which vividly depict why the temperance movement was necessary at the time, what the evils of alcohol were, and what efforts the temperance activists made to change that reality, should be remembered as great achie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