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손정위 ( Jeong We S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기독교종교교사들의 삶과 경험을 자료로수집하여 그들의 삶과 경험이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결과를통해서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4학년40명과 대학원생 5명이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 그들의삶의 이야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였고 그 문제에대한 답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하게 하여 내러티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여러 차례의 자료수집 강화 과정을 통해서 학부생 28명과 대학원생3명, 총 31명의 자료가 채택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각 문제마다예비교사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이야기가 무엇인지에 집중하였고, 이야기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주제어 중심으로 정리하였는데, 빈도가 흔한 것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예비교사에게 아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내러티브에도 집중하였는데, 그 특별한 이야기와 교사 정체성 형성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내러티브의 종합적인 의미를 해석하였고 논의를 통해서기독교예비종교교사의 새로운 정체성의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들이 정체성을형성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들은 부모님들이었으며, 그분들의희생과 사랑의 정신이 그들로 하여금 희생과 사랑의 교사라는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으로는 수업에서선생님이 자신의 마음을 열고 학생들과 교감한 것을 많이 언급하였는데, 이 경험이 수업에서 인격적으로 학생들과 교류하는 교사의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서 자신을 더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사로서의 모델이 될 만한 현직교사를 만남을통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의정기적인 행사뿐 아니라, 자신의 인생의 삶에서 경험하였던 여러 가지일들이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는데, 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 관련된것이었다. 이는 사람을 돌보고 이해하고 회복시켜주는 경험들이었고, 이 경험들이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과 관련해서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인성교육과 교사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장치로서 교사 실행 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한논의를 전개하였다. 기독교 종교교육의 고유성을 지킬 수 있는 성경과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내용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experience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and his/her teacher`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is study researches new possibility about the identity of Christian religious teacher. This study is process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carry out this project, 40 senior students and 5 graduate students are involved. This study collects research data by having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make narrative of his/her whole life in relation with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also, through out severe data collecting process, finally the data from 38 senior student and 3 graduate students are collect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by careful data reading and categorizing the data with key words presented in their narrative. This categorization is used to find out what elements of life experience influence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s a result, parent`s influenc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in terms of influencing teacher`s identity formation, this influence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 of love, commitment, trust presented parent`s life. In addition, the most impressive classes are connected with teacher`s attitude of try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in class, this teacher`s attitude influences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also, life experience in the campus as well as campus out side influence teacher identity formation, this experience mainly connected with caring, serving, servant-hood. In a discussion, this research proposes humanism education in regard to new identity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because the main elements of humanism education are similar to elements which make help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forms his/her identity. Because this humanism education is connected with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one of the most hot issues in Korean education system recently. And also, this project suggests the importance community of practice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because through out this community activity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can learn the heart of teacher which should be shared with students in the class, which is one of key points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eculiarity of Christianity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수업의 표현성에 관한 탐색

        한광웅(Han Kwang W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1

        사회과수업은 교사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타자이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실천이다. 사회과수업과 교육과정, 그리고 교사의 정체성을 하나로 묶는 개념이‘수업의 표현성’이다. 교사의 정체성은 사회과수업을 떠나서 알 도리가 없다. 사회과수업은 교사의 가치, 신념, 지식이 총체화된 표현이다. 교사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사회과수업이란 거울을 통해서 모습을 비추어봤을 때뿐이다. 또한, 사회과수업은 단순히 교육과정 텍스트의 적용이나 실행이 아니다. 사회과수업은 넓은 의미에서 교육과정의 범위에 속한다. ‘수업의 표현성’의 맥락에서 교육과정 텍스트는 사회과수업이란 표현의 결과이다. 전통적인 시각은 교육과정 텍스트를 수업이란 결과를 낳는 원인으로 취급한다. 그러나 수업은 교육과정 텍스트의 원천이라는 점에서 표현의 행위이다. 이런 점을 망각할 때, 교육과정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동시에 교사 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수업의 잠재력은 주변화된다. 표현주의 인식은‘수업의 표현성’의 능동적, 적극적, 실제적 의미에 주목한다. 수업은 교사 정체성을 새롭게 만들어 나가는 매개라는 점에서 능동적이다. 교사 정체성과 수업은 활발히 상호작용한다. 교사 정체성은 수업에 영향을 주며 수업은 교사 정체성이 구성되는 원천이다. 사회과수업은 교육과정 텍스트의 단순한 그림자가 아니다. 사회과수업은 교육과정 텍스트에 혼을 불어넣고 숨을 쉬게 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이다. 표현주의 인식은 수업을 교육과정과 교사 정체성의 수동적인 반영물로 취급하는 표상주의 인식에 대립한다. 그리고 사회과수업은 좀 더 적극적 의미를 갖는다. 왜냐 하면, 사회과수업은 교육과정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교사 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결절점이기 때문이다.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the other construct teacher’s identity and praxis reconstruct curriculum. ‘Expressivity of instruction’ is the concept tie social studies instruction, curriculum, and teacher’s identity. Teacher’s identity do not know that break off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the expression totalize teacher’s value, belief, and knowledge. The method for understanding teacher’s identity is at the time that reflect appearance through the mirror is nam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does not apply or action curriculum text. Social studies instruction belong the boundary of curriculum in a broad sense. In the context of ‘expressivity of instruction’, curriculum text is a result as expression call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Traditional perspective treat curriculum text as cause bear instruction. But instruction is expressive action on point of curriculum text’s source. Instruction potentiality is excluded when forget this. Expressionism pay attention to active, positive, practical meaning for ‘expressivity of instruction’. Instruction is active because make teacher’s identity newly. Teacher’s identity and instruction inter-act lively. Teacher’s identity effect instruction and instruction is the source construct teacher’s identity.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not curriculum text’s shadow simply.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practical because infuse a soul and breathe at curriculum text. Expressionism is conflict with presentationism treat instruction as passive reflection of curriculum and teacher’s identity. Social studies instruction have better positive meaning. Because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a node that reconstruct curriculum newly and make teacher’s ident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동료교사 및 관리자 신뢰의 매개효과

        고정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and peers, director’s trust on term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 were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life adaptation variable centering arou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 were private establishment kindergarten 249 teachers in gyeong sang nam do and questio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aimed at this students during 2 weeks.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identity, self-efficacy and peers, director’s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question material was collected and collected question material was analyzed using SPSS 23 program.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identity, self-efficacy and peers, director’s trust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Second, self-efficacy and peers, director’s trust had mediated effect partly on term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s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relevant variable’s relative influen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is study result, plan to reinfor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identity, self-efficacy and peers, director’s trust had to devise for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개인적 특성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적 특성의 동료교사 및 관리자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남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1년 3월15일부터 26일까지 2주간에 걸쳐 구글 설문지폼을 통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 자기효능감, 동료교사 및 관리자 신뢰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정체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동료교사 및 관리자 신뢰의 부분매개효과는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유치원 조직에 대한 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로서 직업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기효능감과 동료교사 및 관리자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유아교사가 직업정체성과 자기효능감, 동료교사및 관리자 신뢰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는 사회적지지와 안정감 있는 기관의 운영 등이 밑바탕 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우리 사회는이러한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직에서 남교사의 정체성 탐색

        안아라(Ah Ra Ahn),김한별(Hanbyul Ki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남자 교사를 대상으로 교직 생활 가운데 겪은 다양한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들에서 남성의 경험들은 주로 외부, 특히 여성과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서술되어 왔으며, 그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내면적 갈등과 충돌, 그리고 저항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설계하여 대도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남교사 6명과의 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남자 교사들은 스스로를 여성적 생활양식에 적응해야 하는 소수화된 존재,‘관대한 호랑이 선생님’같은 존재, 학생 성별에 따라 자신의 섹슈얼리티가 조절되어지는 존재, 다양한 학교업무를 감당할 수 있는 전문 일꾼, 관리자가 유용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협력 대상자, 승진에 관심을 갖는 것이 당연한 존재, 그리고 초등학교 남자교사에 대한 사회의 이중적 인식을 자각하고 있는 존재로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직의 여성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견되는 남자 교사들의 위기의식 및 무력함, 의존성, 그리고 권력의 모순적 경험들을 밝혀냄으로써 소수자로서 남교사들에 대한 이해 및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king a look at identiti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analyzing their school experiences. In most previous literatures, experiences of male teachers were discussed mainly based on their interactions with female co-workers. In this process, their internal conflicts, clashes or resistances, which they encountered, were overlooked. Thus, this paper will critically analysis experiences of male elementary teachers as minorities within educational context to answer the question that is what identities perceived by themselves are in terms of their works and social relationships. To get the answers to this questi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designed for six male elementary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The study reveals seven identiti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An identity as a minority within environments having a preponderance of female teachers; 2) an identity as a teacher having two contradictory roles, which are a generous facilitator and a strict role-model/punisher of student’s behaviour; 3) an identity as a role-model with selectable gender images according to students' sex; androgynous images for girls and masculine role-models for boys; 4) an identity as a pivotal workforce for school works requiring physical strength; 5) an identity as a helper in close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with school administrators; 6) an identity as a male teacher who is expected to have successful careers whether or not he wants, particularly, for being an school administrator; 7) an identity as a being who has a double standard to male elementary teachers, one is positive personal job-satisfaction and another is negative images about male-teachers because of a relatively low social status of male elementary teachers. In conclusion, as a number of female teachers has been increased, school and teacher cultures become more female-dominated. Within this context, male elementary teachers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negative emotions such as consciousness of crisis, feebleness, and dependence. In this regard,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ir features as male-teach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 KCI등재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이은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ominant discourses about art teachers’ identity in terms of A. Moore’s teacher identity research and prospect the new identity turn through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According to Moore’s point of view, dominant discourse about art teachers’ identity summarizes in 3 images in which are charismatic art teacher who has artistic aura, competent craftsman who has highly art training skills,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who can apply personal reflective thinking. Most art teachers have been conducted in one dominant discourse as an art teacher. However,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provides a whole new perspective for art teachers on identifying the good art teacher. A characterization of ‘The reflexive turn’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self in the reflexive process”. ‘The self’ in this case means not ‘Cartesian self’ but ‘self as a Text’ which is interpreted again at any time. In addition identifying as an art teacher is not fixed one dominant point at all. It can also be reconstructed based on a teacher’s sociocultural, individual contexts. This article presents the conception of “The reflexive turn” in terms of A. Moore & A. Giddens theory. Furthermore, this article puts forward 3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in identifying the good Art teacher. The 3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good reflexive turn as an art teacher are realization of a teacher’s individual life conditions and teacher’s teaching narrative, research in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backgrounds, and the return to phenomenon of teaching itself in class experience. All of these things are essential to an art teacher's reflexive identity turn. 미술 교사는 자신을 어떻게 규정하며 어떠한 종류의 교육적 행위를 하는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미술 교사 정체성에 관한 담론 분석이자 기든스(A. Giddens), 무어(A. Moore)등이 제시한 ‘성찰적 전환’ 개념에 비추어 새로운 방향으로의 정체성 전환을 전망하고자 한 것이다. 더불어 이 시대의 미술 교사가 성찰적 전환을 통한 정체성 형성을 위해 주목해야 할 점을 찾고자 하였다. 교사 정체성에 관한 지배적 담론들에 비추어 볼 때 미술 교사의 정체성은 예술가의 아우라(aura)를 지닌 감화자로서의 교사, 학생들이 미술 기능을 매우 체계적으로 익히도록 알려주는 조형 기술자로서의 교사, 미술을 왜 가르치는지 반성하고 예술의 가치에 관해 고민하며 적용하는 반성가로서의 교사로 정리된다. 대부분의 미술 교사들은 지배적 담론들의 한 입장에 자신의 정체성을 고정시켜 왔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토대 위에서 미술 교사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새로운 전환이 가능하다. 교사 정체성은 공동체적 신념에 의해 획일적으로 주어지는 정체성이 아니라 개인의 ‘전기적 서사’에 근거한 성찰을 통해 능동적이고 다원화되어 나타나는 복수의 정체성을 지향한다. 여기에는 삶의 다양한 맥락과 조건이 관계하며 한 번 형성된 교사 정체성은 고정불변의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성찰적 전환’을 통해 계속적으로 자리매김하는 역동성을 지닌다. 미술 교사 정체성의 바람직한 ‘성찰적 전환’을 위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수업의 장(場), 현상 자체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으로 드러나고 형성되는지 교사 자신의 내러티브를 텍스트로 삼아 진지하게 성찰하는 방식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좋은 미술 교사’의 모습은 어느 한 지점에 좌초되지 않으며 교사 자신의 개인적 ‘자아’와 연관하여 끊임없이 정체성의 재구성을 실행하는 ’되어가는(becoming)‘ 과정 안에 있다.

      • KCI등재

        자기성찰과정에서 나타난 햇빛어린이집 교사의 정체성 탐색

        이미경(Mi-kyung Lee),배지현(Jee-hyun B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햇빛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정체성이 교사역할의 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햇빛어린이집 교사 7명을 참여자로 Pinar의 자서전적 방법, 심층면담, 참여관찰, 저널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정체성과 교사역할 실제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자아정체성``은 너 자신을 알라-나 자신에 전념하기, 존재의 발생-내가 알고 있던 나와 내가 알지 못하던 나, 내 안으로부터의 공명-자기성찰의 목소리, 위버멘쉬의 여정-진정한 교사되기로, ``사회적 정체성``은 수치심과 혼돈의 미로, 관계 속에서 나 찾기, 열린 가능성으로 살아서 움직이기로 나타났다. 교사의 정체성이 교사역할의 실제에 미치는 영향은 ``나처럼 해봐`` 대 ``나와 함께 해보자``와 ``차이와 반복`` 창조하기- ``배우고 실천하면 기쁘지 아니한가``로 탐색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을 인식함은 자기 주체적 교육실천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teacher identities of nursery teachers. We explored the identities of 7 teachers and the way they reflect on the teacher``s identity and role through a series of methods including Pinar``s autobiography method,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journal writing.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8 September 2015 and 25 March 2016.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classified the self-identity that the teachers of Sunshine Nursery recognize into 4 categories: ``Know Yourself``- committing to myself; Occurrence of Existence - myself that I have known and I have not; Echoes of Inner Self -voice of self-reflection; and ``Ubermensch``s Journey`` - becoming a true teacher. We classified social identity into 3 categories: Maze of Shame and Chaos; Finding Myself within Relationship; and Moving Alive with Open Possibility. We classified teacher identity and the teacher``s role into 2 categories: ``Follow Me`` vs ``Let``s Do It Together``; Creating ``Difference and Repetition`` - Isn``t it pleasant to learn and practice. By recognizing their identity, teachers could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6名の高校日本語教師の語りからみられる教育観

        金義泳(김의영)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41

        본고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치는 6명의 교사들의 개인사에 주목하여 인터뷰조사를 실시하고 그 인터뷰 내용에 나타나는 6명의 교육관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우선, 6명의 교육관이 중등교육기관의 교육자로서의 교육관(본고에서는「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라고 한다)과 일본어를 가르치는 수업실천자로서의 교육관(본고에서는「일본어교육관」이라고 한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6명의 일본어교사의「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의 특징은, 교직에 대한 긍지와 정열을 가지고 있고, 학생들에게 애정을 갖고 교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신을 학생들의 전인격적 케어를 하는 사람으로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6명의 일본어교사의「일본어교육관」의 특징은, 일본어교육의 목표를 단순히 일본어라는 말의 습득에만 두는 것이 아니라, 일본문화이해,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 학생의 미래에 연결되는 일본어교육과 같이, 발달단계에 있는 고등학생의 인간형성교육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으로부터 고찰할 수 있는 것은「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가「일본어교육관」에 영향을 주며「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는「일본어교육관」의 토대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와「일본어교육관」은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중등교육의 커다란 목표인 인간형성교육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carry out an interview survey focused on the life history of 6 teachers who teach the Japanese language at the high school,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6 teachers" educational views appearing in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As a result, first, it was known that 6 persons" educational views are categorized as the educational view of the educators of the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in this research, called as「Identity as a teacher」) and the educational view of a class executor teaching the Japanese language (in this research, called as 「Educational view on the Japanese language」). The characteristic of 「Identity as a teacher 」of 6 Japanese teachers lies in that they have pride and passion on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interact with students with affection. Therefore,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a person presenting the whole personal care for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Educational view of the Japanese language」of 6 Japanese teachers, has its objective of Japanese education not simply in acquiring the speech of the Japanese language, but in executing the human formation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er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such as understanding of Japanese culture, student"s building of values, students" Japanese education connected to the future. What is considered from this content is the fact that 「Identity as a teacher 」affected「Educational view on the Japanese language 」and 「Identity as a teacher」becomes the foundation of「Educational view on the Japanese language」. That is to day, 「Identity as a teacher 」and「Educational view of the Japanese Language」affect each other closely and pursue the human formation education which is a great objective of the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교사 정체성 논쟁에서 generalist 관점에 대한 옹호

        이정표 ( Lee Jung Pyo ),김준 ( Kim J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ntroversial issue for generalist versus specialist, which have been broadly classified as primary teacher’s identity so far, and to give priority to a specific viewpoint. For this, first of all, two perspectives were compared. The focus of both sides was different as 'subject' and 'class(children)' respectively. Based on that idea, specialist was conceptualized as a expert for subject matter and generalist was conceptualized as a expert for class/children. Next, the causes of how two perspectives influence the primary teacher's identity were revealed. As the result, the Subject(Discipline)-Centered Idea, National based(nation-led) Institutionalism and the Children-Centered Idea's theory were simultaneously working in primary school education. This phenomenon generated ironic situation that the primary teacher takes equally both of subject and children in their own major role. However, because the primary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self-contained teacher system, the primary teacher are highly likely to form their own identity as generalists(a expert for class/childre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희경(Hee-kyung Lee),유평수(Pyeong-su 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가?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확립은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모두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다 하더라도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보육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노력보다는 직업정체성을 확립하는 일과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job identity on care respecting infant"s righ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job identity of childcare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care respecting infant"s righ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care respecting infant"s rights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care respecting infant"s rights was significant.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job identity on care respecting infant"s righ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job identity on care respecting infant"s right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stablishment of job identity positively contributes to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care respecting infant"s right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a childcare teacher, the lower the respect that childcare gives to the rights of infan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이통일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민주시민자질·다문화신념의 매개효과 -

        곽연미,정대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3

        This study set national identity, democratic citizen’s virtues, and multicultural belief as influencing factors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in unification education, and intend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mocratic citizen’s virtues and multicultural belief with the national 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in unification educ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how it has suggested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infants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fluencing factors on an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in unification education and prepared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so as to increas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in unification education. 본 연구는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을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정하고,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을 독립변수로,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을 종속변수로하여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은 통일교육역량과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통일교육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순서대로 살펴본 결과, 민족정체성의 ‘객관적 특성’, 민주시민자질의 ‘참여와 책임의식’, 다문화신념의 ‘다문화 연계의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이 통일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유아통일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목적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더불어 유아교사들의 통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