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特別 公共行政組織에 대한 法的 規律

        김광수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서강법학 Vol.9 No.2

        By law, the national power of the Republic of Korea is divided into three independent powers, which are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These powers keep the balance by checking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legislative power belongs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judicial power to the court and the executive power to the government led by the President. The government (central public administration) consists of the president, prime minister, ministers of government branches, and other administrators. Constitutional Law Article 96 provides that the establishments and institutions of each administration branch shall be laid down by the law, which means the claim for democracy and rule of law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administrations. In addition to the ministries, national councils,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lso have their legal foundation in the Constitution. Under the rule of law for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law which stipulates the basic structure of it is the act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statute was enacted in 1948, with the Constitution, and it was honored as the first statute law in the history of Korea. Government organization act provides the presidency, the prime ministry,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s under the prime minister, and the organizations and duties of each ministry, As for loc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law was enacted and started to be enforced in July 4, 1949.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ises and falls, it now seems to be its way to progress. This report will make you surve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ith the current conditions, on the view point of changes and promotions of Korean public organization. But more direct and detailed discussions on the nation and local entities are omitted. Therefore, the following statements will be only about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Korea excluding those mentioned above(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For convenience, I call those organizations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My report contains the concepts of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II), changes of legal principles on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III), legal relations of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IV), rights and privileges of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V) regulations on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VI), the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remedy(VII),and the necessity for public reconsideration about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a row. A brief conclusion is added in the end of the report. The subject of administration is largely categorized into the nation and the public institutions for meeting various administrative demands of the people. The public institutions include local government, Public cooperation, public foundation, public establishment and public enterprises. Among these, the n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which have comprehensive public power are at the center of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Public corporations are the institutions founded by the people with certain qualities and purposes. These are different from private corporations in an aspect that their legal grounds and purposes are on the special public statutes. The instances of public corporations are the group of lawyers, that of doctors and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which are the groups of people with specific vocations. For other instances of special public association, first of all, there are city development associations, city improvement associations, whose purposes are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Cooperation of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agricultural corporations, fisheries cooperatives are the established public entities of people engaged in those corresponding businesses. Public foundations are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hich are endowed with status of public legal person for the properties given on special administrative purposes.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Korea science foundation are the cases. The public organization endowed with legal personality, both the human and material facilities complex which is established to carry out specific purpose in organizational law is called public establishment(o¨ffentlich-rechtliche Anstalt). Instances are Korea Broadcasting System, the Bank of Korea, Korean Highway Management Corporation, jail, libraries and museums, etc. Public facilities are distinctive from public establishment. Though they are the human and material utilities established for special national purposes, they are usually accepted as material facilities. However, in statutes,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term, public facility, as the term of public establishment. Special public organization differentiated from public establishment is a public enterprise. When we understand public enterprise as human and material compound facilities providing administration services for the people, we can hardly tell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But public enterprise can be differentiated from establishment when we consider public enterprises companies run by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for the public interest. New local special public organizations are being established continuously along with activations of local government. The act for local public enterprise provides that local enterprise such as local public company, Public corporation should be founded according to the related acts. To prevent too many establishments of local enterprises the law advises to scrutinize the necessity of a prospect local enterprise in the matter of influences and capabilities on the residents' welfare and local economy. Another business which is also differentiated from local enterprises is the third sector. This is a cooperated business activitie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ians. Some say that the third sector is all kinds of government-civilian cooperation including local enterprise, but strictly speaking, the third sector companies should have around 25%-50% of government investment, while local enterprise over 50% of that. A new law named 'The law for public enterprise management' is made to realize the management rationalization and to promote transparency. This law aims for the rational regulations on the various government institutions, substituting the former 'act for management of government invested companies' and 'act for management of organizations under the control of government'. In the following circumstances, as the government owns the highest investment proportion, as there is any investment ground in law, as government support is over 1/2 of the total income corresponding institution or group, as government and government related company or institution own the highest proportion, and finally as government or government related company invest, if needed, the minister of planning and budget appoints them to be the public organizations under this law consider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institutions' public character. By this law, public organization is sub-classified into public enterprise and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Being a public enterprise means that the amount of its income is over 1/2 in the total income(average amount for 3 years). As a rule, it is the President who appoints the head of public enterprise, while the executives of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are appointed by the head of management institution. There are supervisions on public enterprise by the minister of planning and budget as well as by the competent minister. The accounts of public enterprise and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company accounting to clarify the management results, property increase/decrease and phases of changes. For a process of the appointment of public organization executives, a recommendation committee is to be made up. The recommendation committee consists of non-existing directors and private committee members chosen by the directors' board. Public enterprise is sub-classified into market type and quasi-market type. Among the enterprises, if their asset volume and local government income are over certain extents in the total income, the companies are regarded as market type public enterprise. The others are thought to be quasi-market enterprises. Public organizations are guaranteed the independent self-control management to ensure the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New legal regulations to be introduced to public organizations are pre-assessments of establishment, public announcement of management system, etc. Currently Korea's changes and developments in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re in the huge stream of deregulation and privatization. Privatization can be visualized in many ways such as transfers of national tasks to the private companies, transfers of the rights of possessions or managements, and those of management modes and supervisions. The variety of government/public institutions mentioned before and different legal regulation modes reflect the various aspects of privatization. Recently a large portion of former governmental activities has been changed into private commissions and investments, which reflects far more active and complete privatization or deregulation phenomena. There should be certain regulations and remedies for public securities to prevent private companies from being immersed in the commercial interests when public works are done by the private investment groups. We are under the discussion that there should be clearly defined ways to insure the public interest in the law, legal orders and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lso, the way of regulations through administrative activities or conditions attached to them is being discussed. Korea's spe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has been greatly expanding due to the expansion of national activities and duties. Many kinds of laws are legislated and enforced as a way to regulate public entities organized with the administrative demands for their purposes. These laws have various kinds of legal principles for controlling public organization in both aspects of personnel and budgets and for ensuring public interest. Traditionally, discussions about public establishment have focused on the rule of law and have been used to explain the exceptional phenomena or to insist the necessity for legal regulations on the particular legal relations. The rule of law for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 personnel and budgetary regulations means the democratic supervision and surveillance on these activities. By the way, there has been a prominent tendency to take the efficiencies and results of public enterprise activities seriously lately. This means that effectiveness or market economy along with rule of law and democracy are deeply penetrated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fields. That is, while traditional establishment theory was the administrative view focused on public power, recent view is centered on public or economic interests. Public interest or publicity has so complicated meanings that we can not define it briefly. Public administrators who monopolized the public powers used to be thought to take all the duties for public welfare realization in the past. However, today we can see the tendency that the responsible entities and types of public welfare realization disperse. To achieve the aimed duties, the tasks of curr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ws' are to verify what the genuine duties of administration are and what the best ways and the most proper legal systems will be amid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with appearances of new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operation modes. 한국의 국가권력은 헌법에 의해 입법권, 행정권 및 사법권으로 3분 되어 있다. 이들 세 국가 권력은 상호 견제를 통한 균형을 유지한다. 헌법에 의하면 입법권은 국회에 속하고, 사법권은 법원에 속한다.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 (행)정부는 국무총리, 국무위원 및 행정각부로 구성된다. 국무위원은 행정각부의 장을 겸한다. 「대한민국헌법」 제96조는 행정각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행정각부 조직에 있어서의 민주주의 및 법치주의의 요청을 표현하고 있다. 행정각부 이외에 각종 국가자문회의, 감사원, 선거관리위원회 및 지방자치단체는 헌법에 직접 그 설립근거가 명시되어 있다. 행정조직 법정주의에 의하여, 행정조직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정부조직법」이다. 정부조직법은 1948년 헌법과 동시기에 제정되었으며 대한민국 법률 제1호의 영예를 차지하였다. 정부조직법에서는 대통령, 국무총리, 총리 소속 아래의 행정기관 그리고 행정각부의 조직과 직무에 대하여 규정한다. 그리고 지방행정에 관하여 1949년 7월 4일 법률 제32호로 「지방자치법」이 제정되어 실시되고 있다. 지방자치제도는 그 동안 여러 차례의 부침이 있었으나 현재는 순조로운 발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보고에서는 한국의 공공행정조직의 변화와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먼저 특별 공공행정조직의 종류와 그 특성을 개관하고, 최근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단, 주최측의 제시에 의하여 국가와 지방자치자치단체에 대한 직접적이며 상세한 논의는 생략하였다. 따라서 이하에서 공공행정조직에 관한 논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특별한 성격을 가지는 행정조직만을 위주로 한다. 이를 편의상특별 공공행정조직이라는 이름으로 총칭하였다. 보고는 II. 공공행정조직의 개념과 특별 공공행정조직, III.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대한 법적 규율의 변화, IV. 특별 공공행정조직의 법관계, V. 특별 공공행정조직의 권한과 특권, VI.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대한 통제, VII. 특별 공공행정조직과 권리구제, VIII.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대한 공공성제고의 필요성이라는 제목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간단한 결론을 첨부하였다. 국민들의 다양한 행정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행정주체는 크게 국가와 공공단체로 분류된다. 공공단체에는 지방자치단체, 공공조합(공법상 사단), 공법상 재단, 공법상 영조물 그리고 공기업 등이 포함된다. 이 가운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포괄적인 공권을 가진 단체로서 공공행정조직의 중심에 있다. 공공행정조직 가운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공공조합, 공법상 재단, 공법상 영조물 그리고 공기업 등이 이보고서에서 말하는 특별 공공행정조직에 포함된다. 공법상 사단은 일정 자격이나 목적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설립된 조직이다. 그 법적인 근거 및 목적이 특별한 법률에 기초하여 있다는 점에서 사법상의 사단법인과 구별된다. 공법상 사단법인의 예로는 변호사회, 의사회, 상공회의소 등과 같이 특정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단체가 대표적이다. 이 밖의 공공조합의 예로는 먼저, 도시개발조합과 정비사업조합이 있는데 이들 단체는 주거환경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중소기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은 특정한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에 관련되는 공동사업을 위하여 설립하는 공법인이다. 공법상의 재단법인은 특별한 행정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재산에 대해서 법인격이 부여된 공공행정조직이다. 그 예로는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한국과학재단이 있다. 조직법적으로 종래 특정 행정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인적, 물적인 시설의 종합체로서 법인격이 부여된 공공단체를 공법상 영조물법인 이라고 불렀다. 그 예로는 한국방송공사, 한국은행,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이 있다. 한편 법인격을 가지지 않는 영조물의 예로는 국공립학교, 교도소, 도서관 및 박물관이 있다. 영조물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공공시설이 있는데, 公共施設은 특정한 국가목적을 위하여 설립된 인적·물적시설로서의 영조물 개념 가운데서 물적시설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다. 그렇지만 실정법에서 영조물이라는 개념에 해당하는 법적인 용어로서 공공시설이라는 용어을 쓰는 경향이 있다(지방자치법, 지방재정법 등). 영조물과 구별되는 특별 공공행정조직으로서의 공기업이 있다. 공기업을 국민에 대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적·물적인 종합시설로 이해하는 입장에 의하면 영조물과의 실질적인 구별이 없어진다. 그러나 공기업을 국가 혹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사회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경영하는 기업으로 이해하면 영조물과 구별된다. 지방자치제도의 활성화와 함께 지방의 특별행정조직도 계속적으로 설립되고 있다 「지방공기업법」은 지방공사나 공단 등 지방공기업을 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설립하도록 하고 있다. 지방공기업의 남설을 막기 위하여 법률에서 주민복리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사업성 등 지방공기업으로서의 타당성 여부를 사전에 검토하도록 하고 있다(뒤의 III-3-가 참조). 지방공기업과 구별되는 사업체로 제3섹터(the third sector)가 있다. 제3섹터는 지방자치단체와 민간이 협동하여 필요한 사업 활동을 한다. 논자에 따라서는 지방공기업을 포함하는 민관합작 경영 형태를 모두 제3섹터라고 하기도 하지만 지방 공기업에 대한 정부출자가 50%를 넘는 반면에 제3섹터는 정부출자의 비율이 대략 25∼50%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본다. 최근 공공기관의 경영합리화와 운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하여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기본법」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법안이 입법되었다. 이 법은 종래의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과 「정부산하기관관리기본법」을 폐지하고 다양한 종류의 기업형 정부기관을 합리적으로 규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가 최대 출자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법률에 의하여 정부의 출연근거가 있는 경우, 해당 기관 또는 단체의 총수입액 중 정부지원액이 2분의 1을 초과하는 경우, 정부 및 정부유관기관 또는 단체가 최대지분을 보유한 경우, 정부 또는 유관단체가 출연한 경우, 정부의 재정지원 정도와 당해 기관의 공공성 등을 감안하여 필요한 경우 기획예산처장관이 공공기관으로 지정한다. 이 법에 의한 공공기관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으로 구분된다. 공기업은 총수입액에서 차지하는 자체수입액이 2분의 1이상인 경우를 말한다(3년간 평균액 기준). 공기업이외의 기관은 준정부기관이다. 공기업의 기관장은 원칙적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고, 준정부기관의 임원은 주무기관의 장이 임명한다(법 제25조 및 제26조). 그리고 공기업에 대해서는 주무기관의 장 이외에 기획예산처장관의 추가적인 감독이 있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회계는 경영성과와 재산의 증감 및 변동상태를 명백히 표시하기 위하여 기업회계원칙에 따라 처리한다(법 제39조 제1항). 공공기관의 임원을 임명하는 절차로서 임원추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가 구성된다. 추천위원회는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임한 외부 민간위원으로 구성된다(법 제29조). 공기업은 다시 시장형 공기업과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나누어진다. 공기업 중 자산규모가 일정액 이상이고, 총수입액 가운데 자체수입이 일정액 이상인 경우 시장형 공기업이 된다. 그 이외에는 준시장형 공기업이다.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책임경영체제의 확립을 위하여 자율적인 운영이 보장된다(법제3조).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공공기관에 대한 법적인 규율로는 공공기관의 신설에 관한 심사(법 제8조), 경영공시제도(법 제10조) 등이 있다. 현재 한국의 공공행정조직의 변화와 발전은 규제완화와 민영화라는 큰 흐름 가운데 있다 할 것이다. 민영화는 국가의 임무 자체의 민간이양, 재산권이나 운영권의 이양, 경영방식이나 감독권의 이양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위에서 고찰한 다양한 종류의 정부기관 및 공기업과 그에 대한 상이한 법적 규율방식은 이러한 민영화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종래 정부의 활동영역 가운데 많은 부분이 민간위탁 혹은 민간투자의 형식으로 그 형태가 변하고 있다. 이는 보다 적극적이고 완전한 형태의 민영화 내지는 탈국가화의 현상을 반영한다고 할 것이다. 공공사업이 민간의 투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경우에도 민간기업이 지나치게 상업적인 이윤추구에 골몰하지 않도록 하는 규제책이나 공공성 확보책을 마련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 방법으로는 법률 및 법규명령과 자치법규에 공공시설의 공공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명시하는 방법과 행정행위의 부관을 통하여 규율하는 방법이 거론된다. 한국의 특별 공공행정조직은 국가활동의 영역확대 및 임무의 확장에 따라서 크게 증가하였다. 행정수요에 응해서 조직되는 공공조직을 본래의 목적에 맞게 통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각종의 법률이 제정, 실시되고 있다. 이들 법률은 공공조직의 인사 및 예산상의 통제와 공공성 확보를 위한 각종의 법적인 규율을 담고 있다. 전통적인 영조물 이론은 법치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그 예외적인 현상을 설명하거나 혹은 특수한 법관계에 대한 사법적 통제 필요성을 주장하는 이론으로 이용되었다. 행정조직 법정주의 및 공기업에 대한 인사상, 예산상의 통제는 이들 활동에 대한 민주주의로부터의 감시와 감독을 의미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공기업 활동에 대하여 효율성과 경영성과를 중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는 법치주의, 민주주의와 함께 경제주의 혹은 시장주의가 행정적 영역에도 깊숙하게 침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영조물 이론이 공권력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법적 논의였다면 최근의 공기업에 관한 논의는 공익성 내지는 경제성을 중심으로 하는 논의인 것이다. 공익 내지 공공성은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과거에는 공권력을 독점한 행정주체가 공익실현의 임무도 독차지한다고 생각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공익실현의 주체와 형식이 분산화되는 경향이 있다. 급변하는 행정환경 속에서 그리고 그에 따르는 새로운 행정조직 및 작용방식의 출현속에서 행정의 진정한 임무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달성을 위한 최선의 방법과 법적인 형식이 무엇인지 밝히는 일이 현재 행정조직법의 과제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고권과 지방산림청의 정비방향

        김명용(Kim Myong Yong)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4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4 No.2

        The 21st century is transforming itself from the age of Centralization and Concentration into the age of Decentralization . The contemporary paradigm is shifted from the age of State, and Efficiency into the age of Balanced Development . Among many countries which try to meet the great changes of our times, especially Japan is driving forward the de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policy to improv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purpose of nation s balanced development, and to remedy the ill effect of centralization, discussions on decentralization steadily took place in Korea.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which promised decentralization policy as its presidential campaign pledge, designated decentralization and nation s balanced development as its core tasks and pushing them forward To realize Decentralization and Nation s Balanced Development ,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set up the Government Innovation Decentralization Committee under the immediate control of the government and announced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Decentralization Promotion Road Map . On the basis of this Road Map, the government enacted the so-called Three Special Laws for Decentralization , namely the Decentralization Special Law, Nation s Balanced Development Special Law and Special Measure Law For the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However, in reality, the government is confronting political, social and legal conflicts and disputes in relation to the methods, the time and the applicable region to drive forward the decentralization policy and to bring an end to the centralized system. The Three Special Laws for Decentralization emphasize that the centralization of national powers, lack of local autonomy experience, lack of capacity for autonomy, insufficient citizen participation and poor local finance impedes the development into the decentralized developed nation and also that the centralized system in the age of compressional economic growth is not functioning efficiently anymore and hinder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stead The Three Laws have its origin in the recognition above and are intended to promote increased local vitality by citizen participation and reinforced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answering to the needs for decentralization. Decentralization Special law defines that the State should allow the affairs which are currently executed by spe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o be executed by local governments when it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performed by the local government. When new spe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re to be set up, their functions should not be similar to, or not be duplicated with those of the local governments. (Article 10 Paragraph 1) Each administrative branch has organized committees to improve the system in the past. However, it has not been concluded and still incomplete. Thus, it is legally declared that the restructuring of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hould be the core issue fo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 promotion of decentraliz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has shown its strong will to drive forward decentralization. The restructuring of spe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has the ultimate effect of reduc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also the effect of increase in administrative efficiency. The theme of today s seminar, [Public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 and Restructuring Direction for Local_ Forestry Office]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future restructuring of the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 this regard, we are going to check if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function falls under national affairs and see if this function could be transferred to the local governments and show new direction for restructuring.

      • KCI등재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조직권에 관한 최근 동향과 시사점*

        최우용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3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3 No.3

        필자는 과거 일본 지방자치법상의 자치조직권에 관하여 고찰한 바 있다. 당시 필자는 과거의 일본은 우리와 같이 법률로써 엄격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조직권을 통제해 왔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의 적극적인 해석과 지방분권의 흐름 속에서, 지방자치법을 개정하고 자치조직권을 폭넓게 인정하였음을 밝혔다. 즉 ‘법률에 의한 자치조직권’에서 ‘조례에 의한 자치조직권’으로의 변화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우리 지방자치법의 개정과 대통령령인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폐지를 강조하였다. 필자가 위와 같은 주장을 한 지 10년이 흘렀다. 그동안 정부의 지방분권 개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는 하였지만, 자치조직권에 대한 직접적인 법제의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본고의 결론 또한 당시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본고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본의 자치조직권에 대한 개혁과정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중앙행정기관이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여 수행하는 위임사무(특히, 기관위임사무)의 대폭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일본은 2000년 기관위임사무의 폐지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제도 개혁을 단행하면서, 자치조직권을 비약적으로 넓혔다. 둘째, 헌법상 보장되는 지방자치권의 실질적 보장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조례의 제정 범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자치조직권은 일본이나 우리나라 모두 헌법상 인정되는 자치고권이다. 자치조직권은 자치권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보충성의 원칙에 입각하여 국가 법령으로 규정해야 하는 필수적인 사항 외에는 조례에 의한 내부조직 구성권은 인정되어야 한다. 대통령령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부단체장 수까지 규제하는 현재의 법령체계는 조속히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특별행정기관의 정비는 기관위임사무의 폐지와 함께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국가의 선도적 역할과 기능에 의한 국민 복지 보장의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AI와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고, 세계적 감염병의 도전에 항상 처해 있는 불확실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우리는 과거의 사고에서 과감히 탈피해야 한다. 국가 우월주의에 기초한 국법 중심의 행정은 헌법이 상정하고 있는 국민 복지를 충실히 구현하기 어렵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불신과 우려를 극복하고, 이제는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행정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그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자치조직권의 보장이다. 주제어 일본의 자치조직권, 조례에 의한 자치조직권의 보장, 특별행정기관, 기관위임사무의 폐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In the past, I have considered the right to self-governing organization under the Japanese Local Autonomy Act. At that time, I pointed that Japan, like us, had strictly controlled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by law, but revised the Local Autonomy Act and widely recognized the autonomy right amid the active interpretation of Local Governments'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In other words, I pointed out the change from “self-governing organization right by law” to “self-governing organization right by ordinance.” In conclusion, it emphasized the revision of the Korean Local Autonomy Act and the abolition of the Presidential Decree, “rules 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Qualification Standards of Local Governments.” It has been 10 years since I made the above arguments. Although the government's Decentralization reform has continued, there is no direct change in the legislation on the right to self-governing organizatio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lso not much different from the arguments at the time. As can be seen from this paper, the reform process of Japan's autonomous organization rights gives u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delegated affairs (especially the delegated affair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o Local Governments). In 2000, Japan reformed the institutional delegation affairs, rapidly expanding its autonomous organizational rights. Second, it is a practical guarantee of Local Autonom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For this, the status of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must be raised. It is necessary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scope of enactment of the ordinance. Autonomous Organizational Rights are self-regulatory rights recognized by the Constitution in both Japan and Korea. Autonomous Organizational Rights are an essential element of autonomy. Therefore, the right to form an internal organization under the ordinance should be recognized, except for essential matters that must be stipulated by national statutes based on the principle of supplementation. Third, the Special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be actively reviewed along with the abolition of the delegated affairs. The era of national welfare security by the leading role and function of the state is passing. Living in the AI and digital era and living in the uncertain present, which is always facing the challenges of global infectious diseases, we must boldly break away from the ideas of the past. Administration on national law based is difficult to faithfully implement the citizen's welfare. It should now be changed to Local Government-centered administration. The most basic thing at that time is the guarantee of Autonomous Organizational Rights. Key Words Autonomous OrganizationalRrights, the Korean Local Autonomy Act, self-governing organization under the Japanese Local Autonomy Act, self-governing organization right by ordinance, the Speci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rule 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Qualification Standards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행정통합과 지방분권

        최우용(Choi, Woo-Yo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4

        [1] 현대는 광역행정의 시대이다. 지방자치단체는 광역행정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현행 법제도 하에서는 지방자치법상의 특별지방자치단체(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조합)이라는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권한의 과감한 지방 이양을 통해[지방분권] 광역행정에 대응 할 수도 있다. 한편으론, 과감한 지방자치단체 간의 통합을 통해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설립하여 행정 수요에 대응하는 방안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2] 지방분권을 추진함에 있어 주의할 것은,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개념의 혼용이다.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은 근거 법률, 정책 목적과 수단 등에 있어 명백한 차이가 있다. [3]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정리가 필요하다. 특별지방행정기관의 무분별한 설치는 우리실정법 체계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는 「지방자치법」 제102조나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18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두 법령에서는 특별지방행정 기관은 어디까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완적이고 보충적인 기관으로 기능적 분권과 보충성의 원칙에 의한 설립을 주문하고 있다.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설치를 위한 근거는 행정법규가 아닌 법률로 정해야 한다. [4] 사무구분 및 사무배분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대적 행정 수요(특히 자치경찰제 도입, 교육자치 실시, 복지 행정, 안전 등)에 부응하는 새로운 기준 마련이 필요하고, 보충성의 원칙과 기초지방자치단체 우선의 원칙에 충실한 사무배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동사무는 역기능적 측면(중앙정부의 재정분담 없는 지자체 감독, 지방이양 및 책임 회피 우려, 중복행정 등)이 많아 철저한 실태를 파악한 뒤 폐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지방자치단체 간의 통폐합을 통한 행정통합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공법적 과제에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헌법상의 지방자치 이념을 반영한 통합이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폐치분합이 우선인지, 행정구역의 조정을 통한 광역행정에의 대응이 가능한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분권을 전제로 한 과감한 사무배분․재정배분의 문제를 함께 논의하여야 한다. 넷째, 주민 의사의 반영과 행정절차의 준수 등 민주적 정당성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6] 지방자치단체 간의 통폐합을 통한 광역적 사무에 대응하고 협력적 지방자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본문에서 언급한 통폐합의 전제적 조건들에 충실하여야 한다. 과연 통합이 필요한지, 아니면 현재의 제도하에서도 협력적 지방자치를 구현해 나갈 수 있는지를 결정함에는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겠지만, 지방자치의 기본인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통합이 되어야 한다. 행정통합은 부수적인 도구에 불과하다.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1] Today is the era of regional administration. The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for various methods to cope with regional administration.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the system called the special local autonomous government(especially, the associ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the Local Government Act could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cope with reg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drastic transfer of central authority to regions. In the meantime, the measures for coping with administrative demand could be sought for by establishing the regional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drastic integration of local governments. [2]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decentraliz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ixed use of the concept of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how clear differences in legal basis, and purpose and means of policy,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3] The organization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would be needed. The thoughtless installation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is not suitable for the positive law system of Korea. This is shown in the analysis of the Article 102 of 「The Local Government Act」 or the Article 18 of 「The General Rules on the Organization and Fixed Number of Administrative Agencies」. Those two laws specify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by the principles of functional decentralization and subsidiarity as they are just complementary and subsidiary agencies of local governments. Also, the basis for the installation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be decided by laws, instead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4] The affairs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affairs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new standard meeting the modern administrative demands(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municipal police system,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utonomy, welfare administration, safety, and etc.), and also to perform the affairs distribution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the principle of basic local government as the priority. As the common affairs have lots of adverse effects(local government’s supervision without the central government’s financial allotment, concerns about local devolution and evasion of responsibility, duplicated administration and etc.), it is desirable to abolish or minimize them after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5] In case of administrative integr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asks in public law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the integration reflecting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in the constitution.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thoroughly verify if the abolition/amalgamation of local governments would be prioritized, and if it would be possible to cope with reg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adjust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hird, with the premise of decentralization, the drastic affairs distribution and financial distribution should be discussed together. Fourth, the democratic legitimacy such as the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and observance of administrative procedure should be secured. [6] In order to cope with regional affairs through the integ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also to realize the collaborative local autonomy, it would be necessary to be faithful to the basic premises mentioned by this thesis. Regarding the matter of if the integration would be needed or the collaborative local autonomy should be realized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 should be a political decision. However, it should be the integration “by residents and for residents” which is the basis of local autonomy.

      • KCI등재

        공무원의 개념과 구분 및 공무원법의 체계

        김용섭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21 法學論集 Vol.26 No.1

        공무원법은 전통적으로 행정법각론이나 특별행정법의 부분 영역으로 행정조직법의 하부 카테고리로 다루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 다수의 행정법학자는 공무원법을 행정조직법에서 분리하여 행정조직법과 병렬적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공무원 개념은 그 자체가 다양한 법률에서 다의적인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국민에 의하여 선출되거나 임용되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와 공법상 근무 관계하에 공권력을 행사하거나 공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를 의미한다. 국가공무원법상 특정직 공무원에 대하여는 열거하는 방식이지만 일반직 공무원의 경우에는 기술ㆍ연구 또는 행정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으로 되어 있어 구체적으로 일반직 공무원에 해당하는 경우가 명확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공무원과 구별하여야 할 개념 중에 행정기관 담당자가 있다. 공무원은 행정조직법이나 직제에서 행정기관을 설치한 후에 그 기관의 담당자로 충원하는 것이 순서이다. 공무원은 현실의 행정조직을 구성하는 인적 요소로 행정조직을 위하여 활동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행정주체와의 고용관계의 일종으로 파악하고 있다. 국가공무원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기준으로는 ① 국가가 임명권자일 것 ② 국가의 사무를 처리할 것 ③ 원칙적으로 국가로부터 봉급을 받을 것이라는 3가지 징표를 토대로 판단하고 있다. 공무원법은 헌법상 공무원에 관한 규율과 더불어 기본법이면서 일반법인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과 특정직 공무원에 관한 개별 법률로 구성되어 있고, 동 법률에서 위임받거나 시행을 위한 공무원관계법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무원관계법령은 헌법이 예정하는 대통령령, 총리령 및 부령 뿐만 아니라 자치법규인 조례와 규칙, 훈령과 예규, 고시 등 다양하다. 한편, 공무원에 관한 기준이나 내용이 제도의 핵심적 사항이거나 기본권 실현의 본질적 사항이 아니라면 대통령령에 위임하는 것이 폭넓게 허용된다. The Public Officials Act has traditionally been treated as a sub-category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ct as a part of administrative law or special administrative law. Today, however, many administrative law scholars tend to separate the Public Officials Act from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law and explain it in pararell with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w. The concept of public official itself used in multiple ways according to various laws. In general, public officials refer to the workers who are directly or indirectly elected or appointed by the people to exercise public power or provide public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and the public law wo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public officials in specific positions are listed. In the case of public officials in general position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cept is not specific and clear in some cases as they are defined as public officials taking charge of technology, research or general administrative affairs. As a concep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cept of public official, there may be the concept of staff of an administrative agency under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ct. In general, public officials are filled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plan after an administrative agency is established under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ct. Public officials, as human factors constituting re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refer to those who work for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are understood as those who are in employment relationships with administrative entities. Whether a person is a state public official or not is judged based on three criteria: ① the person is appointed by the state, ② the person handles the affairs of the state, and ③ the person, in principle, will receive salary from the state. The Public Officials Act is a basic law along with the rules on public officials under the Constitution, and consists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the Local Public Officials Act, the laws regarding the public officials in specific positions, and other public officials-related law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for enforcing or entrusted by these acts and laws. Public officials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diverse, including not only the Presidential Decree, the Prime Minister's Ordinance, and the Ministerial Ordinance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but also the local governments’ self-governing laws, rules, regulations, ordinances, public announcements, etc.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s or contents of public officials are widely delegated to the Presidential Decree, unless they are the core of the system or essential to the realization of basic rights.

      • KCI등재

        영국과 독일의 행정심판제도 개혁 경과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오준근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Appeals Tribunal System by comparing it with its overseas counterparts. This comparative legal study targets the system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because they represent two typical controversial types of review systems of administrative appeals and are now in the process of re-examination. The British tribunal system used to have more than 60 kinds of tribunals, which were re-organized and integrated into two categories under the supervision of a single senior president: the First-Tier and the Upper Tribunals. The Tribunals became the most frequently used administra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in the United Kingdom after the change. The review system for administrative appeals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s par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without the support of independent legislation. This operates only as a preparatory procedur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current reform process aims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total litigation procedure because of problems with time and expenses. The history of Korean system begins with the Appeals Act of 1951. The original system was similar to the German system, designed as essential preparat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with administrative appeals reviewed by the overseeing body. The Korean system followed the reform line of the United Kingdom after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of 2010. The revision establishe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CAAC), an independent integrated decision-making 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cases. There are still various problems to solve. For example, the integration was partial because many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s Review Organizations, such as the Tax Tribunals and Land Tribunals are still separate from the CAAC. 행정심판의 대표적 두 유형이 영국형과 독일형이라 할 수 있으며, 두 나라 모두 제도개혁을 진행 중이다. “Tribunals”라는 이름을 가진 영국 행정심판제도 개혁의 핵심은 ‘통합’이라 요약할 수 있다. 2007년 행정심판법 개정 이후 종래 난립하던 60개소 이상의 행정심판위원회를 선임위원장 지휘하의 제1심 및 제2심의 중층구조로 재편하였기 때문이다. 통합 후 행정심판은 영국에서 가장 빈번히 활용되는 분쟁해결절차 중의 하나이며, 행정심판위원회는 가장 많은 심판관을 임용하는 심판기구 중의 하나가 되었다. “Widerspruchsverfahren”이라 불리는 독일의 행정심판은 독일 특유의 ‘행정재판제도’의 일부로 설계되어 있다. 독립한 행정심판법이 없고, 행정소송의 필요적 전치절차로 행정소송법의 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독일에 있어서의 행정심판제도의 개혁은 대부분 비싸고 오래 걸리는 행정소송제도의 간소화의 측면에 맞추어져 있다. 주에 따라서는 행정소송의 일부로서의 행정심판의 틀을 벗고 행정절차의 일부로 변형시키는 경향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1951년의 소원법 부터 오랜 행정심판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시작은 ‘독일형’에 가까웠다고 할 수 있다. 행정심판전치주의와 재결청 제도를 그 근간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가 2008년 국민권익위원회로 이관되고 행정심판법이 전면개정되어 중앙행정심판위원회로의 명칭변경 및 재결청의 폐지 등 근본적 변혁이 이루어진 후 대한민국의 행정심판은 독립형과 통합형을 근간으로 하는 ‘영국형’에 근접하고 있다. 다만, 영국과 다른 점은 행정심판위원회가 소청심사위원회, 조세심판원, 중앙토지수용위원회 등 특별행정심판기관과 15개 시도에 있는 시․도행정심판위원회 등으로 분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은 행정심판 제도의 대표적 두 유형인 영국과 독일의 제도개혁 경과와 우리나라의 경우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제도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 KCI등재

        농업기술보급에 대한 지도 공무원의 평가

        강창용,조가옥 한국농업정책학회, 한국축산경영학회 2001 농업경영정책연구 Vol.28 No.2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sis the results of Agricultural Extension Workers' evaluation for the extension of RDA organization, and (2)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direc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The results were, based on the analysis for-mentioned, (1) It is very difficult for RDA organization to take over all agricultural technology delivery, so the specialization of RDA organization in the local level should be adopted. Under the multiple system of agricultural extension, RDA organization has only responsibility to deliver technology and items of strong public goods character. (2) The separation of extension from administration is need to realize the aims of extension with more efficiency. For the separation, RDA organization in the local level(state and county) should be reorganized and merged on the state level. Also, Technology Center in the county level extension organization should be transformed to the special extension organization by item. (3) For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nd extension, the Local Special Item Experimental Station belonged to sate level RDA organization(Kisoolwon) should be entered into the special extension organization by item in the county level.

      • 자치경찰제 시행을 대비한 서울시 특별사법경찰단의 운영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신현기 한국자치경찰학회 2016 자치경찰연구 Vol.9 No.1

        해방 후 우리나라에 처음 특별사법경찰제가 도입된 것은 1956년이다. 시군구를 비롯해 중앙부처 기관들과 지방자치단체에 이 당시부터 활발하게 특별사법경찰제 도가 도입되었지만 활성화되지는 못했다. 특별사법경찰들은 교육훈련의 부족으로 인해 직무상 적발되는 행정범들을 처벌하는데 미약했고 대부분 국가경찰이나 검 찰에 고발하여 처리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전국 17개 광역단 위의 지방자치단체들은 2008년부터 2014년 사이에 광역시청 및 도청 차원에서 전문 특별사법경찰 수사관제를 도입하여 시도지사 직속으로 기구를 발족시켜 역 할을 강화해 나왔다. 특별사법경찰은 행정법 위반자인 행정범들을 직무상 적발하 여 검찰의 지휘를 받으며 조사하고 처벌하는 수사업무를 겸하고 있는 특수성을 지 니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광역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가장 활발하게 특별사법경찰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특별사법경찰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찾아보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특별사 법경찰단의 운영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해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발전방안이 필요하다고 제기한 것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인데,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민생사법경찰 수사인력의 증원, 둘째, 대부부업 분야의 직무확대에 따른 호신장비, 셋째, 민생사법경찰 직무수행을 위해 서울시에 파견된 구청 민생 사법경찰, 넷째, 민생사법경찰제도에 대한 서울시 고위직의 이해도 향상, 다섯째, 수사비 미비로 인한 직무의 어려움, 여섯째, 교육훈련의 강화 등에 관해 개선방안 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After the independenc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1956. From the time, the system was lively introduced to central governmental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including city and county, but it could not be settled down. The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were weak to punish administrative criminals due to the lack of educational training, and the incidents were mostly dealt with by accusing to national police or prosecu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nationwide 17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special judicial police investigator system in the level of metropolitan city hall or provincial government from 2008 to 2014, and have reinforced the role under the authorization of mayor and province governor. Special judicial police has a specificity of exposing administrative criminal as administrative law violator and of investigating and punishing under the prosecution’s direct. Based on this, this thesis analyzes the problem of Seoul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that most lively runs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i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and tries to find the improvement plan. Especially, this thesis dealt with the operation condition and development plan of Seoul Special Judicial Police Organization and offered development plan. This thesis brought six development plans. First, increasing the manpower of livelihood judicial police. Second, self-defense equipment depending on job enlargement of loan company. Third, livelihood judicial police in district office dispatched for duty execution of livelihood judicial police. Fourth, increasing the recognition of the officer in high-ranked position about livelihood judicial police system. Fifth, the difficulty of the duty due to the lack of cost. Sixth, highlighting the need of improvement plan about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training.

      • 환경오염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환경특별사법경찰제도의 합리적 운영방안 고찰 - 환경부와 광역지방자치단체 환경특별사법경찰을 중심으로 -

        양재열 한국자치경찰학회 2015 자치경찰연구 Vol.8 No.3

        환경(Environment)은 헌법에서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으로 헌법 제35조는 “모 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 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로 규정하고 있다. 환경특별사법경찰은 개인이나 기업이 공유자원인 공기, 물, 지표(토양) 등의 무 분별한 이용으로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야기하며 이윤을 추구하는 환경범죄를 단속하는 수사기관이다. 환경특별사법경찰은 1990년「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 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에서 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등 2개 법률의 지명으로 시작하여 2015년 7월 현재는 31개 법률을 지명사무로 하고 있다. 그동안의 환경특별사법경찰의 직무확대는 산업구조의 근대화, 공업지역의 형성, 인구의 도시집중, 등 사회발전과 그에 따른 환경오염의 심화로 환경행정 법규 위 반 사범이 증가하게 되었고 지속적으로 환경개별법의 신설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직무범위 확대는 인력의 전문성 부족으로 많은 문제점이 양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의 특별지방행정기관과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와 경 기도의 환경특별사법경찰 활동현황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특별사법경찰의 환경사범 단속업무에 효율화와 합리화를 꾀하고 수사능력의 재고와 함께 합리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environment is a fundamental right of citizen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article 35 stipulates,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a healthy and comfortable environment, and the State and all citizens shall endeavor to protect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is an investigative agency to crack down on environmental crimes caused by individuals or companies in pursuit of profits by indiscriminate use of air, water, and soils that results i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damag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began in 1990 with the nomination of two law includ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Waste Management Act in the “Perform the duties of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 and the law relating to the duty of range,” and in 2015, currently has 31 laws as appointed Secretary. Job enlargement of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has been in accordance with such: deepening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development, for example, moderniz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formation of industrial areas,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caused increase in the administrative violations, as well as constant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environment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However, expanding job scope holds a lot of problems due to a lack of professionalism on the staff.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provements and analyse th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Activities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ons and municipalities of Greater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inally, We presented the development plan seeking to streamline and rationalize enforcement work and to present rational development plan with a review of the investigative capabilities of th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 KCI등재

        韓國 警察行政法의 歷史와 課題

        최영규(Choi, Yong-Gyu)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7

        현대국가에서 국가임무의 확대에 따른 행정의 양적 팽창과 다양화로 말미암아 행정의 영역은 매우 다기해졌고, 이에 따라 일반행정법과는 별도로 각 행정영역을 규율하는 특별행정법이 지속적으로 분화 · 발전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경찰행정법에 관한 논의는 오랫동안 ‘행정법각론’의 일부로서만 이루어져 왔고, 특별행정법의 하나로서 경찰행정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저술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근래의 일이다. 우리나라 경찰행정법의 역사를 실정 경찰행정법제의 역사와 경찰행정법학의 역사로 나누어볼 때, 경찰행정의 실정 법제는 1960년대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독립국가로서 우리 자신의 법제를 갖추기 시작한 1948년 이래, 경찰조직법은 외형상으로는 상당한 발전이 있었지만 내용상으로는 경찰조직의 민주화라는 이념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경찰작용법의 경우에도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일반법은 1950년대의 수준에서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의 실정 경찰행정법제는, 경찰작용의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새로운 일반법 제정과 경찰조직의 민주화 -지방분권을 포함하여-를 과제로 안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찰행정법학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이제 일반행정법학으로부터 독립한 특별행정법학의 하나로 공인받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우리 경찰행정법학의 발전단계는 이제 첫걸음을 내디딘 것에 불과하고, 성숙 단계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 경찰행정법학이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로서는, 경찰행정법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 경찰행정법의 범위를 확정하는 것, 경찰행정법의 권력성을 완화하여 경찰행정의 민주화를 달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경찰행정법학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연구성과의 대부분이 외국의 법제와 법이론의 도입․소개를 내용으로 하고, 우리 경찰행정법제와 실무의 현실에 기초한 이론의 개발이나 제안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외국의 선진 제도와 이론을 도입 · 소개하는 것은 우리 법제와 학문의 발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일이지만, 그 목적은 우리 현실 - 행정의 실무와 법제의 현상 - 의 이해와 개선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 경찰행정법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현재의 우리나라 경찰행정 실무와 경찰행정법제의 현실에 입각한 법이론을 구축하여 ‘한국 경찰행정법학’을 정립하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Contemporary states experienc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expansion of state functions. Thus, diverse special administrative laws, distinguishable from general administrative law, have steadily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Korea, however, police law has long been discussed as a part of general administrative law; systematic study and writing on it as a special administrative law has only begun recently. History of Korean police law should be approached in two ways; history of positive police law and history of police law science (jurisprudence of police). Present status of Korean positive police law seems not much improved since 1960s. Law of police organization has remarkably developed in appearance, but it has failed to achieve democratization of police. Law of police activities cannot be assessed better, in that its basic statut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stays largely in the state of 1950s. So Korean positive police law bears, among others, two important tasks; enactment of a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basic statute on the one hand, and democratization of police, including decentralization of police power, on the other. Korean jurisprudence of police has grown remarkably since the latter half of 1990s, and now it can be recognized as a special administrative jurisprudence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ministrative jurisprudence. However, it has just entered its infancy; it needs much efforts to reach its maturity. It has many problems to solve; defining its character, deciding its scope, weakening its power-orientedness and achieving democratization of police, among others. But more important is the problem that most of articles and treatises on police law published in Korea are still engaged in introducing foreign legal systems and theories rather than developing theories based on existing law and practice of Korean police. Although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dvanced foreign systems and theories for development of Korean law and jurisprudence, it should aim at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Korean reality. Thus it seems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of Korean jurisprudence of police is to establish Koreanized theory of police law based on existing law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