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배경청년의 시민적 위계화와 사회적 주변화: 국적과 출생지, 젠더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송영호 ( Song Young-ho ),최영미 ( Choi Young-m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1 한국사회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배경청년의 시민적 위계화가 사회적 주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SK이주배경청년사업단의 「2021년 이주배경청년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자료는 학령기 이후 사회진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만 25~34세의 이주배경청년 300명(국내출생 204명, 중도입국 96명)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집방식인 유목적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비모수 추정 방법을 통해 도출한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응답자가 한국 사회에서 계층이동이 제한되고 배제되고 있다고 느끼는 사회적 주변화 인식은 예상과 달리 부정적인 편은 아니었다. 오히려 한국 일반 청년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시민적 계층화 유형에 따른 사회적 주변화의 수준은 외국출생자 중에서 한국 국적을 취득한 집단의 부정적 인식이 두드러졌다. 이는 한국으로 유입된 이주배경청년이 한국사회에서 이동성과 유연성,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국적을 취득하였지만, 오히려 주류사회와의 경쟁 과정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낙인으로 기회 공정성, 불평등 인식이 부정적 방향으로 증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비모수적 회귀분석 결과 시민적 위계화의 위세가 낮은 집단일수록 사회적 주변화 인식이 부적(-)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즉 한국 사회에서 차등적인 시민권 부여로 객관적인 위세가 낮은 집단일수록 사회적 배제와 소외를 더욱더 느끼고, 상향 이동이 그만큼 폐쇄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한국국적 취득 이후 시민적 위계화의 편입 과정에서 오히려 불안감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는 중도입국청년의 안정적인 사회진출을 위해 더욱 섬세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ivil hierarchy on the social marginalization of young adults with a migrant background. For this purpose, the Social Sciences Korea (SSK) Young Adults of Migrant Background Project Group's "2021 Survey of Young Adults of Migrant Background" was used along with a non-parametric estimation method. The major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attitudes towards social marginalization was not particularly negative, contrary to expectations, and in fact, was less negative than those of average Korean young adults. However, the pattern of social marginalization based on civil hierarchy showed a marked difference, notably that naturalized foreign-born residents (with Korean citizenship) held a distinctly negative attitude. The assumption is that these young adults of migrant background had naturalized in an effort to gain social mobility, flexibility, and a general ability to pursue their own interests; however, in the process of competing with the mainstream, the discrimination and stigmatization that they experienced may have left them with a largely negative view in the areas of equal opportunity and awareness of inequality. Lastly, the results of the non-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which controll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lower the level in the civil hierarchy,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ocial marginalization. In other words, those of an objectively lower social status (due to Korean society's differential treatment of residents) ha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awareness around social exclusion, alienation, and the reality that upward social mobility was largely closed off.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argue that a more active inclusion policy―one based on "residency" rather than "nationality"―is needed to overcome current limitations in the segmented policy around "young adults with a migrant background."

      • KCI등재

        Mental health at the intersections of marginalization: A conceptual model to explore the mental health concerns of women sanitation workers in India

        Monteiro Tanya S.,Nalini R.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15 No.2

        In India, sanitation work is predominantly undertaken by persons from oppressed castes whose customary roles relegate them to stigmatized occupations. Women sanitation workers, comprising nearly half of the urban workforce, grapple with multiply marginalized identities and social positions. Marginalized at the intersections of caste, gender, and occupation, they contend with violence and socio-economic discrimination. The literature on the occupational and psychosocial risks of sanitation workers indicates that the mental health concerns of women sanitation workers remain largely unaddressed in research and public policy. This paper draws on an analytical review of research on women sanitation workers’ occupational and psychosocial risks with the objective of concept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ginalization and mental health. Utilizing intersectionality and social systems theories to present women sanitation workers as a critical case, their experiences of marginalization at the intersections of caste, gender, and occupation are analyzed. Consequently, a conceptual model of mental health outcomes at the intersections of multiply marginalized identities and social positions is developed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marginalization for mental health. Guidelines for action to inform public policy and social work practice are suggested, emphasizing the need for intersectional interventions and a social justice framework in mental health care for marginalized groups.

      • KCI등재

        사회적 주변화 인식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 한국 거주 이주배경 청년을 중심으로

        백경민 ( Baek Kyungmin ),연규진 ( Yon Kyuji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2 한국사회 Vol.23 No.1

        최근 한국 사회의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최근 한국 사회에 진입하는 이민자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민자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배경 청년들의 한국사회에서 겪는 사회적 주변화 정도를 통계적인 척도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적 주변화 정도가 어떻게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을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연결망의 차원으로 나누어 각각의 차원이 사회적 주변화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자본 중 사회적 연결망의 차원이 사회적 주변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정보의 획득이 이들의 사회적 주변화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정서적 안녕감보다, 구직을 위한 또는 생활을 위한 다양한 정보가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정착에 더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정보망에서 배제될 때, 자신들이 주변화되어 있다고 평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migrant young adults’ perceived social marginalization in Korea and how social capital affects it. Using a national survey of migrant young adults aged 25 to 34 living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ocial network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migrant young adults’ perceived social marginalization in Korea, which indicates that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has an important role on the decrease of their perceived social marginalization.

      • KCI등재후보

        소외된 자를 위한 교회의 사회복지적 책무 - 사회 내 소외된 자를 섬겨야 하는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 사회복지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2 No.-

        본 논문은 소외된 자를 섬겨야 한다는 기독교 신학의 전제를 검토하고, 이러한 전제 안에서 사회 내 소외된 자를 위한 교회의 의미와 책무를 사회 복지적 관점에서 논의함으로써 기독교사회복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기독교가 왜 소외된 자를 섬겨야 되는가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1. 소외된 자를 사랑하시는 구약의 하나님’에 대한 논의와 ‘2. 신약 성서 마태복음 25장 34-46절의 해석’을 다루고, 이를 통해 ‘소외된 자를 소외시키는 것이 결국 하나님을 소외시키는 것’이라는 신학적 담론을 확인 한다. 3장에서는 교회가 하나님의 백성이자 그리스도의 몸이기에, 복음전파와 소외된 자를 돌보아야 할 책무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기술하고, 4장 에서는 기독교사회복지의 가능성을 논한 이후, 소외된 자들을 섬겨야 하는 교회의 사회복지적 책무를, ‘가난의 소외로부터의 해방’, ‘노년의 소외 로부터의 해방’, ‘장애의 소외로부터의 해방’, ‘낯섦의 소외로부터의 해방’ 등으로 제시한다. 5장은 글을 요약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remise of Christian theology that it should serve the marginalized and, wthin this premise, find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y discussing the meaning and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for the marginalized in society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In Chapter 2, to present the reason why Christianity should serve the marginalized, ‘1. Discussion on ‘the God of the Old Testament who loves the marginalized’ and ‘2. Interpretation of Matthew 25:34-46 in the New Testament’ are dealt with, and through this, the theological discourse that ‘alienating the marginalized is ultimately alienating God’ is confirmed. Chapter 3 describes that the church, as the people of God and the body of Christ, has a responsibility to preach the gospel and care for the marginalized. Chapter 4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after that, it confirms: The social welfare responsibilities of the church are presented as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poverty',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old age',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the disabled', and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strangers(refugee)'.

      • KCI등재

        무속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약자의 존재성–뒷전의 인물을 중심으로

        황루시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1

        In the final phase of the gut, the table is cleared and sacrificial food is used to drive out wandering minor evil spirits. The name of this gu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with examples including ‘madang-gut’, ‘geori-gut’ and ‘jongcheonmaegi‘, but this paper has opted to use the collective term ‘dwi-jeon (the last phase)’. In most ‘dwit-jeon’, minor evil spirits are exorcised through the spoken word, but in large-scale guts, this phase is performed in a theatrical manner as a witty exchange between the mudang and the drummer.The ‘dwit-jeon’ comforts those who were positioned on the outskirts of society and unfair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before dying a tragic death. It is believed that these spirits must be consoled to prevent them from inflicting harm on the living. During the dwit-jeon, diverse figures appear whose ‘han’ must be reliev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se figures in relation to the issue of social marginalization. The socially outcast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3 categories: the disabled, women and contemporary working class people. Disabled people are socially disadvantaged from birth. However, during the dwit-jeon, they appear as figures who boldly unleash their han. The lives of women who have fallen victim to violence and the taxing lives of ordinary people are expressed through the dwit-jeon. The audience can see themselves reflected in the dwit-jeon. The dwit-jeon is an expression of interest in and respect for those who were unjust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and have not been able to release their han even after death. It is a platform for remembering the pain and speaking on behalf of those who were unable to speak for themselves during their own lifetime.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gure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reflect the following views of Korean shamanism: Firstly, Korean shamanism takes an interest in the socially marginalized and desires reconciliation even with those who are small and insignificant. Dwit-jeon is an expression of interest in and respect for those who were unjust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and were unable to release their han even after death. It is a device used to commemorate their pain and a platform for speaking on their behalf. Secondly, viewers of shamanic performances can discover themselves through the figure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The minor evil spirit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are no more than helpless social outcasts. The audience can sympathize with these figures. Though they may laugh at the actions of these figures, they understand that they themselves are also the subject of the laughter, as we too are socially disadvantaged. 굿의 마지막 제차는 철상을 한 뒤에 밖에서 떠도는 잡귀잡신을 풀어먹이는 것이다. 굿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뒷전, 마당굿, 거리굿, 중천멕이 등 다양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뒷전으로 통칭한다. 대개 뒷전은 말로 잡귀들을 풀어먹이지만 규모가 큰 굿에서는 무당이 장구재비와 재담을 주고받으면서 연극적으로 진행한다. 뒷전은 사회의 외곽에서 인간다운 대우를 받지 못하고 살다가 결국 비참한 죽음을 한 존재들을 위로하는 굿이다. 이런 존재들을 잘 달래주어야 사람들에게 피해가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뒷전에는 한을 풀어주어야 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뒷전의 인물들을 사회적 약자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사회적 약자는 장애인, 여성, 그리고 동시대의 소외된 서민의 3부류로 나눌 수 있다. 장애인은 태생적인 사회적 약자이다. 그러나 뒷전에서는 장애인도 당당한 인격을 가지고 한을 푸는 존재로 등장한다. 뒷전은 폭력에 희생당한 여성이나 일상적인 이웃의 절박한 삶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자신의 모습을 본다. 뒷전은 억울한 삶을 살다가 죽어서도 그 한을 풀지 못한 존재들에 대한 관심이고 배려이다. 그들의 아픔을 기억하는 장치이고 살아있을 때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사람들을 대변하는 자리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사회적 약자들은 다음과 같은 무속의 관점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소외된 존재에 대한 관심, 보잘 것 없는 작은 존재와도 화해하려는 의지이다. 두 번째는 뒷전의 인물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잡귀들은 아무 힘없는 사회적 약자일 뿐이다. 그런 인물들을 보면서 관중은 동질감을 느낀다. 인물의 행동을 보면서 웃지만 웃음의 대상 속에 나도 들어있다는 것을 안다. 나 또한 이 사회의 약자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변호사의 학벌/학력, 전관 (前官), 그리고 주변화: 대한제국 시기에 등록한 조선인 변호사들의 주변화와 식민지 문화 및 사회자본

        박천웅 ( Chun Woong Park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5 법과 사회 Vol.0 No.50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marginalization of practicing lawyers in colonial Korea 1920-30s. While high-status lawyers are characterized with higher income, practicing law in a large city, stable client relations, low-status lawyers are featured by lower income, practicing law in a small city, unstable client relations. Thus frequent transfers to smaller cities as well as relatively lower income indicate one aspect of lawyer’ marginalization processes. Through analyzing archival data during the colonial period (1910-45) such as lawyer transfer notices o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Gazette, classified documentations on lawyer registration produc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and an annual income survey of lawyers in Northwestern Korea, I discover that lawyers who reported lower incomes and frequently transferred from larger cities to smaller cities in the 1920-30s were Koreans who had registered circa 1906-10 and practiced law since then. I explain the Korean lawyers’ marginalization process in terms of relatively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lack of social networks. With these fi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lawyers with little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are marginalized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bar.

      • 엠마우스 복지관 사례를 통한 가톨릭교회의 사회복지

        천노엘 신부(Rev. Patrick Noel O’neill )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7 종교문화학보 Vol.4 No.-

        이 글은 아일랜드에서 사제서품을 받고 1957년에 한국에 와 50년간 지체장애인공동체인 엠마우스공동체를 일구어온 천노엘 신부의 사회복지 활동의 과정을 일부 소개하고, 정신지체장애인의 복지를 위해 필요하고 요청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언급한 것이다. 장애인들은 인간다운 대우를 받지 못해 왔으며, 특히 정신지체장애인은 심지어 죽음마저도 비인격적인 경우가 적지 않다. 저자에 의하면,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는 대규모 수용시설보다 지역사회 중심의 소집단 복지서비스가 적합하다. 그는 1981년에 국내 최초로, 3인으로 구성된 정신지체인 그룹홈을 시작함으로써 이것을 실천해 오고 있다. 처음에는 이해해주는 사람이 거의 없었지만, 점차 나아져 1989년부터는 정부의 지원을 받게 되었고, 1995년에는 사회복지법인으로 법적 인정도 받게 되었다. 장애인 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취업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아직은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지만,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과 똑같은 욕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비장애인들이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애인 복지의 궁극적 목표인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은 장애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욕구와 서비스가 충족될 때 실현 가능하다. 모두가 서울대에 입학할 수는 없으며, 모두가 일등이 될 수는 없다. 정신지체장애인은 어느 면에서는 실패자들일 수 있지만, 건전한 사회라면 실패자를 위한 자리가 꼭 마련되어야 하며, 실패자들을 환영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정신지체장애인들은 오히려 가장 정직한 사람들이다. 근년 들어 엠마우스친구들의 적극적인 지역사회 참여 활동으로 점차 그들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아 가고 있지만, 가장 근원적으로는 지역사회의 비장애인들이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필요하다. The Christian religion was born and nourished within a Jewish milieu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Jewish culture. When you read the Old Testament which is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you see that the Jews had a special concern for the marginalized peoples in society and offered services to the poor and the weak. The corporal works of mercy as found in the Old Testament are the foundation for the evolution of human services. Old Testament rituals had no internal worth unless they were accompanied with concern for the weak ones of society. Jesus Christ during his lifetime expressed in word and deed this concern for the needs of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In the Mathew Chapter 25(35-37). we read that on the Final Day we will be judged on how we treated our neighbour in need. From the Early Church times up to the Middle Ages Christian believers were very much involved in caring for the needy. For them caring for the poor and the needy was caring for the Hidden Christ. “What you do to the least of those little ones you do unto Me”. In this period the poor and needy were cared for within the local community, and were treated as a person with dignity(Hidden Christ) and respect. All those services were done voluntarily. Around the Middle Ages and on to the 18century, due to pestilence, extensive costly wars,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poverty became a major social issue, and the manner of offering services to the marginalized ones changed. Rather than community based services segregation and congregation of the poor and the weak became the model of services. Due to the Enlightment christian fervour and devotion began to decrease, you had huge numbers of large segregated institutions being build and staffed by payed carers. In a word the Judea-Christian model of Human Services was dying. With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you saw the birth of many new nations as they won freedom from their old colonizers-you saw the human rights movement lead by Dr. Martin King and the great document of-Gaudium et Spes from Vatican 11. The basic Christian believe-that man is made in Gods image-was bringing about a greater awareness of the dignity of man. Hence the model for Judea-Christian human services is recognizing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and offering them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where they will not feel the wound of segregation. Answering the Cry of Humanity is the role of Christian human services.

      • KCI등재

        사회화 과정으로 본 기간병 유머의 양가성

        정재민(Jaemin Jung) 국문학회 2008 국문학연구 Vol.18 No.-

        The military humor expresses the Korean s cognition about the experience of military service as a contemporary oral literature. Especially the humor of private and bangwie-byeong(short srevice soldier) represents the confusion of social-identity as well as the desire of usual recovery by carving or impressing. Moreover, these humor show the newly foolish man(gomungwan) and the teasing bangwie-byeong as an another maginal man. After all these military humor have contrary cognition, normality and abnormality, standard and deviation, rationality and irrationality etc. This phenomena grows on process of adaption to military culture. The valance between body and mind is upset after conscription into army. The conflicts spring up in the period of military service and occur cultuer delay. It can be explained the concert of ambivalance and private s double gaze. The ambivalance of military service is connected the grouping us and them, and joined together the estimating them. Finally the enjoyment group of military humor represents the ambivalance of re-socialization. These military story show the message on love or hatred about army, and these humor have significance as contemporary oral literature and scene of jest or deviation.

      • KCI등재

        다문화공간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차별화

        공윤경(Kong, Yoon-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본 연구는 공간적 관점에서 다문화공간의 형성,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인종, 민족, 국적 등의 차이가 다문화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공간을 바라보는 차별적, 이중적 시선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공간은 다양한 인종, 민족, 국적, 언어, 종교 등에 따라, 그리고 외국인 공동체의 사회자본에 따라 공간적으로 세분화, 개별화되고 있었다. 또한 우리사회의 차별과 편견 속에서, 지역적 특성을 보이면서 그 분포를 달리하고 있었다. 외부 세력에 의해 대중적인 장소성이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외국인들은 특정 공간, 구체적 장소에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들의 특정 공간 점유뿐 아니라 다른 외부의 힘과 관계망에 의해 공간의 성격은 변화되고 공간 구조는 재구성되고 있었다. 아울러 선망과 배제의 이중적 시선에 따라 또는 상품가치, 시장가치의 논리에 따라 다문화공간에 대한 양극화,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에스니시티와 초국가적 사회공간은 상품화되거나 주변화되고 있었다. 특히 주변화되고 있는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해서는 치안 유지와 더불어 슬럼화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문화공간은 아직 수용국 주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외국인들의 태도는 대부분 수동적이었다. 따라서 다문화공간이 공생의 공간으로서 지속적으로 생성, 유지되기 위해서는 정체성, 문화 등 상호 인정을 위한 외국인들의 주체적, 실천적 행위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first, examine the formation,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paces while taking the approach of spatial point; seco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s in race, ethnicity, nationalit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 spaces; and next to, find out about the discriminative, dualistic viewpoint towards multi-cultural spac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spaces are spatially subdivided and individualized according to various races, ethnicities, nationalities, languages, relig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immigrants community as well. While faced wit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y are also distributed differently and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outside power built popular placeness or immigrants made social capital and new placeness in the definite space and specific place. In other word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changed and spatial structures are reconstructed through immigrants possession on specific place, external forces and networks. In addition, according to dualistic eyes of envy and exclusion or depending on commercial value and market value, multi-cultural spaces are polarized and discriminated. The ethnicity and transnational social spaces accordingly have be commercialized or marginalized. Particularly,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currently maintain the public order in multi-cultural spaces that are being marginalized. Also receiving nation-state takes the lead still about multi-cultural spaces and immigrants take a passive attitude in Republic of Korea.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nd maintain multi-culture spaces as symbiotic spaces continually, this study indicated that immigrants have to retain subjective activity and practical effort for the mutual recognition of identity and culture.

      • KCI등재

        FTA 발효 전후 유통단계별 후생변화 분석: 수입포도, 수입오렌지

        박한울,조재성,이병훈,어명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농촌경제 Vol.37 No.1

        FTA체결에 따른 관세인하는 일부 주요 수입농산물의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세인하를 제외한 국제 농산물 가격상승, 환율 상승 등 거시환경 변화는 없다고 가정하고 FTA 관세인하 효과가 생산자, 소비자, 도?소매 수입유통업자 등 각각의 유통단계별 경제주체의 후생변화와 유통단계별 가격변화 및 유통마진에 미친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전체 물량을 기준으로 측정한 수입산 포도와 오렌지에 대한 소비자 잉여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단위당 물량으로 환산한 수입산 포도에 대한소비자 잉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세인하에 따라 수입산 포도 도입가격은 17% 하락, 오렌지 도입가격은 40% 하락하였고 도매단계에서의 유통마진 또한 하락(포도. 8%, 오렌지. 12%)하였지만 도입가격 하락폭보다 미미한 수준인 가운데 소매단계에서의 유통마진은 증가하여 두 품목 모두 소비자가격은 FTA이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계측되었다. 이는 FTA로 인한 수입 농산물의 관세인하효과가 상당부분 소매단계 수입유통업자들의 유통마진에 흡수되면서 소비자는 가격하락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FTA 관세인하혜택이 유통단계별 경제주체들에게 형평성 있게 배분되기 위해서는 수입농산물에 대한 실효성있는 유통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첫째, 유통업체의 시장지배력이 강할 경우 유통업체는 수입원가와 판매가격의 변화 없이 유통이윤을 늘릴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공정거래법을 통한 합리적 수준의 규제가 필요하다. 둘째, 수입과일에 대한 시장수요와 국산 과일의 작황 및 시세, 해외 수급현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입업체의 신중한 진출입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주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관세인하 혜택이 수입 및 유통업자에게 귀속되었을 경우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그 이유는 관세의 장기철폐, 환율상승, 수입독점, 현지 수출업자의 수출단가 상승, 과시적 소비행태, 수입농산물의 수요증가 등 여러 가지 요인들도 경제주체별 후생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추후 이러한 요인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effect of tariff reduction under Free Trade Agreements (FTAs) on the surplus of producers, consumers, and distributors, and on the change in price and marketing margin in a distribution channel, using an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 (EDM). As a result, consumer`s surplus is increased in imported grape and orange markets when the surplus is measured on a total volume basis, but consumer`s surplus is decreased in the imported grape market when the surplus is measured on a per unit basis. Also, an increase in marketing margins lead to increase price at retail level, although the import price is decreased by tariff reduction under FTA, which implies that tariff reduction or elimination does not leads to decrease price at retail level due to an increase in marketing margins. This suggests that most economic benefits from tariff reduction associated with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concentrated to marketing margins, and that establishing an efficient distribution system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equally distribute the benefits of tariff reduction over various economic agents in a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