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ise of a new tourism destination: How did Vladivostok become the closest Europe for Korean tourists?

        Beomsoo Kim,김주락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of Vladivostok, Russia, as a new tourism destination for Koreans from the perspective of a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using two axes, one representing the discourse of development as a pull factor and the other representing the discourse of a region as a push factor. Vladivostok established a physic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to evolve into a new destination through investments by the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project beginning in the mid-2000s. Also pivotal were two bilateral agreements between Korea and Russia: the Open Skies Agreement (2012) and the Visa Waiver Agreement (2014). Vladivostok, with these practices, was advertised as a tourism destination through Korean travel agencies that realized the area’s potential after those changes. The promoted image of Vladivostok as “the closest European city to Korea” was reinforced socially through frequent exposure on reality television programs. By satisfying the expectations of tourists seeking new and unique places to visit, Vladivostok became a popular destination. This is how a place that was once perceived negatively develops a new image through changes in policy, institutional practices, and a revised sociocultural gaze, thereby revealing that the destination is socially constructed.

      • KCI등재

        2009년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현장적용에 따른 지도 및 지역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황홍섭(Hong-Seop, Hw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2015년부터 전면적으로 현장에 적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찾아내고, 그 개선방안을 탐색함으로써 현장에서 수업을 쉽게 재구성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사회과 지리영역의 4가지 기본개념 중 문제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순서는 지도(41.8 %), 지역(31.6%), 공간(17. 3%), 환경(9.2%)이었다. 둘째, 지도에 대한 문제점은 축척의 생략, 지도종류에 관한 내용오류, 등고선의 부적절한 적용, 위치(경위도) 내용의 중복과 모호성, 지도활용의 부적절, 지도학습 내용의 분산적인 배치로 인한 학습의 혼란 등을 들 수 있다. 축척의 생략은 학습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교사 위주의 편의적 발상으로 인해 지도교육의 본질을 놓친 것으로 축척은 반드시 넣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에 대한 문제점은 지역이라는 용어의 모호성, 세계지리 내용구성 시 세계 여러 나라를 계통적(주제적)으로 구성함으로 인한 학습의 혼란 등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 여러 나라를 대상으로 하는 내용을 구성할 때 지역적 접근과 계통적 접근, 즉 통합적 접근을 통해 특수성과 일반성을 함께 학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2009개정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지도 및 지역관련 개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후 교육과정 개정 시 현재 현장 중심의 집필진에서 해당 학문영역의 전문성을 갖춘 집필진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 연구·심의진이 그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 요망된다.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has been applied completely since 2015. And teachers have appealed for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textbooks in school. This study has been finding the problems and searching for the improvements based on the geography section. First, the geography sec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as 4 fundamental concepts; region, environment, space and map. Among these, the teachers have pointed out the problems arranged in the order of percentages of map(41.8%), region(31.6%), space(17.3%), environment(9.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focused on map and region which have high percentages of problems. Second, the problems of map are ellipsis in scale, information errors of map types, inappropriate contour, ambiguity and error of using maps, confusion of learning by distributed placement of the contents of map studies, and so on. To erase the scale because of difficulty is not for the students but for the teacher-directed convenience. The scale is the essence of map stud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concepts of scale and estimate the concepts simply by using a bar graph. The map unit of textbook should be made newly for students to learn systematic map in order to overcome confusion of map studies from distributed placement. And contents of the map studies have to be placed appropriately by grades considering map learning hierarchy. Third, the problems of region studies are the ambiguity of the term of region, confusion of learning on systematic contents formation for learning world countries, and so on. In case of formation of the contents of world countries, regional similarity and characteristics of countries or regions should be learned together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rough regional approach and systematic approach, that is, integrative approach.

      • KCI등재

        일본 홋카이도의 지역개발 담론과 관광이미지의 형성

        조아라(Ara Cho)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1

        이 연구는 공간의 사회적 구성론의 관점에서 홋카이도라는 한 지역의 관광이미지가 형성되고 역동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행지에 나타난 관광이미지를 지역개발 담론 속에서 분석하였다 홋카이도 관광이미지는 전후 고도경제성장기의 대량관광시대, 지역주의.독자성 담론과 함께 등장한 고향관광시대, 차이와 지속가능성이 강조되는 포스트모던 관광시대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이미지에 대한 정의와 해석이 각 시대별로 지배적인 담론과 경쟁적인 담론의 경합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관광지 이미지는 역사적 중층성 속에서 형성된 시공간의 모자이크로 분석될 수 있는데, 이는 관광지 이미지가 형성되어 온 사회공간적 맥락을 고려하는 윤리적이고 책임있는 관광연구(정책)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discovered the process in which tourist destination images of Hokkaido have been shaped and dynamically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I analyzed tourist destination images contained in tourist magazines through the discourse of regional development. tourism destination images of Hokkaido were represented differently in the age of mass tourism of rapid economic growth period, the age of Furusato tourism which appeared with regionalism and identity discourse, and the age of post-modem tourism in which Sustainability was emphasized. This is because the defini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ourist destination images were constructed within the competition of hegemonic and alternative discourses by each age. In conclusion, tourist destination images could be analyzed as a spatio-temporal mosaic constructed within the historical overlapping. This implies that ethical and responsible tourism research and policies which consider the socio-spatial context in which tourist destination images were constructed are necessary.

      • KCI등재

        문화관광지의 문화정치와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

        조아라(Ara Cho)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3

        이 연구는 일본사회적 맥락 속에서 지방도시가 관광을 통해 새롭게 창조됨을 밝히고, 지역의 의미가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문화관광지의 지역정체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프로세스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문화관광지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개념틀을‘재해석’, ‘제도화’, ‘재인식’단계로 제안하였다. 둘째, 일본 지방도시 오타루의 운하보존운동과 역사관광지화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문화관광지의 사회적 구성 과정 단계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셋째, 지역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작동하고 있는 주된 메커니즘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이 정체성의 정치를 통해 새롭게 재해석되며, 경제적 동기로 인해 그 의미가 수정되고 타협되며 제도화된다는 것을 밝히고, 기억의 정치를 통해 구성된 진정성으로 확립되면서 끊임없이 재구성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at a local city was recreated by tourism, and to discover a general process in which the regional identity as a tourist destination was reconstructed. Specifically, fir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ocial construction of cultural tourist destinations was composed of a series of dynamic stages such as ‘reinterpretation’, ‘institutionalization’, and ‘recognition’ conceptually. Secondly, the dynamic stages were analyzed on the ethnographic study of Otaru where the movement of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canal was raised and strategies to attract tourism had been implemented. Thirdly, a main mechanism acting on each stage was examined.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region was reinterpreted through the politics of identity and the meaning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political and economic negotiation. Moreover, while being established as a constructed authenticity by politics of memory, the regional identity was embedded in the socio-spatial consciousness constant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