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Olfactory System: Basic Anatomy and Physiology for General Otorhinolaryngologists

        한선아,이재서,김진국,조도연,Zara M. Patel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3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16 No.4

        Olfaction is one of the five basic human senses, and it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primitive senses. The sense of olfac-tion may have been critical for human survival in prehistoric society, and although many believe its importance has dimin-ished over time,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human interaction, bonding, and propagation of the species. Even if weare unaware of it, the sense of smell greatly affects our lives and is closely related to overall quality of life and health. None-theless, olfaction has been neglected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compared to other senses. However, olfaction has recent-ly received substantial attention since the loss of smell and taste has been noted as a key symptom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nfection. Studies investigating olfaction loss in association with coronavirusdisease 2019 (COVID-19) have revealed that olfactory dysfunction can be both conductive and sensorineural, possiblycaus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brain. Olfactory training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olfactory dysfunction, suggesting thereorganization of neural associations. A reduced ability to smell may also alert suspicion for neurodegenerative or psychiat-ric disorders. Here, we summarize the basic knowledge that we, as otorhinolaryngologists, should have about the sense ofsmell and the peripheral and central olfactory pathways for managing and helping patients with olfactory dysfunction.

      • KCI등재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이국희 ( Guk Hee Lee ),최지훈 ( Ji Hoon Choi ),안충현 ( Chung Hyun Ahn ),이형철 ( Hyung Chul Li ),김신우 ( Shin Woo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2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 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그 냄새가 실감을 증대시키는지 (실감증대효과),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라는 세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세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there has been much advancement in the methods of provid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olfaction for video rea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fine and knotty to manipulate. As a first step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using olfactory inform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users` acceptability of smell when they watch videos of various kinds and then classified the video clips based on their acceptability of different criteria. To do so, we first selected three questions of whether the scene in the video appears to have an odor (odor presence), whether a matching odor is likely to improve a sense of reality (effect on sense of reality), and whether s/he would like a matching odor to be present (preference for the matching odor). Then after collecting 51 video clips of various genres that would receive either high or low ratings for the questions above, we had participants to watch the videos and rate them for the above three questions on 7-point scale. For video classification, we paired each two questions to construct 2D space to draw scatterplot of video clips where the scales of the two questions represent X or Y axis. Clusters of video clips that locate at different quadrants of the 2D space woul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 providing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 KCI등재

        Development of a Korean Culture-Friendly Olfactory Function Test and Optimization of a Diagnostic Cutoff Value

        하종균,김진원,남재성,박정진,조형주,윤주헌,김창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0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13 No.3

        Objectives. Cultural familiarity and safety must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olfactory ability. The YSK olfactory function (YOF) test is a new olfactory function test using culturally familiar odorants to Koreans. Methods. The YOF test comprises three subtests for threshold (T), discrimination (D), and identification (I). The identification test included eight universal and four Korean culture-friendly odorants, which were selected considering eight major functional groups. Data were obtained from 1,127 subjects over 19 years old. Subjects were classified as having normosmia (n=542), hyposmia (n=472), and anosmia (n=113) by self-reported olfactory function. The YOF tes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niffin’ stick test (KVSS-II) were performed on the same day in random order. Diagnostic cutoffs for anosmia and hyposmia were calculated using the Youden index (J). Results. The mean values for each T/D/I subtest and the total TDI score were as follows: normosmia (T, 4.6±2.3; D, 8.6±2.1; I, 11.1±1.7; TDI score, 24.2±4.5); hyposmia (T, 3.3±2.2; D, 7.1±2.5; I, 9.2±3.1; TDI score, 19.5±6.4); and anosmia (T, 1.7±1.2; D, 5.1±2.5; I, 5.0±3.2; TDI score, 11.8±5.6).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YOF test and KVSS-II were 0.57, 0.65, 0.80, and 0.86 for T, D, I, and the TDI score, respectively (P<0.001). The diagnostic cutoffs were a TDI score ≤14.5 (J=0.67) for anosmia and 14.5<TDI score ≤21.0 (J=0.38) for hyposmia. The diagnostic efficacy of the YOF test (area under the curve [AUC], 0.88)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KVSS-II (AUC, 0.88; P=0.843; DeLong method). Conclusion. The YOF test is a new olfactory test using safe and Korean culture-friendly odorants. It showed equivalent validity with the conventional olfactory function test. Furthermore, the YOF tes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major functional groups of odorants, potentially enabling a mor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for patients with olfactory disorders.

      • KCI등재SCOPUS
      •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과 영상분류

        이국희(Guk-Hee Lee),이형철(Hyung-Chul O. Li),안충현(Chung Hyun Ahn),최지훈(Ji Hoon Choi),김신우(ShinWoo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3 No.6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냄새존재여부),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가 내가 좋아하는 냄새인지 (냄새자체선호), 그리고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가 얼마나 구체적인지 (냄새의 구체성)라는 네 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네 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러시아어에서 특성발현동사 구문의 의미 구조

        황서경(Hwang Seo K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러시아어의 동사 어휘의미그룹 가운데 특성 발현의 어휘의미그룹이다. 이 동사그룹의 어휘의미에 포함된 특성은 빛, 소리, 냄새처럼 지각과 관련된 특성으로서, 특성발현동사는 지각동사와 의미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특성발현동사와 지각동사 사이의 의미적 관계에 주목하고 이를 어휘의미와 통사적 실현 가능성을 통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2장에서는 후각적 특성발현동사 пахнуть가 사용된 여러 용례를 분석하여 이 구문이 어떤 의미 구조를 갖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문장의 각 성분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특성발현 상황 참여자의 의미적 역할 즉, 지각의 주체인 경험자와 지각의 객체인 자극 및 자극의 내용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한다. 3장에서는 분석의 대상을 пахнуть 외에 다른 후각적 특성발현동사 및 시각과 청각적 특성발현동사로 확장하여 그 어휘의미와 의미 구조를 пахнуть 동사와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러시아어에서 пахнуть 동사 구문은 적어도 세 가지 이상의 모델로 실현되지만, 이들은 모두 경험자, 자극, 자극의 내용으로 이루어진 동일한 의미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규칙적인 통사적 실현 양상을 보여준다: [자극(주격/전치사구)+동사+자극의 내용(조격/부사)+배후 경험자]. 이러한 의미 구조는 пахнуть 외에 다른 특성발현동사들(благоухать, вонять, выглядеть, звучать)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동사에 의해 표현되는 지각적 특성에 따라 통사적 실현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성발현동사는 지각동사의 하나로서 이에 기반한 의미 구조를 가지는 동사다. 그러나 전형적인 지각동사와는 구별되는 어휘의미적 특징을 가지며, 이는 지각의 주체-술어-객체의 결합과 실현에 영향을 주어, 지각동사 본래의 의미 구조와는 다른 변형된 의미구조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