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과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김윤희(Kim, Yoonhee),오인희(Oh, Inhee)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7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이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밝힘으로써 자기장학 수행과 전문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MMS를 통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다중응답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장학수행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장학 저해요인으로는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효율적인 자기장학방법을 모름’,‘교사자신의 의욕 부족’, ‘환경적 여건 미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자기장학수행정도가 높을수록 교사전문성도 높아지며, 자기장학수행이 교사 전체전문성발달에 미치는 하위영역은 자기장학평가로 나타났고, 지식과 기술의 발달과 자기이해발달에 미치는 영역은 자기 장학 평가로 나타났으며, 생태적 발달에 미치는 영역은 자기장학 실행과 자기장학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on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hed light on relations between them, thus providing basic data to promote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and professionalism development.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256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 Province via MMS.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spons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2.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ose who worked at a kindergarten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than those who worked at a daycare center.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longer career they had, the higher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level became. Second, the biggest obstacle to their self-supervision was lack of time due to excessive workload, which was followed by no knowledge about efficient self-supervision methods, shortage of their own enthusiasm, and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order. Third, the study examined thei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ose who worked at a kindergarte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an those who worked at a daycare center.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longer career they had,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level became. Finally, the higher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level was,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ism became. Of the subareas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self-supervision evaluation had effects on the overall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teachers. Self-supervision evaluation also had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skills and the promotion of self-understanding. Self-supervis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had impacts on ec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분석 연구

        유평수(Yu Pyeong-su),최은이(Choi En-hee) 교육종합연구원 2005 교육종합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교내 자율장학의 전반적인 사항, 운영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이 변인별(성별, 규모별, 지역별, 직위별, 그리고 학교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의 자료를 제시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의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373명에 대해 자료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에 대해 그 개념을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그 중점적 기능은 교수․학습의 개선으로 주체는 교사이다. 둘째, 장학 담당자들은 교내 자율장학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이지만, 자율장학에 임하는 교사의 자세는 다소 소극적이다. 교내 자율장학의 주된 저해요인은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연구 시간 부족, 그리고 장학에 대한 부정적 의식이다. 셋째, 중등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시간은 평균 1일 1시간 정도이고, 1년 간 수업연구 횟수나 다른 교사의 수업을 참관하는 횟수는 년1-2회 정도이다. 넷째, 장학 담당자는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과 수업 지도 능력을 갖춰야 하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교내 자율장학 개선을 위해서는 자기 장학과 각종 연수를 강화하고, 교수․학습 여건 개선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도움을 얻고 싶은 대상은 동 교과 또는 동 학년 동료 교사이다. 다섯째, 중등 교원에게 자기 성장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교과 교육 연구 활동, 직무나 자격 연수 참여이고, 자율장학은 그에 비해 자기 성장 면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교내 자율장학의 유형 중 유익한 형태는 자기 장학과 동료장학이며, 장학 담당자가 실시하는 약식장학은 가장 유익하지 못한 형태이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이 활성화를 위해 교내 자율장학의 담당자인 교장․교감은 건강한 학교 풍토 조성과 장학자로서의 전문성을 증대하고 각종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showing the improvement of the point at issue, Which is being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about the recogniti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secondary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ts contents were set up as follow: First,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 backing key figure of self-supervision such as sex, scale, region, position, school. Seco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background characteristic. Third, showing the improvement plan of self-supervision. As practicing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put in operation, the subject of a questionnaire were 400 secondary teachers in the Cheollabuk-do. 373 of the Questionnaires were taken statistics. The questionnaire used this study was made out revising by asking advice of a tutor and finding items related it in the theory, a bibliography and a preceding study on the logical base. The substance of questionnaire was made three fields such as general recognition of self-supervision in school,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Statistic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materials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SPSS/PC+10.0 for the purpose of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n performed x2-test(chi-square) to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group, with a significance lever of p<.05, p<.01, p<.001. The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if secondary teachers are found to recognize that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is necessary and helpful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Secondly, although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much interest promotions of learning in the school, they participate in self-supervision with preparation in the negative. Key figures of hamper are shortage of study through too heavy work, negative recognition for learning promotion. Thirdly, studying time in average for professional extension is about an hour a day and the number of time that teachers have teaching research or visit a class is about once or twice an year. Fourthly,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to get a professional knowledge of a subject and guidance ability.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need to be reformed towar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method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settings. Also it need to enhance self-promo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rough visiting other classes.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with excellent teaching skills and read professional text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a class. Fifthly, research activities for subject, official and qualifying training is the best ways to secondary teacher. It is real that voluntary learning promotions focus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guidance, instruction-based and coworker-oriented learning promotions are mainly performed. Sixthly, The man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principal and vice-schoolmaster must create for sound school natural features and augment the specificity. It needs the diffusion of diverse educational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learning promotion in the education institution.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self-supervision. They also should prosecute their studies for years such as attending graduate school, reflecting on oneself about their own classes. Judging from the results above, Firstly, Study range needs to include a group such as principal, vice-schoolmaster related promotion of learning and professional school inspector and analyze the improvement plan of autonomous supervision having a through grasp of the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school.

      • KCI등재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위한 신학적 성찰: 신학적 성찰을 위한 영적 저널 활용을 중심으로

        허영자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self-supervision for pastoral counselors. Self-supervi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process of applying all things the supervisee has learned from the supervisor to his(her) own clinical work. However,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ism, self-supervision has come to imply all dynamics, feelings, and thoughts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of the present time and the process after counseling sessions. From that point of view, self-supervision cannot be regarded as a future goal but can be a goal from the early stage of supervisee training. Reflection is the core concept of self-supervision, Reflection means to think deeply about something in the past. Also, reflection focuses on relational dynamics, feeling, thinking, belief, value, attitude, and insight of the present time. However, general reflective questions and reflective thinking are not enough to make our counseling become pastoral counsel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accepts the frame of theological reflection by Patricia O’Connell Killen and John de Beer. Theological reflection pursues the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 spiritual journal can be a tool to process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nd as a vessel to exteriorize and contain insights gained from the process. If counselor trainees use a spiritual journal as a tool of self-supervision from the early stage of clinical training, they can proceed with self-supervision independently even after completing their mandatory training course. In their self-supervision, all things that they had learned from previous supervision will be reactivated. Furthermore, a spiritual journal will contribute to open the field to experience intimacy with God and the dynamic work of the Holy Spirit in pastoral counseling and supervision. 이 연구의 목적은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셀프 슈퍼비전이란 슈퍼바이저에게서 배운 내용을 스스로의 임상활동에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 왔다. 그러나 구성주의의 영향과 함께 셀프 슈퍼비전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현시점의 모든 역동과 감정, 생각 등을 비롯하여 그 이후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 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셀프 슈퍼비전은 슈퍼바이지의 미래 목표가 아닌 임상의 초기에서부터 훈련해야 할 목표가 될 수 있다. 셀프 슈퍼비전의 핵심 개념은 성찰이다. 성찰은 지나간 것을 되돌아본다는 의미도 있지만 현재 일어나고 있는 관계의 역동, 감정, 생각, 신념, 가치 태도, 통찰 등에 주의를 기울인다. 그러나 목회상담자로서 일반적인 성찰 질문과 성찰적 사고만으로써 상담을 목회적이 되게 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패트리샤 오코넬 킬런과 죤 드 비어(Patricia O’connel Killen & John de Beer)가 제안한 신학적 성찰의 틀을 수용한다. 신학적 성찰은 우리의 경험을 기독교의 영적 전통과 대화하는 것을 추구한다. 영적 저널(spiritual journal)은 우리의 경험과 영적 자원과의 대화 과정을 이끌어 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어지는 통찰들을 외재화하고 보관할 그릇으로서 유용하다. 영적 저널을 셀프 슈퍼비전의 도구로 활용하여 임상활동의 초기부터 훈련해 나간다면 모든 의무적 훈련 과정이 끝난 후에도 목회상담자로서 셀프 슈퍼비전을 계속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 안에는 슈퍼바이저로부터 받았던 모든 슈퍼비전의 경험도 재활성화될 것이다. 더 나아가 영적 저널은 하나님과의 친밀감을 체험하게 하고 목회상담과 슈퍼비전에 있어서 역동적인 성령님의 역사를 체험하게 하는 장을 여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영아 보육교사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과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김혜금 ( Hye Gum Kim ) 대한가정학회 201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1 No.6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영아 보육교사의 감독 행동에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감독 행동과 직무 스트레스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감독행동과 교사의 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감독행동을 더 많이 하며,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낮을수록 감독행동을 덜 한다는 것으로 보여준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감독행동을 더 많이 하며,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감독행동을 덜 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를 덜 느끼고 자기 효능감이 낮을수록 직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보육교사의 감독행동과 교사의 자기 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한 Allinder [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보육교사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그들이 돌보는 영유아에 대한 감독 및 통제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본 Berridge [9]와 Ward와 Skuse [54]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 Thakur [51]의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직무교육 및 승급교육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특히 영아특별직무교육에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을 고취하는 다양한 내용을 첨가하여 영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감독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감독 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 효능감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 보육교사는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감독 행동을 덜 하며,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감독행동을 더 많이 함을 알 수 있다. 감독 행동에 직무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에 자기 효능감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효능감이 초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난 Yoo 등[56]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지원하고 장시간 영아를 돌보면서 점심시간마저 영아를 돌보느라 제대로 식사도 하지 못하는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해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아 보육교사가 연구를 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경력이 있는 유휴인력을 보조교사로 투입하거나 60대 이상의 어르신 보육도우미를 점심시간에 투입하고 교사들은 식사를 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감독 행동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이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감독 행동이 높은 교사는 상대적으로 감독 행동이 낮은 교사들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을 가졌으며, 이러한 자기 효능감은 감독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직무 스트레스와 감독 행동의 관계에서 간접 효과를 갖는 보호요인으로서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 스트레스를 완충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효능감이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낮춘다고 보고한 Schunk [46]의 연구와 Cho와 Koo [14]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감독 수준이 높은 교사는 상대적으로 감독 수준이 낮은 교사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을 가지며 이러한 자기 효능감은 교사의 감독 행동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직무 스트레스가 감독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 효능감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을 제고하여 영아의 상해위험에 대한 감독 수준을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자기 효능감은 교수행위를 통해 학생들의 동기유발과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으로[12] 교사로서의 직무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와 관계가 있다[11]. 교사의 자기 효능감은 교사 초기 단계에서는 교사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지만 교사가 경력을 쌓으면서 굳건해지며 중간 이후 단계에서는 동기유발과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전감을 제공한다[26]. 다른 직종에 비해 근무환경이 열악한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가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영아 상해위험에 대한 감독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때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교사의 경력을 반영한 차별화된 내용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고,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이 영아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효능감이 직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매개효과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른 지역에서 근무하는 영아 보육교사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더 넓은 지역의 영아 보육교사를 포함하여 추후에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자기 보고 질문지에 의지하여 직무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 수준을 측정하였기에 영아 보육교사의 실제 직무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 수준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 교사의 행동관찰 및 교사 면담을 병행하여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는 영아 보육교사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보육교사의 높은 자기 효능감이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감독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upervision behavio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childcar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affected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nd whether their self-efficacy acted as a mediating effects on job stress and supervisory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292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struments utilized were the parent supervision attributes scal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data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Baron & Kenny first proposed,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car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self-efficacy, while th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and self-effic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Second, job stres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on supervision behaviors. Self-efficac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upervision behavior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behaviors and job stress. The more self-efficacy the childcare teachers had, the more supervision behaviors they performed. The greater their self-efficacy, the more the childcare teachers were able to control job stress. Therefore, by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eir level of supervision behaviors should increase and their level of job stress should decrease.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내 자율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및 자율장학 과정단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윤희,정혜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across self-supervision status in kindergarten and the effects of self-supervision process on teacher efficacy. To do this, 341 teachers in D city were surveyed; the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have experienced self-supervision in kindergarten, they reported a positiv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y recognized that self-supervision had been democratically conducted. Also, the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have been conducted once or twice per semester, an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self-supervision process was generally represented normal. Second, teacher efficacy appeared normal, and teachers in daycare center showed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eachers in kindergarten did. Third, teachers who experienced self-supervision,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and recognized democratic self-supervision reported higher teacher efficacy. Finally, teacher efficacy was affected by self-supervision process: ‘evaluation’, ‘common implementation’, ‘plan’, and ‘practice of informal supervision’. 본 연구는 원내 자율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및 자율장학 과정단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원내 자율장학을 경험하였으며, 만족도는 긍정적이었고, 장학의 지도방법은 민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원내 자율장학 유형을 모두 한 학기에 1∼2회 정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자율장학의 과정단계 실천 정도는 전체적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수준이었으며,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내 자율장학을 경험하고,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민주적인 지도방법으로 인식한 교사가 높은 교사효능감을 보였다. 넷째, 원내 자율장학의 과정단계에서는 ‘평가’, ‘공통 실행’, ‘계획’, ‘약식장학 실행’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 매개효과와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강민정,강승완,손승연 한국인사관리학회 201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3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existence of factors that hinders the positive action of human resources on the organization, even though the organization continuously imports excellent human resource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human resources are important. In this study, we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constructive voice of subordinates. The constructive voice of subordina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confirm this relationship in detail, firs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main effects by selecting the abusive supervision and constructive voice as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Specifically, we use social exchange theory to predict that there will b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sive supervision and constructive voice of the subordinates. Second, to clarify the mechanism existing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the con- structive voice of the subordinates,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subordinates was selected as a mediator and the effects were identified. Third, the core self-evaluation was selected as moderating variable. In particular, this study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core self-evaluation, the more likely it will absorb the abusive supervis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self verification theory, the higher the score of core self-evaluation, the more likely the leader will take the abusive supervision more sensitivel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busive supervi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onstructive voice of the subordinates. And it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sychological ownership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and empirically identifies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subordinates as a mechanism existing between the abusive supervision and constructive voice. Especially, the psycho- logical ownership of the subordinate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sive supervision and the constructive voice partly mediated. And the core self-evaluation of the subordinates moderated the abusive supervision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subordinates as predicted by this study. Parti- cularly, the higher the core self-evaluation of the subordinates, the more the psycho- logical ownership of the subordinates about the abusive supervision decreased. As predicted in this study, members with high core self-evaluation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abusive supervis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theoretically extend the research on the abusive super- vision and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subordinates. First, we have expanded the research area of the abusive supervision. Especially, through the social exchange theory, we could connect the research of the two domains of the abusive supervision and the subordinates voice behavior. In particular, it has implication in the fact that it has conducted detailed analysis of the constructive voice. Second, the mechanism of per- ception and behavior among the subordinates is empirically identified through psy- chological ownership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This suggests that the recognition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manifest the behavior of the subordinates. Finally, another aspect of the core self-evaluation was identified. This study proved that the core self-evaluation will react more sensitively to the abusive supervision. Other implications of the study also have been discussed along with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조직 변화와 혁신의 원천이 되는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 즉 도전적 및 촉진적 아이디어 제공, 혁신적 정보 및 의견 제시 등을 저해하는 요인이 조직 내 존재함에 주목하였다. 특히 위계상 상급자인 상사의 파괴적인 행동인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재량적 및 자발적 행동 인 건설적 발언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가정하고 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가지 연구목 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사회교환이론을 활용하여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구성원의 건 설적 발언행동 간 부적(-) 관계를 예측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구성 원의 건설적 발언행동 간에 존재하는 매커니즘을 일부 밝히기 위해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회교환이론의 논리를 재활용하였다. 셋 째, 구성원의 핵심자기평가를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 효과의 다양성을 확인하 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자기확증이론을 토대로 핵심자기평가가 높은 구성원일수록 상사의 비 인격적 행동의 부정적 신호를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일 것으로 보았다. 그에 따라 핵심자기 평가가 높은 구성원일수록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으로 가정하였다. 아울러 위의 가정을 종합하여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경유하여 건설적 발언행동으로 가는 통로가 구성원의 핵심자기평가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상사-구성원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은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의 부분 매개역할을 알아냈으며, 구성원의 핵심자기평 가가 높을수록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심리적 주인의식 간의 부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 는 것과 이로 인해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지식정보화 시대의 경쟁우위의 원천인 구성원의 참여적, 촉진적 행동인 건설적 발언행동까지 저해 하는 요인임을 밝힘으로써 관련 분야의 지식 축적에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실무적으로도 구성원 의 건설적 발언행동을 높이려면 효과적인 리더십의 독려 못지않게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상사 행 동을 줄이는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역할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기능을 알아냄으로써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건설적 발언행동 간에 내재된 영향력 과정과 경계 조건에 대한 이해의 확장에 기여하였으며, 조직의 경영진에게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을 이끌어내려면 인사배치 및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상 구체적인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 한 교훈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공립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실행정도가 학급경영에 미치는 영향

        정경람 한국아동교육학회 2005 아동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에서의 자기장학에 대한 교사의 실행정도가 학급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국·공립 유치원 교사 5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는 장학의 형태는 자기장학이 가장 많았고, 경력이 높을수록 자기장학을 선호하고,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실행정도는 경력이 높을수록 자기장학율 계획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장학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스로 반성 ·평가를 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자기장학의 실행이 교사들의 학급경영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장학이 학급경영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Several questions were set for this study demonstrating career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of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kindergartens who attended the n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during the summer session in 2004.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for asking kindergarte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class management.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revised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public kindergarte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by Lee Jeong-eun (1996). The data from the teachers were examined for content validity.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were adopted through the SPSS WIN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supervision was the most popular form of supervisio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have long careers preferred self-supervision, while new and mid-career teachers liked to do class research. Secondly, on the implementation of self-supervision, the long-term career teachers tended to plan their supervision in detail, therefore, implement it concrete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teachers with the results from the supervision, reflected on their teaching, evaluated themselves and adopted their new methods in the education field.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kinds of supervision of teachers was proved to be very helpful to their class management and self-supervision; especially, which leads to activate class management.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사무직 근로자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친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창동,오상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6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kindness corresponding to the psychological resources of the subordinates in the process. [Methodology]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office workers and a total of 39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6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prior researches and theories of abusive supervision, emotional exhaustion, self-esteem, and self-kindness. The data were reviewed through CFA, and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using SPSS 25, AMOS 25, and Macro Process 3.0 by Bootstrap [Findings]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abusive supervi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exhaustion of subordinates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subordinate’s self-esteem. The subordinates’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subordinates’ self-kindnes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elf-esteem. Finally, the self-esteem and self-kindness of the subordinates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their emotional exhaustion. [Implications]Under the situation that the researches on coping methods for avoiding or recovering from the harm of abusive supervision are fewer relative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psychological coping mechanism for preventing subordinates’ burnout caused by abusive supervision. [연구목적]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자원에 해당하는 자아존중감과 자기친절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 정서적 소진, 자아존중감, 자기친철 등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6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9년 1월 10일부터 21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406부의 응답을 확보하고 39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CFA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토했으며, 가설검증은 SPSS 25.0와 AMOS 25.0, 부트스트랩 방식의 Macro Process 3.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은 구성원의 정서적 소진에 정(+)의 영향을 주고, 구성원의 자아존중감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자아존중감은 정서적 소진에 부(-)적 관계에 있으며,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정서적 소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구성원의 자기친절과 자아존중감은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그들의 정서적 소진 사이에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으로 인한 구성원의 피해를 회피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매우 미진한 상황에서 이로 인한 조직구성원의 소진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심리적 대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과 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태

        고미영,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ceive, practice and need for self-supervision at school related to HE. Questionnaires were sent by E-mail and 150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reported using SPSS/win 10.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First, middle school HE teachers perceived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essential since it promoted self reflection of teachers themselves and improved professional skills. Furthermore, peer-coaching was highly preferred. Second,negative responses to the supervision of principal, vice-principal, and peer teachers overwhelmed positive answers. Information exchange among peer teachers was frequent, yet, approximately 22.6% of middle school HE teachers were still avoiding sharing information process for several reasons. About half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all teachers needed to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hird, they pointed out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not implemented well because of the lack of time due to the heavy work load, negative and passive attitude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dministration-centered supervision that did not reflect teachers' opinion, and shortage of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 HE teachers perceived that peer teachers who were doing good practices were most helpful for the supervision. Also, they preferred self-evaluation at the end of the self-supervision at school. Forth, to improve self-supervision at school, there were very high demands for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additional time, fundamental philosophy toward HE education. Fifth,the purpose and detailed plans of self-supervision were recognized as the results that were democratically derived by the HE teachers. Sixth, class inspection and informal inspection were operated once in a year, and self-training was rarely operated. Peer coaching and self-coaching were operated occasionally. Self-coaching and peer coaching were reported as the most helpful types of supervision. In addition, HE teachers answered that supervision was helpful to teaching method followed by contents, evalu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관한 인식 및 수행실태를 알아봄으로써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전문성 신장 활동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150부는 SPSS/Win(Ver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로 분석되었다.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 인식에 대해서 대부분(88.0%)의 가정과 교사는 이 장학이 자기반성과 전문성 향상에도움이 되므로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장학은 동료장학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교과 교내 자율장학의 목표 선정 및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대해서 반 정도(50.7%)의 가정과 교사들은 이 장학의 목표 선정 및 계획 수립 과정이 가정교과협의회를 거쳐서 민주적으로 결정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내장학의 유형별 실시 횟수의 경우, 수업장학과 약식장학은 1년에 1회 정도이었고, 자체연수는 실시되지 않는편이였다.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은 수시로 이루어졌다. 장학의 유형별 도움의 정도는 자기장학과 동료장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에 도움을 얻는 분야는 장학유형에 상관없이 가정과교수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음으로는 교과내용, 교육평가, 교육철학 순이었다. 넷째, 교장이나 교감과 동료교사의 장학에 대한 실제적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별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와의 다양한 정보공유는 열심히 하는 편이나 아직도 22.6%에 달하는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이 정보공유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정도(43.3%)의 가정과 교사는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수업공개자로 ‘모든 교사’를 꼽았다. 다섯째, 대부분(70.7%)의 가정과 교사는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이 잘 실행되지 않는 이유로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인한 시간 부족, 교수-학습 개선활동에 대한 부정적, 소극적 태도, 교사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는 행정위주의 장학형태,경제적, 환경적 여건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들은 항상 열심히 교수-학습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동료교사를 장학담당자로 가장 선호하며, 교내 자율장학의 수행 후 평가방법으로는 교사 스스로 평가하는 자기 평가를 가장 선호하였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 잡무경감 및 시간적 여유, 가정교육학에 대한 확실한 철학,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인지,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제공, 도서, 자료, 도구, 장소 등 물리적 지원, 교내가정과 동료교사가 없는 경우 관내에서 가정과 교사들과 연계, 장학담당자(교장, 교감)의 장학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

        강원도 어린이집 자율장학 운영 및 지원과 지원 방안에 대한 교원의 인식

        유준숙(Jun Suk You),김현정(Hyeon Jeo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강원도 어린이집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강원도 어린이집자율장학 운영과 지원에 관한 어린이집 교원의 인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를 위하여 강원도 어린이집 교원 425명을 대상으로 자율장학 운영과 지원, 지원방안 에 대한 인식과 근무기관 유형, 교육경력, 직위, 근무기관의 평가인증 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어린이집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율장학 운영과 관련하여, 자율장학을 실시하는 어린이집은 강원도 전체 어린이집 중 절반 정도이며, 자율장학의 결정은 교직원협의회에서 이루어지며, 자율장학에 참 여하는 교원들은 자율장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율장학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자율장학 지원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원들은 보육행정기관의 장학 자료 및 정보 제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자생적 연구모임도 장려되지 못하고, 지역 도서관 및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실질적으로 어린이집 교원의 자율장학활동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자율장학 지원방안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원들은 보 육전문장학사, 지역의 전문가(교수)와의 멘토링을 통해 자율장학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도서관과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의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state of self-supervision, the obstacles to self-supervision and the activation plan for self-supervision at a Child Care Cent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i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425 members of a Child Care Center``s staff(directors and childcare teachers) in Gangwondo. The data i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a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x2 examination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peration status of self-supervision, 49.6% of the subjects conduct self-supervision. A meaningful difference is found in typ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ertificate of evaluation at the Child Care Center. Second, obstacles to selfsupervision include being overburdened with work, lack of interest, lack of positive support and participation by teachers, and an insufficient reflection of teachers’needs. Such findings imply that an operation plan and evaluation must be made and a person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must specialize in education for efficient operation of self-supervision. For activation of self-supervision at the Child Care Center, adequate conditions are required, such as improvement of environment, financial support, strengthening of on-the-job training. Also necessary are the providing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study meetings for self-supervis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ing environment for the Child Care Center as per implementation of self-supervision an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within the childcare administration. This way financial support and various educational support can be rendered to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to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better self-super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