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노동자의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수준의 관계: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성혜영,성승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2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job stress level of emotional workers according to their self-differentiation degree and how the self-differentiation affects job-stress levels by means of self soothing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0 inbound call center employees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line using the self-differentiated scale of Je seok-bog (1989), the Korean job stress –Shortening(KOSS-SF) which i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Jang Se-jin i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4) and the self-soothing ability scale of Park Hyo-seo(1999).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theoretical basis. The basic statistical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 to verify the study hypothesis an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3.0. A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if the mediated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job stress did not correlate but self-differentia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lf-soothing ability and job stress show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self-differentiation and job stress level, self-soothing ability is a full mediation of them. This means that self-soothing abilit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job stress as a key variable. Self-differenti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job stress levels, but indirectly affect it through self-soothing 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soothing ability affected by the self-differentiation was directly impacted on the job stress levels of the inbound call center emotional workers. Therefore, it suggests that emotional workers need the intervention which improves self soothing ability through sufficient empathy to reduce job stress and to improve work efficienc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자의 자아분화정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자아분화가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직무스트레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는 인바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 근무자 2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측정도구는 제석봉(1989)의 자아분화척도, 장세진 등(2004)이 개발한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단축형(KOSS-SF), 박효서(1999)의 자기위로능력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4를 사용해 기초통계분석 및 상관 분석을 실시했으며, SPSS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자아분화와 자기위로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위로능력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수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위로능력이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이 핵심적인 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분화는 직무스트레스수준에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았으나 자기위로능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았을 때, 인바운드 콜센터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수준을 낮추는 요인으로는 자아분화의 영향을 받은 자기위로능력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하였다. 따라서 감정노동자들이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며 효과적인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감 경험을 통한 자기위로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진선,정남운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of counselors and the vicarious trauma. For this purpose, the survey including scales of self-efficacy, self-soothing, mindfulness and vicarious trauma was conducted targeting 391 counselors(male: 67, female: 324) who were likely to experience or be exposed to vicarious trauma.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dop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vicarious trauma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respectively. Meanwhile, it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Second, bot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showed mediating effects significantly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vicarious trauma. Third,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showed a double-mediated effect, which they mediated sequentially between self-efficacy and vicarious trauma. As a result, higher self-efficacy leads to higher self-soothing ability, and it improved mindfulness capacity. Finally, the improved mindfulness decreases the effects of vicarious trauma.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was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활동하는 상담자 중 대리외상에 노출되거나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상담자 391명(남: 67명, 여: 32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척도, 자기위로능력척도, 마음챙김척도, 대리외상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리외상은 자기효능감,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매개효과를 보였고 마음챙김도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이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기위로능력이 높고 높은 자기위로능력은 마음챙김을 향상시키며 마음챙김을 잘할수록 대리외상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 청소년 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단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권영(Kwon Young)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4

        본 연구에서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분노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위로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인식과 분노행동이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으로 인한 분노행동에 조절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남․녀 학생 471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분노행동, 자기위로능력의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피해경험 인식이 높을수록 분노행동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인식으로 인한 분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자기위로능력이 높을수록 집단따돌림이 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에 대한 인식과 이로 인한 분노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바, 청소년의 자기위로능력 향상을 통해 집단따돌림의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되는 역전이 현상의 악순환 현상을 줄이기 위한 자기위로능력 프로그램 개발과, 집단따돌림 문제를 가진 청소년의 분노행동을 자기위로능력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soothing abilities on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and examined self soothing abilities that can control anger behavior. The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Question 1. Does the have a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adolescent bullying victims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 Question 2. Does effect of self soothing abilitie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anger behavior due to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easuring instruments are the experience of bullying victims, anger behavior, self-reporting measures of self sooth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victimization experience of bullied youth, the more the relationship with anger behavior was explained. And it was found that self the effects of soothing abilities had an effect on anger behavior due to perceived experience of group bullying victims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 the effects of soothing abilities, the less negative impacts of bully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found to be that of self soothing abilities restoration affects adolescents perception of bullying victims and their anger behavior.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development of a self-abilities program to reduce the vicious cycle of this phenomenon and the rationale for reducing the anger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bullying problems to their own abilities. Therefore,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f soothing abilities of the youth to reduce the vicious circle the need to develop competency programs on their has emerged the victi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rationale for reducing the anger behavior of the adolescents with bullying problem to of self soothing abilities.

      • KCI등재

        2차 분리개별화가 폭식 및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 능력 및 정서조절 곤란의 순차 매개효과

        이도영,이훈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6 No.2

        This study explored the role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binge-eating, and self-harm behavior. Using a sample of 238 college students, we studied the relationships among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self-soothing ability, emotional dysregulation, binge-eating, and self-harm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soothing abili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dysregulation, binge-eating, and self-harm behaviors. Furthermore, self-soothing abil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d the effect of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binge-eating sequentially. Self-soothing ability, not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d the effect of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self-harm behavior, However, in a sample of 89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self-ha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harm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신영숙 ( Young Suk Shin ),이지연 ( Jee Yo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지각한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및 자기위로능력의 관계 규명에 목적을 두고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자기위로능력에 의해 매개되는지의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소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283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감정노동 중 표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과는 유의한 정적상관, 자기위로능력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감정노동 중 내면적 행동은 자기위로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위로능력은 표면적 행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부분 매개, 내면적 행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제언을 덧붙였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ethods i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83 teachers work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asures of emotional labor, self soothing ability and burnou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analysis. The logic of Baron and Kenny(1986) was applied to prove mediation, and the Sobel test used to prove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urnout, however, Surface acting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elf soothing ability.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lf soothing ability. Second, when surface acting and self soothing ability were entered into the regression model at the same time, surface acting showed an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Finally, self soothing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addition, self soothing ability had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s a way to reduce burnout, teaching administr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to perform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instead of surface acting at the moment of truth.

      • KCI등재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곽인희(Inhee Kwak),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사후반추사고를 통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강요한,오창진,송원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6 No.3

        This research sought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through post-event rumination. To this end, 30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using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the post-event rumination scale, the academic stress scale, and the self-soothing abili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version 23.0 and SPSS Macro,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ost-event rumination, and academic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while self-soothing abil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Secon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on the proces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roved to affect academic stress. Third, as to the effects of post-event rumination on academic stress, the adjustment effect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soothing ability.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was verified. The indirect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wa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oothing ability,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This study has provided empirical evidence for utilizing the self-soothing ability factors in therapeutic scenario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and by identifying the therapeutic factors that can control these influenc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esent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와 사후반추사고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02명의 남, 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사후반추사고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 자기위로능력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사후반추사고, 학업스트레스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위로능력은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사후반추사고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후반추사고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수준에 따라 효과의 크기가 달라지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변인 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영향력을 조절해 줄 수 있는 치료적 요인을 발굴함으로써 치료적 장면에서 자기위로능력 요인을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시사되는 개입의 방향, 연구의 한계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가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장은봉(Eun-Bong Jang),이수림(Su-Lim Lee)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성인남녀 20세이상 60세미만의 375명(남: 137명, 여: 238명)을 대상으로, 내현적자기애척도, 한국판 상태-특성분노표현척도(STAXI-K), 자기위로능력척도, 마음챙김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 역기능적 분노표현,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각각의 변인들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자기애가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을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으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현적자기애가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위로능력에서 마음챙김 경로를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상담에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o do this, 375 adults(male : 137, female:238) aged 20 to 60 were surveyed by Covert Narcissism,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f the variables of Covert Narcissism,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irdl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that leads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was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covert narcissism not only affect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but also affect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the path from self-soothing ability to mindful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counsel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자기위로능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불안의 순차매개효과

        박여심,안하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In this study, researchers established a major relational environmental factor and personal internal factors predicted to affect job-seeking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internal factors (self-soothing abil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the process that a relational environmental factor (insecure adult attachment) affects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through job-seeking anxiety.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1 college students who are juniors or seniors at a four-year college in 14 regions across the country.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were 137 male students (45.5%) and 164 female students (54.5%). Among these participants,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ere 251 (8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 and R program Package ‘boo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seeking anxiety, the higher the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addition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may appear differently based on the critical point of the job-seeking anxiety level. Next, the mediating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going to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through only job-seeking anxiety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sequentially going through two mediator variables, ‘self-soothing ability & job-seeking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 job-seeking anxiety’, the analysis conditions for the mediated model were not satisfied. However, in the influenc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triple-mediated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was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between two individual internal factors, self-soothing ability acted as a leading factor. Conclusions This study verified the model integrally considering a relational environmental factor and individual internal factors that can have a major impact on job-seeking anxiety and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is study, researchers identified the specific areas that can be provided or interven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presented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 about the follow-up research. 목적 본 연구는 취업불안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주요 관계 환경적 요인과 개인 내적 요인을 설정하고, 관계 환경적 요인(불안전 성인애착)이 취업불안을 거쳐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개인 내적 요인들(자기위로능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의 순차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전국 14개 지역, 4년제 대학교 3학년 이상의 대학생 30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남학생 137명(45.5%), 여학생 164명(54.5%)이었으며, 참여자 중 취업준비 중인 학생은 251명(83%)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과 R program Package ‘boo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취업불안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 분석을 통해 취업불안 수준의 임계점을기준으로 취업준비행동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불안전 성인애착이 취업불안만을 거쳐 취업준비행동으로 가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위로능력-취업불안’의 두 매개변인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나타났다. 한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취업불안’의 경우 매개모형 분석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 그러나 불안전 성인애착이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위로능력-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취업불안’을 거치는 삼중매개효과는 유의하게나타나, 두 가지 개인 내적 요인 중 자기위로능력이 선행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취업불안 및 취업준비행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계 환경적 요인과 개인 내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한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상담 및 교육에서 제공할 수 있거나 개입 가능한 구체적 영역들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기위로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오미경(Oh, Mi Kyung),정남운(Chung, Nam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위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애착 및 대상관계 이론을 바탕으로 부모의 공감과 자기위 로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24세의 대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부모 공감 척도, 자아존 중감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자기위로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 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공감은 자기위로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자기위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위로능력의 형성 및 유지에 있어서 부모의 공감적 양육과 자기와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표상의 역할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위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ables affecting sooth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theory of attachment and object relations,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at is mediated by self-estee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sooting 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444 students aged 19-24 at a college in Gyeonggi-do. Analys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parental empathy not only directly influences soothing abilit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soothing ability through self-estee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se results can be said to empirically confirm the role of parental empathy and positive representation of self and others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ooth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mprove the sooth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Limitations of the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