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 연구

        이진규,조성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as to explor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non-suicidal self-injury and their response to self-injury impuls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Colaizz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analysis resulted in 110 formulated meanings, 36 themes, and 13 theme clusters. Reasons for the non-suicidal self-injury included anxiety due to family conflicts, frustration by neglectful parents, fear of alienation by peers, and helplessness in life by loss of self. In other words, negative and unacceptable relationships in their family and friends were foun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 among the participants. Also,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the experience of non-suicidal self-injury included self-injury attempt for self-consolation, selection of self-injury as psychological exit, concerns for the negative views on self-injury, giving meaning to justify self-injury and response to self-injury impulses disappointment by the non-persistent self-injury effect, decision to stop problematic self-injuries, supportive relationship to discontinue self-injury, voluntary effort to discontinue self-injury, and wish to be a consoling person with sympathy.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중학생의 자해 이유와 심리사회적 경험, 자해 충동 대처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Colaizzi의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중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성의미 110개, 주제 36개, 주제군 13개를 도출하였다. 중학생의 자해 이유는 가정에서의 갈등으로 인한 불안, 방임적 부모에 의한 좌절, 또래에 의한 소외 두려움, 자기 상실에 의한 삶의 무력감 등이 자해를 하는 배경이 되었다. 즉 가정과 친구 안에서 부정적이고 수용적이지 못한 관계가 중학생의 자해 이유로 나타났다. 또한 자해 경험이 있는 중학생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자기 위로를 위한 자해 시도, 심리적 출구로 자해 선택, 자해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염려, 자해 정당화의 의미 부여이고, 자해 충동 대처는 비지속적인 자해 효과에 낙담, 문제적 자해 중단의 결심, 자해 중단의 지지적 관계, 자해 중단의 자발적 노력, 동병상련의 위로자로 소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 자해에 대한사회적 인식 연구

        장벼리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3 청소년상담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intervene in adolescent self-injuryand suicide problems by examining social perceptions of youth self-injury throughkeyword network analysis. To this purpose, based on Textom's big data, online data wascollected using search words such as 'adolescent + self-injury'. After the primary andsecondary filtering process, 50 top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word frequency,and then 1-mode matrix data was created based on this to conduct network analysis. The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keywords for youth self-injury appearedin the order of adolescents, self-injury, suicide, counseling, and parents. Second, thekeywords for‘adolescents’ and ‘self-injury’which appeared frequently in relation toyouth self-injury, had a high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s with"adolescent-counseling”, "adolescent-depression”, "self-injury-friend” and "self-harm-mind”respectively. Third,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connection centrality was adolescent,and it was similar to the ranking of the frequency of appearance. Fourth, the socialperception of adolescent self-injury was represented by four topics: "promoting the needfor psychological treatment,”"building a safety net”"recovery as a follow-up approach toself-injury behavior” and "building a support system for suicide prevention includingself-injur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ntervention inadolescent self-injury problems were suggested.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청소년의 자해중단 경험연구

        신수정,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epth the meaning of self-injury experienced by non-suicidial self-injury youth and the process of interruption and the factors of discontinu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8 youths who stopped self-injuri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among youths who had experienced non-suicidal self-injury for more than one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161 concepts, 54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erived. Summarizing the resul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ttempted self-injury to endure pain and became addicted to self-injury behavior over time. Participants realized the addiction of self-injury and recognized the crisis they were facing. They realized the reality of the crisis by worrying about their unstoppable addiction, the fear of death, and the negative impact o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who realized the crisis started professional treatment to stop self-injury behavior and showed efforts to find other coping methods other than self-injury. Participants' self-injury interruption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stages, starting with the repeated self-injury immersion stage, the crisis awareness stage, the acceptance stage of willingness to treat, the practice stage of self-injury discontinuation, and the receptive internal expansion st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regarding self-injury interruption process of non-suicidal self-injury youth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자해중단과정과 중단요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해경험이 1년 이상 지속된 청소년들로서 3개월 이상 반복자해가 나타나지 않는 18명의 청소년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161개의 개념과 54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참여자들은 고통을 견디기 위해 자해를 시도하였고, 시간이 갈수록 자해행동에 중독적으로 빠져들었다. 참여자들은 그만하고 싶어도 멈출 수 없을 정도로 중독되어 버린 자신의 상태와 죽음에 대한 공포 및 자해가 미래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걱정하며 자신이 처한 위기를 인식하였다. 위기상태를 자각한 참여자들은 자해중단을 다짐하며 전문적인 치료를 시작하였고, 자해 외의 다른 대처방법을 찾아 시도하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참여자들의 자해중단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진행되었는데, 반복적 자해몰입단계를 시작으로, 위기 인식단계, 치료의지 수용단계, 자해중단 실천단계, 수용적 내면 확장단계에 이르기까지 총 5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해청소년들의 자해중단과정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목회상담 연구

        임정아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9

        본 논문은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목회상담 연구다. 연구자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신적 어려움을 보여주는 중대한 사안인 비자살적 자해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자해하는 내담자들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기 위한 목회상담의 주안점과 방향성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대한민국은 지난 십여 년간 OECD 국가들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10대와 20대의 자살률도 계속 증가해가는 추세다. 우리나라 20대의 자살동기가 정신적 어려움 때문으로 조사되는 가운데, 대학생의 거의 절반에 육박하는 이들이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비자살적 자해를 한다는 연구결과들도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자살이 ‘자살적 자해’라면 자해는 ‘비자살적 자해’다. 그나마 자살에 관해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국가 차원의 예방대책도 마련되어가고 있으나, 자해에 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더욱이 목회상담 분야에서 자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연구자는 비자살적 자해가 죽기 위한 목적의 자살시도와는 달리 현재의 고통스러운 정서를 즉각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한 정서조절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자해는 자살과 비슷해 보이지만 행위의 의도, 유병률, 인지적 특성, 방법 등 여러 가지 면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사안이다. 따라서 자살과 자해는 다르게 이해되고 관리되어야 하며, 목회상담에 있어서도 자해 호소 내담자와 자살 호소 내담자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치료적 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적절한 치료와 개입은 향후 자살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차대한 일이다. 자해하는 내담자들에게 있어서 정서조절능력의 결핍은 자해에 대한 취약성이자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목회상담은 무엇보다도 내담자가 정서조절능력을 키워가고 건강한 정서조절수단을 배워가도록 돕는 일에 주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연구자는 자해하는 내담자의 정서조절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 목회상담의 방향성을 크게 두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목회상담은 자해하는 내담자에게 그동안 결핍해온 자기애적 욕구들을 충족시켜주는 심리적 산소 공급원이자 공감적 관계경험의 장이 되어주어야 한다. 둘째, 목회상담은 자해하는 내담자들이 공감적 관계 안에서 충분히 감정을 존중받고 인정받는 경험을 통해 점차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잘 돌보고 조절하는 정서조절능력을 키워갈 수 있는 모태가 되어주어야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pastoral counseling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The researcher looked into non-suicidal self-injury, a serious issue that shows the mental difficul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based on understanding of non-suicidal self-injury, examined the focus and direction of pastoral counseling to effectively help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South Korea has been unable to shake off the stigma of having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over the past decade, and the suicide rate, especially among teenagers and those in their 20s, continues to increase. While the motivation for suicide among Koreans in their 20s is being investigated as being due to mental difficulties, research results show that nearly half of college students commit non-suicidal self-injury at least once. In a general sense, if suicide is ‘suicidal self-injury,’ self-injury is ‘non-suicidal self-injury.’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uicide and preventive measures are being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discussions on self-injury are relatively lacking, and furthermore, almost no research on self-injury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The researcher noted that non-suicidal self-injury, unlike suicide attempts with the goal of dying, is used as a means of emotional regulation to immediately relieve current painful emotions. Self-injury may seem similar to suicide, but it is different in many ways, including intent, prevalenc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Therefore, suicide and self-injury must be understood and managed differently, and in pastoral counseling,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es must be used for the patients complaining of self-injury and those complaining of suicide. Appropriate treatment and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prevent the risk of suicide in the future.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lack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is a vulnerability and risk factor for self-injury. Accordingly, the researcher emphasized that pastoral counseling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should focus, above all, on helping patients develop their emotional control abilities and learn healthy means of emotional regul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wo major direc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o cultivate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First, pastoral counseling must serve as a source of psychological oxygen and a place for empathic relationship experiences that satisfy the self-injurying patients’ narcissistic needs that they have been lacking. Second, pastoral counseling sh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self-injurying patients to gradually develop their emotional control ability to take care of and regulate their own emo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having their emotions fully respected and recognized within an empathic relationship.

      • KCI등재

        청소년 집단에서의 자해와 SNS 사용: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김소정,고그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3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jury and SNS use among adolescents. Articles published between 01/01/2000 and 08/31/2019 were searched across databases. Twenty-one articles (20 independent studies) were included. Study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history of self-injury and suicide attempts, self-injury related SNS use, and the impact of SNS use on self-injury among adolescents were invetigated. There was no domestic study on the relevant issue and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with self-injurious behaviors tend to use SNS more than non-self-injurious peers and search for contents related to self-injury or suicide even before they initiate self-harming. SNS use on self-injury were related to benefits such as acquisition of information or guide,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s, sense of belonging, and emotional support. But risks of SNS use related to self-injury such as initiation, maintenance and aggravation of self-injurious behaviors, cyberbullying, depression, eating disorders, unsafe sex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more predominant across studie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literature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s on self-injury and SNS use among adolescents. 최근 국내외의 자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청소년들 중에서 자해를 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보고되고 있다. 연구들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자해관련 내용에 노출되는 경험은 청소년들의 자해위험을 높이며, 자해를 하는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SNS 상에서 더욱 활발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집단에서의 자해와 관련한 SNS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SNS 사용이 이들의 자해관련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들을 개관하였다. 국내외의 학술 데이터 베이스를 대상으로 2000년 1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학술지에 출판된 경험연구들에 대한 문헌검색을 시행한 결과, 국내에서의 관련연구는 부재하였으며 총 21편의 해외연구(20개의 독립된 연구)가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각 연구들은 연구특성 및 연구참여자 특성, 자해와 자살시도력, 자해와 관련한 SNS 사용 및 SNS 사용이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청소년 자해 집단은 비자해 집단에 비해 SNS를 더 많이 사용하며, 자해행동을 시작하기 전부터 자해나 자살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해와 관련한 SNS 사용은 정보나 안내의 획득이나 부정적 정서의 해소, 소속감, 정서적 지지 등의 긍정적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자해행동의 시작과 유지, 악화에 기여하며 온라인 폭력이나 우울, 섭식문제, 건강하지 않은 성 행동 및 대인관계 등과 관련이 있어 부정적인 영향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 집단에서의 자해와 SNS 사용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및 개입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개관

        김수진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9

        Non-suicidal self-injury(NSSI) is an act of causing damage to one's own body part intentionally without the idea of death(Nock, 2009). There is a recent rising trend of self-injury cases among adolescents, but Korea is in shortage of research on the self-injury of adolescents. This study thus set out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self-injury home and abroad and examine risk and protection factors to influence the NSS. First of all,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asons why they would repeat self-injury despite the pain in theoretical aspects with the four-function model, integrated theory model, and experience avoidance model, which are representative theories to explain NSSI. The findings were arranged around the risk factors of self-injury including the upbringing environment during childhood, difficulties with emotional regulation, negative self-image, psychiatric state,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also the protection factors of self-injury including the perceptions of wounds, life goals, recovery of self, and social support. Furthermore, it proposed more practical directions for the prevention and counseling of self-injury and discussed tasks for follow-up study. 비자살적 자해(Non-suicidal Self-Injury: NSSI)는 죽음의 의도 없이 고의적으로 자신의 신체조직을 손상시키는 행위이다(Nock, 2009). 최근 청소년들의 자해 사례들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청소년 자해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있다. 본 연구는 자해와 관련된 국외 및 국내의 선행연구들을 개관하고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비자살적 자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 중에서 4가지 기능 모델, 통합적 이론 모델, 경험회피 모델을 통해, 왜 고통에도 불구하고 자해를 반복하는지 이론적인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자해의 위험요인으로는 아동기의 양육환경, 정서조절의 어려움, 부정적인 자기상(self-image), 정신의학적 상태,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자해의 보호요인으로는 상처에 대한 인식, 삶의 목표, 자기(self)의 회복,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나아가 자해의 예방과 상담을 위한 보다 실제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과제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자해행동: 여중생의 자살적 자해와 비(非)자살적 자해

        이동귀,함경애,배병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해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여중생 491명의 설문 자료에서 자해 경험이 있었던 10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해 경험 청소년이 비(非)자해 청소년에 비해 가정 및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았으며 우울과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응답자들의 자해행동은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시기부터 시작되었고, 자신을 때리고 몸에 난 상처를 방치하거나 날카로운 물건으로 상처를 내는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해행동을 한 청소년의 약 1/3이 자살의도가 있었다고 보고했고, 이들은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행동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 자살시도, 자살실행 준비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살의도 여부에 따른 자해행동을 판별해주는 예측변수를 탐색한 결과, 가정 내 분위기가 좋지 않을수록, 자해 전 생각 기간이 길수록, 시도한 자해행동이 다양할수록, 자해행동의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자해행동의 ‘개인 내적 동기’가 낮을수록 자살의도가 있는 자해 청소년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아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491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103 of which presented with or reported experiences of self-injurious behavior. Self-injurious behaviors included beating themselves, leaving wounds untreated, and self-inflicted physical harm using a sharp tool. When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self-injury experiences, analysis showed that adolescents with self-injury experiences were scored lower on both family and school satisfaction, and reported higher in depression and distress. Additionally, one third of the self-injurious adolescents reported having suicidal ideations. Finally, the predictors differentiating the suicidal self-injury group from the non-suicidal self-injury group were: (a) less favorable family atmosphere, (b) later onset of self-injurious behaviors, (c) more diverse self-injurious behaviors, (d) higher social motivation for the behaviors, (e) higher depression, and (f) lower intrapersonal motiv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경계선 성격 유무에 따른 비자살적 자해 집단의 대인관계 특성 비교: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SASB)을 활용하여

        김예슬,장재홍 한국상담학회 2024 상담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 SASB)을 이용하여 비자살적 자해의 대인관계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비자살적 자해에서 경계선 성격장애의 공존병리가 높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비자살적 자해 집단을 일반 자해 집단과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은 20대 192명으로, 비자해 집단(109명), 일반 자해 집단(51명),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32명)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자해행동 척도, 경계선 성격특성 척도, SASB Intrex 단축형에 온라인으로 응답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자해 집단은 타인이 자기를 사랑하지만 보살핌이 적고 방임한다고 지각하였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공격하고 비난하는 내적 행동을 보였다. 둘째, 경계선 성격 자해 집단은 일반 자해 집단보다 대상이 자신에 대해 더 공격적이고 무시한다고 지각했으며, 대상을 증오하면서 철회하는 태도를 보였다. 내사 측면에서는 일반 자해 집단과 동일하게 자기를 공격하지만, 자기 마음대로 하고 자신을 보살피지 않는 행동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집단이 자해증상은 유사하지만, 그 이면의 대인관계 역동은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결과가 비자살적 자해의 이해와 상담에 시사하는 바를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terpersonal patterns of nonsuicidal self-injury(NSSI) using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SASB). Based on existing research indicating high comorbidit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th NSSI, the NSSI group was segmented into a general self-injury group and a borderline personality self-injury group. The study included 192 participants in their 20s, divided into a control group(n=109), a general self-injury group(n=51), and a borderline self-injury group(n=32).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Deliberate Self-Harm Inventory,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and SASB Intrex short form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neral self-injury group perceived that others loved them but caring little and neglecting. They showed internal behavior of attacking and blaming themselves. Secondly, the borderline personality self-injury group perceived the significant others as more hostile and neglectful compared to the general self-injury group. They also showed a hateful and withdrawn attitude toward the others. In terms of introjection, they exhibited self-directed hostility similar to the general self-injury group but acted unruly and did not take care of themselves. Thes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self-injury symptoms of the two groups are similar, their underlying interpersonal dynamics differ significant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or the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individuals with NSSI were suggested.

      • KCI등재

        고령자 대상 한국판 비자살적자해 신념 척도의 타당도 연구

        강문선,정미림,이영순 한국노년학연구회 2022 한국 노년학연구 Vol.31 No.1

        The Nonsuicidal self-injury beliefs scale was developed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purposes of self-injury behavior which would be difficult to explain by existing self-injury scales. Any non-suicidal acts of the older adult could be serious because they might result in suicide, but most of them have been likely to be conceal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themselves,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self-harm in older adults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nonsuicidal self-injury beliefs scale (NSIBS) for the older adults. The factors of the NSIBS, consisting of 39 items, were identified and verified by 298 data of either sexagenarian or septuagenarian adults who were pool of an online survey compan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version of the NSIBS for the older adults were identified as 9 factors consisting of 38 questions and the reliability was .94.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dysregulation scale (DERS),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INQ), self-injury behavior scale(SHI), depression (CES-D), and anxiety (STA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SIBS fulfilling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tory validity criteria. Third, when controlling some demographic variables (e.g., gender, age) and some psychological variables (e.g., emotional dysregulation, interpersonal desire, depression, anxiety), additionally explanatory power of self-injury behavior were significant and incremental validity was verifi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NSIBS would be a suitable tool to evaluate the self-injury beliefs of the older adults and to understand the bases of the non-suicidal beliefs of them. Furthermore, it could be a treatment and intervention means for preventing suicide to explore the beliefs or the bases of the beliefs. Since the bases of self-harm and suicide for the older adults are complicatedly interrelated with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explore or confirm what factors are mediated by non-suicide beliefs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self-harm behavior in the following study.

      • 청소년 자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이해: 멜라니 클라인의 두자리 개념과 윌프레드 비온의 O개념을 중심으로

        함수연 ( Hahm¸ Su Yeo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해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상담학적 이해를 시도하고자 함에 있다. 특히 청소년 자해에 대한 현황과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자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또한 청소년 자해에 대해 대상관계학파인 멜라니 클라인과 윌프레드 비온의 이론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먼저 클라인의 두 자리 개념인 편집-분열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의 각 개념들의 특징을 통해 자해행동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특히 편집-분열적 자리의 개념인 공격성과 우울적 자리의 개념인 죄책감을 바탕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각 자리에서의 자해행동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자해행동의 여러 의미를 탐색해 볼 수 있다. 이어 비온의 O개념을 중심으로 자해행동을 살펴볼 것이며, 고통을 견뎌내는 능력으로 알파-기능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특히 알파-기능의 부재가 어떻게 청소년의 자해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자해를 비온이 설명한 -K에서의 행동으로 이해해보고, 이에 대한 치유의 시간과 공간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먼저 그롯슈타인이 설명한 다차원의 O시간 개념에서 찾아낼 수 있는 경험의 상관관계를 통해 왜곡되고 혼란스러운 시간을 경험하는 -K를 담을 수 있는 시간으로 이해해볼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치유의 공간이자 무한의 공간인 O공간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이때 O공간은 레브리 상태를 바탕으로 한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self-injury in adolescents and to try to understand it in Psychoanalysi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self-injury in young adults as well a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self-injury are explored through previous studies. Self-injury in adolescents can be explored with the theories of object relations theorists Melanie Klein and Wilfred Bion. First, self-injury behaviors will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cept of the two position concepts of Klein: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and the depressive position. In particular, the understanding will b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aggression, and that of the depressive position, guilt. Different meanings of self-injury behaviors can be examined by looking at the self-injury behaviors in each position. Next, this study explores self-injury behaviors based on Bion’s concept of “O” and investigates the alpha-function, the capacity to tolerate frustration.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e how the absence of alpha-function can lead to self-injury behaviors in adolescents.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self-injury in adolescents based on Bion’s behavior in -K and examines the time and space for healing. First, it will be understood as a time that can contain -K where distorted and chaotic time is experienced through the correlation of experiences found in the multidimensional O-time concept explained by Grotstein. Furthermore, the concept of space O, a space of healing and an infinite space, will be explored. At this time, it will be explored that space O can be formed centering on interrelation based on the state of rever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