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기술훈련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신경년,천성문,이영순,주동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ocial skill training to children under broken families. To reach the goal, 20 children, third and for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broken familie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ach 10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the study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social skill training every 60 minutes for 10 tim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ake any training. To prove effects of developed program,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ested for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self-contro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a covariance were done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ith SPSSWIN.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social skill training was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aken the social skill training showed higher self-esteem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taken the social skill training showed higher self-expression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taken social skill training showed higher self-control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ocial skill training clarified that it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in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self-control of children. Through positive chang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taken the social skill training, therefore, children under broken families will have positive self-concept in their own lives, and direct and openhearted self-expression. Besides, they will build a healthy relationship by changing unstable emotion. 본 연구는 결손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B초등학교 3~4학년의 결손가정 아동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할당 한 후 10일간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매 회기 6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이 기간 동안 아무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자아존중감 검사, 자기표현 검사, 자기통제 검사를 실시하였다.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사회기술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피험자에 비해 자아존중감 수준, 자기표현 수준, 그리고 자기통제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사회기술훈련은 결손가정 아동의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실제 장면에서 또래 간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소근육 향상을 위한 발달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최의숙,임지향,정재원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발달적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소근육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으로 2021년 7월 20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주 3회 50분씩 사전 및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52회기에 걸쳐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표현은 자기표현 척도와 동적 집-나무-사람(K-HTP), 소근육검사는 KISE 발달척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검사, 기초조형활동과 소근육운동 평가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자기표현과 소근육 향상의 변화과정을 각 회기별 관찰지를 이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적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HTP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 그림 그리는 것을 어려워하고상황에 맞지 않는 대답을 하였지만, 사후검사에서 아버지를 마중 나가는 모습은 가족과 함께하는 모습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발달적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조형활동과 소근육운동 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발달적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소근육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별로 살펴본 결과, 자기표현에서 긍정적 감정표현과 아쉬운감정표현을 표현하였고, 매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소근육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발달적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소근육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evelopmental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fine motor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rom July 20 to November 30, 2021, art therap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52 sessions, including pre- and post-tests, three times a week for 50 minutes.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study, self-expression scale and dynamic house-tree-person (K-HTP) were performed for self-expression. For muscle strength tests, developmental assessment of fine motor skills, basic postural activities and evaluation of fine motor exercises from the KISE Developmental Scale were used. In addition, the change process of self-expression and fine muscle improvement of the study subjects was qualitatively analyzed for each session and stage using observation papers for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developmental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pre-test of the K-HTP drawing test, the individual struggled with drawing and provided inappropriate responses. However, in the post-test, there were observable changes in the depiction of the coming to meet father and engaging with family. Secondly, developmental art therap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fine motor improvement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Additionally,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basic postural activities and fine motor exercise assessments.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fine motor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ssions and stages, it was possible to express positive emotions from self-expression to expressions of disappointing emotion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developmental art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expression and fine motor improvement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에서 사회성 기술훈련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감정 다루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서은정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n dealing with emotion skills such as self-management of anger, self-expression for feelings, expression of affection toward others for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by using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children with ASD aging ten-year old children attending special education class at the regular elementary school. It was to improve dealing skills of their emotions, especially self-management of anger, self-expression for feelings, expression of affection toward others. The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were consisted of four steps: operational definitions of social skills, example study by watching video film, situational role-play learning, and recording of the natural practice training. The performance rates of verbal and nonverbal skills for the three types of dealing with emotions were collected for proving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improved self-management of anger, self-expression for feelings, expression of affection toward ot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성 기술 훈련프로그램이 분노조절하기, 감정 및 의사 표현하기, 상대방에게 관심 및 의사표현하기 등의 감정다루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기술 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특수교육서비스를 받고 있는 10세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아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시간지연방식으로 연구자에 의한 일대일 훈련형식으로 기초선, 사회성 기술 훈련과 유지 등의 단계 순으로 진행되었다. 중재방법은 감정다루기 기술 규칙, 비디오시청에 의한 예시 학습, 상황역할극 학습과 자연스런 상황에서 학습 등의 4단계의 사회성 기술 훈련절차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재 적용 결과, 사회성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분노조절하기, 감정표현하기, 또래에게 관심 표현하기 등의 감정다루기 기술을 향상시켰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손강숙(Shon Ka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 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 고찰과 10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 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수를 결정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른 활 동안을 작성하였고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검사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경기도내 인문계 고등 학교 학생 24명을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프로그램 전후 자기표현능력 검사(Self-Expression Scale: SES)를 실시하고 독립표 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의 변화가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등학생 의 자기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자기표현 능력을 향 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elf-expression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signed program.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was done in five steps-investigation,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pplication- of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Park, 1995). In the research step, various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and research of demand was conducted with 105 students. In the analysis step, objectives of programs, session-specific goals, and the number of sess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phase.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ep, activities were made based on the objectives and goals, and the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consultation process by experts and practitioners, and finally final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application phase, Gyeonggi 24 students were placed and tre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12 students and in the control group 12 students. They were conducted self-expression scales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hon & Ju, 2014), and it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changes in self-expression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refor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in high school.

      • KCI등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 표현력 신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박혜주,이숙경,우덕상,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on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19, to December 6, 2019, twice a week, a total of 16 sessions. Twenty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level 3)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special needs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Ulsan, consisting of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en children, respectively). The self-expression scale and social skills scale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The pre-post changes 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in SPSS Statistics 20.0.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expressive arts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in special need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statistical data, an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increased their self-expression and improved their social skills. This indicated that expressive arts therapy is an effec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measure that can be applied to special need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 표현력 신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울산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3급) 아동 20명을 실험집단, 통제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구성하여 2019년 10월 15일부터 12월 06일까지 주 2회, 총 16회기 동안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표현예술 심리치료 프로그램 전후로 자기 표현력 척도와 사회성 기술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에서 t-test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현예술치료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아동들의 자기 표현력 신장과 사회성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사전․사후 통계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실험 결과 지적장애 아동들이 실험 전보다 자기표현력이 신장되었고 사회성이 증진되었다. 이는 표현예술치료가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심리적․정서적 지원 방안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무용수업에서의 글쓰기 과제가 자기표현능력, 의사소통기술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박중길(JungGilPark)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중의 글쓰기 과제가 무용과 대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 의사소통기술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42명의 무용과 대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1명씩 배정하고 총 12주 동안 읽기와 글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표현능력, 의사소통기술과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지가 이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반복측정 분산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글쓰기 과제가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 중의 인지적, 정서적, 전반적 자기표현능력을, 의사소통기술 중의 자기노출, 주장력, 표현력, 지지, 효율성, 조리성, 목표 간파기술을, 그리고 비판적 사고성향 중의 분석, 체계성, 비판적 사고자신감, 성숙성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무용수업 중의 글쓰기 과제가 무용과 대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과 의사소통기술 및 비판적 사고성향 변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riting tasks on college dance students' self-expression abilit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ty-two college dance student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reading and writing assignments and for 12 weeks. The instruments were Self-Expression Ability Inventory,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Scale, and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Bot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cognitive, emotional, overall self-expression behavior among the SEAI, self-disclosure, assertiveness, expressiveness, supportiveness, efficiency, conversational coherence, goal detection among the GICCS, and analysis, systematicity, critical self-confidency, and maturity of the CCTDI. These results suggest that writing assignments in dance course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college dance students' self-express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ical thinking dispositions.

      • KCI등재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전주희 ( Ju Hee Jun ),박지연 ( Ji Yeo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자폐성장애 학생이 1명씩 통합된 학급의 학생들로, 실험집단은 29명, 통제집단은 30명이다. 실험집단은 총 12회기에 걸쳐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실험집단 장애학생에게는 통합학급 중재 매 회기 이전에 2회기의 특수학급 중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에서 두 집단의 변화 정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장애학생들의 결과는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장애학생의 변화는 사전-사후검사 결과의 산술적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 통합학급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표현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경우, 특수학급 교사가 평가한 사회성 기술은 실험집단 장애학생이 통제집단 장애학생보다 큰 폭으로 변화했으나 통합학급 교사가 평가한 사회성 기술은 두 학생 간 차이가 미미하였다. 자기표현능력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변화 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creative drama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The students of two inclusive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inclusive class of 29 students(one student with disability and 28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inclusive class of 30 students(one student with disability and 29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12 sessions in the inclusive class and with 24 sessions in the special class.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was provided with 2 sessions in the special class before each inclusive session to facilitate hi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n the inclusive class. With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The changes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kills between two group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elfexpression ability.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reported social skills, but there was no clear treatment effect in inclusive education teacher-reported social skills and self-expression ability. Finally, discussions of the resul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표현에 따른 사회적 기술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현정(Hyun Jung Bam),김기섭(Ki Sub Kim),윤영준(Young Jun Yoon) 한국여성체육학회 2012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lf-expression, social skill, adaptation of college life in college students majored in dance. A total 339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ss. First, in the impact of self-expression on social skill, self-expression indicated significant influence for sympathy, cooperativity, self-regulation, self-Assertiveness. Second, in the impact of self-expression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xpression indicated significant influence for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environment adjustment. Third, in the impact of social skill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ocial skill indicated significant influence for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environment adjustment.

      • KCI등재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 고학년 학생의 사회성 기술, 자기표현능력,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경석 ( Kim¸ Gyeongseok ),김자경 ( Kim¸ Jakyoung ),백은정 ( Baek¸ Eun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기술, 자기표현능력,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명의 고학년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14주 동안 총 16회기에 걸쳐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실험집단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평정한 결과에 따르면,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을 비롯하여, 자기표현능력, 교우관계에서의 향상을 가져왔다. 한편 학부모에 의해 평정된 교우관계와 자기표현능력 검사결과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의 교육적 함의와 제한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killstream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for upper-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ix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16 sessions during 14 weeks. The pre-post score differences were compared to analyze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one sample pre-post sco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ating of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Skillstream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scores of peer relationships and self-expres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rating of par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방과후학교에서 자기표현력과 사회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정진오(JinOhJeong),한아름(AReumHan)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방과후학교에서 자기표현력과 사회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한 초등학교 5학년 네 학급 110명(남 63, 여 47)을 판단표집했으며, 분석방법은 다변량분석과 다변량공분산분석 그리고 단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중 독서교육과 체육특기계발교육을 처치한 학생은 스스로의 목소리에 자신의 의도가 내재된 음성적 자기표현력과 사회성의 협동성에 주요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특기계발교육과 인성교육이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의 책임성은 수업일반에 효과가 높았으며, 내용적 자기표현력과 사회성의 협동성은 학교생활만족도의 교사에 대한 느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용적 자기표현력은 학교생활만족도의 교우와의 관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satisfaction through self-expression skill and sociability in the after-school programs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10 students(12 years old), 63 boys and 47 girl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the sampling of this study was practiced in the judgement sampling method.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MANOVA and MANC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se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group having reading and physical education club activity(DanceSport) among after-school programs showed improving self- expression and increasing cooperative spirit than control group did. To increase school satisfaction, personality education such as physical education club activity(DanceSport) is required. Seco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sense of responsibility was effective in motivating interest and accomplishment. It also found that cooperative spirit and self-expression skill are predictive of favorable impression on teachers. Peer group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related to self-expression sk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