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Experiences in Science Education

        ( Jeong Hye-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science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This research addresses these topics by exploring two key questions: First, what are a sample of kindergarte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as students? Second, how do these kindergarte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affect their beliefs toward teaching science? The qualitative data was obtain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four kindergarten teachers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Texas, US. In addition, observations of the science lessons were also conducted. Based on the data, this study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elief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scienc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 teachers’ personal learning history and past schooling experiences along with more recent experiences influence their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For instance, the participant teachers recalled their negative experiences with traditional school science lectures and their desire to teach differently in their science lessons. In this study, due to the participant teachers’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as students, they ranked highly the value of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hat value influenced the way they taught science. The teachers’ experiences as students encouraged their beliefs that science lessons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interesting.

      • KCI등재

        기조발표 : 과학기술법연구의 회고와 전망

        이경희 ( Kyung Hui Lee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06 과학기술법연구 Vol.11 No.2

        might be neglect of responsibility for lawyers to have an attitude that studying science and technology belongs to the realm of scientists not lawyer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new problems are continuously arising and new regulations are continuously enacting, revising and repealing according to scientific innovations. Equally, it might be neglect of responsibility to think that studying science and technology law is none of scientists` business at all. And it is not appropriate idea that science and technology law could be handled by scientists and policy plann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because science and technology law is deeply concern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cience. Science and technology law could be sufficiently developed through the joint research of law, natural science,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sociology, philosophy, ethics, psychology etc.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concerning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law, it is necessary to take systematic and academic approaches studying science and technology law totally, instead of traditional method of studying individual law case by case. From this viewpoint,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jurisprude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law and problems to overcome.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 윤리성, 과학 진로 지향도 및 사회 기여 의식과의 상관관계

        박지호,최선영 한국생물교육학회 2017 생물교육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science ethicality,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and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36 scientifically students and 39 general students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45 items; 114 items for science ethicality, 20 items for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11 items for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generally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in science ethicality, career orient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sub-area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both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were sligh- tly high 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cience ethicality and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As the result of regression of this,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 personality element of science ethicality had significant impact to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for science gifted students. Thir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ethicality and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it was notic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high as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factors, but general students were low.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motivation element of science ethicality for science gifted students was the most impact factor in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 KCI등재

        자연계열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 과정 탐색

        신승희,문공주,김성원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process of enhancing science self-efficacy (SSE) and to lay the foundation in understanding science self-efficacy of students. The ten categories related to the science self-efficacy were derived through the coding of the interview data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nd paradigm analysis to develop a process model of science self-efficacy improvement.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four cyclical phases were found in the process of enhancing SSE: ‘Entering into learning science’ phase, ‘enhancing SSE’ phase, ‘adjustment’ phase, and ‘result’ phase. More specifically, the phase of ‘entering into learning science’ is where students choose science track and stimulated to construct SSE. The phase of ‘enhancing SSE’ is where students taking a science track actively learn science and perform science activities. In the phase of ‘adjustment’, students come to have successful performance about learning science and performing science activities by using diverse strategies. Finally, ‘result’ phase indicates different appearances of students depending on SSE levels. The phases were non-linear and periodically repeat depending on situation. The core category in the selective coding was indicated to be ‘enhancing science self-efficacy.’ Students’ SSE form by learning science and performing science activities. These finding may help better understand the behavior of students who are taking a science track by facilitating effective science learning through the increase of their SSE levels. 본 연구는 학생 경험이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 과정에 대한 구조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는 자연계열 고등학생 25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근거이론에 의한 면담 자료의 코딩을 통해 과학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10개의 범주를 도출하고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 과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학습에 대한 기대감’을 가진 학생들이 자연계열을 선택하여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과학 학습에 대한 개인 역량’과 ‘외부에서의 영향’의 맥락 작용을 통해 과학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이루어지며, ‘내재적 불안 요인’과 ‘외재적 요인’의 중재적 조건을 받으며, 도입, 향상, 조절, 결과의 4단계를 순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중심현상은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이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수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의 다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최영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focusing on multicultural contexts and science education contents, and to analyze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curricula of the 2007 revised Ontario science and technology in Canada with the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ar in Korea. The framework’s horizontal axis was divided into four levels: the contribution approach, the additive approach, the transformation approach and the social action approach, while its vertical axis was comprised of ‘situation’, ‘components’ and ‘performance.’ Based on the criteria, the author quantitatively compared the curricula of the two countries. Furthermore, exampl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contexts were discerned from the goals, expectations, strands, topics, assessment and other considerations for program planning in science. In the 2007 revised Ontario curriculum for science and technology, it clarified that the diversity of student cultural backgrounds should not only be respected and supported for adjustment to the new 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inter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cience did not deliver 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as written instruc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cience needs to have learning materials showing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or diverse people working on scientific activities or careers. Moreover, definite directions and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reconstitution, or improvement of science curriculum for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concurrently.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과정의 목표 및 과학교육 내용표준을 준거로 한 분석 기준을 개발하고, 다문화 맥락을 고려한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기준에 따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2007 과학과 기술교육과정 및 한국의 2009 개정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3~6학년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한 분석 기준의 가로축은 다문화교육 통합의 접근의 4단계인 기여 단계, 첨가 단계, 변형 단계, 사회 활동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세로축은 상황, 내용 요소, 성취기준 및 하위 요소로 구성되었다. 이 분석 항목에 근거하여 두 국가 교육과정 간의 비교를 수행하였고,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내용 및 내용체계, 성취기준, 평가계획, 교수 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다문화 맥락이 반영된 혹은 고려될 수 있는 사례를 찾아 사회 문화적 배경과 다문화 과학교육 관련 문헌에 근거하여 장단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온타리오주 과학과 기술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배경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새로운 학습 환경에의 적응을 지원하는 방안과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과학을 지도하도록 지침을 주고 있었다. 국내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과학교육의 중요성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다양성을 존중하는 학습 자료나 다양한 사람들이 과학 활동 및 직업에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다문화 과학교육의 명확한 방향과 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학생과 주류 집단 학생을 함께 지도할 수 있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혹은 재구성, 교육내용 개선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임용우,김영수 韓國生物敎育學會 2013 생물교육 Vol.41 No.3

        1.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과 개정 배경에 나타난 과학 교육 교수요목(1946~1954)에 과학교육의 중요성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교수요목이 적용되던 당시에 교육심의회에서 채택한 교육이념과 교육방침(1945. 11. 23)에는 우리나라의 교육이념을 홍익인간으로 표방하면서 세 번째 항목에 과학기술의 독창적 창의로써 인류문화에 공헌을 기함이라고 하였다. 1948년에 제1차 미국교육사절단이 미군정청의 초청으로 내한하여 중앙교원훈련소(Teacher Training Center)를 개설하고, 전국의 교육자를 대상으로 교육 관련 연수를 실시하였는데, 교육철학, 인간발달, 사회생활, 보건체육, 언어학, 학교행정, 수학교육, 도서관연구, Home Room, 과외활동과 함께 과학교육에 대한 연수도 포함되어 있었다(Ham, 2003). 또한, 교육법(1949. 12. 31. 법률 제86호) 제2조 4항에는 “진리탐구의 정신과 과학적 사고력을 배양하여 창의적 활동과 합리적 생활을 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해방 후 건국 당시부터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6.25 전쟁 중에도 전시 하의 문교시책 중 건국문교에는 과학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실업생산교육에 치중한다는 내용이 있었으며(Mistry of Education, 1998), 이것은 비상시국을 타개하기 위하여 과학기술과 실업생산교육을 강조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1차 교육과정(1954~1963)은 본질주의와 항존주의 교육사상에 영향을 받아 개정된 교과 중심 교육과정이다(Cho et al., 2012). 제1차 교육과정에서도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내용은 없었다. 다만, 제1차 교육과정이 적용되던 당시 5.16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혁명정부는 1960. 5. 20에 간접침략의 분쇄, 인간개조, 빈곤타파, 문화혁신의 4가지 문교정책 실천요강을 발표 하였는데, 빈곤타파 항목에서 과학기술교육의 강화를 강조하였다(Ham, 2003). 이러한 강조점이 교육과정에 실제로 반영된 것은 제2차 교육과정부터이었다. 제2차 교육과정(1963~1973)은 진보주의와 실용주의 교육사상의 영향을 받은 생활 중심 또는 경험 중심 교육 과정이다(Cho et al., 2012). 제2차 교육과정이 마련될 당시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나라들이 소위 스푸트니크 충격에서 벗어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시기이기도 하였다(Kyoyukkwajeong?Kyokwaseoyonguhoi, 1990c). 이러한 외부의 영향과 6.25 전쟁 이후 사회재건과 빈곤 탈피, 경제부흥이라는 시대적 요청이 직?간접적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교육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러한 흔적이 교육과정 총론에서 발견되었다. 교육과정 총론에 있는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에서 생산성을 강조 하면서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강조하였다. “오늘날 모든 국민이 당면하고 있는 중요 과제가 국민 경제의 조속한 재건에 있으므로, 앞으로의 교육 과정에 있어서는 생산성이 강조되지 않을 수 없다. 모든 교과 학습과 교과 외 학습 활동에 있어서도 이 생산성이 강조 되어야 하겠지마는, 특히 일진월보하는 현대 과학 기술의 습득과, 실업 및 직업 교육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필요한 학습 경험을 충분히 계획하여야 한다.”국민 경제의 조속한 재건을 위하여 현대 과학 기술의 습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이었다. 또한, 교육과정 구성의 일반목표에서 “일상생활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하고 유익한 지식과 유용한 기능 및 과학적 생활 태도를 기르는 데 직결되는 학습경험을 포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과학?기술교육과 실험?실습 위주의 학습을 강조하였다. 제3차 교육과정(1973~1981)은 학문 중심 교육사상의 영향을 받아 개정된 학문 중심 교육과정이다(Cho et al., 2012). 제3차 교육과정의 총론에 나타난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이고, 기본 방침은 국민적 자질함양, 인간교육의 강화, 지식?기술교육의 쇄신이었다. 특히 지식?기술교육의 쇄신에서 산학 협동 교육의 강화를 말하면서 “이론과 실제와의 밀접한 관계를 이해하여 학교에서 배운 과학적 지식과 유용한 기술을 생산에 적용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함”이라고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제3차 교육과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는 우리나라 교육이 추구하는 바를 정리한 국민교육헌장(1968. 12. 5)과 스푸트니크 충격 이후 미국에서 개발된 새로운 과학과 교육과정을 들 수 있다. 스푸트니크 충격 이후 PSSC 물리, CHEM Stydy 화학, BSCS 생물, ESCP 지구 과학 등이 미국에서 개발되었고, 이들이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제3차 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Kyoyukkwajeong? Kyokwaseoyonguhoi, 1990c).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은 제3차 교육과정에서 가장 크게 변화하였다(Kim, 2002; Lee, 1993). 제4차 교육과정은 인간 중심 교육사상과 구성주의 과학철학에 영향을 받아 개정된 인간 중심 교육과정이다(Cho et al., 2012). 1980년에 출범한 제5공화국은 1980년 7월 30일 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개혁을 단행하였고, 이에 따라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고시를 위한 개정 작업도 진행되었다. 제4차 교육과정의 개정의 기본방향은 국민정신 교육의 체계화, 전인교육의 강화, 과학? 기술교육의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oints that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ould direct through searching changes in the basic directions,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from analyzing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has been under many revision by this time, were as follows. It was from the 2nd through 5th curricula that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was involved in the basic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Among objectives of the science curriculum, having interest and curiosity for science, raising scientific and rational attitude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understanding basic concepts and fundamental principles of science, acquiring scientific inquiring methods and recognizing the science-technology-society were presented persistently. In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 the importance has been moved from the practical facts to basic concepts and fundamental principles, and nowadays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properties of science such as fusion and introduction of the most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This study confirmed points that science curriculum have emphasized on persistently through many revisions. Because those points constructed the stem of science curriculum and were pursued persistently,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contributed in raising the people who are full of scientific literacy and Korean people's scientific literacy level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by which Korea has grown to the top 10 economic nations worldwide.

      • KCI등재

        유치원에서 다루어지는 과학주제와 과학적 개념 분석

        이경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7 유아교육학논집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ience topics and concepts used in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368 teachers who teach at kindergartens in a metropolitan area of Korea. Data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s that consists of 29 science topics and 86 science concepts based on study by Charlesworth & Lind (2003).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Life science was the most popular science contents used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nd the most popular topics were "Plant", "Animal", "Human body" and "Water". 2.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life science were "Washing one's hands with soap reduces germs", "Plants grow from seeds, roots, and stem", "Seeds need water, light, and warmth to grow". 3.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physical science were "Air is all around us", "Temperature tells how hot or cold an object is", and "Magnets can be used to make some things move without being touched". 4. In earth and space science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were "There are four seasons, and each has unique weather", "There are many stars in the sky", and "Clouds and fog are made of droplets of water". The three areas of science emphasis that are common in the kindergartens are life science, physical science, and earth and space science. Ideally, each of the three main areas should be given a balanced coverage. Therefore, teachers should carefully plan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과학 활동 시 다루어지는 과학주제와 과학적 개념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 교사 368명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에서는 생명과학 관련 주제들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으며 다음은 지구와 우주과학이었으며 물리과학 관련 주제들은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고 있었다. 과학적 개념은 위생, 식물의 구조와 성장, 계절의 변화와 관련된 개념들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보다 훨씬 폭넓고 난이도가 높은 개념들도 다루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 영역간의 균형 잡힌 경험 제공과 유아기에 제공되어야 하는 내용지식의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안내의 필요성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관 연구 동향 분석

        탁현수(Tahk, Hyun Soo),김홍정(Kim, Hong Je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2 No.-

        한국의 과학관은 서양에서의 과학박물관 개념과 과학센터 개념을 모두 가지고 있어, 국내의 과학관 연구는 크게 과학사물을 수집하여 발굴하고 연구하는 분야와 과학기술을 전시하고 교육하는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과학관 연구는 과학관 현장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과학관 건립, 정책연구, 순수과학기술, 전시, 교육, 과학기술사, 자연사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왔으나, 학술적 논의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관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한국 과학관 연구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관 발전을 위한 연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5년 9월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과학관’을 주제어로 검색 가능한 KCI등재지, KCI등재후보지로 선별하였다. 분석방법은 연도별, 학술지별, 학술분야별 논문 게재 수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논문의 주제어를 기반으로 주요단어 및 공출현단어의 빈도를 지도화하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2005년부터 2015년 9월까지 게재된 과학관 연구논문은 26종 학술지에서 59편이 게재되었으며, 4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한국과학예술포럼,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한국지구과학학회지,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등 이들 5개 학술지에서 전체 대비 50%가 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학술분야로 살펴보면, 과학관 연구는 사회과학과 복합학으로 분류된 학술지에서 발표되었으며, 각각 교육학과학제간 연구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또한, 과학관 연구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는 ‘과학관’, ‘전시’, ‘교육’, ‘학습’, ‘과학교육’, ‘비형식’ 등이었으며, [‘과학관’-‘전시’-‘학습’], [‘과학관’-‘전시’-‘패널’], [‘과학관’-‘전시’-‘비형식’] 등이 공출현하는 소규모 언어네트워크를 가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과학관 연구가 학술적으로 양적인 증가를 나타내면서 전시 또는 교육에 초점을 두어왔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과학관 현장에서는 과학기술콘텐츠연구, 표본과 같은 소장품의 보존처리연구를 바탕으로 한 전시기획 및 전시운영 등과 같은 연구결과들을 요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과학관 연구는 학술적으로 보다 다양한 주제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cience museums in Korea display two divergent roles: as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enters. Therefore, research into Korean science museums often focuses on either collecting, discovering and studying scientific objects, or exhibition of and education about scientific technologies.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museums, there has been numerous research undertaken into science museums in Korea regarding policy, pure scientific technology, exhibition, education,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natural history and the foundation of a new science museum. However, these topics have yet to be discussed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journals related to science museums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to science museums, and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museums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key phrase, "science museum" in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rvice.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discover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classifying them by year, type and field of research. Also,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map the frequency of key words and co-occurrence word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The results show that 59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26 journals from 2005 to September 2015. Specifically, the five major journals published more than 50% of the total papers. In relation to research fields, the study of science museums is mostly dealt with in the journals of social science and interdisciplinary science. In addition, key phrases, such as "science museum", "exhibition", "education", "learning", "science education" and "informal"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the research studies. Finally, there are small language networks that appear concurrently as below: [science museum-exhibit-learning], [science-exhibit-panel], [science museum-exhibit-informal]. These results show that studies into science museums have focused on exhibition and education, by enhancing their quantity of research. However, a broader scope of research into science museums appears to be necessary, due to the fact that more research into exhibition planning and operation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nservation are so crucial in the practical field.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

        강훈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3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do this, 108 science-gifted students from grades 3 to 6 were selected. After conducting the tests on their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exhibi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science academic passion and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but their scientific creativity was not relatively high.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cience academic pass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aspect of ‘obsessive passion’ of the five subcategories (‘importance’, ‘like’, ‘time/energy investment’,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Furthermore, the five subcategories, particularly ‘like’,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cientific creativity. However, the five subcategories of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science academic emotion’, ‘science-related self-concep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did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cientific creativity and did no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Additionally, neither the overall science academic passion nor the overall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를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3∼6학년 과학영재 학생 108명을 선정하여 과학 학업 열정 검사, 과학 긍정경험 검사, 과학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뒤,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과 과학 긍정 경험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적 창의성은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과학 학업 열정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지만, 5가지 하위 영역(중요함, 좋아함, 시간/에너지 투자, 조화열정, 강박열정) 중 ‘강박열정’에서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의5가지 하위 영역, 특히 ‘좋아함’, ‘조화열정’, ‘강박열정’은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 긍정 경험의 5가지 하위 영역(과학 학습 정서, 과학 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 관련 진로 포부, 과학 관련 태도)은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없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 전체와 과학 긍정 경험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Science for the People: Science in the Making of Modern China

        Shellen Wu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Cross-Currents Vol.- No.21

        Despite its importance, science remains an understudied aspect of PRC history. The recent provenance of the field underscores its deeply politicized history. In China, historians of science, particularly those at the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IHNS) within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only began to broach modern science in China as a topic of study in the 1980s. The rapidly shifting political winds of the previous era had kept the topic largely off-limits (Wang 2007). Yet many of the signal achievements of the Communist Party prominently featured science. At the same time, the state—from the late Qing imperial bureaucracy to the Communist Party regime—both shape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benefited from the authority conferred by breakthroughs in science. Right on cue, two excellent new works reveal the multifaceted and complex nature of science in the PRC. In Farewell to the God of the Plague, Miriam Gross examines how the Communist Party deployed public health campaigns as a form of “scientific consolidation,” by using science as a means to extend its control over the population. Sigrid Schmalzer’s Red Revolution, Green Revolution looks at agricultural science and the unique and distinctive trajectory of the Chinese green revolution.... Both works demonstrate the manifold ways science filtered into the countryside and became the basis of the party’s interactions with the rural popu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