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시교육청 행복드림학교 프로그램 효과 및 영향요인 분석

        서봉언,박상은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0 대구경북연구 Vol.19 No.1

        Career development is most important task in school education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However, while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s active,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s is not done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olicy idea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Happy Dream Schools,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 Daegu.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s have high demands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high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programs as the Happy Dream Schools project. Second, pre- and post-tes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showed no noticeable change in self-esteem, but that the sense of career and job(SCJ) and the competency of career and job(CCJ) ro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by career education program, self-introduction program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Fourth,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SCJ and CCJ showed that self-esteem and participation in self-introduction program wer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general high schools, given the lack of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high school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in that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Daegu. We look forward to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on a national scale.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청소년의 진로발달은 학교교육의 중요한 과업이다. 그러나 초·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진로교육에관한연구는활발한 반면, 고등학교의진로교육연구는미진한 편이다. 본연구는대구시진로교육프로그램인행복드림학교의효과를분석하여고등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개발및실행에정책적아이디어를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다음과같다. 첫째, 일반고등학교재학생들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자아존중감에서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진로직업의식과진로직업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교육 프로그램별 효과분석 결과, 자기소개서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만족과 효과를 보였다. 넷째, 진로직업의식과진로직업역량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탐색한결과, 자아존중감과자기소개서프로그램참여가중요한요인인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는고등학교에서이루어지는진로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이 미진한 상황에서, 일반고등학교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구시 운영학교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를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추후 폭넓은 지역의 일반고등학교대상진로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후속연구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Kim Jong Un),이태곤(Lee Tae G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초등학 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를 위해 부산 소재의 N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 학생 3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 12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진로역량강화 프로그 램을, 비교집단에는 일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각각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 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21.0) 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역량강화 프로그 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 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 을 실시한 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자기이 해, 일에대한태도, 독립심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인 본질동기, 수 업동기, 계속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초 등학생을 위한 하나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 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children who attended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n experiment group, a comparative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had 12 children.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Each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of SPSS/WIN(Version 21.0) statistics program.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self efficacy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Also, it showed a significant result in self 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 difficulty of the self efficacy. Second,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Also, it had an influence on self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working and independent spirit of the career maturity. Third,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Also, it had an influence on intrinsic motivation, instructional motivation and continuing motivation of the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howed that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elps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improve their self efficacy,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민희,김재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4

        Objective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activity-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s affect the career perception of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ctivity-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learners' interest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school career perception and present basic data to strengthen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veloped a total of 12 activity-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bove program, we used the test tool of Choi Hyejin(2017),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career awareness test developed by Yoonkyung Eo(2008) in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Awareness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ui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activit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recognition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nges of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sults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the overall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xperiment was completed, indicating that the activit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perception of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areer recognition scores did no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applying the activit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while career recognitio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The activity-oriented program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students' career awarenes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different from games,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at lower-grade students can experience in school, and to develop healthy self-concept and proper job values through career education.

      • KCI등재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성취동기와 진로성숙도 및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Jong Un Kim),하미경(Mi Kyung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LP Car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24 first-grade students who were joining a club of career exploration at D middle school located in Seo-gu, Busan, and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NLP Career Counseling Program. Then, the researcher divided those students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ing of 12 members through random sampling. Then, this study applied 12 sessions of NLP Career Counseling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group members’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in any w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LP Career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The program positively affects sub-areas of that motivation, or task orientation, self-confidence and future orientation. Second, NLP Career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n more detail,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sub-areas of that maturity, or planning, disposition and negotiation. Third, NLP Career Counseling Program has no effect of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occupational values. That program brings no significant change in any sub-areas of the values. In conclusion, NLP Career Counsel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except their occupational values. Thus, further studies are needed about how to use the program more effectively and make it more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성취동기와 진로성 숙도 및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의 D 중학교 1학년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 하는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2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 는 1회기당 45분 주2회 총 12회기의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 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모든 연구가 끝난 후 통제집단에 대해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변인들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 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중학생의 성취동기 의 하위요인인 과업지향성, 자신감, 미래지향성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계획성, 성향, 타협성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업가치관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 으나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업가치관의 평균이 향상 되었고 통제집단은 오 히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는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 그램은 중학생들의 성취동기와 진로성숙도 및 직업가치관에 효과가 있으며,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써 중학교 진로교육을 위한 전문적 인 진로지도와 진로교육 및 상담의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조성심,최승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search pr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for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we went through planning, program design, execution, and evaluation stages based on the PIE model and systematic program model of Park(1995).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experts, and we tested the efficacy of the program on the basi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other qualitative evaluations. The efficac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tested utilizing 48 maladjusted students from S, Y middle school in Yongin city and J middle school in Sungnam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 equal number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first author directly ran the whole program for 3 months. After executing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of the initial program, w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with feedback from the inquirer, observers and related experts and we executed the last of the program. We carried out Mann-Whitney U-test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utilizing the outcome measure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we assured that the developed career search program for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was appropriat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scores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twee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and didn't participate in the developed career search progra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pinned that the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career search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 changes toward school life for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by helping them search and prepare their career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하여 박인우(1995)의 체계적 프로그램 모형과 PIE모형에 기초하여 기획단계의 조사와 분석, 설계단계, 실행단계의 구안 및 적용, 평가단계를 거쳤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각 단계별 내용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내용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대상자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향상 및 질적 평가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의 S, Y중학교와 성남시의 J중학교의 학교부적응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24명씩 무선배정 하였으며 3개월여에 걸쳐 연구자가 직접 실행하였다. 초기개발프로그램의 1, 2차 시행 후에 연구자와 관찰자 및 관련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최종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실행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맨-휘트니 U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개발절차와 과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과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중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면서 학교생활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심보영,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vocational cards for career education i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verify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using the cards on students’ career awareness. Vocational cards have 50 cards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jobs by the Holland’s career types considering job characteristics, changes in occupational worl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sired careers. We developed the 8 session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vocational cards according to 2nd grades, and applied this program to 25 2nd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city. We carried out the pre-post tests on experimental group using a career awareness test tool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on students’ career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using the vocational cards affects on the career awareness development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significantly. Second, the career education using the vocational cards were assessed positively in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told the program was very interesting and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vocational worlds and themselves. The results suggest the vocational cards developed with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can be used usefully o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업카드는 직업의 심리적 특성과 변화하는 직업세계, 사용 대상자인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 특성,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을 고려하여 Holland 유형별로 대표적인 직업을 포함하여 50장으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직업카드를 활용하여 8차시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2학년 수준에 맞게 개발하였고, 이를 ○○시 □□초등학교 2학년 25명에게 적용하였다.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진로인식의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로인식 검사지를 이용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진로인식 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성적 분석을 한 결과,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재미있었고 직업세계와 자신을 이해하는데 유익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발달 단계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개발된 직업카드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진로교육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김하나,김혜연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코칭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10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다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1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팀활동과 일대일 코칭을 포함한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주3회 12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진로코칭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증을 통해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경험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코칭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 며 4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종속변인인 진로성숙도에 대해 사후검사에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다. 셋째, 진로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진로코칭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세부 활동 중 가장 유익하고 좋았던 프로그램 은 일대일 코칭이라고 응답하였다. 결과적으로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실험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성숙도가 향상되었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있어서 진로교육, 진로상담, 진학상담과는 다른 방법 인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maturity was observed o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coaching sessions for effectiveness check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sequence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whole career maturity and in every four subdivisions.. After the consequence of post test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career maturity,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The analysis of subjective experience of students attended career coaching program showed that the most of the students??answered that the program helped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before they participated the program and chose the one to one coaching as the most beneficial and instructive activity.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was verified because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career coaching program had been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take part in the program. There is a further significance since this research suggested career coaching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ways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such as career consulting and admission consulting.

      • KCI등재

        SCEP 프로그램이 일반계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수정(Kim, Su Jung),최지연(Choi, Jiyeon),이건남(Lee, Gun-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이 연구의 목적은 ‘SCEP’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원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0차시의 SCEP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CDMSE-SF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평균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남녀 및 학업성취도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변인별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양적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성적 분석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SCEP 프로그램 적용 후에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점수와 모든 하위영역에서 사후검사 점수에서 유의미한 점수의 향상이 나타났다. 이로써 이 연구에서 실시한 SCEP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중 집단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장차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CEP program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iency of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wo second-year classes of general high schools in Suwo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10th SCEP program between pre- and post-examination. The SCEP program was reorganized into a 10th program after a review by experts on SCEP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s developed by the Korea Occupational Ability Development Institute. The tool used to measure the path determination magnetic efficacy of the dependent spokesman used CDMSE-SF scale, conducted an independent sample t verification of the pre-test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performed a group-specific response t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pre- and post-test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a response sample t was verified by a variable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academic performanc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found through subsequent activity sites and student freedom response surveys. The study results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iency of high school students improved after the SCEP program was appli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overall score of the career-setting magnetic efficacy and in the score of the post-test in all sub-regions. This found that the SCEP program in this study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iency of groups during academic performan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raising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ien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정유순,유형근,조용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implement a program to utilize in group counsel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and to assess its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The program based 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u(1995) was conducted two times per week during club activity time after school. For this research, twenty volunteered students who are typically characterized as rural student were selected after interviewing with 5 to 6th graders from S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township of the Gyeonggi area. The test tool wasCareer Maturity Test(CMT)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of Kangwon Education and Science Research Institute(1993).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career maturity, compared with those that did not participate.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 sub-factors of the career maturity, the sectors of Determinationand Compromisefor career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not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However,Propensityfor career attitude and the change in the entire sectors of career capac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s research implicates that developmen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help to allow the students to be more aggressive and positive about their career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career guidance at the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구안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첫째,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고 둘째, 구안한 프로그램이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농촌 초등학생의 부족한 진로성숙도의 요인들을 확인하고, 연구범위에 있는 농촌 초등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한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진로태도 영역에서의 성향, 타협성, 결정성, 그리고 진로능력 영역에서의 자신과 직업세계의 이해, 의사결정, 직업선택능력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였다.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수정․보완한 프로그램을 경기지역 면소재지 농촌 초등학생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의 부족 영역을 찾아내고, 이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Young-Mi Kim),임은미(Eun-Mi Lim) 한국교육상담학회 2022 교육상담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을 위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J지역 남녀 중학생 46명에게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학교의 동급생인 남녀 학생 46명이었다.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내용은 2015 교육과정의 중학교 진로발달 목표의 대영역에 따라 자아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디자인과 준비, 삶의 가치관 찾기로 구성하였다. SPSS V.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검사의 집단간 차이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진로성숙도에 있어 동질집단이었고,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진로성숙도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시행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reading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a read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organized and conducted for 46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J regio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ame school. The contents of the reading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were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work and the world of work, career exploration,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and finding value of life according to the 2015 curriculum. Using the SPSS V.21 program, t-test was performed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e-post test. As a result of the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in career maturity,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areer maturi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reading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