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엔 강제실종방지협약 가입추진과 국내 이행입법의 주안점

        신희석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9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belatedly moving to accede to the UN Enforced Disappearance Convention and for its domestic implementing legislation in line with the pledges made at the UN and for the realization of the obligation to confirm and guarantee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Since the adoption of the Convention by the UN General Assembly in 2006, there have been on-going discussions in South Korea. The full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require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adoption of the Convention as well as looking into the main points of consideration for the domestic implementing legislation in term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vention, the defini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under the Convention and the obligations of the States Parties. The ques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1970s in the context of the brutal persecution of dissidents to foment terror by the military regim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in the 1970s. The human rights bodies of the UN and the Oragnization of American States (OAS) initially considered the enforced disappearance as violation of a collection of established human rights but came to view it as a stand-alone violation and came to adopt declarations and Conventions concerning the subject-matte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requires the ratification or accession followed by domestic implementing legisl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vnetion is governed by the provisions of the 1969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The object and purpose of the Convention for the purpose of its teleological interpretation as set out in the preamble are the preven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s, combating impunity for the crime of enforced disappearance and the right of victims to justice and to reparation, The evolutive interpretation and effective interpretation are also possible for the Convention. It would be advisable for the domestic implement legislation to stipulate explicitly that it is possible to make references to the international and regional human rights bodies as well as foreign courts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that the legislation does not intend to modify or restrict the Convention. The saving clause in article 37 also allows for provisions in the implementing legislation which are more conducive to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The elements of enforced disappearance are: (1) authorization, support or acquiescence of the State; (2) legal or illegal deprivation of liberty; (3) a refusal to acknowledge the deprivation of liberty or by concealment of the fate or whereabouts of the disappeared person; and (4) placing the person “outside the protection of the law”. The implementing legislation can take into account the recent practice of the UN Working Group on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s (WGEID), supported by UN resolutions, that include acts by non-state actors that exercise effective control over a certain territory. It may also be desirable not to include the reference to placing a person “outside the protection of the law” given the risk of its abstract nature making criminal prosecutions impossible. The obligation under article 4 of the Convention to ensure that enforced disappearance constitutes an offence under the criminal law requires the addition of a new crime in the implementing legislation and the requirement under article 8 that the statute of limitations commences from the moment when the offence of enforced disappearance ceases, taking into account its continuous nature, will also have to be reflected in the implementing legislation.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implementing legislation to provide for the exercise of jurisdiction under the territoriality principle and the (passive) personality principle as well as univers... 우리 정부는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유엔 강제실종방지협약의 가입과 국내 이행입법을 위한 준비에 나서고 있으며, 이는 유엔에서 했던 약속, 우리 헌법의 기본적 인권의 확인과 보장 의무의 실현을 위하여 필요하다. 2006년 유엔 총회의 강제실종방지협약 채택 이후 국내에서도 관련 논의가 계속되어 왔으며, 강제실종방지협약의 성실한 국내적 이행을 위해서는 강제실종방지협약 채택의 역사적 배경과 의의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제실종방지협약의 해석, 협약상 ’강제실종‘의 정의, 협약 당사국의 의무에 관한 국내 이행입법의 주안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제사회에서 ’강제실종‘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계기는 1970년대 중남미에서 군사정권이 공포를 조장하기 위하여 벌인 잔혹한 반체제 인사 탄압이었다. 유엔과 미주 인권기구는 처음에는 강제실종을 별도의 인권침해가 아닌 생명권, 신체의 자유와 안전 등 기존에 규정된 여러 인권침해의 집합으로 간주하였다가 이후 강제실종을 독립된 인권침해로 규정하고 각국의 의무를 구체화하는 국제선언과 국제협약이 채택되었다. 강제실종방지협약의 실체 규정 중 국제관습법의 일부인 내용은 非당사국에 대해서도 법적 구속력을 가지지만 실제로는 협약의 비준·동의와 국내 이행입법이 없으면 강제실종의 법적 정의, 형사처벌, 방지, 피해자 구제배상 등 규정의 국내입법 미비로 실효성이 떨어지고, 강제실종위원회(CED), 국제사법재판소(ICJ) 회부 등 강제실종방지협약의 절차 규정은 협약 당사국이 아니면 적용되지 않는다. 강제실종방지협약의 해석은 1969년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규정된 조약 해석의 일반원칙과 보충적 수단을 따르며, 강제실종협약 前文에 명시된 강제실종의 방지, 강제실종범죄의 처벌, 피해자 구제·배상을 목적론적 해석(teleological interpretation)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 자연스럽다. 국가간의 법률관계를 만드는 일반 조약과는 달리 개인의 보편적 인권을 규정하고 보호하는 특성을 가진 인권조약은 해석 방식이 사뭇 다르며, 목적론적 해석에서 파생된 변화하는 인권관념에 맞춰 “살아있는 문서”(living document)로 해석하는 발전적 해석(evolutive interpretation), 인권의 실효적 보호를 지향하는 실효적 해석(effective interpretation)은 강제실종방지협약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국내 이행입법에서는 유엔 강제적·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WGEID)과 미주인권재판소 등 권위 있는 국제·지역 인권기구과 외국법원의 해석·적용을 참조할 수 있다고 명문화하는 것을 검토해볼 수 있으며, 강제실종방지협약, 강제실종방지선언 등과 내용면에서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국제조약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는 규정을 둘 수 있다. 강제실종방지협약 제37조에서 협약보다 더 포괄적 보호를 제공하는 국내법 규정을 둘 수 있다고 명시한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제실종방지협약상 ‘강제실종’의 구성요건은 (1) 국가의 허가, 지원 또는 묵인, (2) 합법적 또는 불법적인 신체 구속, (3) 구속 사실의 부정이나 실종자의 운명·소재 은폐, (4) 피해자를 “법의 보호 밖에 놓이게 하는” 상황 초래이다. 국내 이행입법에서는 가해자 요건으로서의 국가 관여의 경우, 최근 WGEID의 실행과 이를 추인하는 유엔 결의를 감안하면 효과적인 강제실종의 방지, 처벌, 피해자 구제·배상을 위하여...

      • KCI등재

        실종사건 대응절차 개선을 위한 비교법적 기초연구 - 영미법계 국가의 대응절차를 중심으로 -

        이건수(Lee Keon Su),이권철(Lee Kwon Cheol)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8 No.-

        실종사건이 계속 증대되고 있으며, 실종정책에 대한 여러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실종자의 범위에 대한 논의, 실종사건 전담 수사기관의 배정에 대한 논란, 실종사건의 위험성 판단기준 및 절차의 수립 등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모습이 사라지는 현상은 소위 증발이나 전쟁 중 혹은 자연재해로의 행방불명 등 결코 드문 일은 아니다. 그러나 강제실종이라는 것은 조약에도 나타나 있듯이 같은 ‘사람이 사라지는’ 사건이라도 정부가 직간접으로 관여하여 어떤 인간을 납치해 그 후의 소식을 파악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강제실종에 대해서 우리들은 일본과 북한의 관계만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미 국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그 현대적 기원은 1941년 12월 7일에 나치 독일이 내린 ‘밤과 안개령’(독일의 안전보장을 위협하는 자를 점령지역에서 비밀리에 독일로 이송하고, 흔적을 없애고, 소재정보는 밝히지 않은 것을 말한다.)이라고 되어 있다. 1960년대에 과테말라 치안부대가 그것을 채용하고, 1970년대에는 아르헨티나나 칠레 등 라틴 아메리카의 군사독재정권 국가들로 확대되어 많은 사람들이 사라졌다. 게다가 1980년대에 들어서도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그리고 동아시아에서도 사례가 확인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실종문제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 다른 국가들은 어떤 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분석하고, 비교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먼저, 실종의 실태 혹은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우리의 실종 대응체계에 대한 비판 혹은 우려의 내용을 검토한다. 이후 비교법적 분석을 영미법체계를 지니고 있는 국가, 즉 영국, 미국, 호주 및 캐나다의 제도들에 제한하여 살펴본다. 다만, 국가별로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사안별 즉, 실종의 개념 혹은 실종자의 범위에 대한 각 국가의 입장, 실종에 대한 대응체계에 있어서 특수한 기관의 역할, 실종사건 위험성 판단의 기준 및 절차 등 각 이슈별로 비교하며 분석하는 방법으로 고찰해 본다. 특히 제Ⅳ장에서는 실종사건에 관한 국제사회의 대응으로서 조약에 의한 대응을 살펴보기로 한다. The disappearances continue to increase, and several criticisms of the disappearance policy have been raised. Criticisms have arisen about the scope of the missing persons, the controversy over the allocation of the investigative agency dedicated to the disappear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criteria and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risk of missing persons. This phenomenon of disappearing human form is not uncommon, such as the so-called evaporation, war, or the disappearance of natural disasters. However, forced disappearance means that even in the same ‘person disappearing’ case, as the treaty shows, the government directly or indirectly kidnaps a human being and is unable to grasp the future news. It is easy to think of Japan’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lone, but it has already become an international issue. The modern origin is said to be the “Night and Mist Spirit” issued by Nazi Germany on December 7, 1941. It means that a person who threatens the security of Germany is transferred secretly from the occupied area to Germany, the trace is removed,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is not disclosed. In the 1960s, Guatemalan security forces adopted it, and in the 1970s it expanded to Latin American military dictatorships such as Argentina and Chile, and many people disappeared. In addition, cases were identified in Asia, Africa, Europe, and East Asia in the 1980s.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what systems other countries have about concerns about the disappearance, and to suggest sugges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o do this, we first look at the current state or status of the disappearance, and then review the content of criticism or concerns about our missing response system. Later, the comparative legal analysis will be limited to those in countries with British and American legal systems, that i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However, rather than looking at each country, each issue, such as the concept of disappearance or the position of each country on the scope of the missing person, the role of special agencies in the response system to disappearanc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judging the risk of disappearance, etc. Consid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Particularly, in Chapter IV, the response by the treaty will be examined as the response of the relief society to the disappearance.

      • KCI등재

        강제실종방지협약의 이행감시절차와 한국의 이행

        박진아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3 인권법평론 Vol.- No.31

        On January 4, 2023, Republic of Korea acceded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With this accession, Korea is now a party to eight of nine core UN human rights treaties, exclud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dopts various procedure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and compliance of State Parties' obligations and establishes the Committee on Enforced Disappearances as the body to operate them. By acceding to the Convention, Korea is automatically subject to the Convention's procedures such as States Parties reports, urgent action, and country visits. In addition, the optional procedures of individual communication and inter-state communication are also available to Korea as it has declared its acceptance of the relevant provisions. As Korea is already subject to similar implementation monitoring procedures to the Convention, such a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the Working Group on Enforced Disappearances, there are actually no additional sovereignty constraints or obligations that would be added by Korea’s accession to the Convention. For now, the Convention requires the submission of a national report by February 3, 2025, and while there is a need to align domestic legislation with the Convention's standards and reflect this in the national report, the Convention is a single reporting system, meaning that once the first national report is completed, the burden of reporting will be lessened in subsequent years. Withe the accession to the Convention, Korea has ratified or acceded to most of the UN human rights treaties, further solidifying its position as a key member of the UN human rights treaty system. Unfortunately, the Convention is limited in its universal application due to the slow pace of ratification and non-recognition of individual communication and inter-state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Korea's accession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the Convention. Korea is the only country in the Asia-Pacific region that has accepted individual communication and inter-state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as it accessed the Convention, which confirms its commitment to human rights protection and its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2023년 1월 4일, 우리나라가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에 가입함에 따라 이제 우리나라는 유엔의 9대 핵심인권조약 중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제외한 8개 협약의 당사국이 됐다. 강제실종방지협약은 당사국의 의무 이행과 준수를 감시할 여러 절차를 채용하고 이를 운용하기 위한 기관으로 강제실종위원회를 설치했다. 협약의 가입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협약상의 국가보고, 긴급조치, 당사국 방문 등의 절차가 자동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선택적 절차인 개인통보와 국가간통보도 우리나라가 관련 규정을 수락 선언함에 따라 적용이 가능해졌다. 이미 우리나라는 시민적정치적권리규약, 고문방지협약 등 기존에 비준・가입한 인권조약과 강제실종실무그룹 등 유엔 헌장에 기반한 인권보장체계를 통해 협약과 유사한 이행감시절차의 적용을 받고 있어 실제로 우리나라가 강제실종방지협약의 가입으로 인해 추가로 발생할 주권 제약이나 의무 이행의 부담은 크지 않다. 당장은 협약의 규정에 따라 2025년 2월 3일까지 국가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적어도 이 시기 내에 협약의 기준에 맞춰 국내법을 정비하여 이를 국가보고서에 반영해야 할 과제가 있지만 협약은 1회 보고 방식인 만큼 첫 국가보고서를 충실히 작성하면 그 이후부터는 국가보고의 부담도 줄어든다. 우리나라는 이번 강제실종방지협약 가입을 통해 대부분의 유엔 인권조약을 비준 또는 가입하여 유엔 인권조약체계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강제실종방지협약은 아쉽게도 부진한 비준 증가 속도와 개인통보 및 국가간통보 미수락 등으로 인해 협약의 보편적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 점에서 우리나라의 가입은 협약의 확산과 발전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유일하게 협약 가입과 동시에 개인통보와 국가간통보를 수락했으며, 이것은 우리나라의 인권 보호 의지와 국제인권보장 체계 동참을 확인시켜주는 기회가 됐다.

      • KCI등재

        KAL기 납북자문제 -국제인권법정 접근 및 대응

        제성호 평화문제연구소 2013 統一問題硏究 Vol.25 No.1

        The Korean Airlines(KAL) plane YS-11 were diverted and 50 South Koreans aboard the aircraft were focibly taken to North Korea on 11 December 1969. Eleven of those kidnapped are not returned until now. This Korean Air abductees issue remains one of the most tragic sufferings occurred in the era of Korean division. Basically, that issue contains enforced disappearance caused by North Korea’s sponsored aircraft hijacking and its unlawful detainment of innocent South Korean citizens. North Korean abduction constitutes a flagrant violation not only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cluding Universal Declaratioin of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 but also of international anti-hijacking laws, including 1963 Tokyo Convention. In addition, such North Korean act must destroy the spirit of the 1953 Korean Armistice Agreement and could be a crime against humanity under the 1998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gainst this background, South Korea should approach the KAL abductees issue as one of the most serious human rights issues and seek proper human rights-oriented solutions, taking international criminal aspect into consideration as well if necessary. Possible Korean Responses could be made on two tracks. One is international channel and the other is inter-Korean dialogue. In other words, the ROK government should make pressure or persuasion to North Korea for the change of its attitude toward the KAL abductees issue by taking advantag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while it pursue confirmation of status and whereabout or family reunion and the like through South-North Korean talks. 1969년 북한의 KAL기 납북자문제는 현 분단시기에 발생한 비극적인 분단공통의 사안이다. 이는 본질상 북한이 개입된 항공기납치에 의해 발생한 강제실종, 그리고 무고한 민간인에 대한 불법억류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납북 행위는 세계인 귄선언, 국제인권규약 등 국제인권규범의 중대한 위반일 뿐만 아니라, 항공기 납치를 금지한 국제항공법에도 저촉된다. 또한 상대방에 대한 적대행위를 금지한 정전협정의 정신을 파괴한 행동이며, 로마규정에 명시된 반인도범죄에도 해당된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우리는 KAL가 납북자문제를 중대한 인권문제(필요시 국제형사적 측면도 고려함이 타당하다)로 접근, 해결을 추구하여야 한다. 추후 한국의 대응은 국제적인 해결과 남북대화를 통한 해결로 나누어 양자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국제인권기구를 활용하여 대북 압박 및 설득을 모색함으로써 태도 변화를 유도하고, 이 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남북대화에서 생사확인, 이 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남북대화에서 생사확인, 상봉 등을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사용자가 제기한 부당해고 재심판정취소소송중에 원직이 소멸한 경우의 법원의 처리

        정진경(鄭鎭京)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2013 노동법연구 Vol.0 No.35

        행정처분의 취소소송에 있어서 판단의 기준시에 관하여는 처분시설과 구두변론종결시설이 대립하고 있는바 우리나라의 통설과 판례는 처분시설을 따르고 있다. 그런데 노동위원회의 명령이나 결정에 대한 취소소송에 있어서는 그 위법판단의 기준시점의 문제는 구제의 필요성과 관련된 것이다. 처분시설을 취한다고해도 구제명령의 발령 후에 구두변론종결시까지 명령의 이행이나 집행을 불능케하는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는 취소소송의 판단에 있어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우리 법원은 사실심 변론종결 당시를 기준으로 하여 원칙적으로 원고인 사용자에게 명령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을 결여하여 소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원직복직 등을 명한 재심판정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항소한 경우 원직의 소멸로 원직복직 명령이 이행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그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고 하는 판단은 이행강제금 제도 등이 신설된 현재에 있어서는 부적절하다. 소를 각하하는 경우 원직이 소멸하였음에도 원직복직을 명하는 재심판정은 그대로 남아 있어 원고는 이행강제금 부과 등의 불이익을 당할 위험이 계속하여 존속하기 때문이다. 결국 부당해고 구제신청과 관련한 노동위원회의 결정은 그것이 순수한 행정처분이라기보다는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부당해고와 관련한 분쟁에 있어서의 준사법적 판단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재심판정이 존속함으로써 사용자와 근로자사이의 분쟁이 종결될 수 없는 특별한 경우에는 위법성의 판단시점을 구두변론 종결시점으로 하는 방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About the base point of judgment in respect to revocation litigation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conflict exists between the ‘disposition point theory’ and the ‘closing oral argument point theory’. Commonly accepted theory and judicial precedents of Korea are in line with the ‘disposition point theory’. In case of revocation litigation against orders and decisions of labor committee, the base point of illegality decision is associated with the necessity for relief. Even if the ‘disposition point theory’ is taken,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circumstances that make compliance and execution of order impossible up to the closing oral argument point after the issuance of relief order. In this case, our courts have decided that employers, plaintiffs, are lack of right protection interest because they have no legal interest to obtain the revocation of order, in principle, considering the time of closing oral argument as a base point. If employers appeal adjudications related to reinstatement order, however, the judgment that there is no interest of right protection to obtain the revocation is inadequate when the execution of reinstatement order become unenforceable because of disappearance of original job at this time charge for compelling the performance has been newly established. The rejection of lawsuit might cause danger of disadvantage like the charge for compelling the performance to plaintiff because of the existence of retrial adjudication ordering the reinstatement even after the original job has been disappeared. Labor committee decisions related to relief application of unfair dismissal are quasi-judicial adjudications in the dispute of unfair dismissal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rather than pure administrative dispositions.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sider some method to make closing oral argument point as a base point for illegality decisions in some special cases that existence of retrial judgment prevents the end of dispute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 KCI등재

        인공지능과 법체계–전자인격론의 모순과 정보권한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신동일,김두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7 No.-

        Today we can run across articles without say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will change everything. Is this true in the context of the legal profession? Some claim an “AI apocalypse” or “Doomsday.” Even some serious legal experts add up and enchant the scenario. Much of press reporting is hype or clickbait, however the debate within the practice of law is that we need to look upclose to AI and its substantial impact. Simply, AI means the intelligence exhibited by machine or software. Software can analyze words: It can automatically classify and search for paragraphs, and compare documents and highlight changes. Technically it is not a firm entity as it firstly planned. Some realized; the others accidently done. It is a huge leftover in many purposes and projects. Legal and philosophical assessments reach its status in various aspects. Legal approaches are dominated by negative voices; small group provocate that the impact of AI on the legal practice will be tremendously. It could learn over time human-like task: AI/machine learning can use big data to understand, then the learning makes it go beyond human. We do not believe this. AI is an algorithm-based program driven by many electric devices. Furthermore there is a wild river between the value of technology and legal premise. Whether it gets or not is always in our hands. It casts a doubt that the debate goes through unexpected vaguness. 인공지능은 간략하게 말하면 비인격적 인지체계(the intelligence exhibited by machine or software)이다. 인공지능은 의도된 단일 기술이 아니라 의도와 달리 실현된 것도 있고, 계획과 달리 우연히 활성화된 요소도 있다. 그래서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기까지 많은 계획과 경험의 통합이 필요했다. 최근 철학이나 법학에서도 인공지능의 지위 문제를 포스트 휴먼, 인공지능, 제4차 산업혁명 등의 주제로 논의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현실 분석을 넘어서 비인격적 지능에 대한 법적 승인(법인격)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한다. 또한 인공지능이 적용된 기술결과를 가상으로 전제하여 그에 대한 미래 법적 책임을 다루기도 한다. 어떠한 경우이던 비인격적 지능은 딜레마를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된 기계의 오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반면에 인간의 정신적 이상 현상은 그 누구도 원인을 분명히 설명하지 못한다. 우리가 ‘지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지능이 발현되는 인간의 의식(마음)의 요소가 기계에 의해 어떻게 재현되는지 설명해야 한다. 인간의 마음이 분석되지 못하면, 그 재현 가능성도 함께 애매해진다. 이 글은 인공지능 기술은 완성된 것도 아니고, 향후 그럴 가능성도 희박할 수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현재의 논의를 보면 인공지능의 재현능력에 대한 환상에 의존하거나 불충분한 기술적 이해로 인한 오류와 혼란도 있는 듯하다. 최종적으로 기술의 가치와 사회적 수용은 별개이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의 기반을 위한 법적 여건이 최근 변화되고 있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감시 예방 카메라와 실종예방에 관한 법적 고찰 - 일본·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종자 찾기에 활용 가능성 검토-

        이건수(Lee Keon-Su)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4

        본고에서는 현대사회가 잠재적 요인(범죄자)으로부터 방범이라고 하는 이름의 감시카메라로 상호감시에 의해서 안전하고 안심인 사회를 확인하려고 하는 현상을 지적한다. 누구든 대략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 리스크 요인을 전부 밝혀내고, 위험인자를 미리 제거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감시카메라나 건강검진은 그 전형이지만, 감시카메라라고 부르기보다는 실종예방 등 방범 카메라라고 부르고, 모니터라고 부른다. 오늘날, 범죄현상은 현실의 범죄발생 건수, 올바르게는 인지 건수에 관계없이, 특이한 사건을 계기로서 치안이 악화되고 있다는 인상이 퍼져, 범죄불안이 급속히 높아지는 모럴 패닉이라고 하는 상황 하에 있으며, 이것이 길거리, 점포, 주택, 주차장에서의 감시·실종예방 등 방범카메라 설치를 촉진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CCTV는 누적된 공통의 준칙을 따르게 되는 법이 있었다. 이들은 1998년 데이터 보호법(Data Protection Act 1998), 인권법(Human Rights Act 1998), 2000년 조사권한규정법(Regulation of Investigatory Powers Act), 정보보호법(Freedom of Information Act 2000)에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 2012년 자유보호법이 새로 추가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도로교통에 관해서는 여기에 도로교통 관계의 규제 입법이 추가되게 되었다. 영국에서는 공공 및 민간기관의 감시카메라(시스템)에 대해 포괄적인 규제가 없었다. 1984년에 내무성 가이드라인의 도입으로 경찰이 이용하는 감시카메라 등의 감시활동용 장치의 가시화가 일정하게 도모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영국에서의 감시·실종예방 등 방범카메라의 시스템 및 운용에 관한 법적 규제로 강하게 기울기 이전의 선행연구가 있지만, 오늘날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감시카메라의 홍수라고도 할 수 있는 가운데 감시카메라의 적정한 운용을 위해서, 더욱이 2012년에는 자유보호법(Protection of Freedom Act)에 의해서 실무규범(Code of Practice 실무 준칙)이 제시되어, 새로이 감시카메라 커미셔너(Surveillance Camera Commissioner: SCC)가 배치되었다. 영국에서 본 것처럼 유비쿼터스 사회에 있어서의 정보수집과 관리사회의 추이를 배경으로 하여 과학기술의 진보에 의해 감시카메라 시스템이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초래하는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영국에서는 모델 감시카메라 준칙(실무규범)이라고 해야 할 것이 감시카메라의 범람, 증식 속에서 제기되어 주변 시민의 인권 관련법의 정비 추이 속에서 성립되어 왔다.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민주주의를 옹호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이 명시되어 둘 필요가 있을까의 물음에 대해, 컨트롤(통제)이 사회적 규제에 필요 불가결하다고 하는 견해가 있지만 같은 취지이며 지당하다. This paper points out the phenomenon that modern society is trying to confirm a safe and secure society by mutual monitoring with a surveillance camera named a crime prevention from potential factors (criminals). Anyone must identify all the potential risk factors that can be roughly thought of and remove them in advance. Surveillance cameras or health check-ups are typical, but rather than surveillance cameras, they are called crime prevention cameras such as disappearance prevention, and they are called monitors. Today,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rimes in reality or the number of perceptions, the impression that security is deteriorating due to unusual events is spreading, which promotes the installation of crime cameras such as monitoring and disappearance in streets, stores, houses, and parking lots. Specifically, in the UK, CCTVs generally followed the accumulated common rules. They are stipulated in the Data Protection Act 1998, the Human Rights Act 1998, the Regulation of Investigation Rights Act 2000, and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2000. And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the 2012 Freedom Protection Act was newly add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road traffic, regulatory legislation on road traffic relations has been added. In the UK, there were no comprehensive regulations on surveillance cameras (systems) b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t is said tha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n 1984, the visualization of surveillance devices such as surveillance cameras used by the police was uniformly promoted. As such,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have been strongly inclined due to legal regulations on the system and operation of crime prevention cameras, such as monitoring and prevention of disappearance in the UK, but they are facing a new phase today. In 2012, Code of Practice was proposed under the Protection of Freedom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ee Protection Act) for proper operation of surveillance cameras, and the new Surveillance Camera Commissioner (SCC).) was placed. As seen in the UK, it was found that the surveillance camera system caused privacy infringement by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gainst the backdrop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society in ubiquitous society. In the UK, what should be called the model surveillance camera rules (working norms) has been raised amid the flooding and proliferation of surveillance cameras, and has been established amid the trend of reorganization of laws related to human rights of nearby citizens. When asked what needs to be specified to defend democracy in surveillance (camera system), there is an opinion that control (control) is indispensable for social regulation, but it has the same purpose and is correct.

      • KCI등재

        DISAPPEARED CHILDREN Applying International Law Regarding Enforced Disappearances to United States Family Separation Policy

        에린머피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영남법학 Vol.0 No.49

        In April 2018, in the United States, the Trump administration, through their Attorney General Jeff Sessions at the time, announced a “zero tolerance” policy for illegal entry at the southwest border of the United States. This policy started continued enforcement that purposefully, forcibly, separates children from their parents as a “deterrent.” In addition to the deliberate separation of children from migrant and asylum seeking parents, when this policy was devised and implemented, there were no plans to reunify families or keep track of the children in the government custody. Reports of children being lost in the system due to forcible separations happening without adequate, traceable records, and the psychological effects caused by the conditions of confinement and prolonged or indefinite detention show the lasting damage caused by this policy. This Article will outline briefly how international law has addressed the issue of family separation in the past and additionally analyze how the policy of governmental forced, intentional separation of children from their parents is similar to enforced disappearances perpetrated by the government. By looking at the history of enforced disappearances and the current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to address the practice, additional methods of international intervention are possible to stop the policy of family separation.

      • KCI등재

        Reading the Mysterious Disappearance of Agatha Christie as an Incubation of an Independent Woman

        황승현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23 현대영미드라마 Vol.36 No.1

        Although the works of mystery writer Agatha Christie are known and respected worldwide, as time passes, the facts about the author’s life are less and less familiar, especially one event in 1926 that involved an unexplained disappearance mystery. It is that event that is the focus of Kathleen Tynan’s novel Agatha (1979) and the novel’s film adaptation directed by Michael Apted from a 1970s perspective in the information about Agatha’s long and adventurous life. Tynan wrote Agatha based on speculation of what happened during the mysterious 11-day disappearance of Agatha Christie. More commonly known than the novel, the film was nominated for an Oscar for Best Costume Design Oscar and received the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Award in 1980. Unfortunately, today the novel and film are not widely available even though they hold a place in literature and film history as a reminder that Agatha was a real person whose life experiences helped shape her writings. They reflect the decade after the First World War which was a pivotal time in British history. By examining the novel Agatha and its film adaptation, this article connects elements of Tynan’s story to historical and cultural women’s issues in Britain during a significant societal transition. Grounded in factual reports of Agatha Christie’s disappearance and life, the fictional story presents a growth or incubation of a woman who changes from a wife who feels a total emotional dependence on her husband to a woman who develops a strong self-reliance.

      • KCI등재

        유엔 인권조약의 이행 감시 체계와 강제실종방지협약

        박진아 대한국제법학회 2023 國際法學會論叢 Vol.68 No.2

        이 글은 강제실종방지협약이 채용한 국제적 이행 감시 절차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소개하는 것에 중점을 두면서, 유엔 인권조약체계에 속하는 개별 조약들이 조약 상대성 원리에 따라 구획된 독립 영역을 가지면서도 그 체계 속에서 발전적으로 수렴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협약에서 인권조약체계 개혁의 시도가 어떻게 반영되고 어느 정도로 정착되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협약의 채택 당시 강제실종위원회는 존치 여부가 가변적이었으나 조약기구의 통합 방안이 무산되고 독립된 조약 위원회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존치가 확정되었다. 위원회는 협약 고유의 특성과 유엔 내 성 주류화를 적극 고려하여 위원의 구성에 있어 법률 전문성과 성별 대표성을 모두 반영했다. 위원회는 불안한 입지로 시작했지만 지난 10년여 간의 활동을 통해 업무의 기반을 다지고 협약의 이행 감시 제도를 활용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다른 인권조약기구의 역량 수준을 따라 잡았다. 강제실종방지협약은 유엔 인권보장체계의 흠결을 보완하고 강제실종에 맞서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유일무의하고 대체할 수 없는 전략과 도구를 만들었다. 협약은 위원회의 감시 절차를 설정함에 있어 다른 조약기구 절차를 광범위하게 모델로 삼고 국가보고, 개인통보, 국가간통보, 당사국 방문 조사 등 일반적인 기능을 모두 제도화했으며, 여기에 다른 조약기구에는 없는 긴급조치, 유엔 총회 회부 등도 새롭게 구축했다. 강제실종위원회의 감시 절차는 유엔 인권조약체계 내에서의 상호 참조를 통한 절차적 발전을 지향했을 뿐만 아니라 인권조약체계를 넘어 유엔헌장체계와의 상호 참조를 통한 절차적 발전도 도모하고 있다. 위원회가 지난 10년여 간의 활약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증명해냈듯이 앞으로도 ‘모든 사람을 강제실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협약의 목적 달성을 위해 협약이 부여한 모든 절차를 적극 활용하고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