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turns to Women’s Education in the Marriage Market: A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 Korea, and Taiwan

        장상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9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8 No.4

        Much research has trie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women’s schooling and their husband’s wages. This association has been referred to as returns to women’s education in the marriage market, or simply as marriage returns to education. This article compared marriage returns in Japan, Korea, and Taiwan with each other, and contrasted these returns with their wage returns in each country. Analyzing General Social Survey data from each country, which were collected in the late 2000s, it also compared the estimates from several statistical models such as OLS regression, Heckman’s selection regression, instrumental variables regression, and conditional mixed process model. The findings were these: first, marriage returns did not seem to be much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Second, marriage returns in Japan were much higher than wage returns, whereas the two return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in both Korea and Taiwan. This means that Japanese women might be more concerned about their marriage prospects than Korean and Taiwanese women, when deciding the level of education they will pursue.

      • KCI등재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whi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Although thes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some detailed topics,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two education-related topics: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Each of these two topics includes two details respectively: the former is consisted of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of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the latter comprises both the retur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occupational and monetary and the returns in the marriage market such as cultural and monetary. Summarizing the various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how both the present status or level of inequality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temporal change of it over the recent several decades. It found the following distinct trends; firs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or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deteriorated since the early 2000s. Second, all of the returns to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labor market returns or marriage market return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90s. 이 글에서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국의 사회이동을 다룬 국내외 경험 연구를 개관하였다. 사회이동 연구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과 관련한 두 연구 주제, 즉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을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의 교육기회와 여성 교육의 수익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다시 학업성적의 불평등과 학력성취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익은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글은 한국의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거니와 시계열 변화 방향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적이든 학력성취든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이후 점차 악화하였다. 둘째, 교육의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 그리고 여성의 혼인 수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육의 가치와 교양교육의 중요성 -경제적 접근

        최강식,박철성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economic value of college education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return to one more year of education in college, in Korea, ranges from 9% to 17%, depending on the demand and supply conditions in the labor market. Second, the returns to education increase when the economic environment is in the dynamic and rapidly changing state rather than it is in the steady state. Finally, “gener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professional education” to adapt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the “general education” will be greater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more uncertainty to the society. 이 논문은 대학교육과 교양교육의 가치를 경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같다. 첫째, 대학교육의 1년 평균 투자수익률은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지만, 한국의 경우 대략 9%~17%로 추정되어서 다른 투자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둘째, IT 등의 기술이급속히 발전하여 주어진 환경이 급변하는 경우가 안정적인 경우보다 대학교육에 대한 수익은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급변하는 환경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의 축적에 있어 전문교육(professional education)보다는 교양교육(general education)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4차 산업혁명으로 기술 진보가 가속화되어 사회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교양교육의 효과는 더욱 커질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학력의 교육투자수익률과 학력내 불평등의 추이 분석

        박소영,Park. So-Yo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1

        교육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성격은 다양하나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소득의 원천이 될 수 있는 자격과 기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장으로 기능한다. 특히 우리 사회는 빠른 학교팽창과 경제발전을 거침으로써 교육을 통한 노동시장내 성과의 변화가 동태적으로 변화해왔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육과 경 제적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봄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그 변화를 살 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자료」와 「경제활동인구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교육과 노동시장내 경제적 성과의 변화 추이를 교육수 준의 분포 및 학력별 교육투자수익률 추이와 소득불평등 분해를 분석해보았 다. 그 결과 우리 사회에서 교육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이고 빠르게 증가했으 며 학교팽창은 노동시장내 공급자의 학력을 상향평준화시켰다. 교육투자수익 률은 1990년대 중반까지 하락하다가 상승하고 있으며 대졸자 이상과 고졸자의 학력간 격차 역시 전반적인 수익률 추이와 비슷한 증감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고학력자에 대한 임금프리미엄이 존재하나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임금을 활용한 소득불평등 지수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했다. 그리고 소득불평등을 학력을 기준으로 분해했을 때 학력간 불평등 보다 학력내 불평등이 총불평등을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1980년대 총불평 등은 고졸・청년층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2000년대 이후 총불평등은 중 년층・대졸이상 및 고졸이 소득불평등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을 고려한 학교팽창 및 교육투자를 통한 노동시장내 경제적 보 상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고등교육자에게 경제 적 보상을 보장했으며 학교팽창을 통해 추가적인 교육투자를 가능하게 함으로 써 학력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그리고 학력 인플레이션은 고졸자에 대한 하 향평준화 및 고등교육에 대한 대중화를 견인함으로써 학력별 교육투자수익률 의 격차 및 학력내 동질성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동일 학력에 대한 직종별 이 질적 임금 책정 및 시장 내 대졸자의 비중 증가가 소득불평등을 증가시킴으로 써 Bourguignon et al.(2005)의 주장처럼 학교팽창의 증가가 소득불평등을 야 기하는 ‘진보의 역설(paradox of progress)’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imate the returns to education and inequality over time. I analysed the Mincerian earning model and Theil entropy Index using 1980-2012 the occupational wage survey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returns to education in Korea declined until the late 1990s, has increased since then. The rapid expansion of education has caused an upward leveling of worker. wage premium for high education has been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ge group. Second, when the decomposition of income inequality based on education, total inequality was more explained within education than betwee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re has ensured the economic rewards of higher education educators led to inflation by allowing for additional investment through education school expansion. Education inflation was causing the wage differential by education and weakened homogeneity within education.

      • KCI등재

        소득세 공제방식변경이 교육투자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 소득재분배에 대한 함의

        신우리 ( Woori Shin ),송헌재 ( Heonjae Song ),전병목(논평) 한국금융연구원 2020 한국경제의 분석 Vol.26 No.1

        We examined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income tax deduction system on return to education through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similar to DID. As a result of the quantile analysis, the post-tax return to education was similar to the pre-tax return to education at low quantile. At high quantile, however, the post-tax return to education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tax return to education, which is more prominent after the tax revision. Regression analysis similar to DID showed that the pre-tax return to education of high-income earner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the tax revision, but the post-tax return to educ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ax revision may increase the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in the short term, but in the long ter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entive to invest in education due to the decrease in return to education.

      • KCI등재

        성인학습의 투자수익률 분석: 형식교육을 중심으로

        김철성,한현옥 한국여성경제학회 2022 여성경제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11∼23차 자료를 사용하여 30세 이후 직장과 학교를 병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형식교육 투자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먼저, 성인형식교육 참여확률에 대한 Logit 모형 분석 결과 소득분위와 적령기 교육년수, 여성, 국가기관 근무 등은 참여율을 높이는 요소로, 6세 이하 자녀 수와 주당근로시간은 낮추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OLS 분석에서 성인형식교육의 투자수익률은 적령기 교육의 수익률보다 낮은 약 6.4%로 추정되었다. 누락변수로 인한 내생성을 완화하기 위해 패널고정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성인형식교육의 투자수익률은 약 3%인 것으로 나타나 횡단면 OLS 분석에서는 상향편의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성인의 형식교육 참여에 대한 경제적 유인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성인의 형식교육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해 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turn to formal schooling of adult learners who have been enrolled in education institutions after the age of 30 using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for the period 2008-2020. The Logit model result shows that income decile and schooling years before the age of 30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in formal education. And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and women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formal education. The estimate of the return to formal education of adults in OLS is about 6.4%, which is lower than that of schooling before 30 years old. To alleviate endogeneity caused by omitted variables, we employ the panel fixed effect model. The estimated return to adult formal education is about 3%. It implies that there exists an upward bias in the cross-sectional OLS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conomic incentives for adults to participate in formal education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we want more adults to receive formal education, policies that reduce the expenses of education may be the ones that we need to consider.

      • KCI등재

        외국인력의 교육투자수익률 분석

        김혜진 한국노동연구원 2015 노동정책연구 Vol.15 No.4

        This paper examines the phenomenon of foreign workers having a lower returns to education than the native workers, meaning that they are not treated well even if they had the same level of education as the natives. This might be caused by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poor language skills,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Korean labor market.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s taken from Regional Employment Survey and Foreigner Labor Force Survey over period 2013-2014. Since Foreigner Labor Force Survey,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2012, provides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economic activities of foreign workers and its sample are more representative than previous foreign worker-related statistic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analysis. This paper’s major finding is that the return to schooling of foreign workers is 3.98%, while for native workers the rate of return is 5.08%. Moreover, the analysis conducted separately by visa status shows that unskilled foreign workers’ return to schooling is not significant whereas skilled foreign workers have higher returns than native, that is 5.16%. For foreign workers with a non-work visa, the return to education is 4.48%, which is little higher than all foreign workers’ return to education. 본 연구는 외국인력이 내국인력과 같은 학력 수준이라도 그에 걸맞은 대우를 받지 못해 교육투자수익률(returns to education)이 낮은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상은 부족한 문화 이해도, 낮은 언어 능력, 노동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분석을 위해서 2013~2014년「외국인 고용조사」와「지역별 고용조사」를 활용하였다. 특히, 2012년부터 시행된「외국인 고용조사」는 외국인력의 고용 현황에 대해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이전의 외국인력 관련 통계와 달리 추출된 표본의 대표성이 높아 분석의 정확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 교육투자수익률이 외국인의 경우 3.98%, 내국인의 경우 5.08%로 나타났다. 외국인력 내 체류자격별 분석 결과, 비전문인력은 유의미한 값이 도출되지 않았고, 전문인력의 경우 내국인보다 높았다. 비취업비자의 경우 4.48%로 전체 외국인보다 약간 높았다.

      • KCI등재

        경제성장에 있어서 대학교육의 영향

        김선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nalyze the impact of college education in the Korean economic growth during the period 1971-2017. The study estimates the impacts of monthly average income per worker without college education with respects to the ratio of workers with college education to worker without college education, capital per worker without college education,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worker with college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ratio of workers who had college education was 0.433 at 5% of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effect of the capital for each worker who didn’t have college education was 0.45646 at 1% of significant level. These findings are similar to the results in the previous study of Kim and Lim. Finally, the number of patents per worker who had college education was estimated. Unfortunately, the coefficients on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one perio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 positive spillover effect from the college education in the Korean economic growth.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대학교육이 경제 사회적 수익성 관점에서 얼마나 많은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1971-2017년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대졸자 수와 비대졸자수 비율 즉 비대졸자수 1인당 대졸자 수가 비대졸자의 월평균임금에 미치는 형향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계수는 0.433으로 95%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학교육이 비대졸 출신자들의 소득을 증대시켜 간접적으로 국민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두 번째로 비대졸자 1인당 자본량이 월평균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계수는 0.45646으로 약 99%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고 있음에 따라 1%의 비대졸자 1인당 자본량 증가는 비대졸자 1인당 월평균임금은 약 0.45646%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지난 40여 년간 한국에서의 대학교육은 국민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준 것으로 보여진다. 끝으로 또 다른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대졸 1인당 특허등록수를 독립변수로 추가하였으나 한 기간 외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증명되지 못하였다.

      • KCI등재

        대학특성 및 전공계열에 따른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연구

        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을 대학특성, 전공계열별로 구분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을 분석함으로써 고등교육과 노동시장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수준에서 정확한 경제적 효과 구조에 대한 정보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의 1차년도(1998년)~8차년도(2005년) 자료를 토대로 Mincer의 소득함수모형(Human Capital Earning Function)을 활용하여 대학특성, 전공계열, 대학특성과 전공계열의 조합에 따른 수익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방사립대학이나 순위 30위권 밖 대학의 교육, 의약, 공학계열의 수익률이 서울소재대학, 지방국립대학이나 순위 1~30위 대학의 인문, 사회, 예체능계열 수익률보다 더 높았다. 이 연구는 학교급, 대학특성, 전공계열 등 각각에 대한 분석 수준을 넘어서 조합에 따른 분석을 최초로 시도함으로써 대학의 특성 효과를 추월하는 전공 효과를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 단순한 수익률 수치 산출을 넘어서는 우리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raw economic effect structure of higher education and labor market at the more concrete level through combining college characteristics and college major and analyzing return to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998-2005, the Mincer"s ""Human Capital Earning Function (HCEF)""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turns to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college characteristics, college major and combination of them. The major finding is that the returns to Education, Medical, and Engineering in local-private colleges, and off-ranking 30 colleges are higher than those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 & Physical in Seoul located colleges, local-public colleges, or top 1~30 colleges. By analyzing the returns through combining college major and college characteristics as well as analyzing each return, this study provides more sufficient and concrete information on return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returns by combining some factors proved economic effects of some majors" effects exceeding college quality eff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are more concrete and meaningful facts about th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한숭희,이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1

        Currently the focus of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y has been converged on reducing the provi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acceptance rates in student numb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earchers, it is misleading in forcasting the needs as well as forumlating the future stage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global knowledge competition. The notion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urrent Korea are oversupplied is correct only if the dimension of youth initial education is concerned, which counts only those who apply colleges right after finishing upper secondary education, but incorrect if it considers the uprising demands of recurrent and continuing educa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This paper argues, in this context, three key issues: First, the universalization and ‘universal access’ to higher education is an inevitable global trend and unreversable in the stage of knowledge economy and learning societies. Second, the universalization is mainly driven by the demand for higher lifelong learning or higher-level continuing education. With both initial and continuing demands, universities are being restructured to meet the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functionalities and emerging complexities of sub-systems that embrace the ‘higher education systems’ and ‘lifelong learning systems’ at the same time. Third, despite the logical streams,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is still dominated by the young adults in the ideology, and middle-aged learners and continuing education needs are excluded from the territory, rather re-located outside the territories of universities, caged in a provisional systems like cyber universities and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needs to be re-streered to make the notion of ‘universalization’ realized with the balance between initial and continuing needs, where a new concept of ‘higher lifelong learning complex system’ is useful to recapture the newly emerging perspectives beyond a limited scope in this vein. 최근 한국의 고등교육정책의 초점은 어떻게 하면 대학공급량을 줄일 수 있을지에 모아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접근의 근시안 한계를 지적하면서, 한국의 대학은 청년기교육에서는 과다공급일지 모르지만 여전히 지식경제의 계속교육 수요에는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첫째, 지난 1990년 이후 유럽에서 나타난 지식경제와 대학팽창 현상을 통해서 대학보편화는 이제 세계적 추세이며, 고등교육 진화의 필연적 단계로 규정한다. 둘째, 그러한 고등교육 수요의 상당 부분은 지식경제를 배경으로 하는 평생학습 수요이며, 대학은 이제 ‘고등교육체제’ 임과 동시에 ‘평생학습체제’를 동시에 껴안은 중층적 복합체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논증한다. 셋째, 이와 달리 우리나라의 대학은 여전히 청년층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독점적 순혈주의를 지향하며, 전체적으로 중장년층 학습자 및 계속교육 수요는 대학의 경계 밖에 형성된 고등교육 대안체제, 예컨대 사이버대학 및 학점은행 등에 갇혀 있다. 이 문제는 ‘평생교육단과대학’이라는 단기적 타협모형으로 해소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한국에서의 대학 과다공급현상은 청년층 초기교육 부문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서, 고등교육 보편화를 형성하는 또 다른 축인 성인계속교육이라는 차원을 간과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그 보완책으로 대학을 고등교육-평생학습이 연결된 포괄적인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함을 설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