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과평가제도의 평가결과 요인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재현(Jae Hyun Lim),조자경(Ja Khyung Cho),차용진(Yong Jin Cha)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본 연구는 성과평가제도의 평가결과 요인이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결과 요인은 평가결과 유용성, 평가결과 환류, 인사 보상 연계, 그리고 직무태도는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다. 연구모형은 평가결과 요인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 몰입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된다. 설문조사는 11개 서울시 출연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평가결과 요인들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영향력은 평가결과 유용성이 가장 높았으며, 평가결과 요인들은 조직몰입을 경유하여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구조분석, 효과 분석, 개방형 질문 등을 통해 나타난 결과들을 기초로 서울시 성과평가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평가 전문 인력이 부족하며, 평가결과 환류의 개선이 필요하고, 평가결과와 승진 보상의 연계가 부족하다. 개선방안으로는 성과를 향상시키는 정보의 제공, 평가 전문 인력의 보강, 실행 가능한 요구사항과 개선방안의 제시, 성과결과에 따른 승진 보상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result factors on the job attitudes of the employees in 11 entities funded by Seoul city. Three components of the evaluation-result factors are the availability of the evaluation-result, the feedback of the evaluation-result, the linckage with personnel and rewards. The job attitudes consis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that the evaluation-result factors have th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nfluences the job satisfaction. The analytical results are: (1) three evaluation-result factors impa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2) the influence of the availability of the evaluation-result is the highest, and (3) the three factor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ructure analysis, the effect analysis, the open questionaire and so on show the following problems of Seoul-cit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1) the system is not highly helpful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2) the evaluation experts are not sufficient, (3) the feedback of the evaluation-result is required to be reformed, and (4) the linkage of the evaluation-result to personnel and rewards is not satisfactory. The alternatives are: (1) the information useful to improve performance should be provided, (2) the evaluation experts are recruited, (3) the reports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re needed to include feasible requests and alternatives, and (4) the promotion and the rewards should be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논리 지향 평가 실행 수준과 평가 결과 활용의 관계에 대한 평가의 질의 조절 효과: 중소기업 구조화된 현장 훈련(SOJT)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대영 ( Dae Young Kim ),배을규 ( Eul Kyoo Ba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중소기업 구조화된 현장 훈련(SOJT)***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논리 지향 평가 실행 수준이 평가 결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평가의 질이 갖는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프로그램 논리에 기반을 둔 평가, 평가의 질과 평가 결과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대영, 배을규(2012)의 중소기업 SOJT 프로그램 평가 모형, JCSEE 프로그램 평가 표준(Yarbrough et al., 2011), McCormick(1997)의 평가 결과 활용 수준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2011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한 ``중소기업 체계적 현장 훈련(SOJT) 지원 사업`` 중 CEO 연수회, SOJT 담당자 교육, SOJT 트레이너 교육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논리 지향 평가 접근법에 따른 SOJT 프로그램 평가 실행 수준, 평가의질, 프로그램 평가 결과 활용(도구적 활용, 개념적 활용, 상징적 활용)은 상호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OJT 프로그램 평가 실행 수준과 도구적 활용의 관계를 평가의 질 하위 변인 중 효용성과 책무성이, SOJT 프로그램 평가 실행 수준과 개념적 활용의 관계를 효용성, 현실성, 공정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리 지향 평가 실행, 평가의 질 향상 및 평가 결과 활용 촉진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quality of 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ces of theory-driven evaluation and utilizations of evaluation results of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SOJT) Program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the evaluation procedures and methods of SOJT program and utilize the evaluation results of SOJT program in SMEs. For this study, a web survey was conducted with 307 trainees who attended the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a series of several courses to teach how to implement SOJT in their organizations, lasting from April 9, 2012 to April 17, 2012.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rainees were CEO, HRD staff, and SOJT trai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s of implementation of theory-driven evaluation, quality of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were correlated positively. Second, Utility and Accountability had statistically moderating effect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ory-driven evaluation and Instrumental use of evaluation results, while Utility, Feasibility and Propriety had statistically moderating effect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ory-driven evaluation and Conceptual use of evaluation results. Given thos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ere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HRD and evaluation fields.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평가 결과와 관련된 평가지표 탐색 : A교육청 학교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정규열(Chung Kyu Yeul),강대식(Kang Dae Sik),설현수(Seul Hyun Soo)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학교평가지표와 평가결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교육청의 2015년 초·중·고 학교평가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 급별 평가영역과 평가지표, 평가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급별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교육경영, 교육성과의 3개 평가영역과 학교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모든 학교 급에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과 학교평가 결과 간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급별로 평가영역에 따른 대부분의 평가지표와 평가결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를 보였으나, 평가지표별 설명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학교 급 공통적으로 학교평가 결과와 높은 인과관계를 가지는 평가지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시·도교육청에서는 학교 급별로 동일한 평가지표를 적용하더라도 학교 급별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학교 급별 공통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평가지표는 평가기관에서 정책적으로 관리·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chool 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results. To meet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relationship of school evaluation domains, indicators and results by the levels of schools has been analyzed based on the data from the Primary, middle and higher secondary level of an office of Education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level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 management, education achieve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valuation result; especially curriculum, teaching and school evaluation in every level of school showed a strong correlation. Second, most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each level of school and school evaluation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ut each evaluation indicator’s explanation power has been different. Especially, indicators has found high causality with school evaluation results in all levels of schools. From this research results, evalu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customized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environments of school levels. And evaluation institutes should also management and support the indicators with explanation power.

      • KCI등재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지표와 평가결과의 관계 분석

        김기수,허은정,김선경,성수진,김현수,이순희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results in the Third Phase National Evaluation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For the analysis, total 400 evaluation results of 4 types of teacher education courses(i.e. College of Education, Education-stream courses in a general comprehensive university, mandatory teacher training course for teaching profession, and lastl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year 2010~2012 were combined. The results show that at first, in all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ree components (‘Teacher’, ‘Facilities & Finance/Administration’, ‘Educational Outcome’) that exerted a common influence on evaluation results. Second, despite the differences in influential evaluation indicators between each courses, ‘Use rate of teaching practical room’ and ‘Per capita research output of university faculty’ were found to be major indicators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for outcome measurements, ‘Teacher appointment rate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and ‘Satisfaction rate of graduates who currently hold teaching posts' were found to be major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curriculum section, in the area of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each indicator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hence there were no coherent major indicator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points. First, the Third phase National Evaluation has put more emphasis on the area of ‘input and outcome' than that of ‘curriculum'. Second, for some evaluation indicators, measuring scales need to be applied differentl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ype of teaching education course. Also, in the case of ‘mandatory training course for teaching profession'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ther there is College of Education in the same university inevitably affects som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이 연구는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지표와 평가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에서 2012년까지 평가를 받은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육과, 일반대학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총 400개의 평가결과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 2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모든 양성과정에서 ‘교원’, ‘시설 및 행・재정’, ‘교육성과’ 항목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지표는 양성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교육경영 및 여건에서는 ‘수업행동분석실의 활용률’,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이, 성과 영역에서는 ‘국・공・사립학교 교원임용률’, ‘졸업생 현직교사 만족도’가 주요 지표였다. 한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양성과정별로 각기 다른 지표에서 영향력이 나타나 일관된 경향성을 찾기 어려웠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주기 평가는 교육과정 영역보다는 투입과 성과 영역이 강조된 평가였다. 둘째, 일부 평가지표의 경우 동일한 평가척도를 모든 양성과정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 셋째, 일반대학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의 경우 대학 내 사범대학의 설치 유무에 따라 일부 평가지표에서 불가피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수의 질 제고를 위한 3년간의 강의평가 결과 패턴 및 특징 연구

        김세영,김보경,임유진,이예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3년간의 강의평가 데이터를 정량적ㆍ정성적으로 분석하여 강의평가 결과 패턴 및 개선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이고 맞춤화된 교수의 질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대학의 3년 치(2019년 1학기, 2020년 1학기, 2021년 1학기) 강의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임교원의 강의 중 3년간 교수자가 동일한 229개 강의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양적자료를 활용한 강의평가 평균, 패턴별 빈도 수 및 차이 비교 등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으로 진행하였으며, 강의평가 결과가 3년 연속상승 또는 연속하락한 강의의 특성은 서술형 강의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진행하고, 분류된 영역별 빈도수와 비율은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활용하여 핵심 키워드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9개 단과대학 중 6개 단과대학의 강의평가 결과에서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소폭 하락했다가 2021년에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강의평가 결과 패턴은 4개(연속상승, 연속하락, 상승 후 하락, 하락 후 상승)로 확인되었고, 단과대학별, 강의규모별, 강의유형별 강의평가 결과 패턴의 통계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평가 결과가 3년 연속상승 또는 연속하락한 강의 중 대표 강의를 하나씩 선정한 후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속상승한 강의에서는 지식습득, 설명력, 교수방식, 상호작용, 학생 배려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고, 연속하락한 강의에서는 동기부여 부재, 무성의한 수업, 수업방법의 문제, 평가범위 및 난이도 부적합, 수업영상 늦게 업로드, 수업에 대한 공지 부족, 권위적인 사고 및 태도 등이 도출되어,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에 강의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공통적으로 발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systematic and customized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by analyzing course evaluation data for three year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identify the pattern and degree of improvement in course evaluation results. To this end, course evaluation data for three years (the first semesters of 2019, 2020, and 2021) at University A were collected, and 229 courses taught by the same instructor for three year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 to compare the average, frequency, and difference of each course evaluation pattern with quantitative data. The characteristics of courses whose evaluations rose or fell for three year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using descriptive data, and the frequency and ratio by classified area were visualized by word clou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urse evaluation results of 6 out of 9 colleges showed a slight decrease in 2020 compared to 2019 and then a tendency to rise again in 2021. Four pattern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course evaluation (continuous rise, continuous fall, fall after rise, and rise after fall),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course evaluation results by college, class size, and course type. We also selected each representative course from “continuous rise” and “continuous fall” pattern courses. As a result. keywords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explanatory capability, teaching method, interaction, and consideration for students were derived from courses with a “continuous rise” pattern. On the other hand, in courses with a “continuous fall” pattern, lack of motivation, insincere teaching, teaching method problems, inappropriate evaluation scope and difficulty, late uploading of class videos, lack of notice about classes, and authoritarian thinking and attitudes were derived, and it was commonly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urses before and after COVID-19.

      • KCI등재

        漢文科 學生 評價 硏究와 實踐의 課題

        김왕규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이 연구는 한문과 학생 평가의 연구와 실천에 관련된 몇 가지 課題를 探索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문과 학생 평가의 目的과 方向, 학생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要因 그리고 평가 기준과 평가 도구 개발,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등이 그것이다. 한문과 학생 평가는 한문 교사가 한문 학습자의 학문 학습 過程과 成就 정도를 판단, 평가하는 활동이다. 한문과 학생 평가는 본질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성취 정도 판단, 한문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점검, 그리고 평가 체제의 개선 등에 중점을 둔다. 한문과 학생 평가의 주요 目的은 학습자의 한문 학습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한문 교사의 敎授 支援 體制 개선이다. 한문 교사, 한문 학습자, 평가 영역, 평가 방법과 도구, 평가 목적, 그리고 기타 몇 가지 교과 외적 사항들이 한문과 학생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그런데, 이들 要因들은 상호 작용하면서 현장의 한문과 학생 평가를 歪曲, 屈折시키기도 한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 기준을 例示했다. 평가 기준에 따른 한문과 양적, 질적 평가 도구 개발도 시급하다.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모색도 한문과 학생 평가의 연구와 실천의 주요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격적 연구에 앞서, 한문과 학생 평가 실태와 요구 분석과 관련된 전국 단위의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 한문교육학에 대한 넓고 깊은 공부가 先決 課題임은 勿論이다. In this thesis, I aimed to several task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practice about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Those are the evaluation of students’ substance and directi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basis and evaluation tools, and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s result.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is that classical Chinese teacher evaluates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achievement.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puts emphasis on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the estimating achievement, the check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material, and the improvement of evaluating system. The main purpose of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is the learner’s comprehension overall classical Chinese studying and the improving the supporting system for classical Chinese teacher. It i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that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s, learners, evaluation fields, evaluation method and tool, evaluation goal, and other elements. These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distort the evaluation in the active classical Chinese class. It is illustrated that the evaluation basis according to th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basis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The groping for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result is one of the major tasks in the research and practice about evaluation of students.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nationwide and the studying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re the first consideration.

      • KCI등재

        Result Based Evalu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Peace Operation of the ROK Military Contingent to UN Mission

        권구순 ( Goosoon KWON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1

        유엔임무단에 파병되는 한국군의 평화활동 성과를 측정하는 현행평가방식에 대해 적절성, 타당성, 신뢰성문제가 불가피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유엔현장임무단과 국제개발커뮤니티에서 널리 채택한 바 있는 성과기반평가(RBE)모델을 한국군 파병부대의 평화활동에 부합하도록 보완 및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논리체계모형을 토대로 기획과 평가단계를 통합하는 RBE모델을 토대로 파병 전기획, 파병기간 중 모니터링과 단계적 평가, 파병 후 영향평가의 사이클로 귀결되는 틀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행 한국군 평화활동의 모니터링과 평가체계를 RBE모델 기준을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평가조직 운용 및 논리체계모형에 해당되는 요소들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충족하였고 파병사후 영향평가는 거의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문제점들의 해결방안과 민-관-군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조사단 운용을 정책제안으로 제시하였다. Current method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OK military contingents to UN missions unnecessarily raises the issues of relevance,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how the result based evaluation (RBE) model which is widely adopted in the UN field mission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munity would be modified and applied to peace operation of the ROK conting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del presents a framework that integrates the planning process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with a logical framework, which entails a cycle of assessment of pre-deployment planning, monitoring and phased evaluation, and post-deployment evaluation. Secondly, according to measurement of RBE benchmarks to the present ROK`s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factors in an evaluation unit and a logical framework approach are unmet or partly met to the benchmarks. In addition, ex-post impact evaluation has been rarely performed. Finally, the policy recommendations for resolution of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as well as a joint evaluation unit, participated by experts in a civilian, public, and a military domain are proposed.

      • KCI등재

        인사평가와 노동위원회 구제·시정신청대상

        강선희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2 노동법포럼 Vol.- No.35

        The personnel evaluation are used in various ways, mainly as a basis for deciding whether to pay or get a promotion. Furthermore, it is also used as a criterion related to termination of employment and various layoffs. First, I reviewed at what cases personnel evaluation could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Then, the results of personnel assessments among the types subject to judicial review were limited to cases where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dismissals’ as provided under Labor Standards Act Article 23 (1) and Article 24. Next, the results of the personnel evaluation were analyzed to derive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personnel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personnel evaluation have been reviewed in 4 different ways, with the results serving as the basis for the termination of employment. there are ① Personnel evaluation as a basis for dismissal of full-time workers, ② Personnel evaluation as reasonable reason for refusal to renew for part-time workers, ③ Personnel evaluation as a reasonable reason for refusal to hire an intern workers, ④ Personnel evaluation as criteria for selection of employees subject to the redundancy dismissal in the dismissal on account of management practices. 근로기준법 제23조제1항의 ‘그 밖의 징벌’은 ‘제재로서 가하는 불이익한 처분 내지 조치’를 말하며, 이는 ‘사용자가 근로자의 특정한 행위 또는 행태를 이유로 하거나 차별적 의도 또는 불이익을 가할 목적으로 근로자의 기존 또는 귀속될 권리나 사실 상태를 직접적으로 불이익하게 변동시키는 처분 내지 조치’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인사평가 및 이로 인한 결과 내지 영향이 어떠한 경우에 근로기준법 제23조제1항의 ‘그 밖의 징벌’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인사평가 및 이로 인한 결과 내지 영향이 불이익 취급 및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대상인지 여부, 고용평등법상 시정신청대상인지 여부를 살펴보면서 아울러 구제신청기간(3개월) 및 시정시청기간(6개월)의 기산일이 어느 때로 볼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지난 2018년 「인사평가와 사법심사Ⅰ·Ⅱ」를 발표하면서 당시 향후 과제로 남긴 부분인 ‘인사평가에서의 집단적 차별과 부당노동행위’를 해를 바꾸어 연이어 쓰고자 했으나 필자의 게으름과 여러 가지 제약으로 차일피일 미루다 지금에 이르렀음에도 인사평가와 관련된 노동위원회 구제·시정신청의 대상적격성이 우선이라고 판단하여 이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결국 이번에도 이를 향후 과제로 남기며, 더불어 인사평가 및 이로 인한 결과 등에 대한 구제명령의 내용 및 한계도 역시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정책분석평가 실제에서의 평가이론 적용

        신열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9 No.4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is gap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evaluation perspectives. To this end, we proposed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CIPP model and the system model, and confirmed empirical issues through FGI and literature reviews. As a resul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heory and the system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which emphasizes the difficulty of theory in the institutional aspect,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procedural justification, while in theory, the value orientation and systemicity of the evaluation. However, there was a reason for stressing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results. For solving the gap,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communication is needed between policy evaluation theorists, evaluation system operators and institutional assessors. Through this communication, theorists and institutional operators encouraged the value-oriented design of evaluation systems. 이 연구는 정책분석평가의 이론적 관점에서 제도적 평가와 격차가 있다는 가정하에 어떠한 부분이 이러한 격차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CIPP 모형과 체제모형을 활용하여 관련 이슈를 점검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를 근거로 경험적으로 도출된 이슈를 FGI와 문헌검토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정책분석평가의 이론과 제도간에 격차는 존재하며, 이 격차는 제도적 측면에서는 이론의 어려움, 평가제도의 객관성과 공정성 그리고 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하는 반면, 이론적 측면에서는 평가의 가치지향성, 체계성, 평가결과의 수용성 등을 강조한데 이유가 있다고 보았다. 결국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책분석평가의 이론가, 평가제도 운영자 그리고 제도적 피평가자간에 다양한 소통을 통해 평가제도를 가치지향적인 평가설계가 있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처리 및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배은주 ( Eun Joo Bae ),주철안 ( Chul An J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처리 및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단위 학교 영역과 교사 개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처리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 이었다. 특히 단위학교 차원에서 평가 결과 처리에 대한 안내 및 연수계획수립, 평가결과보고서 작성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 개인도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능력개발계획서를 충실하게 작성하고 있었다. 배경변인별로는 여교사, 21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 부장교사의 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다. 다음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활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다양한 연수 안내 및 단위학교 자체 연수계획이 충실히 운영되고 있었으나 교사 개인 영역의 자기계발과 의사소통에서의 교사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또한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의사소통 증진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에서 평가 활용 정도는 보통정도로 인식하였다. 배경변인별로 알아보면 여교사, 21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 부장교사의 인식정도가 높았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본래 목적인 교사 전문성 신장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교사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연수가 많이 제공되고, 교사가 실제로 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확보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ception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eacher evaluations. The survey results showed mostly positive perceptions on the processing of teacher evaluations. In particular, individual schools performed well on their tasks including the guide to the processing of the evaluation results, making in-service training plans, and writing a report on the evaluation results. Individual teachers improved their teaching competence with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In particular, female teachers, teachers with over 21 years of experience and head teachers had the most positive perceptions. In terms of the perceptions on the utiliza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s, various training guides and individual school self-training plans were high. However, the teachers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on self-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individual teachers. Moreover, the perception on communication development with students, parents and co-teachers was low. In the fields of study guidance and student guidance, teachers showed an average perception on the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In particular, female teachers, teachers with over 21 years of experience and head teachers showed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eacher’s evaluation, which is competence development, a lot of training that meets teachers`` needs on site needs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eachers should have time to actually develop their competence with the help of the evaluation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