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론의 영혼

        조규형(Kyu Hyung CHO)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3

        ‘영혼’은 매우 전통적이면서, 낡고 용도폐기 된 용어에 가깝습니다. 이제 ‘영혼’ 대신 ‘자아’와 ‘자기’가 지배적 용어가 되었고, 오늘날 자아 역량의 무한한 제고를 강조하는 ‘자기계발’이나 이러한 상황의 한계를 인정하는 ‘치유’가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푸코의 마지막 강의들은 소크라테스의 ‘영혼 돌보기’를 소환하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에게 ‘영혼 돌봄’ 기제는 ‘자기 성찰’을 넘어 ‘자기 배려’를 통해 개인의 내면적 기준의 설정과 함양을 권합니다. 이는 객관적 현실을 회피하고 지나치게 개인적 내향성을 지향한다는 평가에 직면할 수 있지만, 소크라테스의 또 다른 기제인 ‘진술(眞述)’은 이러한 유아독존적 차원을 보완합니다. 푸코는 소크라테스의 사례에서 한층 나아간 분명한 사례로 견유주의 모델에 주목합니다. 미완으로 남은 푸코의 견해에 기대면, 견유주의자들은 형이상학적이기보다는 동물적인 차원의 경험 등 극단적 실험을 통해 자신의 영혼을 주관과 객관의 긴장된 동역학 속에 파악하고자 합니다. 여기에서 영혼은 영원한 속성의 존재이기보다는 현실 세계와 여러 타자들 사이에서 확보되고 관리되며, 위협받고 명멸하는 가운데 부단히 스스로의 논리를 의심하고 실험하는 주체로서의 영혼입니다. 생각과 추측, 허구와 비평이 함께하는 이론(理論)은 객관적 이(理)와 주관적 논(論)의 긴장과 균형의 과정 속에서 그 영혼이 창출되고 유지되는 공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직관적이고 이성적인 면모는 시공을 넘는 영원성을 갖고, 이와 함께 개인적 판단과 삶의 스타일 또한 덧붙여져 왔습니다. 프로이트의 이론, 푸코의 이론, 데리다의 이론 등으로 지칭되는 이론은 개인의 영혼과 그 진술의 전형으로 남아 있습니다. 정보와 데이터의 세계에 상존하는 이론의 영혼은 한 개인의 영혼을 일깨웠고, 이제 그 개인의 영혼이 이론의 영혼에 조금이나마 보답하고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Soul’ is a very traditional, old-fashioned, now archaic, and even obsolete term. Instead of ‘soul,’ today ‘ego’ and ‘self’ have become the dominant terms in both academic and general usage. ‘Self-development’ emphasizes the infinite enhancement of individual ego on the one hand, and ‘self-healing’ trend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this situation on the other. Foucault’s last lectures, however, recalled the case of Socrates’ “taking care of one’s soul.” Socratic care of the soul goes beyond ‘self-reflection’ and forward to the ‘self-care’ of individual inner standards. Socrates puts another emphasis upon ‘parrhèsia’(free speech) so as to avoid the potentially extreme individualist turn of the self care. Foucault wanted to present the Cynic model as a clear example of going further than that of Socrates. Cynics seek to grasp their souls in tense dynamics of subjectivity and its others, and intentionally and constantly test themselves with extreme experiences of even sub-human as well as metaphysical dimension. Here, the soul is not a substance of eternal nature, but rather a constantly doubting and experimenting subject to be established and managed. Theory, as a space of criticism, conjecture, and fiction, creates and maintains its subject of tension and balance between objective reason and subjective argument. Here, intuitive and rational logic interweaves with personal judgment and lifestyle. Freud’s, Foucault’s, and Derrida’s theories represent prototypes of the individual subject’s soul that survives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data.

      • KCI등재

        데카르트의 『정념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김재한(Jae-Han, Ki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9 No.-

        데카르트의 『정념론』은 그의 다른 이전 저작들과 비교하면 철학사에서 상대적으로 덜 다루어진 작품이다. 그런데 이제까지 이 『정념론』은 주로 데카르트가 자신의 도덕이론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에 앞서 그 예비 단계로서 저술한 작품 정도로 이해되었다. 이 때문에 『정념론』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은 대부분은 ‘덕에 대한 추구’나 ‘관대함’과 같이 모종의 윤리적 함축을 담고 있는 데카르트의 서술들에 주목하였다. 또는, 신체와 영혼의 긴밀한 상호 작용을 인정하는『정념론』이 심신 이원론과 같은 그의 형이상학적인 주장들과 어떻게 양립될 수 있는지 보이려는 시도처럼, 데카르트 철학 내부의 특정한 문제로 한정되어 다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경향들로 인해 정작 데카르트가 우리 삶의 구체적인 심리현상으로서 기술한 정념의 구조와 특성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으로만 분석되었다. 특히나 필자가 보기에 『정념론』에서의 정념은 이제까지 단지 추상적인 차원에서만 다루어졌다. 그리고 이 때문에 『정념론』에서 제시된 이성과 정념의 상관관계 역시 막연하게 도식적으로만 이해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데카르트의 『정념론』이 기본적으로 우리의 구체적인 삶 속에서 체험되는 심리 현상으로서의 정념을 해명하기 위한 시도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다시 말해, 우리는 『정념론』에서 기술된 정념을 구체적인 심리 현상으로서 접근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이성과 정념의 상관관계 역시 의식 내부의 사태로서 더욱 세밀하게 다룰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정념론』에 대한 현상학적인 접근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접근방식을 통한 현상학적인 분석은 기존의 ‘추상적인’ 분석과 다르게 『정념론』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으로 특징지어질 것이다. Descartes’ The Passions of the Soul has received relatively less attention than his early works. However, until now, many people have mostly understood this last published work of Descartes’ as a preliminary study for his moral theory, which is not clearly developed. Because of that, most of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Passions of the Soul mainly have focused on Descartes’ mentions, which contain certain ethical implications such as “following virtue” or “generosity”. On the other hand, it was dealt with limited issues of Cartesian philosophy: How can we re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his metaphysical dualism with The Passions of the Soul acknowledging an intimate interaction of body and soul. However, due to these trend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ssions described by Descartes as concrete psychological phenomena in our lives have only been analyzed passively and insufficiently. In my opinion, it is the biggest problem, that the passions, and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reason and passion, which are presented in The Passions of the Soul, have been abstractly and vaguely understood. However, we must remember that Descartes’ The Passions of the Soul is basically an attempt to explain passion as a mental phenomenon concretely experienced in our real lives. In other words, we can approach the passions described in Descartes’ work as a concrete psychological phenomenon, and based on this, we can also more rigorously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reason and passion as a conscious state.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ugges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Descartes’ The Passions of the Soul. And this approach can be characterized as a ‘concrete’ analysis unlike the existing ‘abstract’ studies.

      • KCI등재

        황동규 시 「즐거운 편지」의‘자기성찰’ 모티프와 ‘교양 서사’ 이미지 -문학사적 위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찬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9 No.-

        이 논문은 황동규의 첫 시집 <어떤 개인 날>에 수록된 「즐거운 편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이면을 이루는 ‘자기성찰’과 ‘교양 서사’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했다. 또한 이 의제를 수미일관하게 개진하기 위하여, 그것의 문학사적 위상을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했다. 「즐거운 편지」는 전통 “연시(戀詩)”의 흐름을 계승하는 동시에 그것에서 벗어나려는 실험적 시도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 양면성을 충실하게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것에 깃든 ‘자기성찰’의 모티프와 더불어 그 “배경”에 숨겨진 ‘교양 서사’의 이미지를 새롭게 포착하고 객관적으로 논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건임을 명시하고자 했다. 「즐거운 편지」에서 과감하게 시도된 “괴로움”의 ‘능동-수동’의 위치 전환과 더불어, 이를 통해 마련되는 ‘적극적 수동성’의 발현은 시인이 반복해서 언급한 “한의 극복”이라는 문학사적 과제를 해소하는 중요한 성취를 이루었노라고 명확하게 논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성취는 「즐거운 편지」를 비롯한 <어떤 개인 날>의 주요 작품들이 권유형 어미의 다채로운 활용법과 묵시적 명령어 용법을 통해 갖가지 뉘앙스 실험을 동반하면서 문학사적 문제성을 불러일으키는 자리에서 비롯한다. 이 문제성은 또한, 미래 지향적 ‘성장 문법’과 ‘교양 서사’의 예감을 중층적 “아이러니”의 미학으로 아로새기는 자리에서 기원한다고 분명하게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 as its main object of analysis, and attempts to explore in depth the issues of ‘self-reflection’ and ‘liberal arts narrative’ behind it. To further this agenda, it also takes a closer look at its literary history. It is clear that “Pleasant Letters” inherits the flow of traditional “love poetry(戀詩)” and at the same time makes an experimental attempt to break away from it. Therefore, in order to faithfully elucidate this ambivalence, it i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 key to newly capture and objectively argue the image of the ‘liberal arts narrative’ hidden in its “background” along with the motif of ‘self-reflection’ inherent in it. It can be clearly commented that the boldly attempted re-positioning of the ‘active-passive’ of “suffering” in “Pleasant Letters” and the manifestation of ‘active-passive’ through it have achieved an important accomplishment in solving the literary-historical task of “overcoming Han(恨)” repeatedly mentioned by the poet. This achievement comes from the place where One Fine Day major works, including “Pleasant Letters” are accompanied by various nuanced experiments in the use of exhortative endings and implied imperatives, which evoke literary historical problems. This problematic can also be clearly identified as having its origins in a futuristic ‘growth grammar’ and ‘liberal arts narrative’ premonitions, which are augmented by a layered aesthetic of “irony”.

      • KCI등재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참된 수사학과 심성함양

        정혜진 한국도덕교육학회 2012 道德敎育硏究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플라톤의 대화편 『파이드로스』에 나타난 참된 수사학의 의미를 밝힘으로서 참된 수사학이 심성함양의 중요한 통로가 된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먼저『파이드로스』에 나오는 영혼불멸, 에로스, 미의 개념과 참된 수사학의 개념적 관련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로 참된 수사학은 에로스에 힘입어 영혼을 이데아로 향하게 하는 수사학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참된 수사학을 칸트의 선험철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칸트의 선험철학과 관련하여 해석된 참된 수사학은 언어의 전달 문제 또는 지식의 획득 문제와 관련된다. 그리하여 심성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참된 수사학은 교육이론의 심장에 해당하는 교과의 내면화 이론과 관련된다는 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at the true rhetoric is the important media of mind cultivation, by inquiring the meaning of true rhetoric in Plato's Phaedrus. First, I have inquired into the conceptual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s of eros, immortality of soul, Beauty, and true rhetoric in Plato's Phaedrus. So, it revealed that the true rhetoric is the rhetoric uplifting a soul to Idea in help of eros. Next, I have reinterpreted the true rhetoric in light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The true rhetoric reinterpreted in light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is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communication and the theory of knowledge acquisition. In result, it revealed that the rhetoric aiming to a mind cultivation is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chool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heart of education theory.

      • KCI등재후보

        Something More Tangible Than Technique, Something More Timeless Than Age -Focused on the motivation behind technique in ceramics history-

        Dick Lehman 한국도자학회 2010 한국도자학연구 Vol.7 No.1

        The most impressive and timeless examples of ceramic history are not merely awe-inspiring because of their age, or the technique used. In my article I attempt to reveal the deeper agendas of the people who crafted their art so many years ago, and what motives they had at that time, which could produce pieces of lasting merit. What were they thinking? What were their political affinities? How did they live? In contemplation of this, how can we still learn from them and improve and imbue our own works with the timelessness that they have been so successful in doing? It is indeed something more than simply technique or age that makes ceramic art moving.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지각’ 개념과 라이프니츠 저작에서 ‘Aperception’의 의미와 번역

        이상명 ( Lee Sang My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이 논문은 라이프니츠의 프랑스어 저작에 나타나는 ‘aperception’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에 적합한 우리말 번역어를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의 프랑스어 저작에서 라틴어 ‘perceptio’와 영어 ‘perception’, 즉 ‘지각’에 대한 동사형으로 ‘percevoir’가 아니라 ‘apercevoir’가 쓰였다는 것을 밝히고, ‘aperception’이 근대 지각 개념과 관련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라이프니츠는 프랑스어 저작에서 ‘aperception’을 새로운 개념으로 정립하면서 ‘perception’과 ‘aperception’을 구별하였고, 그에 따라 ‘apercevoir’와 ‘s’apercevoir’도 구별해서 사용한다는 것을 보인다. 라이프니츠의 구별로 인해서 ‘aperception’ 개념은 우리말과 같은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 어려움이 생긴다. 이런 정황과 라이프니츠 철학 체계에서 ‘aperception’의 의미와 역할을 바탕으로, 나는 ‘apercevoir’는 ‘지각하다’로 번역하고, ‘aperception’은 ‘자각’으로, ‘s’apercevoir’는 ‘자각하다’라고 번역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번역어를 사용해 ‘자각’ 개념이 라이프니츠의 여러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견해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그 견해들은 첫째는 모나드의 무한한 등급과 그것들 간의 구별이고, 둘째는 인간과 동물의 구별에 대한 견해이고, 셋째는 로크와의 논쟁점 이었던 영혼은 항상 생각하는가라는 문제에 대한 라이프니츠의 입장이다. 이 고찰을 통해서 라이프니츠의 _신인간지성론_에 두드러지게 등장하는 ‘우리가 자각하지 못하는 무한하게 많은 미세 지각들이 있다.’라는 주장이 자각 개념의 형성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aperception’ in Leibniz’s French works and to suggest a suitable Korean translation. To this end, it was first revealed that ‘perceptio’ in Latin and ‘perception’ in English have ‘apercevoir’ as the verb form for ‘perception’, rather than ‘percevoir’ in Descartes and Leibniz’s French writings. It suggests that ‘aperception’ was made in relation to modern concept of perception. And Leibniz distinguished between ‘perception’ and ‘aperception’ by establishing ‘aperception’ as a new concept in French writings, and shows that according to this ‘apercevoir’ and ‘s’apercevoir’ are also used separately by him. Due to Leibniz’s distinction, the concept of ‘aperception’ presents difficulties when translating into other languages like our language. Based on this context and the meaning and role of ‘aperception’ in the Leibniz philosophical system, I suggest to translate ‘apercevoir’ as ‘perceive’, ‘aperception’ as ‘awareness’, and ‘s’apercevoir’ as ‘aware’. Using this translation, we look at how the concept of ‘awareness’ is connected with the various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views of Leibniz. The views are first, of the infinite degree of the monad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m, the second, the view of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the third, Leibniz’s position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oul always thinks, which was the point of controversy with Locke. Through this review, it is revealed that the assertion that “there are infinitely many minute perceptions that we are not aware of” prominently appearing in Leibniz’s New essays on human understanding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awaren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