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네트워크 외부성이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고양감에 미치는 영향 : 매개역할

        박종철,정형식,김상훈,김영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1

        기존 연구들은 네트워크 외부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지식공유 같은 매개효과를 고찰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 스 맥락에서 네트워크 외부성이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 하였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외부성이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고양감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 하였으며, 이들 관계에 있어 애착의 매개효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애착의 유 형을 두 가지(동일시기반 애착 vs. 유대기반 애착)로 구분하여 네트워크 외부성이 애착의 두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유대기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동일시기반 애착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일시기반 애착과 유대기반 애착은 심리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시 기반 애착과 유대기반 애착은 사회적 고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only investigated perceived usability and enjoyment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network externalities-continuous use intention’ relation.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postulates that the consumers’ attachment play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external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social enhancement. S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attachment dim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external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enhancement. Attachment is conceptualized into two different forms: identity-based attachment and bond-based attachment. A model integrating network externalities, two dimensions of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enhancement was tested using the data of 222 general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network externalities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bond-based attachment. But, the network external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not on the identity-based attachment.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identity-based attachment and bond-based attachment bot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n the social enhancement.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ond-based attachment indeed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network external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social enhancement.

      • KCI등재

        미적 속성 실재론 대 반실재론 논쟁과 심리적 내재론

        신현주 ( Hyun Joo Shin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1

        영미 분석미학에서 20세기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논쟁 중 하나는 미적 속성 실재론 대 반실재론의 논쟁이다. 실재론은 대상의 미적 속성에 대한 지각들 중 진실한 지각과 환영적인 지각이 구분될 수 있고, 전자 내에서 지각된 미적 속성은 대상의 실제 속성이라고 본다. 반면 반실재론은 대상의 미적 속성에 대한 지각들 중 진실한 것과 환영적인 것은 구분될 수 없으며, 그러므로 우리는 대상이 어떠한 미적속성을 실제로 가진다는 이야기를 할 수 없다고 본다. 이 두 진영에 대해 본고는 첫째, 그 둘을 지각적 민감성에 관한 대립적인 입장으로 재구성한 후, 둘째, 이들이 대립적임에도 불구하고 모두 심리적 내재론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이들이 모두 내재론에 기반을 둔다는 사실, 즉 외재론을 배제한다는 사실의 철학적 의의에 대해 논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미적 속성의 지각에 관한 우리의 직관적 견해가 외재론과 상당한 충돌을 일으키며, 더 나아가 그러한 충돌을 상쇄할만한 이론적 장점이 아직 외재론에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미적 속성 실재론과 반실재론이 모두 외재론을 배제해왔음을 주장할 것이다. One of the heated debates in analytic aesthetics since the 20th century occurs between realism and anti-realism concerning aesthetic properties. Regarding the case in which agreement in aesthetic judgment is achieved, the aesthetic property realist says that the agreement is due to our success in perceiving one of the real aesthetic properties of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anti-realist says that agreement in aesthetic judgmen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erceivers have been under similar aesthetic conditioning and thus respond to the object in similar ways. In this paper I will firstly reformulate the debate in question as centered on the issue of qualia sensitivity. After this, I will show that both realists and anti-realists are committed to the individualistic picture of mental states, namely, psychological individualism, and thus in conflict with psychological externalism. Finally, I will discuss philosophical significances of the fact that both realists and anti-realists are committed to psychological individualism.

      • KCI등재

        연구논문 : 마음의 경계, -부속 외재주의(HEMC) 비판 그리고 구현주의를 위한 변론

        이기흥 ( Ki Heung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4 No.-

        마음/인지가 유기체의 내면이나 뇌 안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는 데카르트 전통의 마음이론에 근래 들어 외재주의가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마음/인지의 해명 작업에 뇌 너머 (신체, 상황 등을 아우르는) 환경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외재주의의 종류들은 다양하다. 그중에서 내재주의와 외재주의를 중재한다고 하는 부속인지 테제의 구체적 모델로 대량모듈 가설 혹은 진화심리학이 최근 부상하면서 부속인지 테제가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 필자는 부속인지 테제 및 대량모듈 가설에 대해 다소 거리를 두는 입장이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부속인지 테제 및 대량모듈 가설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인지개념의 비정합성, 모듈개념의 자기 모순성 그리고 인지에 관한 제한된 설명력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필자가 선호하는 대안은 포괄적 마음 설명 모델이다. 이 대안에서 마음 ‘기제``는, 부속인지 및 대량모듈 가설과 달리, 두뇌 너머 환경에까지 뻗친 것으로 이해된다. The tradition of Descartes` theory of mind/cognition says that mind/cognition occurs within the inner world of the brain. Recently a new trend i.e. externalism appears. This externalism claims that the environment which lies outside the brain, must be included/counted to the explanation of the mind/cognition. Yet different types of externalism exist. The HEMC (hypothesis of embedded cognition), which is one of them, turns out to be a theory that reconciles the internalist and externalist views of the mind/cognition. While the hypothesis of massive modularity (or evolutionary psychology) emerges as a concrete scientific model of HEMC, with it this expands meanwhile his explanatory power base. My opinion on the question of whether HEMC and the hypothesis of massive modularity explain the mind good or not, is not a optimistic one. They are not without problems. Among several other problems can be mentioned especially the problem of the phenomenalistic approach to the mind/cognition, the self-conflict problem of the module concept and the limited explanational power of the representationalism. In contrast to those two theses I propose an alternative research program, i.e. an integrative/inclusive externalism, which contatins an alternative mind/concept and a re-use model of cognitive mechanism. This proposal argues that the boundary of the cognitive mechanism, in contrast to the hypothesis HEMC and the massive modularity, is not restricted to the brain, but extends to the environment.

      • KCI등재

        귀순과 심리전, 1960년대 국가심리전 체계와 귀순의 냉전 정치성

        이봉범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59 No.-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Korea's independent national psychological warfare in the 1960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utilizing the defectors. First, it is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values of defection and the existentialism of the defectives in the Cold War regime. In the Cold War psychological warfare, defection is of special significance. This is because the return to the free movement itself is a sign of victory over the Cold War and a rebuttal to the superiority of the regime. Returning to the Sout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dentity is unique to the rules of the Cold War, and that politics is linked to the psychological warfare project of the Park Chung-hee regime, moving forwar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cross the Cold War East Asia. The psychological warfare against Japan was focused on ideological warfare targeting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ith the aim of blocking espionage against the South and crushing the repatriation project, and sent a forward-looking spy to Taiwan to strengthen anti-communist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Taiwan, as well as to ensure the legitimacy of the two governments. In the Vietnam War,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the two Koreas was also fierce. It was an extension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circuit was established to use it as an internal psychological warfare. Second, the reorganization of the anti-communist system after the 5.16 coup is the reorganization of the whole psychological system, which is unified into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is converted in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sychological warfare. The military government systematically implemented the national psychological warfare system by establishing prompt public relations policies, drawing up goals and guidelines for internal and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readjusting the ideological laws, creating and reorganizing psychological warfare organizations, and taking control of the media. Based on this, the anti-aircraft psychological warfare was organically conducted through defeat communism Propaganda, which mobilized the returnees of the Institute for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radio psychological warfare based on the international broadcasting station, and anti-aircraft psychological warfare through movies and newspapers. Third, it is a review of the ecology of the defectors who were key players and agents in psychological warfare. It demonstrated who the defectors were, what they did, and what psychological warfare activities they carried out, including the Southern spy who defected to the South in various ingredients, types and routes. It also looked into how the neutral POWs and anti-communist prisoners were connected to the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time. The anti-communist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defectors, centered on forward-looking spies, worked as a mechanism to justify the anti-communist development mobilization of Korean society as well as counter-propaganda campaigns against North Korea. The study of psychological warfare is an essential subject in explaining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the Cold War system. It is time for a study that encompasses inter-Korean psychological warfare in terms of East Asia's cold-cell suspension. 이 논문은 1960년대 한국 독자적인 국가심리전의 체계 확립과 귀순자를 활용한 대내외 심리전의 전개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첫째, 냉전체제에서 귀순이 갖는 심리전적 가치와 귀순자의 존재론에 대한 검토이다. 냉전기 심리전에서 귀순은 각별한 의의를 지닌다. 자유진영으로의 귀순 자체가 냉전선상의 승리의 표상이자 체제우월성의 반증이기 때문이다. 귀순이란 정체성이 냉전의 규정 속에 특유의 정치성을 낳고 그 정치성이 박정희정권의 심리전프로젝트와 연계되어 한반도 나아가 냉전동아시아를 횡단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대일심리전이 대남 간첩침투의 차단과 북송사업에 대한 분쇄를 목적으로 재일교포를 대상으로 한 사상전에 집중되었고, 대만에 전향간첩을 파견하여 한국과 대만의 반공연대 강화와 함께 양국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베트남전에서도 남북한 간 심리전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한반도 심리전의 연장이자 이를 대내적인 심리전으로 활용하는 회로가 구축되었던 것이다. 둘째, 5․16쿠데타 후 반공체제 재편성이 국가심리전의 수립으로 전환되는 제도적 맥락과 공보부로 일원화된 심리전체제의 재구성이다. 군사정부는 신속한 공보정책의 수립과 대내외 심리전의 목표와 지침 입안, 사상법제의 정비, 심리전기구의 창설 및 개편, 공보 매체의 장악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하여 국가심리전체계를 완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내외문제연구소의 귀순자를 동원한 승공프로파간다, 국제방송국을 거점으로 한 전파심리전, 영화, 신문 등을 통한 대공심리전이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시행되었다. 셋째, 심리전의 핵심 주체이자 요원이었던 귀순자의 생태에 대한 고찰이다. 다양한 성분, 유형, 경로로 귀순한 남파간첩을 비롯한 귀순자들이 누구이고, 그들이 무슨 심리전콘텐츠를 생산․전파했으며, 어떤 심리전활동을 전개했는가를 실증했다. 또한 중립국포로, 반공포로가 당대 심리전에 어떻게 접속되었는가도 살폈다. 전향간첩을 중심으로 한 귀순자들의 대공심리전은 대북 역선전전뿐 아니라 한국사회의 반공개발동원을 정당화하는 기제로서 큰 효과를 발휘했다. 심리전에 대한 연구는 냉전분단체제의 장기 지속성을 해명하는데 필수적인 주제이다. 동아시아 냉전지정학의 차원에서 남북심리전을 아우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여 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정민,성현란,권선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3

        본 연구에서 남․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자녀의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남녀 중학생 463명의 자료에 대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남․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애정적 양육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아의 신체증상과 비행, 여아의 우울/불안에 대해서 부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비애정적 양육 시에는 심리적 통제 집단이 심리적 비통제 집단보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애정적 양육 시에서는 심리적 통제 집단과 심리적 비통제 집단 간에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전혀 유의하지 않았다. 애정적 양육은 지각된 부의 심리적 통제가 가지는 남아의 신체증상과 비행, 여아의 우울/불안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완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in junior midddle schoolers. The subjects were 463 boys and girls in junior middle school in Deagu and Gyeongbuk area.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by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was used for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psychological control had negative effect on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but the effect of affective parenting was not significant on both behaviors.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y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boy's physical symptom and delinquency and girl's depression/anxiety. In low affective parenting condition, high psychological control has negative effect on boy's physical symptom and delinquency and girl's depression/anxiety. However, In high affective parenting condition, negativ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ol was released. Moreover there was not interaction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any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 KCI등재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Human Behavior According to External Circumstance Changes in Atypical Space

        이영림,이윤길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2

        Atypical buildings can give users a variety of spatial experiences compared to existing typical buildings. Thus, the ability to design atypical structures has become a vital aspect for architects. Users interact not only with the physical context of atypical spaces and other users but also with changes in the surrounding context. External circumstance changes are diverse, such as weather, fire, riots, and gatherings. Thus, to realize user simulation in a more realistic atypical spa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lligent agent that responds to changes in various external situations. This study is part of a research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agent technology that responds to changes in external circumstances. Specifically, users' behavioral changes according to external situation changes in architectural spa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was theoretically analyz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an atypical space, the difference in response behavior to changes in external circumstances was theoretically considered. Through on-site and media investigations, it was confirmed that users' actions responded to changes in external circumstances, and it was assumed that there was a psychological cause for this. Moreover, it was assum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nges and response behaviors due to changes in external circumstances because atypical spaces have different physical and social situations compared to typical architectural spaces. This study theoretically analyz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users' behavioral changes according to external situation changes in atypical architectural spaces.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an atypical space, the difference in response behavior to changes in external circumstances was also theoretically considered. And also, several strategies for the advancement of human behavior simulation can be derived. First, in the simulation of human behavior in an atypical space, the scope and method of the agent's perception should be adjusted based on the theory of direct perception so that the simulation can be highly realistic. Second, accord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 the external situation, parameters that affect the agent's reaction behavior, such as pathfinding,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imul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nvironment that can perform human behavior simulation by making changes in external circumstances within the design and developing agents that respond in various w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y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human behavior simulation and to advance agent intelligence.

      • KCI등재

        경험주 논항과 심리 표현 형용사 구문의 의미·통사구조

        박재희 ( Bak Jae-hee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6

        본 연구는 형용사를 서술어로 한 심리 표현 구문의 의미 구조와 통사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 논의에서는 심리형용사로 분류된 형용사만이 심리 표현 구문을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심리 표현 구문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험주 논항의 실현 양상, 인칭 제약, 그리고 의미 해석 양상을 검토한 바, 본고에서는 경험주 논항이 심리형용사로 분류된 특정한 형용사에 의해서만 문장에 소개되고 의미역을 부여받는 논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 논의에서의 제안만으로 심리 표현 형용사 구문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없음을 확인하고, 본고에서는 경험주 논항을 문장에 소개하는 내연적 술어 < feel >과 1인칭 화자를 문장에 소개하는 내연적술어 < guess >가 형용사와 결합하여 심리 표현 형용사 구문을 형성한다고 제안하였다. 이 같은 제안을 통해, 경험주 논항의 실현 양상, 인칭 제약 그리고 다양한 의미 해석 양상을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형태의 형용사가 심리형용사로도 쓰이고 성상형용사로도 쓰이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paper was to find the semantic and syntactic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that was built by adjectival predicate. In the previous studies,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in Korean was considered to be built (i)when the predicate in this construction was the so-called psychological adjective and (ii)when the argument with “experiencer theta role” was introduced by the psychological adjective. However, considering (i)the status of the experiencer argument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ii)the restriction of the grammatical category “person” in the experiencer argument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and (iii)the various interpret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when the experiencer argument was not overtly displayed,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experiencer argument was the argument of the adjective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d by the adjectival predicate. Thus, this paper suggested that (i)the covert predicate < feel > i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t by the adjectival predicate could introduce the experiencer argument rather that the adjectival predicate, (ii)anther covert predicate < guess > could introduce the first person speaker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t by the adjectival predicate. As this suggestion, the reason that the restriction of the grammatical category of person was existed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t by the adjectival predicate could be scrutinized and the reason that an adjective could use both the psychological adjective and the attributive adjective could be explained.

      • KCI등재

        모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태산,김자경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8

        본 연구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3월 12일부터 3월 20일까지 광주광역시의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564명(남학생: 296명, 여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우울·불안과 위축이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비행과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의 심리적 통제는 초기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행동을 증가시켰고, 초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은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바람직한 부모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부모-자녀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arly adolescent self-efficacy o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behaviors in adolescent student. The participants were 564 elementary school students(296 boys and 268 gir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12 to March 20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irls report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anxiety and shrinking than boys, whereas boys reported higher levels of misdeed and aggression than girls. Seco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d early adolescent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behaviors. And early adolescent self-efficacy decreased early adolescent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arly adolescent self-efficacy influence adolescent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behaviors. Thus there is a need to develop systematical and effective parent-child education programs for preferred parenting attitudes and promoting early adolescent self-efficacy.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기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명희,신희수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nse of inadequ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on. In a sample of 830 early adolescents in grades 4~6,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pathway among the variable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measured in terms of restraining verbal and emotional expression, use of personal attack and withdrawal of affection as means of punishment, and erratic mood swings. The results confirme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early adolescent depression. They also indicated that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nse of inadequacy. Sense of inadequacy, in tur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in terms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counseling practices with adolescent depression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lso followed. 본 연구는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초기 청소년 자녀 우울의 위험요인으로 가정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외적 통제소재와 심리적 부적절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녀에 대한 언어적, 감정적 표현제재, 인신공격, 애정철회로 측정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외적 통제소재와 심리적 부적절감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경로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서울시 4개 초등학교 4~6학년 초기 청소년 830명의 자기보고 자료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어머니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외적 통제소재를 가중시키고 외적 통제소재는 다시 부적절감을 높여 우울을 상승시키는 이중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좋게 나왔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고,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외적 통제소재와 심리적 부적절감을 이중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경로를 밝혀 관련연구를 확장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 KCI등재

        영어 중간태 동사 구문

        김상혁(Sanghyuk Kim) 한국중원언어학회 2015 언어학연구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iddle verb constructions and the psychological verb constructions in English. In this study, I first identified verbs that could be middle verbs. Next, I examined whether or not the psychological verb constructions can be the middle verb constructions, and made an attempt to explicat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verbs that cannot be middle verbs. The attempt was motivated by my understanding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middle verbs and psychological verbs. For the purpose, I applied the constraints of the formation of the middle verb constructions to the psychological verb constructions in order to review the formation of the middle verb constructions of the psychological verbs. Some constraints are very useful to explain them but others are not useful enough to do so. The middle verb constructions are derived from the corresponding transitive verb constructions. Amuse and admire type psychological verbs are transitive verbs and marvel and appeal type psychological verbs are intransitive verbs. I explained in depth why some verbs can be middle verbs and others cannot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