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자(荀子)의 예(禮)사상과 예(禮)교육 방향

        양방주(Bang Ju Y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7

        이 글은 오늘날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나 효과적이지 못한 예(禮) 관련 교육을 개선하기 위 하여 기존 예교육의 토대가 되었던 것과는 다른 순자의 예사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것을 토대로 오늘날의 예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하여 작성 하였다. 순자의 예사상은 인간과 사회에 관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인간의 주관적 역할과 공동체적인 선을 중시한다. 그 방법과 목표는 화성기위의 치(化性起僞治)를 본령으로 한다. 이는 사람들이 분별을 바탕으로 그 욕망을 기르고 조절하여 선한 행동을 하고 도리를 다하도록 예의와 법도로 교화됨으로써 이치에 바르고 다스림이 공평하여 조화와 질서가 이루 어진 평화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예는 중추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 라 이루고자하는 목표가 된다. 이러한 예사상에 입각한 예교육은 개인적인 덕성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현실적 이며 체계화된 인도와 사회윤리를 토대로 한다. 그 내용은 현실적인 것과 사회윤리적인 것을 주로 하고 지식과 행위 양식, 가치 및 태도가 조화되도록 편성한다. 그 방법으로는 실질적인 목표의 부여와 실천 의지의 강화, 문제 해결력의 배양을 기본으로 하여 습관화, 인격화를 모색 한다. 더불어 바람직한 환경의 조성과 활용, 관련 분야와의 연계 실시 등을 병행한다. This paper systematically organizes Xunzi’s thought of the concept of ritual propriety (禮 li) that is different from what has formed the basis of today’s propriety education. In doing so, it seeks to enhance various but ineffective educational courses on ritual propriety and examines other measures for propriety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n recent days. Xunzi’s view of ritual propriety is founded on a rational and realistic consideration of people and their society, creating the major doctrine of “changing one’s evil nature to that is unnatural” (huaxing qiwei zhi) that puts importance on one’s subjective role and the virtue in a communal life. Xunzi believed that cultivating and controlling human desires in pursuit of edification where they are transformed into manners and judicature would eventually realize a reasonable and peaceful society with an orderly governance. In the process, ritual propriety not only plays a pivotal role but also becomes a goal to achieve. Grounded on the above-mentioned thought, the rational, realistic and systematic concept of ritual propriety, not the personal morality, forms the foundation of propriety education. Propriety education mainly discusses what is realistic and socio-ethical, and develops its courses where the knowledge, behavioral patterns, values, and attitudes are well-harmonized. The teaching begins with such methods as motivating the students, strengthening their will to practice what they learn, and nurturing their ability to reason in an ethical way, which later proceeds to the stage of habituation and naturalization of the lessons. In line with the said methods, propriety educators establish and utilize a desirable environment while linking the lessons to other related fields.

      • KCI등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덕목 실천에 관한 비판적 분석 : 2015년 이후에 논의한 ‘예, 효, 정직, 책임’을 중심으로

        백미화 ( Baek Mee-ha ),유주형 ( Yoo Ju-yung ),신창호 ( Shin Chang-o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3

        본고는 2015년 이후 한국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덕목의 개념과 실천에 관해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히,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한 8가지 덕목 가운데 전반부에 자리한 ‘예, 효, 정직, 책임’의 4가지 덕목에 대해 정의하고,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유아 대상 논문 20편, 초등 대상 논문 21편, 중등 대상 논문 16편을 검토하였다. ‘예’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에서 개념 정의가 없었고, 프로그램 활동에서도 ‘예’덕목을 함양할 수 있는 근거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효’의 경우, 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서는 개념 정립이 되어 있지 않았고, 전래동화를 이용한 ‘효’교육을 진행한 연구가 많았다. ‘정직’의 경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많이 다루고 있었지만, ‘정직’의 개념 정립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활동도 적합하지 않았다. ‘책임’의 경우, 유아 프로그램에서는 명확한 개념 규정이 없고, 책임과 협력을 혼용하거나 책임과 무관한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초등 프로그램에서도 책임에 대한 개념 정립이 명확하지 않았고, 중등 대상 연구에서도 개념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책임감을 함양시키기 위한 활동으로만 진행되었다. 인성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행위의 표준, 가치, 역량에 대해 명확한 초점을 설정해야 하고, 인성 덕목의 개념, 그에 적합한 활동, 그 활동에 대한 평가가 논리적으로 설계되고 실행되어 검증을 거칠 때 보다 교육적이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ed and analyz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Korea Citation Index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ince 2015 in terms of whether they present the concepts of the character virtues that they aimed for and ensure that the activities in the program are appropriate to enhance the targeted character virtu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conception of the character virtues targeted by the program and will be possible when the concept consists of appropriate activities. To this end, among the eight character virtues enacted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the definition of the first four virtues of propriety, filial piety, honesty and responsibility were established through dictionary meaning and literature review. Then,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articles for 20 preschoolers, 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6 youth subjects amo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listed (candidate) journals. In the case of ‘propriety’, there was almost no concept definition in the study of preschool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dolescents,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a basis for the program activities set by them to cultivate the ‘propriety’ virtues. In the case of ‘Hyo,’ the concept was rarely established in programs aimed at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me studies for preschoolers ne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the modern concept of ‘Hyo’ education. Although ‘honesty’ is aimed most in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ncept of' ‘honesty’ was rarely established and its activities were not suitable. Lastly, the clear concept of ‘responsibility’ was not defined in the programs for preschoolers, and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mixed up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or had nothing to do with responsibility. Th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rogressing without establishing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and the research for adolescents was conducted only as an activity to cultivate responsibility without establishing the concep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it is clearly a reminder that we must first decide where to put a clear focus on the standards, values, and competencies of objective behaviors. The concept of character virtues, activities which appropriate to them, and evaluations of those activities should b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e programs would be most educational and effective when they are logically designed, implemented and validated.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짚어보기 - 초등과정을 중심으로

        김강수(Kim Kang-s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이 글은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과 내용체계들을 초등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문제점을 낳을 수 있을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논의해보려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BR>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가르치는 목표와 내용, 방법 등에 관한 지침의 구실을 하지만, 내용과 방법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체계에서 통일성을 고려하다보니 대단히 추상적인 말로 정리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의 교사는 교육과정 문서만으로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가늠하기가 어렵다.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함께 논의해볼 수 있도록 하려면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BR>  이 글은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을 통합해야 하는 필요성, 지역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와 구체적 실현 방법, 내용의 적정성과 위계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그것들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현실적인 적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생각을 담고 있다.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논의를 펼쳐나가기 때문에 객관성이나 체계성이 떨어질 수는 있지만, 초등 교육 현장을 실천적으로 반영한 글로 읽히기를 바라며,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discuss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how the curriculum can be effectively realized in actual teaching environment after due consideration of how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put together from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 of view.<BR>  Educational curriculums act as teachers’ guide to help them with teaching contents or teaching methods, but since they include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because they were put together considering unity of the information, the contents are very abstract. That is why, teachers cannot easily figure out how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practiced with the documents only. In order to discuss how teachers can understand the revised curriculum, I believe it is best to write from actual experience.<BR>  This essay discuss problems in necessity of uniting revised curriculum contents, reason for necessity of localized education system and details of how it is achieved, and propriety of contents. I believe that these are obstacles for practicing revised curriculum and they are holding back actual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This essay might lack objectivity and systemicity because it is written on the base of one’s experience, but I hope that this essay is read knowing that this essay is reflecting actual practice of education. I also hope that this essay will provide a chance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discuss revised curriculum education process.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짚어보기 - 초등과정을 중심으로

        김강수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discuss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how the curriculum can be effectively realized in actual teaching environment after due consideration of how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put together from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 of view. Educational curriculums act as teachers’ guide to help them with teaching contents or teaching methods, but since they include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because they were put together considering unity of the information, the contents are very abstract. That is why, teachers cannot easily figure out how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practiced with the documents only. In order to discuss how teachers can understand the revised curriculum, I believe it is best to write from actual experience. This essay discuss problems in necessity of uniting revised curriculum contents, reason for necessity of localized education system and details of how it is achieved, and propriety of contents. I believe that these are obstacles for practicing revised curriculum and they are holding back actual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This essay might lack objectivity and systemicity because it is written on the base of one’s experience, but I hope that this essay is read knowing that this essay is reflecting actual practice of education. I also hope that this essay will provide a chance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discuss revised curriculum education process. 이 글은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과 내용체계들을 초등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문제점을 낳을 수 있을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논의해보려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가르치는 목표와 내용, 방법 등에 관한 지침의 구실을 하지만, 내용과 방법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체계에서 통일성을 고려하다보니 대단히 추상적인 말로 정리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의 교사는 교육과정 문서만으로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가늠하기가 어렵다.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함께 논의해볼 수 있도록 하려면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을 통합해야 하는 필요성, 지역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와 구체적 실현 방법, 내용의 적정성과 위계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그것들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현실적인 적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생각을 담고 있다.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논의를 펼쳐나가기 때문에 객관성이나 체계성이 떨어질 수는 있지만, 초등 교육 현장을 실천적으로 반영한 글로 읽히기를 바라며, 현장의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유가의 철학적 치유를 통한 인성회복

        박정근 ( Park Jeong-geu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17 청소년과 효문화 Vol.29 No.-

        “Shuxiu(束脩)” means a bundle of dried meat that is the smallest present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Confucius had never denied every one who had brought the proprietary dried meat for his instruction. Propriety had been regarded as important, and in Confucianism it was the most important learning subject that was essential in cultivating oneself, since it was supposed that one could teach others only after completing self-culture. That is the Confucian philosophy for “cure others after self-culture.” Self-culture means self-struggle, and the learning effort for that is “to completely overcome selfishness and keep to propriety.” “To overcome selfishness” means one`s metal overcoming, and the necessary learning for that is to keep to propriety. The clue for it lies in one`s mind, that is, the mental pivot. As Confucius philosophy, based on one`s mind, puts great emphasis on mental self-culture, so it is also of great importance in philosophical cure for the disease of the mind. Regarding propriety and music as the method for restoring social order and relieving the world, Confucius sought for ancient historical evidence for them. In modern society it is difficult to exactly measure the speed of social change, so it may not be necessary to follow the system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but something to be changed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reality, and if something is deficient, it should be complemented according to reality. Excessive obsession to the past cannot expect further development, however, passing over it may lead to loss of direction due to insufficiency of future-orientation. This study aims at seeking for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cure by applying ancient traditional propriety to one`s mental self-culture.

      • 유교의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이상호 ( Lee Sang-ho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28 No.-

        산 정상을 올라가기 위해서는 여러 갈래 길이 있을 수 있다. 특정한 길이 옳다고 볼 수 없다. 올라가는 길마다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교에서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인의예지(仁義禮智) 본성을 인성으로 파악한다. 유교 인성 교육은 크게 공자, 맹자, 순자의 인성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자는 사랑을 바탕으로 한 도덕적 공감 능력 중시, 인정의 자연스러움에 바탕을 둔 인성 교육, 자율성 강조, 제자들의 수준에 맞춘 인성교육 등을 제시했다. 맹자는 사단(四端)확충을 통한 인의예지 회복, 호연지기 회복을 통한 대인(大人)의 삶 등을 중시했으며, 순자는 사회 혼란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기 위해서는 예의 형식이나 절차와 같은 인위적인 노력을 통해 악한 본성을 착한 쪽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자, 맹자, 순자가 살았던 시대와 상황은 오늘날과 다를 수 있다. 하지만 3명의 사상가가 혼란했던 사회를 수습하고,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아름다운 세상으로 만들려고 제시한 인성교육의 소중한 메시지는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기에 충분히 재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There can be multiple paths to climb the summit. Certain lengths are not always right. There ar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each route. Generally, in Confucianism, Confucian four basic qualities of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granted from the heaven are recognized as human natures. Confucian character education is divided into character education of Confucius, Mencius and Xunzi. Confucius suggested preponderance in the ability of moral empathy based on love,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naturalness of humanity, emphasis of autonomy, and character education to the level of the disciples. Mencius emphasized Confucian four basic natures of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recovery through the expansion of Confucian four basic natures, and the life of great man through Hoyeonjigi recovery. Xunzi claimed that in order to basically heal social confusions, the evil nature should be changed to the good one by artificial efforts such as courtesy forms or procedures. The times and circumstances in which Confucius, Mencius, and Xunzi lived can be different from today. But the important message of the character education that the three thinkers proposed to settle the confused society and make it into a beautiful world where people can live a life worthy of the name of man needs to be reassured enough to give us many suggestions today.

      • KCI등재

        순자 ‘악(惡)’을 통해 본 학교폭력 문제의 고찰

        전선숙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5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defined as ‘evil’ in schools or education by looking at the everyday characteristics of ‘evil(惡)’ based on its concept presented by Xunzi(荀子). ‘Evil’ in Xunzi’s philosophy does not simply mean good or bad in a binary sense, but ‘evil’ is presented as an emphasis in opposition to the optimistic attitude towards human nature known as ‘xiāndàn(善端)’ in the philosophy of Mencius, therefore Xunzi claims of the mundane ‘evil’, such as the everyday desires, emotions, and pursuit of interests that every human possesses. Therefore, through education, we need to explore the ‘propriety(禮,lǐ)’ of relational communication, and to know of such ‘propriety(禮,lǐ)’ in the relational communication, schools need to support the ability to regulate desires and pursue appropriate desires based on experiences of everyday ‘evil’. Also, teachers should become facilitators who can positively support students’ conflicts from a new perspective and practice the propriety(禮,lǐ)’ of relationship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 KCI등재

        조선시대 왕세자의 성균관 입학례

        장재천 ( Jae Cheon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전통시대에는 인간관계 전반을 규율하는 질서로서 예를 바로잡아 사회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다. 따라서 백성의 본보기로서 조선의 왕세자는 국왕이 되기까지 응당 수많은 통과의례를 거쳐야만 했고 성균관 입학례도 그 중의 하나였다. 입학식을 통하여 왕세자는 부자, 군신, 장유의 윤리를 실천하였으며, 스승을 높이기 위해 서쪽 계단을 오르내리고 책상도 없이 엎드린 채로, 동쪽에 앉아 계신 스승께 가르침을 받았다. 이는 장차 왕위에 오를 왕세자일지라도 유학을 배우는 학생으로서 스승에 대한 예절을 지켜야 하며, 이런 수련을 통해서 백성들에게 모범을 보이고 학문과 덕망을 갖춘 성군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왕세자의 입학식은 동궁을 나와 성균관을 방문하여 공자와 선현들을 모신 대성전(大成殿)을 참배하고, 명륜당에서 성균관 박사에게 제자로서의 예를 행하고 가르침을 받는 의식이었다. 그러나 왕세자가 입학식을 하고 계속 성균관에 다니는 것은 아니었다. 입학식은 한 차례의 행사로 끝났지만 왕세자가 성균관에 입학하는 의식을 통해 스승에 대한 예를 표하고 학문을 굳건히 해 장차 훌륭한 임금이 될 것을 다짐하는 의례였다. 결국 왕세자의 성균관 입학례는 조선이 유교국가임을 천명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하였으며, 스승을 공경하고 소학교육의 이념을 널리 깨우치게 하는 것이었고, 교학을 위정의 근본으로 삼아 모범을 보여서 치국의 바탕으로, 또한 종통과 학통의 정통성 확보를 위하여 도통의 승계를 상징하는 성대한 의식이었다. This paper research the entrance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 of Sungkyunkwan in the Joseon Dynasty. Joseon was a Confucian dynasty. It was ruled by Kings of the Royal family that had secured the orthodoxy of clan rules under Confucian ideas. Royal family was the main prop of Confucian culture and Kings were leaders who leaded society and culture from the top. Therefore, Kings should complete more strict and intense education than nobleman. The Royal family and the government should have to establish prim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systems to foster successors qualified for the throne.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and the eldest grandson of a King in the direct line) in the Sungkyunkwan. Study on entrance ceremony could clarify the purposes of educational ceremony that were installed along the growth of throne successors. Also, study on educational ceremonies could make it clear how were throne successors given with authority and did they internalize the duty of sense as the leader to lead next generation. As a matter of fact, by tracing the form with which politics and education had combined each other through ceremonies,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ceremonies of Joseon Dynasty had have a unique educational function. Education culture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ideas and culture of those days and at the same time the coner stone on which new ideas and culture can be created. In the Confucian society where the union of politics and education were claimed, politics and education had an indivisible relation. Also, power and education were in organic relation. Consequently, the impressive entrance ceremony with a large attendance for the Crown Prince of Sungkyunkwan in the Joseon Dynasty was indoctrination and good example of propriety for all people as the Confucian country.

      • KCI등재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백경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the curricular propriety criteria of social needs by search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such as curriculum value, goal, and contents selection principle or criteria. Also, this research intends to deliver the direction of following study which can reflect the social needs that have influence on curriculum by assorting reasonably. This research divided the curricular social needs into social criteria and educational criteria and indicated to input the curricular social needs after filtering using these two criteria.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ed coincidence of social universality, social usefulness, social core, and appropriateness to common goods as the social criteria. Moreover, this research indicated education purpose coincidence, instruction possibility, study possibility, interest coincidence of students, and curricular fraternity as the educational criteria. The presented criteria in this research places a limit on the abstract criteria not the concrete criteri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organize the system that develops the concrete criteria based on the abstract criteria, examines the social needs depending on developed criteria, and reflects on curriculum. 이 글은 교육과정 가치, 목표, 내용 선정 원리 또는 준거 등의 이론적 탐색을 통해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를 탐색하고 향후 교육과정에 가해지는 사회적 요구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선별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사회적 준거와 교육적 준거로 구분하고 이러한 준거를 통해 여과 과정을 거친 후 교육과정에 진입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사회적 준거로는 사회적 보편성, 사회적 유용성, 사회적 중핵성, 공동의 선(goods)에의 부합성을 제시하였고, 교육적 준거로는 교육 목적 부합성, 교수 가능성, 학습 가능성, 학습자의 흥미 부합성, 교과 친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준거는 구체적 준거라기보다는 이론적 개관을 통한 추상적 준거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준거를 바탕으로 구체적 준거를 개발하고, 개발된 준거에 의해 사회적 요구를 검증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