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법상 비례의 원칙 ―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

        김태호 한국공법학회 2009 공법연구 Vol.37 No.4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an be regarded as a general principle reasonably applicable to all areas of administration, as a “dominant guiding principle for all national actions”as adjudicated b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Where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needs to be concretized when the abstractness of its concept, etc. is considered, the criteria for examination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ve not been actively discussed by legal scholars. However, the Supreme Court of Korea is generally evaluated to have applied mostl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which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s rendered based on concrete facts of the case concerned, unlike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Based on the abov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etc., in this thesis general review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under administrative law is conducted with emphasis on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 Supreme Court examin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relation to orders, rules, etc.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trol of norms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evaluated that,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law where it is examined whether discretionary authority, etc. are abused or not in taking a specific administrative measure, the Supreme Court has conducted a simple examination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ith stress laid o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adjudication that is rendered based on concrete facts of the case concerned. In-depth research and study on the qualities, substance, etc.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ould be necessary on a continuing basis, in order that the criteria, etc. for examination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ase may be properly settled in place through court’s judgments, etc. 비례원칙은 독일 연방헌법재판소가 판시한 바와 같이 “모든 국가적 행동의 지배적인 지도 원칙”으로서 행정의 모든 영역에 타당한 일반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비례원칙은 그 개념의 추상성 등을 고려할 때 그 내용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 대법원의 비례원칙 심사기준에 관하여 학자들 간에 논의가 활발하지는 않으나 대체로 협의의 비례원칙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대법원 판결이 헌법재판소 결정과 달리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토대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기인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 등을 기초로 이 글에서는 대법원 판례 등을 중심으로 행정법상 비례원칙에 대해 개괄적인 고찰을 하였다. 명령, 규칙 등을 대상으로 한 대법원의 비례원칙 심사는 헌법재판소에서 비례원칙에 따른 규범통제를 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면에 구체적 처분에 대하여 재량권 남용 여부 등을 심사하는 행정법 영역에서는 구체적 사실관계를 기초로 하는 행정재판의 특성을 감안하여 협의의 비례원칙을 중심으로 간단한 비례원칙 심사를 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개별사안의 특성을 반영한 비례원칙의 심사기준 등이 법원의 판결 등을 통하여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비례원칙의 성질과 내용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계속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헌법상 비례성원칙

        이준일(ZOONIL YI) 한국공법학회 2009 공법연구 Vol.37 No.4

        헌법상 비례성원칙은 적합성원칙, 필요성원칙,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으로 구성된다. 헌법재판소의 견해와는 달리 목적의 정당성은 비례성원칙의 부분원칙에 포함될 수 없다. 아무튼 비례성원칙은 두 개의 목적과 한 개의 수단으로 이루어진 관계삼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최대화명령, 최소화명령, 최적화명령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최대화명령을 의미하는 적합성원칙과 최소화명령을 의미하는 필요성원칙은 경험적 논증을 본질로 하는 반면에 최적화명령을 의미하는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은 규범적 논증을 본질로 한다. 중요한 것은 규범적 논증을 본질로 하는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이 비례성에 관한 논증에서 가장 핵심적인 원칙이라는 점이다. 한편 비례성원칙은 기본권의 기능에 따라 과잉금지원칙과 과소금지원칙으로 구체화된다. 하지만 평등권에 대한 제한의 경우에는 비례성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비례성원칙은 서로 충돌하는 법익의 우열관계를 비교할 때 적용되지만 평등권의 경우에는 대상의 같고 다름에 관한 비교가 문제되기 때문이다. 법익의 비교와 균형을 본질로 하는 비례성원칙을 적용할 때 중요한 것은 각각의 법익에 찬성하는 논거가 자유롭고 평등하게 주장될 수 있는 합리적인 절차의 보장이다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onsists of three sub-principles: the principle of appropriateness, the principle of necessit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Unlike the opin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e legitimacy of end is not able to be one of sub-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as a relation-triangle structure, a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wo ends and one mean, and can be reconstructed by the imperative of maximization, the imperative of minimization and the imperative of optimization. The essence of the principle of appropriateness meaned by the imperative of maximization and the principle of necessity meaned by the imperative of minimization is an empirical argumentation. In contrast, the essence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meaned by the imperative of optimization is a normative (evaluative) argumentation. Important is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the essence of which is a normative argumentation, is the core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an be concretized by the principle of over-limitation-prohibition (Übermaßverbot) and the principle of under-protection-prohibition (Untermaßverbot) according to functions of constitutional rights, according as they are rights to omission or rights to action or benefit. Howev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not applied to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equality. Becaus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an be applied in the case of the comparison of colliding legal interests, but in the case of the right to equality, it is of essential concern to compare two objects regarding sameness and difference.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essence of which is the comparison and balance of colliding legal interests, it is most important to protect a certain resonable procedure in which every arguments supporting respective legal interests can be put forward freely and equally.

      • KCI등재

        WTO 협정상 비례성원칙의 적용근거

        김민주(KIM Minjo) 대한국제법학회 2014 國際法學會論叢 Vol.59 No.2

        비례성원칙은 추구하는 목적과 선택된 수단 간의 관계가 비례적일 것을 요구하는 원칙으로서, 선택된 수단이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합한 수단일 것의 적합성원칙,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단일 것의 필요성원칙, 추구하는 목적과 충돌하는 다른 목적이 균형을 이룰 것의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이라는 세 개의 부분원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례성원칙은 가치를 규정한 법원칙 규범의 충돌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적용된다. WTO 협정의 경우 GATT제20조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비경제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WTO 회원국이 일정한 정책목적을 추구할 것을 허용하고 있는 규정으로서 법원칙규정이다. 예를 들어 GATT제20조 (b)호의 경우 건강보호정책목적을 위해 ‘필요한’조치를 취하는 경우, 자유무역이라는 경제적 가치와 건강보호라는 비경제적 가치가 충돌하게 되고, 이러한 두 개의 법원칙 충돌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비례성원칙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WTO분쟁해결기관이 GATT제20조의 ‘필요한’이라는 규정외에 WTO협정에 비례성원칙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없는 경우에도 비례성원칙을 적용한 분석을 할 수 있는 근거로 세 가지 경우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비례성원칙이 ICJ규정 제38조 제1항 (c)의 법의 일반원칙이고, WTO법체계가 외부원칙을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장의 경우, WTO법에 명시적인 규정이 없어도 목적과 수단의 비례적 관계가 요구되는 규정에서 비례성원칙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WTO협정 중 특히 GATT제20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필요한’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비례적으로’의 의미를 갖는다고 발전적으로 해석하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비례성원칙을 적용한 비례성 분석을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WTO헌법화를 인정하는 견해를 따를 경우, 비례성원칙을 WTO법체계에 적용하는 것은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하나는 국내법 차원에서 헌법원칙으로 인정되고 있는 비례성원칙을 빌려와 헌법적 지위를 갖게 된 WTO법에 준용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WTO협정이 헌법적 지위를 갖는다면 WTO협정의 권리 규정이 헌법적 지위를 갖는 법원칙 규범이 되고, WTO법에서 충돌하는 법원칙이 헌법적 지위에 있으므로 그들을 비교형량하는 비례성원칙은 헌법적 지위를 갖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례성원칙은 헌법적 지위를 갖는 WTO법에서 내재하는 개념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hich is to require the proportionate relations between the ends pursued and the means chosen, consists of three sub-principles: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of necessity, and of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pplied as a legal tool to solve the conflict of two legal principles. In the case of the WTO legal system, GATT Article XX provides legal principles that permit WTO Members to pursue certain policies in order to protect socially important non-economic values. For example, when a WTO Member adopts a necessary measure for the purpose of health protection policy according to GATT Article XX (b), a conflict is established between the economic value of free trade and the non-economic value of health protection so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an be applied to resolve the two conflicting legal principles. In order to appl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case of the GATT Article XX, which has no explicit provisions of proportionality other than the word of ‘necessary’, three possible legal bases can be suggested. Firstofall, since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is the general principles of law under the Article 38.1 (c) of the ICJ statute, and taking the position that the WTO legal system allows the application of the outer principles of the WTO law based on the DSU Article 3.2, it can be applied to the provisions or circumstances requiring the proportionate relations between the ends and the means regardless of the elicit clause of proportionality. Secondly, when the word of ‘necessary’ stipulated under the GATT Article XX is evolutionarily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proportionate’, the proportionality analysis is possible based on such evolutionary interpretation. And the lastly, when following the argument for the WTO constitutionalization,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can be applied to the WTO law either as mutatis mutandis of a constitutional principle borrowed from the national constitutional law systems or as the intrinsic notion of the WTO law since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has a constitutional status by balancing the conflicting rights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alized WTO laws.

      • KCI등재

        헌법적 원칙으로서 과잉금지원칙과 과소금지원칙의 접점과 차이

        이준일 유럽헌법학회 2022 유럽헌법연구 Vol.- No.39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that has a constitutional basis and effect.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onsists of four partial principles: the principle of justification for the end,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of means, the principle of minimal harm, and the principle of balance of legal interest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embodied in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abundant restriction and the principle of excessively deficient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legal interests guaranteed by constitutional rights. In the case of the defensive right that can demand negative actions from the state,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is embodied a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abundant restriction, and in the case of the benefit right that can demand positive actions from the state,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is embodied a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deficient protection. Sinc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specified in common between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abundant restriction an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deficient protection, the four partial principles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must be applied whether they are applied as the former principle or the latter. However,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application of the four partial principles included in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may vary because the protected legal interests and restrictions that are problematic in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abundant restriction an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deficient protection are different. 비례성원칙은 헌법적 근거와 효력을 가지는 헌법적 원칙이다. 비례성원칙이 네 가지 부분원칙, 즉 목적 정당성의 원칙, 수단 적합성의 원칙, 피해 최소성의 원칙, 법익 균형성의 원칙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의견의 일치가 있다. 비례성원칙은 기본권의 보호법익에 따라 과잉금지원칙과 과소금지원칙으로 구체화된다. 국가에 대해서 소극적 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방어권의 경우에는 비례성원칙이 과잉금지원칙으로, 국가에 대해서 적극적 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급부권의 경우에는 비례성원칙이 과소금지원칙으로 구체화되는 것이다. 과잉금지원칙과 과소금지원칙은 공통적으로 비례성원칙을 구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비례성원칙의 네 가지 부분원칙은 과잉금지원칙으로 적용되는 경우든 과소금지원칙으로 적용되는 경우든 모두 적용되어야 한다. 다만 과잉금지원칙과 과소금지원칙에서 문제가 되는 보호법익과 제한의 양태가 다르기 때문에 비례성원칙에 포함된 네 가지 부분원칙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 KCI등재

        양심의 자유의 과잉금지원칙 적용여부

        李政桓(Lee, Jeong-Hwan) 중앙법학회 2016 中央法學 Vol.18 No.1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to claim ’a state actio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tatutory goal, and its most important function is to realize ’justice in individual legal cases’ via concretely discerning the correct balance between the restriction imposed by a corrective measure and the severity of the nature of the prohibited act. In this regard, the principle raises both questions: ’Whether or not ’all’ the basic human rights could be the subject of restriction in the sense of paragraph 2 of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al law?’ and ’Whether or not general legal reservations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ould be applied to basic human rights?’ Since the above article prescribes "it is possible to restrict basic human rights if necessary", the subjects of restriction seem to be only the rights of freedom of which restriction must be undergone three-step reviews, such as the scope of protection of basic human rights, the restriction of the scope of protection of basic human rights, and the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of restriction of basic human rights. Therefore, the paragraph 2 of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al law could be applied to the rights of freedom in principle. On the other hand,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the military service seems to be ’the freedom of omission-based realization of conscience.’ However, to guarantee the freedom of conscience does not mean to give individuals the right to the rejection of obedience to law and order on the grounds of conscience. According to this logic, to measure the freedom of conscience in comparison with public interests throug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relativize it in order to realize public interests are not compatible with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freedom of conscience. If the decision of conscience is narrowed to satisfy public interests in the course of comparatively measuring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or its contents are distorted or perverted, it is no longer ’conscience.’ When conscience and law & order are in collisio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due to its characteristic, must choose one of the two, namely fully accepting one and completely rejecting the other. And therefore the principle is not compatible with the value system of the constitutional law.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invent the method of review that allow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both laws in collision to be harmoniously realized on the premise that both of them are constitutionally protected. Since there are special issues in the comparative measurement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ould not be applied to the guarantee of the freedom of realization of conscience. Furthermore, the colliding legal benefit and protection agains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the military service have not only the simple meaning of public interest, namely national security, but also the characteristic of constitutional duty, namely people’s fulfillment of military duty. In this vein, if the freedom of conscientious action is restricted in order to simply maintain the public interest of national securit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must be applied to it in order to guarantee basic human rights maximally. However, if the freedom of conscientious action is restricted according to the need of people’s fulfillment of military service, it is the issue of collision between the constitutional right and the constitutional duty and therefore its criteria of judgment must be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freedom of conscientious action must be judged not b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prescribed in the paragraph 2 of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al law but by the comparative measurement of the constitutional right and the constitutional duty.

      • KCI등재

        중국 행정법상 比例의 原則 小考

        정이근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1 No.1

        In the Chinese law system, the peoples basic rights regard as of great importance, and in this situation, particularly in public law, the balancing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becomes one of most important problem. Through understand that how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understanding in China, we can partly comprehend the current level of public law in China In this article, we can simply examine the general theory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reasonableness in common law system. Furthermore, we can comprehend scholar's some insistences abou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ituation of legislative ground, case of judgement. And we will find the key points that an expansion turn abou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For the expansion or enlarg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Chinese public law, especially in the legislative stage, each specific legislation must adop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need to enlarge it, not just into the police administration or injurious acts, but into the service administration. And, finally, many cases experience of People's courts will take concre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China.

      • KCI등재

        중국 행정법상 比例의 原則 小考

        정이근(Jeong Yi-Keu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0 No.1

        중국의 법 영역에서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공법영역에서는 특히 공익과 사익의 형량 문제는 주된 화두가 되고 있다. 행정법의 일반 원칙인 비례의 원칙이 중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적용되는가를 이해함으로써 중국 행정법 영역의 발전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례의 원칙에 대한 일반론, 영미법계의 합리성 이론을 간략히 검토하고, 나아가 중국에서의 비례의 원칙에 대한 이론적 논의, 입법적 근거, 구체적 판결 사례 등을 검토하면서, 중국의 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는 비례의 원칙에 대한 정착 및 발전방향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있다. 중국에서 비례의 원칙이 공법영역에서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입법단계에서 비례의 원칙이 널리 반영되어야 하고, 입법적 반영도 전통적인 경찰행정 또는 침해행정에 그쳐서는 아니 되며, 급부행정 또는 공공서비스 영역까지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법원의 재판을 통하여 비례의 원칙에 대한 개념 확정의 노력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Chinese law system, the peoples basic rights regard as of great importance, and in this situation, particularly in public law, the balancing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becomes one of most important problem. Through understand that how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understanding in China, we can partly comprehend the current level of public law in China In this article, we can simply examine the general theory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reasonableness in common law system. Furthermore, we can comprehend scholar's some insistences abou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ituation of legislative ground, case of judgement. And we will find the key points that an expansion turn abou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For the expansion or enlarg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Chinese public law, especially in the legislative stage, each specific legislation must adop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need to enlarge it, not just into the police administration or injurious acts, but into the service administration. And, finally, many cases experience of People's courts will take concre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China.

      • KCI등재

        종류주식활용에 따른 주주평등원칙의 재조명

        박한성 ( Park Han-sung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3

        주주평등의 원칙이란 회사의 동일한 사정 하에 모든 주주를 동등하게 대우함과 동시에, 자의적인 차별행위를 하지 않을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상법상 명확히 명문의 근거가 없는 주주평등원칙이 상법(회사법)의 모든 영역에서 대원칙으로 전제하여 회사법의 모든 영역에 걸쳐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의문이 제기된다. 특히 문제되는 사안은 위 원칙아래 다양한 종류의 주식을 새롭게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2012년 개정상법(법률제10600호)에 다양한 종류주식을 도입 하였다. 주주평등의 원칙을 마치 강행규정처럼 취급하는 종래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종류주식은 위 원칙에 반하는 결론을 도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주식회사의 존재감은 매우 중요한 지위에 있고, 사회적 이익에 일조를 담당하고 있는 실정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주식회사에 있어서의 주주는 다양한 법률관계에 있어서 회사법 전체를 통해 관철되고 있는 중심축의 하나인 ‘주주평등의 원칙’이라고 본다. 우리상법상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일반규정은 존재하지 않지만,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개별규정들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주주평등의 원칙’을 우리 회사법상의 일반원리로 이해하는데 거의 이견은 없다고 본다. 또한 현재의 기업 분위기는 기업경영의 효율화, 기업가치의 향상을 위한 기업경영권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모든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특히 방어수단도입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업매수자에 대한 차별적 취급과 관련하여 ‘주주평등의 원칙’이 문제가 될 수 있고, 종류주식이 적대적 M&A 방어수단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종류주식과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해 검토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또한, 회사가 다양한 형태의 종류주식을 발행하는 경우 주주평등은 어떻게 구현되는지가 문제된다. 같은 종류의 주식 상호간에는 비례적 평등의 원칙이 적용되나, 서로 상이한 종류주식 상호간에는 비례적 평등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종류주식이 현행상법상 규정되었지만, 주식의 종류와 특수한 정함의 기준을 정해야 하고, 각각의 종류주식의 특성을 감안한 합리적인 고려가 있어야 한다. 즉, 주주평등원칙의 범주에 포함 할 것인가, 혹은 주주평등원칙의 예외로 판단할 것인지 문제가 된다. 결국, 우리 상법에 있어서 종류주식과 주식평등원칙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상황을 참고할 만하다. 주식평등원칙을 명문화하면서, 종류주식의 다양화를 실현하고 평등의 이해를 ‘주식의 내용에 따른 평등’과 ‘주식 수’에 따른 평등으로 분리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주식의 수용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종류주식을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 규정으로 하기 보다는 실질적 평등이 적용 될 수 있도록 주주평등의 원칙에 포함되어 평등하게 취급되어 할 것이다. ‘Principle of shareholder equality’ implies that the company treats all shareholders equally under the same circumstances without an arbitrary discrimination. However, a feasibility issue is raised about acceptance across all areas of corporation law by premising ‘the equal treatment’ as the highest principle though there is no the statutory form for the Commercial Code. Korea induced a variety of class shares accompanied by the amended commercial code (Act No.10600) in 2011. The conventional position which regard ‘Principle of shareholder equality’ as a mandatory provision might draw a conclusion that class share goes against the principle. Discussion upon the use of class shares as a defensive measures against hostile Mergers and Acquisitions(M&A) is dissimilar in the type of share. Treating the shareholders differently does not contradict ‘Principle of shareholder equality’ because it does not impose any burden except voting restriction on the hostile vendee. Other perspective also insists the principle is proper with the regard of less impact on the common shareholders. Although the type of share does not run counter to the principle, but there is still room for further review as the possibility of violation in treatment on the shareholders might exist in terms of concrete operations. Needless to say, even if the rationality is conceded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we need to be careful as impossible as the chance to make frame of the principle is excluded. Meanwhile, a stock company is undoubtedly in charge of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modern society. Shareholders of the corporation regard ‘Principle of shareholder equality’ as one of the central axis penetrated through the entire corporation law among various legal relations. According to our business law, this principle can be recognized as the general principle of company law as its individual regulations are remaining despite nonexistence of ordinary provisions, In addition, the current company atmosphere focuses on the activation and efficiency of the market for corporate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value. Review on the class share and the principle is necessary yet. The class share can be expected as the defense against hostile M&A and the discriminatory treatment to the corporate buyers may occur as a problem. With the need to reconsider the principle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class share, this study will suggest the appropriate standards and legal policy directions when it comes to applying the principle to the further financial structure in Korean companies.

      • KCI등재

        급부권과 비례원칙 -‘자유의 원칙’에 대한 검증을 겸하여-

        정해성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一鑑法學 Vol.- No.54

        Roughly speaking, the research task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broad sense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entitlement in the form of “too few benefits, more benefits” is an issue. To this end, the partial principles that constitu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broad sense are analyzed and reviewed one by one, and wha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here was the nature of the legislative purpose. This is because if it is not confirmed what the “purpose” is, the principle of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but also other partial principles, cannot be applied. In this regard, I emphasize that the “purpose” in itself in the principle of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appears as a ‘public interest’ in the sense of the reason to limit fundamental rights and then functions as ‘grounds’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restrictions on fundamental rights are justifi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narrow sense. Accordingly, I point out that if the purpose can be inferred from the law, which is the means, it is sufficient to be a ‘legislative purpose’. Furthermore, this fact also allowed us to solve the certain problem that we face in applying the principle of necessity. Because this fact clearly states that as long as the ‘legislative purpose’ can confront the guarantee of fundamental rights, it is sufficient to be a “legislative purpose” and as a result, we do not have to be bound by the ‘expressed’ purpose. Finally, as fo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I first emphasize that this principle is the axiom of justification but examine whether there is a legal possibility or factual possibility that it is challenging to apply this principle properly or strictly when the entitlement is an issue, unlike when the defensive right is an issue. As a result, I conclude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can be applied without any problem, even when the entitlement is an issue, pointing out that democracy unlik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cannot be a legal possibility of that kind and similarly it cannot be a factual possibility of that kind that the objects of the balancing are particularly complex and diverse when the entitlement is an issue. In particular, the following four grounds are presented for the latter, and the content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 the rights to liberty as a principle-norm are provisional in their legal effects, and therefore, the negative duties of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is rights do not have fixed forms too, like the positive duties. Second,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at the defensive right and the entitlement go in different directions, but there is no difference at all between them in that they direct a certain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nature of the balancing does not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state action required is positive or negative. Third, as long as the same law is an issu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of the balancing and as a result, the objects of the balancing do not become particularly complicated or diversified, even if positive action is required. Fourth, even here, justification is done by comparing the law at issue with the legislative alternative devised, especially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tself and in this respect, there are not particularly more legislative alternatives to consider, even if positive action is required. 이 글은 단순하게 말해, ‘이익이 너무 적어, 더 많이’ 형태의 급부권이 문제될 때도 과잉금지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과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과잉금지원칙을 구성하는 부분원칙들을 하나하나 분석하고 또 검토하는데, 여기서 논의의 출발점이 된 것은 ‘입법목적의 성격’이었다. “목적”이 무엇인지 확인되지 않는다면, ‘목적의 정당성 원칙’은 물론이거니와 그 외 다른 부분원칙들도 적용될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목적의 정당성 원칙’에서 말하는“목적”이 -이후 그 적용이 예정되어있는 ‘법익의 균형성 원칙’의 규범적 성격이나 체계 내 위상을 감안했을 때- 그 자체 ‘기본권을 제한하려는 이유’라는 의미에서 ‘공익’으로 등장하여, 이후 ‘법익의 균형성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기본권에 대한 제한이 정당하다”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기능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이에 따라 “목적”은 그 수단인 법률로부터 추론된 것이면, “입법목적”으로서 부족함이 없다고 지적한다. 나아가 이러한 사실은 또한 우리로 하여금 ‘피해의 최소성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작지 않은 문제점, 즉 “날씨야 네가 아무리 추워 봐라, 내가 옷 사 입나 술 사 먹지”와 같은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기도 했다. 왜냐하면 바로 이 사실은 ‘입법목적’이 기본권보장에 대립할 수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고, 그 결과 우리가 ‘표현된’ 목적에 구애 받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또한 분명하게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법익의 균형성 원칙’에 대해서는 우선 이 원칙이 ‘정당화의 공리’란 점을 강조하면서도, 혹여 급부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방어권이 문제될 때와는 달리, 균형성원칙을 제대로 혹은 엄밀하게 적용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어떤 법적·사실적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 결과 ‘권력분립의 원리’와는 달리, ‘민주주의’는 그러한 종류의 법적 가능성일 수 없고, 마찬가지로 요구되는 국가의 행위가 작위일 때는 유독 형량의 대상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진다는 점 역시 그러한 종류의 사실적 가능성일 수 없다고 하면서, 결국 급부권이 문제될 때도 법익의 균형성 원칙이 별 탈 없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 논거가 제시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칙(Prinzip) 규범으로서의 자유권은 그 효력이 잠정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그에 상응하는 국가의 부작위의무 역시 작위의무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형태를 가지는 게 아니다. 둘째,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나아갈 뿐, 일정한 방향을 지시한다는 점에서 방어권과 급부권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행위가 부작위인지 작위인지에 따라 형량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다. 셋째, 같은 법률을 문제 삼는 한, 형량의 대상들 사이에는 그 어떠한 차이도 없고, 그 결과 요구되는 국가의 행위가 작위라고 해서 형량의 대상이 유독 복잡해지거나 다양해지는 것도 아니다. 넷째, 여기서도 ‘정당화’(justification)는 문제된 법률과 헌법재판소가 스스로 고안한 특정한 대안을 견주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급부권이 문제되는 경우라고 해서 고려해야 할 입법대안들이 특별히 많아지는 것도 아니다.

      • KCI등재후보

        선거원칙에 대한 논의와 선거권과 관련한 헌법재판의 심사기준

        이부하(Lee, Boo-Ha)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論叢 Vol.31 No.-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는 기본권의 침해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심사기준으로서 비례의 원칙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선거권과 관련한 사건에서는 자주 제한되는 기본권을 혼동하거나 비례의 원칙으로 심사하기에 부적합한 사건을 비례의 원칙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있었다. 선거권과 관련된 사건에서 비례의 원칙을 심사기준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경우가 많으므로, 비례의 원칙에 의한 심사보다는 헌법상 선거원칙에 의한 심사가 바람직해 보인다. 선거권과 관련한 사건에서 비례의 원칙으로 심사하게 되면 침해의 최소성과 법익의 균형성 부분에서 논증하기 어려운 딜레마에 부딪히게 된다. 또한 실제 사건에서는 선거권의 제한 및 침해의 문제라기보다는 선거권의 박탈에 이르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헌법상 비례의 원칙으로 심사하기에 부적합하다. 보통선거원칙, 평등선거원칙, 직접선거원칙, 비밀선거원칙, 자유선거원칙이라는 중요한 선거원칙이 선거와 관련한 헌법재판에서 심사기준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Korean Constitutional Court has been used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s an important review criterion in determining whether the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However, there are few wrongs with respect to suffrage cases, they frequently confused with limited rights or judged inadequate cases 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ecaus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us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s screening criteria in cases related in the right to vote, the cases should be examined by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election. If cases of infringement in relation to voting rights are judged b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could encounter a dilemma that is difficult to be proved in parts of minimum infringement and a balance between legal interests. In addition, actually these are more of the case of disfranchisement than the case of the limitations and violations of the right to vote. Therefore, It is not suitable to determine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Detailed screening criterions and contents should need to be established for protecting important principles of the election; Principles of universal suffrage, equal electoral principle, the principle of direct elections, secret ballot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free e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