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통령 리더십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이진경,Jin Kyoung Lee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4

        본 논문은 국내․외 대통령리더십에 대한 연구논문을 고찰한 것으로 대통령 리더십의 연구흐름과 지난 10 년간 국내에서 연구되었던 22 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대통령리더십의 연구유형 , 연구형태 등을 분석하였다 . 분석결과 국내논문의 연구유형은 대통령의 개인적 리더십에 관련된 것이 5편 , 정책적 리더십에 관련된 것이 4편 , 행정적 리더십에 관련된 것이 4편 , 대중적 리더십에 관련된 것이 6편 , 입법적 리더십에 관련된 것이 3편으로 나타났다 .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국외논문 14편 중 13편이 개념연구였으며 1편이 실증연구였고 국내논문 22편 중 21편이 개념연구 , 1편이 실증연구였다 . 또한 국내논문 22편의 논문 중 20편이 서로 다른 학회지에 등재되어 있어 후속연구의 연계성과 전문성이 결여되었음을 나타냈다 . 대통령 리더십 연구에서 고려해야할 점은 1) 개인적 특성이 대통령 리더십에 유효한가 , 2) 대통령 리 더십스타일은 국정운영에 영향을 미치는가 , 3) 상황에 따라 리더십은 다른가 4) 대통 령리더십스타일에 따라 참모체계의 성격구조가 달라지는가 , 5) 대통령의 재임기간동 안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통령리더십 스타일이 달라지는가 등의 다섯 가지 질문을 선정하여 이에 따른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끝으로 국내연구논문의 한계점과 그에 따른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This thesis aims to study presidential leadership analyzing the flow of the presidential leadership and 22 Korean theses issued for the last ten years studying on type and form of presidential leadership―five theses about individual presidential leadership; four theses about political leadership, four theses about administrative leadership; six theses about popular leadership; and three theses about legislative leadership. 13 foreign theses performed study on the concept and only one foreign thesis focused on the empirical study. Also, 21 Korean theses performed study on the concept and one thesis focused on the empirical study. It would be difficult to follow up the study of presidential leadership since each of the 20 Korean theses was registered in different academic journals. When we study presidential leadership, we should consider these five questions― i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effective to presidential leadership?; do presidents’ leadership styles have effects on the government operation? ; can leadership styles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 can the type of the adviser system be different depending on presidential leadership styles? ; can presidential leadership types be different during the time of presidency? Finally, I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y showing the limit of Korean theses.

      • KCI등재

        대통령의 국정 운영 리더십 고찰

        김형준(金亨俊, KIM Hyung-Joo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4

        이명박 대통령은 집권 초기 국정운영 지지도가 급락하고 권위가 순식간에 흔들리면서 결과적으로 리더십의 위기에 직면했다. 본 연구 이명박 정부 집권 초기 국정운영 리더십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명박 정부의 향후 리더십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리더십 실패의 핵심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권초기 자신이 처한 통치 통치환경의 약점(weakness)과 위협(threat) 요인을 무시하고 무모한 정치 실험을 강행했다. 둘째, 대선과정에서 형성된 선거 연합을 집권초기부터 와해시키면서 자신의 지지 기반을 스스로 축소시켰다. 셋째, 국민들의 경제 살리기에 대한 기대 상승 (rising expectation)을 조속히 충족시키지 못했다. 넷째, 국정 운영 철학의 방향성이 결여돼 국민 에너지를 결집시키지 못했다. 다섯째, 국정 우선순위가 명확하지 않고 정책과 비전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함으로써 국민 체감의 리더십 을 구축하는 데 실패했다. 여섯째, 대통령과 일반 국민들의 인식이 불일치되었다. 일곱째, 집권초기부터 대통령의 권위가 너무 쉽게 무너졌다. 대통령의 자질에 대한 체감도 와 대통령 국정 운영 리더십 결정 계수를 두 축으로 정책 포트폴리오 분석을 한 결과, 향후 이명박 대통령이 효율적인 국정 운영 리더십을 펼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민성과 친근감을 강화시키는 일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 이 두 요인은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체감도는 낮지만 리더십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외에 장기적으로 리더십을 끌어 올리는 위해서는 반응성과 설득력을 제고시켜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esidential leadership by focusing on the leadership failure of early period of Lee Myung-bak government. More specifically, it examines main reasons for the failure and suggests the future tasks for overcoming the weakness of Lee's presidential leadership.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s follows: First, president Lee executed the risky political experiment, while ignoring governing environment of both the weakness and the threat. Second, He collapsed his political supporting base by eliminating electoral coalition at the early governing time. Third, he failed to satisfy rapidly rising expectation of people for economy recovery. Fourth, he could not assembly energy of people without having the philosophy and direction of national operation. Fifth, he failed to construct sensible leadership, while not clarifying immediate priority of national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policy and vision accurately. Sixth, there was a great discordance between president and people. Seventh, the presidential authority was broken down too much easily in the early peri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eadership portfolio, president Lee should increase both assimilation with the humble classes and the familiarness with the common people for the future efficient leadership. In addition, he should raise the responsiveness and persuasion to increase the presidential leadership in a long term perspective.

      • 연설문에 나타난 이명박 대통령과 George Bush 대통령의 리더십 비교연구 :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홍규덕,김현숙,이정선 숙명여자대학교숙명리더십개발원 2008 숙명리더십연구 Vol.8 No.-

        Many scholars argue that President Lee Myung-bak and President George Bush are the "CEO style leaders" with charismatic leadership.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two presidents' charismatic leadership factors from their public speeches. It is expected that they have charismatic leadership in their management of countries because of their experience as CEO in the 1980s when corporations pursued innovation and reform based on CEO's charismatic leadership. This study has three goals: first, it will try to find out the charismatic leadership factors of the two presidents from their speeches based on the charismatic leadership model established by R. J. House; second, it will intend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esidents in their charismatic leadership and policy implementation; finall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limits of the charismatic leadership and make some suggestions to compensate the limits. This study selects a total of eight public speeches, four from each president, and apply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t tries to see how the speeches match with the seven characteristics of House's charismatic leadership factors. The seven factors are confidence, positive image, vision for reform, persuasion power and risk management skill, role model, trust and expectation, and motivation. 학자들은 이명박 대통령과 George Bush 대통령을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CEO형 리더라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대통령의 리더십 스타일이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란 가정 하에, 그들의 연설문에서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요인들을 찾아내 보고자 한다. 1980년대 기업이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토대로 혁신과 개혁을 추구했고, 그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기업을 경영했던 두 대통령은 국가를 통솔하는 데에도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여러 형태로 배어 있으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연설문을 이용하여 두 대통령을 하우스(R. J. House)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에 맞추어 카리스마적 요소를 찾아내 보고, 둘째, 두 대통령은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개인적으로 어떻게 발휘하는지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며, 셋째,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가진 대통령의 한계점과 보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이 있는지 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CEO출신 대통령의 연설문을 각각 4개씩을 선택하였고, House의 이론을 토대로 7가지 카리스마적 행동특성을 연설문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House가 주장한 바에 의하면 ‘권력에 대한 강한 욕구가 있는 리더들은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능력이 탁월하다’고 한다.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통해서, 8개의 연설문 내용에서 House가 주장한 리더의 7가지 카리스마적 특성(자신감과 확신, 호의적 이미지 형성, 개혁을 위한 비전제시, 설득력과 위기대처능력, 역할모범제시, 구성원에 대한 신뢰와 기대, 동기유발)이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 검토해 본다.

      •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윤종성(Jong Sung Yoon),김영오(Young Oh Kim) 한국정부학회 2013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04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이 미국을 비롯한 유엔안보리의 제제에도 불구하고 인공위성을 가장한 미사일 ‘은하 3호’를 쏘아 올리는 등 한반도의 안보상황이 매우 어려운 시기에 대한민국 국정운영의 책임을 맡은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을 주제로 대통령 리더십에 관한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의 핵심사항을 기초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이론을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입,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변혁적 리더십 이론의 검증과 선정된 분석요소의 타당성을 규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정당화 과정의 일환으로 박정희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 여기서 활용한 변수 상황판단(Situational Judgement), 비전(Vision), 가치(Value), 전략(Strategy), 과제(Tasks)와 분석모형을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조직의 비전(Vision)을 공유하여 궁극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변혁적 리더십이론의 정당성에 대한 검증과 박근혜 대통령 개인의 삶과 진정성에 있어 탁월한 리더십을 갖추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 중, 비판적 요소로 제기된 불통과 상명하복의 수직적 리더십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통 및 공감, 수평 및 정확, 정신적 가치(Spiritual Value) 등을 제시함으로서 박근혜 대통령의 조직리더십의 목표인 국민행복이라는 비전(Vision)을 달성, 성공한 대통령이라는 평가를 남길 수 있는 원숙하고 세련된 박근혜식 뉴리더십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We researched the presidential leadership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leadership potential of the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who took up the reins of office in a difficult situation regarding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North Korea’s launching of the missile called “Eunha”, in feint of a satellite, in spite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verify the theor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fixed analysis by apply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tential core leadership of the president, Park Geun-Hye. We examined preceding 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former presidents like Park Chung-Hee and Kim Dae-Jung as a part of the process of justifying the research and obtained certain variables such as Situational Judgment, Vision, Value, Strategy, Tasks and Tools.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variables after applying them to the leadership potential of the president, Park Geun-Hye.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president, Park Geun-Hye to have superior leadership ability in terms of her personal authenticity, as well as justification for the theory of Transformation Leadership which can bring ultimate changes with a political organization’s vision. We particularly highlighted the potential maturity and sophistication of the president, Park Geun-Hye, which could keep her in office for a second successive five years if she makes progress in her ultimate purpose and vision of improving the nation’s happiness by means of proper communication, sympathy, even-handedness, accuracy, and spiritual value, in response to criticism of her communication and uneven leadership.

      • KCI등재

        노무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의 지도력과 국정운영 비교: 임기 초 지도력 특성과 국민지지

        이강로 ( Kang Ro Lee )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8 No.1

        한국에서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대통령의 지도력 행사에 제도만이 아니라 여론과 같은 외부적 요인을 통해 체계적으로 견제할 수 있어야 한다. 대통령의 지도력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대상은 다양하지만 대통령의 지도력은 주로 개인적 지도력이 행정적 지도력, 입법적 지도력을 통하여 행사된다는 점에서 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노무현·이명박 대통령의 지도력이 취임 초 1년여 기간 동안 행정부·청와대 인사, 대 국회관계에 어떻게 행사되었으며, 각 지도력 특성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두 대통령의 초기 지도력 행사는 국민의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 지지에 반영되었다. To consolidate democracy in South Korea, the president`s exercise of power should be systematically restrained by the institutional mechanism as well as public opini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leadership can be analyzed by various means; however, the analysis of presidential leadership must be focused both on the administrative and legislative leadership because a president usually exercises his/her power through these kinds of leadership.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s Roh`s and Lee`s leadership around the time of the first year in office by focusing on the appointments, policy decision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National Assembly. Their exercises of presidential power had been negatively reflected in public opinion.

      • KCI등재

        한국 대학 총장평가 현황분석 및 대학구성원 의견조사

        Elisa L. Park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대학의 경쟁력은 대학총장의 역할 수행능력 및 그의 지도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에 총장평가 시스템은 총장직(presidency)을 강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효율적인 행정전략 도구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최근 한국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총장평가시스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보다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총장평가 시스템을 개발ㆍ활용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 실시된 한국 대학의 총장평가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사례들은 평가실시 주체, 평가목적,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 활용 부분으로 나뉘어 분석되었으며, 이 과정을 통하여 한국 대학총장 평가 시스템의 현황 및 특징,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평가 사례들의 두드러진 공통적 특징 중의 하나가 교수협의회에 의한 단독 평가 주관 및 실시 그리고 이에 따른 추가적 문제점 발생이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을 구성하는 다양한 대학집단(대학이사회, 총장, 행정직원, 교수협의회, 교수)들의 총장평가 목적, 방법 및 결과활용 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기존 교수협의회에서 실시한 총장평가 방식은 다른 대학구성원들이 선호하는 평가방식과 확연히 다름을 알 수 있었으며, 의견조사 참여자들 간에도 직급별로 의견일치를 보이는 평가관련 이슈와 의견을 달리하는 이슈가 확연히 분리됨을 알 수 있었다. 의견 차이를 보이는 이슈들은 보통 각 집단의 이해관계와 관련이 있었으며, 한국 대학 총장평가 관련 가장 큰 이슈는 ‘교수’의 평가 참여여부 또는 참여 정도를 결정하는 일임을 알 수 있었다.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esident's performance ability and leadership. The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s utilized as an effective strategic tool to strengthen the presidency. This study is aimed to acquire the basic necess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two major researches. First, case studies of past Korean universities' presidential evaluations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issues of purpose of evaluation, methodology of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led to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s. Second, since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ast evaluations was the independent role of the faculty council in initiating and implementing the evaluations and the ensuing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opinions of various university constituencies (board of trustees, presidents, administrative staffs, faculty council members, faculty members) on the relevant issues of presidential evaluations. Through the analysis, it was realized that the methods of past presidential evaluations by faculty councils we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methods preferred by other constituent groups. There was a distinctive division of issues that showed agreement and discord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groups. The issues that showed discord of opinions were related to each group's interests and it was evident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in Korean university's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s the faculty's participation or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residential evaluations.

      • KCI등재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윤종성(Yoon, jong-sung),김영오(Kim, young-oh)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이 미국을 비롯한 유엔안보리의 제제에도 불구하고 인공위성을 가장한 미사일 ‘은하 3호’를 쏘아 올리는 등 한반도의 안보상황이 매우 어려운 시기에 대한민국 국정운영의 책임을 맡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리더십을 주제로 대통령 리더십에 관한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의 핵심사항을 기초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이론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리더십에 대입,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변혁적 리더십 이론의 검증과 선정된 분석요소의 타당성을 규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정당화 과정의 일환으로 박정희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 여기서 활용한 변수 상황판단(Situational Judgement), 비전(Vision), 가치(Value), 전략(Strategy), 과제(Tasks)와 분석모형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리더십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조직의 비전(Vision)을 공유하여 궁극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변혁적 리더십이론의 정당성에 대한 검증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개인의 삶과 진정성에 있어 탁월한 리더십을 갖추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리더십 중, 비판적 요소로 제기된 불통과 상명하복의 수직적 리더십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통 및 공감, 수평 및 정확, 정신적 가치(Spiritual Value)등을 제시함으로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조직리더십의 목표인 국민행복이라는 비전(Vision)을 달성, 성공한 대통령이라는 평가를 남길 수 있는 원숙하고 세련된 박근혜식 뉴리더십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We researched the presidential leadership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leadership potential of the Korean president-elect; Park Geun-Hye who took up the reins of office in a difficult situation regarding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North Korea’s launching of the missile “Eunha”, in feint of a satellite, inspite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verify the theor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fixed analysis by apply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tential core leadership of the president-elect, Park Geun Hye. We examined preceding 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former presidents like Park Chung-Hee and Kim Dae-Jung as a part of the process of justifying the research and obtained certain variables such as situational Judgment, Vision, Value, Strategy, Tasks and Tools.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variables after applying them to the leadership potential of the president-elect, Park Geun-Hye.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president-elect, Park Geun-Hye to have superior leadership ability in terms of her personal authenticity, as well as justification for the theory of Transformation Leadership Which can bring ultimate changes with a political organization’s vision. We particularly highlighted the potential maturity and sophistication of the president-elect, Park Geun-Hye, which could keep her in office for a second successive five years if she makes progress in her ultimate purpose and vision of improving the nation’s happiness by means of proper communication, sympathy, even-handedness, accuracy, and spiritual value, in response to criticism of her communication and uneven leadership.

      • KCI등재

        한국 대통령제에서 포퓰리스트 리더십과 정당법제의 상호형성

        윤정인 한국헌법학회 2023 憲法學硏究 Vol.29 No.1

        Although 3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emocratic transition, there are several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factors demonstrating that Korean democracy has not sufficiently matured or consolidated. Among others, it is noteworthy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problematic party politics and its formation process combined with the imperial presidential system. Against the background of premodern political culture endowing the president with a prerogative power, Korean political leaders tend to take authoritarian charismatic leadership as their political style, instead of rationally institutionalized leadership. The presidents and political leaders have shown authoritarian populist leadership during the authoritarian regime, and delegative populist leadership in the post-democratization era. They dominated state affairs and party politics, forming a monopolistic and factional party system.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blem of party politics featuring pre-modern party system and populist leadership clung to the old customs of personalized and factional politics in Korea, by emphasizing that both have been supported and strengthened through the party regulation since 1945. The finding is that in the Korean presidential system, party regulation and populist leadership have mutually influenced and are closely intertwined, resulting in malfunctioning party politics and democracy. 민주화 이후 35년이 흘렀지만, 한국의 민주주의가 아직 충분히 성숙하거나 공고화되지 못한 데에는 여러 제도적・비제도적 요인이 있을 것인데, 이 글에서는 특히 제왕적 대통령제와 결합한 파행적인 정당정치의 문제와 그 형성과정에 주목하였다. 대권(大權)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전근대적 정치문화 속에서 한국의 정치지도자들은 합리적으로 제도화된 리더십이 아니라, 개인의 권위주의적인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통치의 스타일로 삼았다. 독재시기에는 권위주의적 포퓰리스트 리더십으로, 민주화 이후 시대에는 위임민주주의적 포퓰리스트 리더십의 모습으로, 대통령이나 정치지도자들은 국정과 정당정치를 지배하며, 소수독점적이고 파벌적인 정당체제를 형성하였다. 이 글에서는 특히, 근대적 정당제도로 정착하지 못하고 여전히 사당화와 파벌정치의 구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 정당정치의 배경에 정당법제의 특수한 형성・발전과정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집권세력에 의해 형성된 초기 정당법제와 정당법은 권력독점적이고 폐쇄적인 정당체제를 제도화하였다. 이는 제왕화된 대통령권력과 소수 정치지도자들을 중심으로 한 포퓰리스트 리더십과 파벌적 정당정치를 고착시켰고, 그 제도적 기반이 된 정당법이 민주화 이후에도 존속・유지됨으로써 대통령권력을 중심으로 한 포퓰리스트 리더십과 파벌적인 정당체제가 유지・강화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

        1950년대 중반 한국 정치인들의 리더십 연구: 제3대 대통령 후보자 이승만, 신익희, 조봉암을 중심으로

        이택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7 No.1

        This study assesses the leadership styles of Rhee Syng-man, Shin Ik-hee, and Cho Bong-am, candidates of the third presidential elections of 1956. Rhee Syng-man possessed superb diplomatic leadership but refused compromise and neglected to advance democracy. After his diplomatic leadership started to waver due to his speech at the US Congress on July 28, 1954, citizens who were tired of his “transcendental reign” leadership looked to a new leader. Shin Ik-hee was a “practical responsibility” leader and administrative abilities as well as democratic leadership. Shin thus was able to gain 20.5 percent of votes despite his death during election campaign. Cho Bong-am had a history of communism but showed promise by being a “dialogue politics” and a “practical responsibility” leader; the Korean people therefore were able to select Cho as the second alternative.

      • KCI우수등재

        성과 정치 리더십에 대한 언론 프레임 연구

        연지영(Ji Young Youn),이건호(Gunho Lee)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1

        This study explores how Park Keun-hye and Moon Jae-in, who were the candidates for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were depicted in the news articles. Specifically, in terms of media frames in regards with gender and political leadership, the content of stories published in two newspapers including conservative Chosun Daily and progressive Hankyoreh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papers’ political orientations, both the papers highlighted the male leadership of Park, who are biologically female, and the female leadership of Moon, who are biologically male. Although some parts of the conservative Chosun Daily’s news presentation could be understood as it reported Park as a biological female, it did not break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Furthermore, in hard news section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etc. which were known as the area where the male politicians show strong leadership, Park was more strongly framed as a candidate armed with male leadership than Moon. The study results seemed to show that Koreans did not select the female leader filled with female leadership as their President but a politician filled with male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