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陰崖 李耔 「自敍」 硏究 -「自敍」의 장르적 특성과 文學觀의 경향을 중심으로-

        안득용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6 No.-

        This paper focuses on a study on Lee Ja(李耔)’s autobiographical preface. In order to examine his autobiographical preface from various angles, I placed his autobiographical preface in the context of the genre, autographical prefaces in the adjacent period, and contemporary literature theory. And then I studied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preface, characteristics as self narrative, and characteristics of view of literature that Lee Ja shows through his autobiographical preface. With a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an implicit attribute that distinguishes autographical preface from other genres is that it is a combination of preface and self narrative. In addition, the autographical preface genre can extend the story to most genres of self narrative through the commonality of describing the author’s life history. Since the autographical preface is composed of the first half of ‘the family line-lifetime description-general review’ and the second half of the preface, it is close to the inherent inclination of the genre. Second, rather than addressing his ideal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he wrote an autographical preface to reflect on the whole life and to describe the thoughts and emotions triggered by the main moments of life. This attitude made his autographical preface a narrated essay in chronological narrative, resignation and frustration, reflection and reflection. Third, Lee, Ja, who was a member of Gimyosarim(己卯士林) that emphasized the neo-confucianism and the view of literature, also resembles them. 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in the attitude of criticizing excessive rhetoric, focusing on harmony of content and form, and nature rightness, with the way of poetry and the direction of poetry that emphasize inner discipline. Thus, through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he created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himself and his readers, as well as the genealogy of autobiographical preface combined with self narrative and the preface, and he inherited and inherited the neo-confucian view of literature. This is the meaning found in autobiographical preface. 본고는 陰崖 李耔가 쓴 「自敍」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자서」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기 위해 자서 장르, 인접 시기의 자서들, 동시대 文學論의 맥락 속에 「자서」를 놓은 뒤, 「자서」의 장르적 성격, 自己敍事로서의 특성, 이자가 「자서」를 통해 보여주는 문학관의 경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자서 장르를 자기서사의 여타 하위 갈래와 구별시키는 內包的 속성은 序文과 자기서사가 결합된 형태라는 점이다. 또한 자서 장르는 저자 자신의 일생 事迹을 서술한다는 공유점을 통해 그 外延을 자기서사 대부분의 장르에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자의 「자서」는 世系-生平-總評으로 구성된 전반부와 서문의 성격을 띤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특성상 자서 장르의 고유한 성향에 가깝다. 둘째, 이자는 특정한 시점에서 자신의 이상을 말하기보다, 삶 전반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인생의 주요 계기에서 촉발된 사유와 감정을 서술하기 위해 「자서」를 썼다. 이와 같은 태도가 자기서사로서 「자서」를 年代記的 記述, 체념과 좌절, 반성과 성찰이 교직된 글로 만들었다. 셋째, 性理學의 의리와 수양을 중시하던 己卯士林의 일원이었던 이자는 문학관 역시 그들과 닮았다. 특히 내면의 수양을 중시하는 詩道와 詩敎를 강령으로 삼아, 내용과 형식의 조화 및 性情之正을 중시하고, 과도한 修辭를 비판하는 태도에서 부각되었다. 이로써 볼 때, 반성과 성찰을 통해 이자 자신은 물론, 독자에게도 자기를 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어주었고, 자기서사와 서문이 결합된 자서의 계보를 이었으며, 儒家的 文學觀을 계승해서 전수하는 역할을 했다는 점이 이자의 「자서」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이다.

      • KCI등재

        박지원 서(序)의 서두 글쓰기 전략

        박수밀 ( Su Mil Park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연암 박지원의 서(序)에 나타난 서두의 구성 방식을 밝혀 연암이 성취한 글쓰기의 한 양상을 살피고 오늘날 ‘머리말 쓰기’에 주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본 것이다. 논점을 예각화하기 위해 서문 가운데서도 서두의 구성 방식에 초점을 두었으며, 서문 전체의 구조를 고려하면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암의 서두 구성 양상을 다음과 같이 셋으로 나누었다. 첫째, 연암의 서문은 글의 주지를 서두에서 단도직입적으로 제시한다. 상식을 깨뜨리거나 기존의 통념과 배치되는 주장을 펼칠 때 첫 문장에서 자신의 중심 생각을 밝히고 있다. 서두의 뒷받침 글에는 서두의 주제를 잘 드러내주는 논거들로 구성했다. 그리하여 논의가 구체성을 획득하고 글 전체가 유기적인 짜임새를 갖게 되었다. 둘째, 서두에서 문제의식을 보여주며 시작하는 경우이다. 서두에서 질문을 던지거나 문제의식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현상이나 상식에 대해 반성을 요청하였다. 세번째는 논쟁으로 시작하는 경우이다. 서두에서 서로 대립되는 사안에 대해 논쟁하거나 시비를 거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를 위해 대화체나 우화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어떤 주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논쟁을 유도하면서 서두를 여는 형식은 연암이 가장 즐겨 사용한 방식이다. 이러한 글쓰기는 오늘날 논설문이나 논술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식이다. 연암의 산문이 특정 문집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제공하는데 있지 않고 논쟁을 촉발하거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독자의 반성을 유도하거나 새로운 깨달음을 주려는데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고전 작가들이 쓴 서라는 양식은 오늘날 ‘머리말’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이어져 오고 있다. 연암의 서문 쓰기는 오늘날 머리말 쓰기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므로, 머리말에 대해 더 전략적으로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Yeon-Am`s writing for today`s writing of the preface in the introduction, finding some aspects of his writing through finding out the way of writing the preface in his preface writing. It stresses the way of making structures in the preface in the introduction sentences to make a shorten the points, consider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It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aspects of making the preface. Firstly, in Yoen-Am`s introduction, he expresses the main point in the preface simply and directly. He stresses his own main philosophy in the first sentence in breaking the common sense and insisting the new thoughts to break the old ones. He makes arguments to reveal and support the main subject of the preface in the following sentences. In this way the arguments may have the concrete, clear topics and the whole sentences have the organic textures. Secondly, from the preface it begins with the sense of questions. In the preface it claims the reflection on the previous phenomenon and common sense, by casting the questions and showing the sense of questions. Thirdly, it begins with the controversy. He has strategy to make a claim or make a controversy on the different issues in the preface. He uses the dialogic style of writing or the allegorical way for it. To cause the questions in a certain subject and to begin with the controversy is the most frequent way of Yeon-Am`s writing. This kind of writing is well known in today`s essays and writings. The essays of Yoen-Am do not intend to give just information and knowledge, but cause the questions and controversy so that the readers may have the reflection and some acknowledge. The way of writing the preface by the classic writers has been continuously used in today`s ``introduction writing``. The writing of the preface by Yeon-Am can be fully used in today`s writing of introduction, so the strategic approach to the introduction writing is to be requested.

      • KCI등재

        「“단기고사” 중간서」의 저자 문제

        김주현 ( Ju Hyeon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 구- 경북어문학회) 2008 어문론총 Vol.48 No.-

        This study is formed as part of a study on the unearthing of Shin Chae-ho`s works and the establishment of his authentic text. I tried to make clear in this study who the real author of "Preface to Republication of Danggigosa"(檀奇古史重刊序) was. It was included in Danjae Shin Chae-ho`s complete works. So I made a scrutiny in its style, form, and etc. The preface was written in Andong China in 1912. At that time, Shin Chae-ho lived in Vladivostok of Russia and shouldn`t go Andong. And its style is different from his. Besides he had not mentioned Danggigosa(檀奇古史) in any his books. When Lee Hwa-sa edited Danggigosa in 1949, he involved the preface in it. In the preface, Danjae told that he wrote it upon his friend, Lee`s request when he went to Andong. Lee, editor of Danggigosa knew who the preface wrote. Firstly, 1 elucidated the preface should not be Danjae`s by revealing differences between his works and the preface. Secondly, I compared the preface with Lee``s book, for exemple Uiyoungshilgi(義勇實記) and Eonhaengnok(言行錄). Lee had probably met Danjae in 1914, owing to an affair of Gwangbokhoi(光復會). He read many Danjae`s works and accepted Danjae`s thought and style. Eventually he wrote the preface by taking a page from Danjae`s book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patriotism", "Gwangbokhoi``s announcement." Therefore, the preface is not Danjae`s but Lee`s. Now we regard this work as not belonging to Shin Chae-ho`s complete works. And we need to reexamine the complete works of Shin Chae-ho more accurately in the future.

      • KCI등재

        經典과 禪의 融合解釋學으로서의 『禪源諸詮集都序』

        이유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7

        The “Preface to the Collected Writings on the Source of Seon” written by Guifeng Zongmi of Tang Dynasty is an important document i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in East Asia. So far,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the book was written for matching up Seon with Kyo(teaching),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Kyo, Seon taught at various sect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and enhancing Hwa-eom teaching and Ha-taek Seon.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tention and overall composition of “the preface” deals with hermeneutics approach, i.e., the interpretation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Seon literature. “The preface” awakens the importance of Seon literature functioning as a means of sudden enlightenment to Seon disciplinants, and it recommends whole study of Seon documents to gain a right understanding on Seon and utilizing them to teach following disciplinants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m. For this purpose, “the preface” had to discuss the hermeneutics issues on how to get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Seon literature with mutual contradictions. “The Preface” demonstrates ten principles for interpreting Seon literature with contradictions based on Buddhist scriptures,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and validity of dividing those Seon documents into provisional principle and real principle, explicit meaning(nitārtha) and non- explicit meaning (neyārtha). “The Preface” shows its originality and Zongmi's sutra-based understanding principle by presenting wisdom (Hyeon-Ryang) and dharma (Seong-Eon-Ryang) as equal and mutually cyclic, while applying the other 3 out of 4 principles of sutra interpretation as before, i.e., depending on dharma rather than person, meaning rather than text, explicit meaning rather than non-explicit meaning. The hermeneutical method of “the preface” are demonstrated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Seon literature into 3 Seon teachings,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m with 3 Kyo teach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3 Seon teachings literature as gradual discipline systems. This paper might expand the horizon of the doctrinal understanding of Seon literature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interactive discourse between the scriptures and enlightenment by approaching the contents and system of “the preface” from the hermeneutical aspect. 唐 圭峰宗密 『禪源諸詮集都序』는 동아시아 선불교 역사에서 중요한 문헌이다. 그간 『都序』의 저술 의도는 일반적으로 교선일치, 교선회통, 종파간 회통, 돈오점수, 화엄종과 하택선의 선양 등을 위한 저술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엄밀하게 분석하면 『都序』의 의도나 전체적 글 구성은 선 문헌[禪詮]의 해석원리와 방법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都序』는 선수행자들에게 돈오의 수단으로 기능하는 선전(禪詮)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선전을 두루 열람케 함으로써 선에 대한 바른 이해[圓見]를 증득하고, 후학을 지도하는 선교방편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이를 위해 『都序』는 선 문헌의 모순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문제를 논의해야만 했다. 『都序』는 경전과 융합해 선의 모순성을 해석하는 열 가지 해석원칙과, 선 문헌을 권실(權實),요의불요의(了義不了義)로 구분해 해석하는 방법론과 타당성을 논증하고 있다. 『都序』에서 제시하는 선전에 대한 해석원칙은, 경론의 해석원칙인 사의법(四依法) 중, 사람보다는 법, 문자보다는 의미, 불요의 보다는 요의에 의지하는 원칙을 그대로 적용하면서도, 현량(現量[智慧])과 성언량(聖言量[法])을 동등하게 상호 순환적으로 제안한다는 점에서 『都序』의 독특한 원칙과 종밀의 경전중심 불교관을 잘 보여준다. 『都序』의 해석학적 방법은, 禪3종의 분류, 敎3종과의 대조(對照)·일치(一致), 선3종을 점차적 수행체계로 정립하는 논리로 전개된다. 본고는 『都序』의 내용과 체계를 해석학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선 문헌에 대한 교학적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경전과 깨달음 간의 상호 역동적인 담론의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 후기 문집 자서(自序)의 창작과 그 특징: 자기 서사로서의 면모와 관련하여

        정용건 ( Chung Yong-g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본고는 조선 후기에 두드러진 文集 自序의 창작에 주목하고, 그에 나타난 문인들의 자기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선 전기까지 空疎했던 문집 자서는 `自編 文集의 증가`라는 외적 동기, `자기표현 욕구와 정형으로부터의 탈피`라는 내적 동기의 결합으로 인하여 17세기 이후 꾸준히 창작되었다. 자서는 보통 문장 이력, 문집 편찬 경위, 체제 및 구성, 감회 등의 형식적 요소를 기반으로 지어지되, 작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부분이 강조되거나 생략되는 등의 유연한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탄력적으로 운용되는 이러한 `느슨한 틀`이 있었기 때문에 문인들은 자서 속에서 자기 모습을 원하는 방식으로 조형해 낼 수 있었다. 한편, 내용의 측면에서는 문집 자편 행위를 우호적으로 보지 않던 당대의 시선을 의식하여 `겸양과 변명`의 언사가 투식처럼 등장하였다. 유연한 형식적 틀을 통해 자유로운 표현 기반을 확보하였지만, 실제 서술에 있어서는 자기를 드러내는 데에 매우 소극적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일부 문인들은 자서 내에서 문장가로서의 지향과 자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었다. 지난날의 자신을 반성하며 문장에 더욱 정진하겠다는 자기 갱신의 의지를 피력하기도 하고, 자신의 문집과 문장의 수준을 의도적으로 과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감춤의 미덕`이라는 암묵적 규약에서 벗어나 문집을 자편한 작자의 실제 의식에 한층 다가설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기 글쓰기로서의 자서의 성격을 한층 부각시켜 준다. 문집 자서에는 `문인으로서의 자신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후인에게 자신의 시문을 어떠한 말로 소개할 것인가`와 같은 자기인식에 관한 유의미한 고민들이 녹아 있다. 물론 `道`와 `文`, `겸손의 의무`와 `자부의 욕구` 사이에 형성된 팽팽한 긴장 관계 속에서, 이는 작자에 따라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자신과 그 시문을 후세에 뚜렷하고 유의미한 모습으로 남기고 싶었던 마음만큼은 모든 자서를 관류하는 공통된 의식이었다. 바로 이러한 자기 문장에 대한 애호의 감정과 이를 표출하기 위해 동원된 다양한 서술 전략들이 존재함으로 인해, 문집 자서는 조선 후기에 뚜렷한 흐름을 형성했던 `자기 서사`의 한 갈래로서 자리할 수 있다.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creation tendency of the author`s preface on collection of wor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researched patterns of self-expression in the prefaces. In comparison with rare creation of the author`s pref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steadily created in the late period because of a combination with external motive like increase of self-collection of works(自編文集) and inner motive like aspiration about self-expression and escape from a fixed type. An author`s preface was fundamentally created by several formal factors such as a background as a writer, a process about the compilation of works, a format of the collection and his thoughts and feelings. But it was also formed variously depending on writer`s purpose, so this `loose format` made unconstrained expression possible for authors. In terms of description and narration, the author`s preface conventionally use expression of `modesty and excuse` because of an unfriendly atmosphere about the self-collection of works. But despite of such tacit restriction, there were many writers that want to express their awareness and pride as a writer. So they show not only their will about self-renewal but also self-esteem about their talent and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eface. It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reflects the strong aspiration about self-ex pression of writers. On this wise, there were meaningful thoughts such as how to present his own ability and achievement as writer in the author`s preface. It is true that an author`s preface filled with timid self-expression because of a tightly strained relation between `ethics(道)` and `literature(文)` or `obligation of humble` and `desire of self-confidence`, but lots of writers presented their earnest wish for imperishability of their works through it. These aspects makes the author`s preface situate a part of `self-narrative(自己敍事)` in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15세기 관각문학 글쓰기의 집단지성적 면모 -1488년 「황화집서(皇華集序)」를 중심으로-

        구슬아(Koo, Seul-Ah)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4

        이 연구는 15세기 조선 관각문학 글쓰기의 집단지성적 면모를 확인하기 위해 어세겸과 김종직이 찬술한 1488년본 「황화집서」를 집중 분석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황화집󰡕에 수록된 어세겸의 서문이 󰡔함종세고󰡕에 수록된 서문과 큰 차이를 보임을 밝히고, 초고와 윤색고 간 글쓰기 방식의 차이를 통해 윤색의 주체를 추정하였다. 또한 서거정 계열 관각문인들과 김종직 이후의 관각문인 간 문명의식 표현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역시 살펴보았다. 1488년 「황화집서」는 동월(董越)과 왕창(王敞)이 조선에 사신을 왔을 때 만든 󰡔황화집󰡕에 붙인 것이다. 당시 두 사신은 후중한 학식과 예법을 겸비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나, 조칙례(詔勅禮)를 둘러싸고 조선의 문화적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언행으로 인해 성종과 신료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였다. 이에 「황화집서」를 통해 조선의 문명의식을 제대로 피력할 필요가 있었다. 이 서문은 유력 문인들에게 두루 작품을 받아 그 가운데 최선의 것을 취사․간택(取捨揀擇)하는 방식으로 지어졌는데 최종 간택된 것이 바로 어세겸의 작품이었다. 본고에서는 대제학 서거정의 문명의식을 비교 준거로 삼아 어세겸의 초고와 윤색고를 대조하였다. 그 결과, 어세겸은 초고에서 화이질서에 지나치게 순응하는 사대적 표현을 다용하는 가운데 조선의 문화적 역량을 과도하게 비하하는 면모를 보였다. 서거정 등이 검열한 것으로 추측되는 윤색고에서는 해당 표현이 전면 삭제되는 한편, 「황화집서」 창작의 전통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김종직은 조선의 문화적 자부심을 한껏 강조하였으나 최종 채택되지는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15세기 외교 및 문명의식의 향방을 둘러싸고 관각문인 내부의 치열한 토론과 고민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d the Preface to Hwangjip(皇華集序), which was created in 1488 by Eo Se-gyeom(魚世謙) and Kim Jong-jik(金宗直), in order to confirm the asp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15th Century Gwan-gak Literature. In this process, it was revealed for the first time that Eo Se-gyeom s prefa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and expression from the works contain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Also,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writing method between the first draft and the revised manuscript, it was estimated who the subject of embellishment was. This preface was written to Dong Wol(董越) and Wang Chang(王敞) when they came to Joseon as envoys. At that time, the two envoys were evaluated as having both profound knowledge and etiquette, but their words and actions that harmed the cultural pride of Joseon around the ordinances(詔勅禮) made the minds of King Seongjong and his ministers uncomfortable.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Joseon to properly express the sense of civilization of Joseon through this preface. This preface was written in such a way that the most outstanding work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outstanding writers. The final preface was written by Eo Se-gyeom. In this paper, Seo Geo-jeong 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was used as a reference for comparison, and the revised final manuscript was compared with Eo Se-gyeom s draft. As a result, Eo Se-gyeom showed an aspect of excessively demeaning the cultural capabilities of Joseon while using many toadyish expressions that conform to the Hwa-i(華夷) order in the first draft. In the revised manuscript,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censored by Seo Geo-jeong, such expressions are completely deleted, while the creative tradition of the Preface to Hwanghwajip is more actively utilized. On the other hand, Kim Jong-jik emphasized the cultural pride of Joseon to the utmost, but it was not finally adopted.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were fierce discussions and concerns within the Gwan-gak literature over the direction of diplomacy and civilization consciousness in 15th century.

      • KCI등재후보

        16세기 수학과 회화 사이: 존 디의 ‘수학 서문’(1570) 속 수학의 유용성과 학문적 지위

        조수남 한국바로크학회 2022 바로크연구 Vol.5 No.-

        The mathematician John Dee, who wrote the Mathematical Preface (1570) to the first English translation of Euclid’s Elements, gained fame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various fields of mathematics in the 16th century. In particular, the large table (Groundplat) he inserted in the preface attracted great attention by providing an overview of the fields that could be called mathematical at the time. Scholars who studied Dee’s Mathematical Preface have shown that Dee introduced vast fields of arts such as alchemy and astrology as mathematical applications, emphasizing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and could defend himself against criticism that he was a magician. However, given the status of universities at the time and the strict academic hierarchy, the strategy emphasizing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by presenting various arts as mathematical applications could be an obstacle to revealing the essential value of mathematics and solidifying the academic status of mathematics. This paper compares the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books on painting published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the way to introduce painting techniques such as the arts of Perspective and Zography in Dee’s mathematical preface. The study purports to reveal what strategies Dee had taken to emphasize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without compromising its essential value. It is to be hoped that this paper will provide a meaningful perspective to understand what position mathematics and painting had in the academic hierarchy of the time and how they were changing.

      • KCI등재

        乾隆帝의 滿文大藏經 序文에 관한 연구

        박서연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reface to the Manchu Buddhist Canonü to determin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sutra was written.üThis paper has two major goals. The first is to establish the reason the Manchu Buddhist Canonü was compiled.üThe second goal is to determine theü Qianlong emperor’s view on Buddhism. The Manchu Buddhist Canon was compiled in the Qing Dynasty in 1790. It was composed of sūtras and vinayas. Compilers of the Manchu Buddhist Canon consulted the Chinese, Tibetan and Mongolian tripitakas. It was compiled in compliance to an order the Qianlong emperor issued in 1773. It was a huge project. The superintendent-general at that time was Changja Qutuɼtu. Compiling the Manchu version of the Buddhist Canon lasted from 1773 to 1790. The Qianlong emperor then wrote the preface to it on February 1, 1790. The subject matter of this paper is based on his preface. The preface was written in four languages: Manchu, Chinese, Mongolian and Tibetan. Their content is almost identical, but they differ in length due to linguistic characteristics. I think the Qianlong emperor was quite familiar with Buddhism and knew how to govern and rule such a large country whose population was comprised of four different races. By the late 18th century, many Manchu people rarely spoke their own language, preferring Mandarin Chinese. I believe he had the sutra translated into Manchu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identity of the Manchu people. 본 논문은 만문대장경의 서문을 통해 만문대장경의 편찬 경위와 목적 및乾隆帝의 불교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만문대장경의 서문은 건륭제가 1790 년(건륭55)에 지은 것으로, 滿文 외에 漢文, 藏文, 蒙文으로도 작성되었다. 만문대장경은 1773년 건륭제의 上諭에서 그 편찬이 지시된 이후 1790년에 이르러 완성되었으며, 1794년에 각인되었다. 4종 언어의 각 서문은 전체적인 내용은 대체로 동일하지만 약간의 차이도보이는데, 만문 서문에 있는 내용이 한문 서문에는 빠져 있거나, 만문 서문의내용이 티벳어 서문에는 좀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기도 하다. 만문대장경 서문의 저자에 대해서는, 4종 언어의 서문 표지에서 모두 건륭제가 이 서문을지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만문 서문의 표지를 통해 만문대장경의 정식 명칭이 ‘manju hergen i ubaliyambuha amba g‘anjur nomun’(만주어로 번역된 큰 간주르 경)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서문의 말미에는 1790년 2월 초하루에 만문대장경의 서문을 작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만문대장경 서문에 의하면, 건륭제는 불교의 가르침을 잘 이해하고 있었던것으로 보인다. 그는 第一義諦가 불교의 근본되는 진리이지만 일반 범부들은제일의제로 깨우치기 어렵기 때문에 우선 그들에게 익숙한 禍福의 설을 방편으로 삼아 이끌어서 점차 깊은 경지로 인도한다고 말하였다. 이러한 그의 불교관은 제국 통치의 방법론에도 적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가 한족이나몽골족 각각에 대해 취한 정책들은 이러한 방편도를 적절히 활용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건륭제는 만주어의 사용이 쇠퇴하고 만주족의 정체성이 희박해져가는 시대상황에서, 만주어로 번역된 대장경을 통해 만주족의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第六才子書西廂記≫ 所載金聖歎의 서문 譯註

        尹智楊 ( Yoon Jiyang ) 중국어문연구회 2024 中國語文論叢 Vol.- No.118

        This is the first complete Korean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e Sixth Book of Genius: The Western Wing’s第六才子書西廂記two prefaces written by the critic評點家Jin Shengtan金聖歎(1608~1661) who lived in the Ming and Qing era. Xixiangji西廂記is the Yuan drama元雜劇which was written by Wang Shifu 王實甫based on the love story of Zhang Sheng張生and Ying Ying鶯鶯in Tang Chuanq唐傳奇The story of Yingying鶯鶯傳. The Sixth Book of Genius: The Western Wing was published in 1656 with prefaces and commentaries評點by Jin Shengtan. The two prefaces, “The first preface: Weeping for the Ancients序一曰慟哭古人” and “The second preface: Dedicated to People in Future序二曰留贈 後人”, are famous texts that reveal Jin Shengtan’s life view and literary views, as well as his unique literary style. His innovative and original style of reviewing was already highly regarded in the Qing Dynasty, and The Sixth Book of Genius: The Western Wing, along with The Fifth Book of Genius: Water Margin Saga第五才子書水滸傳, attracted many readers in that time. Jin Shengtan also was an important figure who greatly influenced many famous novel critics in the Qing Dynasty.

      • KCI등재

        「莊子序」 眞僞 問題와 郭象의 『莊子』 編輯에 관한 고찰

        오일훈(Oh, Ilho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8 道敎文化硏究 Vol.49 No.-

        본 논문은 1978년 발표된 王利器의 논문에 의해 촉발된 「莊子序」 眞僞 問題의 논점과 한계 그리고 그 동안의 논의에 대해 살펴보고, 郭象의 원본 「장자서」로 지목된 高山寺 『莊子』 곽상 「後語」에 나타는 곽상의 『장자』 편집의 경위와 그 의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왕리기에 의해 제기된 통행본 「장자서」 僞作說은 역사적인 증거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나, 「장자서」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왕리기의 논문 이후 「장자서」 진위문제에 대한 논의는 주로 「장자서」와 『장자주』 사이의 사상적 同異에 주목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자들 간의 분명한 견해차가 상존해 있는 상황이다. 일본의 중국학자 古勝隆一은 기존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魏晉時期의 注釋史的 傳統속에서 주석서 서문의 형식적인 측면에 주목하였으며, 곽상 「후어」에 보이는 위진 시기 주석서의 특징을 통해 진본 「장자서」임을 주장하고 있다. 아직까지 통행본 「장자서」 진위 문제와 곽상 「후어」의 성격과 지위에 대한 학자들 간의 일치된 견해는 없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곽상의 『장자주』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곽상 「후어」의 학술적 가치는 곽상의 『장자』 편집의 기준과 경위 그리고 그 의도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곽상은 고본 『장자』의 오염을 지적하고 『장자』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편집하였다. 곽상의 『장자』 편집은 『장자』를 복원하는 데 있지 않았다. 곽상은 장자 ‘妄竄奇說’에 의해 왜곡되었다고 주장하였는데, 그가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비판의 대상을 『장자주』를 통해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것은 莊子의 生死觀을 ‘樂死惡生’의 說로 이해하는 從來의 說, 隱者를 높이는 사회풍조 그리고 莊子를 ‘辯者之類’로 이해하는 경향이다. 물론 이러한 비판에는 『장자』를 ‘經國體致’의 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곽상의 의도가 담겨 있으며, 당시의 사회적·정치적 모순에 대한 비판과 지배층에 대한 自省의 경고가 담겨져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troversy on the authenticity of Guo Xiang’s Zhuangzi Preface which was triggered by Wang Liqi in 1978, and analyze the details of revision and intention in Guo Xiang’s Postface to Zhuangzi manuscript at the Kōzanji in Kyoto, Japan which is regarded as the original Preface by Wang Liqi and Kogachi Ryuichi. The controversy on the authenticity of Guo Xiang’s Zhuangzi Preface is based on Song huiyao jigao 宋會要輯稿 edited by Xu Song 徐松 which records the episode of deleting Guo Xiang’s Zhuangzi Preface. However, historical records can not offer any decided evidence. Scholars tend to focu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ought between Guo Xiang’ Zhuangzi Preface and his commentary to Zhuangzi to prove the authenticity Guo Xiang’s Postface to Zhuangzi manuscript at the Kōzanji is worth researching by that we can investigate the account and intention of Guo Xaing’s Zhuangzi revision. Guo Xiang revised Zhuangzi intentionally and deleted some chapters and passages which were similar to Shan Hai Jing 山海經, Huai Nan Zi 淮南子, and Zhan Meng Shu 占夢書, and related with Form and Name(形名). By revising and annotating Zhuangzi Guo Xiang intended not to explain Zhuangzi literally but to code his political stance and critical thinking on society and the ruling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