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평에 대한 김현의 메타적 인식 : ‘신비평 논쟁’의 수용과 영향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본고는 196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대두된 ‘신비평 논쟁’이 김현의 비평 의식에 미친 영향관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김현은 이 논쟁과 관련된 글을 편역하여 간행(『현대비평의 혁명』, 1979)할 만큼 논쟁 과정 및 핵심 내용에 관심이 많았고, 여러 평문에서 이에 대해 직접 논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신비평 논쟁의 주요 쟁점을 수용 · 검토하면서 ‘비평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김현의 메타적 인식이 어떻게 그 내적 논리를 획득하게 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비평의 객관성과 주관성, 문학연구의 새로운 방향 전환,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문학작품의 구조적 이해, 작품 평가의 기준과 비평가의 역할 등 신 비평 논쟁의 핵심 주제는 비평에 대한 김현의 메타 인식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문학이해에 필수적인 이 주제들은 그의 상대주의적 인식론에 의해 재검토되는 숙고의 과정을 거쳐 비평을 위한 이론으로 체계화되었다. 이를 통해 그의 실제비평은 고유한 논리적 체계를 갖춘 담론의 수행과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었다. 신비평 논쟁의 이론적 전유는 그에게 절대적 객관성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절대적 객관성의 명제화야말로 진리 추구의 과정을 강제하는 오류임을 각인시켰고, 비평적 글쓰기는 과학적 실증의 영역이 아니라 타자의 담론을 자신에게 주어진 기호체계의 규약에 따라 재구성하는 담론의 담론임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비평의 객관성은 내적 조리 정연함에 의해 유도되는 논리적 타당성이자 주관성의 영역 속에서 그것을 극복해내는 이론적 엄격성을 재구하는 작업을 뜻하며, 비평의 주관성은 내재적 분석의 엄밀한 방법화 및 그러한 방법의 일관된 적용을 통해 객관적인 것으로 기술 · 현상될 수 있음을 자각하게 된 전환점이 되었다. 바슐라르, 바르트, 제네바 학파 등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수용은 그가 자신의 비평적 자의식을 갱신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제공한 자극의 원천이었고, 비평가로서의 그의 자기 갱신은 비평의 역사와 당대 비평의 경향을 안팎으로 살피는 이중의 작업 속에서 시대적으로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문학 이론의 수입을 적극 도모하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작품의 구조와 형태를 규명하는 내재적 분석을 실제비평의 방법론으로 삼아 이를 문학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교정하고 동시대 한국 비평문학의 한계를 타개할 방책으로 실행해 보인 그의 노력은 자신의 비평이 텍스트 내부에 한정되기를 거부하고 그가 살아가는 시대와 사회현실에 유의미한 발언이 되길 바란 내적 고투의 과정이었다. 비평이 진정한 비평이 되기를 원한다면 이데올로기 비평이 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은 김현에게 일종의 정답과 같은 것이었다. 기만적 허위로 가장된 지배 이데올로기의 탈신화화야말로 “이론적 실천”으로서의 비평이 가닿고자 한 궁극적 목적지였다는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Debate of New Criticism’ in France in the mid-1960s on Kim Hyun’s critics. He was interested in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is debate, and wrote several articles explaining it. The Revolution of Modern Criticism (1979) translated by him is a book about this debate. The main theme of the ‘New Criticism debate’ wer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of criticism, new directions in literary research,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work, structural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nd the role of critics. These key them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im Hyun’s meta awareness of literature criticism. Essential to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ese subjects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his relativistic epistemology, and through this deliberation he organized his critical theory. By looking at the ‘Debate of New Criticism’, he realized that absolute objectivity does not exist, and that literary criticism is not a product of scientific proof, but a reconstruction of the discourse of the other person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symbol system given to him. Kim Hyun’s interest in and acceptance of theories of Bachelard, Barthes, and Geneva School was to provide himself with the impetus to renew his criticism. And he continued his efforts to look inside and outside at the trends of literary criticism of the time, agonizing over his role as a critic. He used an intrinsic analysis that reveale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work as his methodology of criticism. Through this methodology, he tried to correct people’s mis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at the time. This efforts illustrate his hope that his criticism would become a meaningful statement in his own society and times. He thought true criticism was bound to be ideological criticism. Criticizing a deceptive dominant ideology is a good indication that criticism as a “theoretical practice” was the ultimate goal to reach.

      • KCI등재

        “意图同实践总有距离” - 关于《子夜》批评问题的若干探析

        최영호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6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41

        Critical balance is an expression used to explain the judgment or evaluation of a critic. However, this can be also used when the attitude of a critic toward objects is assessed. When we want to use this expression relating to a critical attitude of MaoDun, what we want this to mean is the critical balance between creation and criticism or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f it is put this way, some people would think that this expression has an intention to imply that the critical attitude of MaoDun is somewhat moderate and relaxed. However, we don't say the balance to obliquely refer that his criticism is moderate and relaxed. Rather, we want to emphasize his active attitud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creation and criticism or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seek a harmonized and balanced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the left-wing literary circle where the rift between those creation and criticism was deepening. In the end, no critic could approach criticism and critical mind for it more actively from a position of a writer than MaoDun among Chinese contemporary writers. This is, of course, greatly based on his unique literary career where he made debut as a novelist in the midst of actively working as a literary critic and then returned to the literary critic. Among his literary career, the 1930's, when his creation and criticism were concurrently carried out, can be said as a kind of exploration period for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two.

      • KCI등재

        비평에 대한 경험적 이해

        김혜련(Kim Hye rye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표는 비평의 교육적 성격을 정립하는 데 있다. 이 목표는 그동안 학교에서 실행해 온 비평 교육이 학습자의 비평 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비평 교육의 성격과 내용이 체계적이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그간 비평은 개념과 역할, 범주와 관점 등에서 다양한 진폭을 형성하며 발전해 왔으며 그에 따라 비평 교육 역시 교과별, 영역별로 세분화되며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문학 비평, 미술 비평, 영화 비평, 문화 비평, 음식 비평 등에서 강단 비평, 주례사비평, 권력 비평, 관객 비평 등 비평에 대한 수사적 호명은 세포 분열을 거듭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비평의 교육적 성격과 정당성은 더욱 모호해지고 있다. 따라서 비평을 교육적으로 기획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기한 양상으로 실행되고 있는 비평 현상을 포괄할 수 있는 담론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비평의 교육적 성격을 미적 경험의 관점에서 모색하고, 미적 경험으로서 비평의 성격을 관계적 비평, 지속적 비평, 성장적 비평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criticism. The goal is not only critical to training on running in the meantime, the school could not have contributed to the improved ability of the learner did not review the nature and content of education systematically review the problem stems from consciousness. Whilst criticism and broken down by concepts and roles, criticism and education category also subject, the area forms a variable amplitude, etc. point of view and accordingly has been developed and expanded variety. Literary criticism, rhetorical roll call for art criticism, film criticism, cultural criticism, etc. pulpit, food critic, criticism of power, and the audience criticism, including criticism is the poor who repeated cell division. And educational nature and legitimacy of the criticism in this process is becoming more ambiguous. Therefore, above all, it needs to cover the critical discourse phenomenon that is running in a teapot aspects in order to review the educational planning and design. The study was approached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exploring the educational nature of criticism in terms of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as a critic criticism, critics continuously growing criticism.

      • KCI등재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유태명,이수희 대한가정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5 No.1

        This study critically appraised the accumulated articles based on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n Korea’shome economics education. The 55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1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reecategories: Critical science paradigm,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and systems of action. The commonresult across categories was that some autho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practice, a practicalproblem-focused curriculum,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systems of action. A positive outcome ofincluding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ll be seen when systems supportingthis perspective, such as those providing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herelevant textbook accreditation standards, are available. We present a proposal based on considerations of anationa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leva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practice.

      •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 Taem Yung Yoo ),( Soo Hee Lee ) 대한가정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5 No.1

        This study critically appraised the accumulated articles based on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n Korea’s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55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1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ree categories: Critical science paradigm,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and systems of action. The common result across categories was that some autho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practice, a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systems of action. A positive outcome of including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ll be seen when systems supporting this perspective, such as those providing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he relevant textbook accreditation standards, are available. We present a proposal based on considerations of a nationa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leva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practice.

      •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Yoo, Taemyung,Lee, Soo He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5 No.1

        This study critically appraised the accumulated articles based on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n Korea's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55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1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ree categories: Critical science paradigm,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and systems of action. The common result across categories was that some autho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practice, a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systems of action. A positive outcome of including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ll be seen when systems supporting this perspective, such as those providing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he relevant textbook accreditation standards, are available. We present a proposal based on considerations of a nationa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leva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practice.

      • KCI등재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을 위한 이론과 실천의 만남

        이연주,이희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4

        Individuals in a modern society are required to equipe themselves with a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s critical reflection helps them overcome the old way of thinking, knowledge and approach to the problems from new perspectives. Critical reflection, which can enhanc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individual lives, is one of major goals in adult and higher education. Also, improvement of critical reflection is considered as both the final goal of learning and important function of facilitators. However, facilitators' critical reflection, which can be decisive on the outcome of learning, has not been given enough academic consideration. Thus,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importance of facilitators' critical reflection,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theories of critical reflection, and to present practical methods to encourage facilitators of the field to reflect critically. The previous literature has shown that critical reflection of facilitation can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acilitators' own critical reflection. This ambiguity of facilitation requires facilitators to critically reflect on two things: First, a facilitator should reflect critically, which is to objectify himself for the improvement of himself. Second, a facilitator should encourage the learner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mselves, which is for the better outcome of education. A facilitator should be aware of both sides of critical reflection.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a productive environment for the facilitation. Finally, in order for individual’s critical reflection to be connected with community and our society should make great efforts to build a climate conducive to the critical reflection. 비판적 성찰은 개인의 삶에서부터 사회공동체의 발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성인교육과 고등교육의 목적으로 중시된다. 학습자 편에서는 학습자의 비판적 성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학습의 최종 목표이자 퍼실리테이터의 중요한 역할이다. 최근에는 교실을 넘어 일터에서의 생산적 성찰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에 관한 이론적 고찰은 일천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학습에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배경과 특성을 검토하여,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착수되었다. 지금까지의 문헌 분석 결과, 퍼실리테이터는 조직학습을 이끄는 동시에 자신의 삶을 스스로 촉진하는 개인학습자이기도 하다. 이러한 퍼실리테이터의 양면성은 퍼실리테이터에게 두 가지 비판적 성찰을 요구한다. 내적으로 퍼실리테이터는 자신의 성장을 위해 스스로를 대상화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비판적 자기 성찰(주관적 재구성)이 요구된다. 외적으로 퍼실리테이터의 효과적 역할 수행을 위해 학습현장에서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존재가 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실천면에서 퍼실리테이터로서 스스로를 퍼실리테이션 하는 비판적 자기성찰과 학습자의 비판적 성찰을 돕는 역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퍼실리테이터와 학습자가 만나는 학습현장을 비판적 성찰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장으로 만들어야 할 책임이 퍼실리테이터에게 있다. 끝으로 비판적 성찰이 개인수준에서 공동체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사회와 조직에서 비판적 성찰 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 ‘무력화되고 고립된 개인’의 삶을 치유하기 위한 비판적 사유

        노성숙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본 논문은 ‘개인’이 겪는 심리적 고통에 주목하면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의 연관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는 서구 근대 문명사에서의 ‘개인’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을 살펴본다. 또한 3장에서는 고대와 근대 시민으로서의 ‘개인’에 대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을알아본다. 나아가 4장에서는 오늘날 개인의 무력화되고 고립된 삶을 치유하는 데에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어떻게 사상적으로 교차되면서 그 비판적 사유를 계승하고 실천하는지를 초점화한다. 그리하여 한편으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은 다른 정신과 치료나 심리치료 및 심리상담과는 다른 차원에서의 치유를 시도하고 있는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지닌 차별성을 보여주는 ‘철학적 이론’의 기반이 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이 지닌 독특함이 구체적으로 개인의 심리적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철학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rno’s critical theory and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pain experienced by individuals. First, Chapter 2 explores Adorno’s critical theory of the individual i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Chapter 3 examines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regarding the individual as an ancient and modern citizen. Chapter 4 considers how Adorno’s critical theory and Achenbach’s philosophical practice can contribute to healing the incapacitated, isolated lives of individuals today. In doing so, it focuses on how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intersects in thought with Adorno’s critical theory and inherits and practices his critical thinking. Thus, on one hand, Adorno’s critical theory can be the basis of a philosophical theory that shows the differentiation of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which attempts healing on a different level from other psychiatric treatments, psychotherap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the other hand,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in which the uniqueness of Adorno’s critical theory can be philosophically practiced to heal individual psychological pain specifically.

      • KCI등재

        顔元의 비판정신과 인문학의 반성

        김덕삼,이경자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顔元은 明末淸初에 살았던 혁신적이고 실천적인 사상가로서, 시대적 변화에 무능하게 대응하는 성리학을 비판하면서 공자의 원래 가르침을 회복하자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실천과 習行의 방법을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비판과 대안이 오늘 한국의 인문학이 처해있는 상황에도 유효하다고 판단되어, 안원의 비판정신으로 한국의 인문학을 조명해 보았다. 특히, 본고에서 눈여겨 본 것은 두 가지다. 첫째, 시대적 요구에 입각한 비판정신이다. 둘째, 비판에 대한 대안과 실천이다. 이를 위해 안원의 생애와 비판정신을 알아보고, 안원이 비판한 관점을 근거로 한국의 인문학을 투영해 보았다. 안원의 비판은 동시대 학자와 달리 용감하고, 명확한 대안과 실천이 수반되었다. 그 요체는 이치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실천하는 실학적 방법에 있다. 이러한 안원의 비판은 4세기가 지난 오늘 여기의 인문학에도 적용된다. 시대와 대상은 달라도 안원이 비판한 성리학과 오늘의 인문학이 처해있는 상황에는 비슷한 점이 많다. 지금 인문학에 대한 비판은 안원이 용기를 내어 성리학을 비판한 것처럼 쉽지 않다. 또한 지금의 인문학에게도 인문학의 이치, 즉 인문정신의 올바른 파악과 이를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문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인문학에 대한 주체의 파악, 과거의 학문적 방법에서의 탈피와 보다 정밀한 연구 자세 등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현대 문명과 다양한 학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 인문학이 아닌 인문정신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오랜 역사 속에서 인문학은 선인들의 과거와 거기에서 존재했다. 그러나 안원이 당시의 무능한 학문을 비판하고 현실을 직시하라고 주문한 것처럼, 인문학도 인문정신을 제대로 살려 여기와 지금의 인문학을 실천해야할 것이다. Yan Yuan(顔元) lived in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y as innovative and practical thinker while criticizing the incompetence of Neo-Confucianism and claiming to recover the teachings of Confucius. At the same time, he presented the methods of practice and practical philosophy(習行) as an alternative.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judgement that criticisms and alternatives of Yan Yuan are valid even today for the situa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Korean humanities is reflected by the viewpoints of Yan Yuan. In particular, two points are focused on this paper. First, it is a critical spirit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Secondly, it is an alternative to the criticism and practice of alternative. To this end the life and critical spirit of Yan Yuan is examined and the humanities in Korea is reilluminated by the viewpoint of Yan Yuan. Criticism of Yan Yuan was more cynical than those of his contemporaries, and also was accompanied by alternatives and practices. The keypoint of Yan Yuan’s criticism and alternatives was to grasp the essence of thing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correctly and to practice the same. This critical spirit of Yan Yuan can be also applied to the humanities today.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circumstances Neo-Confucianism of Yan Yuan’s day and humanities today faces in spite of differences in the context of the era and the culture. To criticize humanities today is also as difficult as Yan Yuan criticized Neo-Confucianism. In today's humaniti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humanities spirit and attitude to practice it is also required. In this regar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rrect definition of humanitie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humanities , breakthrough with the past academic way and precise and more detailed research attitude are needed. To do so, modern civilization and the various disciplines are utilized actively. At the same time, ultimately humanities spirit rather than humanities is necessary to be recovered. In the long history of humanities, humanities has existed in the distant space and times called as our ancestors’ culture. However, humanities today should be alive practicing the humanities of here and now by restoring humanities spirit correctly as Yan Yuan criticized the incompetent academism of that times and is required to face reality.

      •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최근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실증분석에 기초한 연구와 더불어 방법론적으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만 패러다임의 흐름과 관점, 그리고 이론과 모델은 아직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모델이 커다란 변화 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모델은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 및 사회, 그리고 국가 간의 상황변화에 따른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이데올로기(Ideology)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실천에 근간이 되는 전통적 방법론을 역사적으로 전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시대적 변화의 당위성을 찾는다. 특히 사회복지실천 발달현상으로서의 통합적 방법과 문제해결과정모델의 등장배경 및 이론적 기반을 통해 역량강화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이론으로 대두되고 있는 독일의 사회학자 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인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이론적 함의를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대한 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es on Social Work Practice are actively increas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ore elaborate research is performed methodologically along with a research based on empirical analysis. However, a flow & perspective and a theory & model in paradigm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model of traditional Social Work Practice is being applied yet without a big change. However, the existing theory and model in Social Work Practice have limitation in understanding a social change according to a situational change among individual, society and nation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which had influenced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and Social Work Practice, and searches for necessity of a historical change in Social Work Practice while historically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ology,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Practice. Especially, it examines usefulness of Empowerment Model through the integrative method as the developmental phenomenon in Social Work Practice, and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model, and considers theoretical implication on new Social Work Practice through communication theory, a German sociologist Jurgen Habermas's critical theory, which is being emerged as new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In conclusion, the aim is to suggest new theoretical frame through consider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a cause for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