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건강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윤리교육

        김나연 ( Kim Na-yeon ),김동춘 ( Kim Dong-chun ),김종훈 ( Kim Jong-hun ),김수안 ( Kim Su-an ),최용성 ( Choi Yong-seong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3 No.1

        본 연구는 점차 대두되는 정신건강의 새로운 개념을 긍정심리학적 입장에서 주목하고자 한다. 즉 정신건강은 단순히 정신장애가 부재한 상태라기보다는 개인의 삶의 스트레스와 위기에 대한 사회적 적응력, 환경과의 조정능력, 문제 해결능력을 포함한 정신적 안녕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신건강을 전반적인 정신적 안녕상태로 정의하고 윤리교육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약점과 결함에 치중된 불균형적인 관점 대신에 인간의 강점을 포괄한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관점을 지향하며, 정신건강을 단순히 증상이 없는 상태를 넘어 개인의 강점과 능력이 최대한 발현되는 상태로 확장시켰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이런 관점에 근거하여 윤리교육에서 정신건강이 증진되고 부적응적 증상이 예방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긍정심리학의 건강모델, 즉 질병모델이 아닌 심리적 웰빙을 지향하는 성장모델이 긍정적 정신건강을 이루어가는 구체적인 방안 역시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안적 정신건강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의 적용방안을 찾되, 강점 개입을 통한 긍정심리치료, 긍정 정서의 교육,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교육, 마음챙김 명상과 인지치료를 통한 정신건강교육, 신체건강과 함께하는 정신건강교육을 구체적인 적용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the new concept of the emerging mental health positively. In other words, mental health refers to mental well-being, including mental illness, social adaptability to life stress and crisis, ability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mental health as an overall mental well-being and to promote it in ethical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is an integrated and balanced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human strengths rather than an imbalanced view that is focused on human weaknesses and deficiencies And extended mental health to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s and abilities of the individual are manifested to the maximum extent beyond the state without symptoms. Based on this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prevent maladaptive symptoms in ethics education. The positive model of positive psychology, that is, the growth model that aim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rather than the disease model, would also provide concrete measures for positive mental health. In addition, positive psychotherapy through strength intervention, positive emotional educatio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education, mindfulness through meditation and cognitive therapy Health education, and mental health education with physical health.

      • KCI등재

        청소년의 이원적 정신건강의 종단적 상호관계성: 삶의 만족도와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유창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mental health and the negative mental health. For this purpose, data from 2,256 students, who were aged 14.9 to 18.9, and consisted of 59.5% female, participating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2, 2013, 2015, and 2016 were analyzed by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 of each dual mental health showed that if each positive mental health and negative mental health was high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each of them was continuously high as time passed. Second, in terms of cross-lagged coefficients, both pathways, ‘positive mental health→negative mental health’ and ‘negative mental health→positive ment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mental heal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athway ‘negative mental health→positive mental health’, the cross-lagged coefficient from the 1st year of high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was not significant. Thu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facets of mental health were independent during high school. Third, the effect size of ‘positive mental health at time t-1→negative mental health at time t’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negative mental health at time t-1→positive mental health at time 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of individually and simultaneously intervening in positive mental health and negative mental health of Korean youth, and methods to conduct these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3차년도(2012년), 4차년도(2013년), 6차년도(2015년), 7차년도(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분석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2,256명이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원적 정신건강 각각의 자기회귀계수의 경우, 중학교 3학년 때 긍정적 정신건강이 높을 경우 이후 학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긍정적 정신건강이 높아졌다. 중학교 3학년 때 부정적 정신건강이 높을 경우 이후 학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부정적 정신건강이 높아졌다. 둘째, 교차지연계수의 경우, ‘긍정적 정신건강→부정적 정신건강’의 경로와 ‘부정적 정신건강→긍정적 정신건강’의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정신건강의 긍정차원과 부정차원이 서로 부적인 방향으로 종속된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부정적 정신건강→긍정적 정신건강’ 경로의 경우 고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으로 가는 교차지연계수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서, 이 시기에는 정신건강의 긍정차원과 부정차원이 서로 독립된 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차지연계수 중 ‘이전시점의 긍정적 정신건강→이후시점의 부정적 정신건강’의 영향의 크기가 그 반대방향인 ‘이전시점의 부정적 정신건강→이후시점의 긍정적 정신건강’의 영향의 크기보다 유의미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긍정적 정신건강과 부정적 정신건강에 대한 개별적이면서 동시적인 개입의 필요성과 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업, 가족 및 일-가족 전이가 취업자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비교

        송지은(Ji-Eun Song),Nadine F. Marks, 한경혜(Gyoung-Hae Han)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2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하여 직업 특성(근무시간, 업무상 의사결정권, 업무 부담), 가족 특성(결혼상태, 자녀유무), 일-가족 전이(일→가족 긍정적 전이, 일→가족 부정적 전이, 가족 →일 긍정적 전이, 가족→일 부정적 전이)와 성인기 취업자의 정신건강(우울감, 긍정적 정서,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관련성에 문화적 맥락(한국 vs. 미국)이 미치는 중재효과를 합께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대표성 있는 중년기 전국자료의 조사대상자 중에서 만 30-59세인 취업여성 1,260명(한국 463명, 미국 797명)과 취업남성 1,659명(한국 795명, 미국 8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희귀모델의 추정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가 도출되었다. (1) 직업 특성과 취업자의 정신건강 간의 관련성을 보면, 근무시간이 길수록 국가에 상관없이 취업남녀의 정신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다. 취업여성의 경우 업무부담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열악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한국 취업여성에 비해 미국 취업여성에게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났다. 업무상 의사결정권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여성의 경우는 이에 국가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취업남성의 경우는 미국 취업 남성에 비해 한국 취업 남성에게서 업무상 의사결정권으로 인한 정신건강상 혜택이 보다 두드러진 것을 볼 수 있다. (2) 가족 특성과 성인기 취업자의 정신건강 간의 관련성에서도 국가간 차이가 나타나서, 기혼인 취업자가 미혼인 취업자에 비해 양호한 정신건강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미국 취업자에 비해 한국 취업자에게서 더욱 두드러진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자녀가 있는 취업자가 무자녀인 취업자에 비해 정신건강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미국 취업자에 비해 한국 취업자에게서 이러한 연관성이 보다 현저한 것을 볼 수 있다. (3) 일-가족 전이와 취업자의 정신건강 간의 관련성에서도 국가간 유의한 차이가 일부 입증되었다. 일반적으로 일→가족 긍정적 전이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남녀의 정신건강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예외적으로 한국 취업여성의 경우 높은 수준의 일→가족 긍정적 전이를 경험할수록 우울감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일→가족 부정적 전이를 많이 경험할수록 취업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연관성은 한국 취업자에 비해 미국 취업자에게서 더욱 현저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에서 직업영역으로의 전이의 경우를 보면, 가족→일 긍정적 전이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자의 정신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관련성은 한국 취업자에 비해 미국 취업자에게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한편, 가족→일 부정적 전이를 많이 경험할수록 취업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연관성이 여성의 경우는 한국 취업여성에 비해 미국 취업여성에게서 두드러진 반면, 남성의 경우는 미국 취업남성에 비해 한국 취업남성에게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직업, 가족, 일-가족 전이가 취업자의 다양한 차원의 정신건강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련성에 문화적 맥락이 중재효과를 미친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Guided by bio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work microsystem characteristics(working hours, decision latitude, work pressure), family microsystem characteristics(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work-family mesosystem factors (positive and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and mental health(depressive symptoms, positive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working women and men. The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context(Korea vs. U.S.) were also evaluated. OLS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using data from 1,260 working women(Korea: 463, U.S.: 797) and 1,659 working men(Korea: 795, U.S.: 864) aged 30-59 who participated in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studies of middle aged adults in Korea and the U.S.<BR>  Results indicated that:(l) The associations between work microsystem factors and the mental health of working adults are somewhat different across countries. More working hours was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of women and men regardless of the country context. More work pressure was associated with women"s poorer mental health, particularly among U.S. women. More decision latitude was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particularly among Korean me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family microsystem factors and mental health. Being married was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among Korean women and men compared to U.S. women and men. Having children was associated with poorer mental health among Korean women and men compared to U.S. women and men. (3)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cultural context in the strength of associations between work-family spillover and mental health for some mental health dimensions. Positive work to family spillover was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among working adults, except for Korean women who experienced more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presence of more positive work to family spillover. Negative work to family spillover was linked to poorer mental health of working adults, particularly among U.S. women and men compared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Positive family to work spillover was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of women and men, particularly among U.S. women and men compared to their Korean peers. Negative family to work spillover was associated with poorer mental health of working women, particularly among U.S. women compared to Korean women. Negative family to work spillover was also associated with poorer mental health of working men, and this association was stronger among Korean men in contrast to U.S. men. Overall, findings suggest work, family, and work-family spillover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arious dimensions of mental health of working adults, sometimes contingent on the cultural context, supporting the assumptions of bioecological systems theory.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팬텀변수를 활용한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검증

        장세용,이경현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mental health, and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set between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was contribute fundamental information to assist in following research related to mental health. In this study, participated 382 special-purpos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regular martial arts training with purpose sampling method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Version and AMOS 21.0 Vers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reduced negative mental health. Second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negative(-) effect on fixed mindset, and had positive(+) effect on growth mindset. Thirdly, fixed mindset had positive(+) effect on negative mental health, and growth mindset had negative(-) effect on negative mental health. Fourthly, fixed mindse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ental health on reducing negative mental health. 이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정신건강과 관련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규칙적인 무도 훈련에 참여하는 특수목적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82명을 비확률표집방법(non probability sampling)의 목적적 표집방법(purpose sampling method)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과 AMOS 21.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부정적 정신건강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고정 마인드셋에 부(-)적 영향을, 성장 마인드셋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정 마인드셋은 부정적 정신건강에 정(+)적 영향을, 성장 마인드셋은 부정적 정신건강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정 마인드셋은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신건강을 감소시켜주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마음건강’ 척도의 개발

        조소현,우종민,김원,변금령,강은호,최삼욱,방수영,이승환,박영민,채정호,임성견,최경숙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1 신경정신의학 Vol.50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ental Fitness’Scale, which was designed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mentally fit or positive mental health. Methods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s were conducted on 105 healthy adults between 20 and 65 years of age to obtain the 25 candidate items of the ‘Mental Fitness’ Scale.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new scale, these items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PANAS), and the Epworth Sleepiness Scale(ESS) were administered to 212 healthy adults. To assess test-retest reliability, the preliminary ‘Mental Fitness’ Scale items were administered two weeks later to 47 healthy subjec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212 healthy subjects and 42 psychiatric patients with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s. Results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subscales (mental energy, empathic communication, flexibility, and self-assurance). Five items were excluded due to their low factor loadings.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0.57-0.76.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and Cronbach’s α for four subscales ranged between 0.66-0.88, and was 0.90 for the total score. Concurrent validity was assessed by correlating the four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otal scores on the BDI, PANAS, and ESS.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ntal Fitness’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positive mental healt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ental Fitness’Scale, which was designed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mentally fit or positive mental health. Methods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s were conducted on 105 healthy adults between 20 and 65 years of age to obtain the 25 candidate items of the ‘Mental Fitness’ Scale.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new scale, these items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PANAS), and the Epworth Sleepiness Scale(ESS) were administered to 212 healthy adults. To assess test-retest reliability, the preliminary ‘Mental Fitness’ Scale items were administered two weeks later to 47 healthy subjec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212 healthy subjects and 42 psychiatric patients with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s. Results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subscales (mental energy, empathic communication, flexibility, and self-assurance). Five items were excluded due to their low factor loadings.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0.57-0.76.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and Cronbach’s α for four subscales ranged between 0.66-0.88, and was 0.90 for the total score. Concurrent validity was assessed by correlating the four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otal scores on the BDI, PANAS, and ESS.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ntal Fitness’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positive mental health.

      • KCI등재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과 일상적 신체건강 간의 관계

        김진영,고영건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2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mental health types and daily physical health in adolescents. It was examined whether classification of positive mental health (Keyes & Lopez, 2002) resulted in differences in daily physical health variables such as frequency of catching a cold, severity of the common cold, BMI, exercise, etc. The participants were 636 adolescents (241 males, 395 female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itive Mental Health Scale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physical health. One-way 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health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mental health groups. Post-hoc analysis indicated the flourishing group showed the best results regarding physical health variables. The struggling group caught a cold and saw a doctor for treatment purposes more often than the languish group. However, they spent more time for their health seeking behavior such as exercise than the languish group.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과 일상적 신체건강 간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eyes와 Lopez(2002)의 모델에 기초해 분류한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라 감기에 걸린 횟수, 심각도, BMI 그리고 운동 등과 같은 일상적 신체건강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636명(남자 241명, 여자 395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와 신체적 건강 관련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결과,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라 일상적 신체건강 변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후분석 결과,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 중 정신적 번영 집단이 신체적 건강 변인들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분투 집단은 쇠약집단 보다 감기에 더 많이 걸리고 치료 목적으로 병원을 더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과 같은 건강관리 행동은 쇠약집단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 2요인 구조: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김현정,고영건 한국건강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7 No.4

        정신건강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은 질병 이데올로기적 관점으로서, 정신건강을 단순히 정신장애가 없는 상태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정신건강이 정신장애와 긍정적 정신건강과 서로 상관이 있는 2요인 구조로 파악한다. 정신건강의 2요인 구조에 관해서는 일반인과 일부 특수 집단(교도소 수용자)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정신과 환자 및 상담센터를 방문한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한 타당도 검증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환자 및 상담센터를 방문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의 2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과 외래 환자 112명 및 상담센터의 내담자 108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척도를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정신건강의 단일 요인 모델에 비해 2요인 모델이 적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상관이 있는 2요인 모델이 가장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한 긍정적 정신건강 증진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Traditionally, pathogenic models of mental health assumed that positive mental health and mental disorders are polarized on a continuum. However, the most recent view of positive psychology has demonstrated that positive mental health and mental disorders are two separate factors in a general population. If this two 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is also appropriate to psychiatric patients and clients in counseling, this assertion will be consolidated against the pathogenic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112 patients and 108 clients revealed the correlated two-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had the higher goodness of fit than the one-factor model or the independent two factor model. As a result, the two-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was validated in a clinical population. Finally, the importance of positive mental health intervention for a clinical population, as well as a general popul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장용희(Chang, Yong Hee),이재신(Lee, Jae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2016년 6월15일부터 3주간 동안 충북 C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기능성 척도, 정신건강 척도, 또래관계 척도, 긍정심리자본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가족기능성, 정신건강, 또래관계, 긍정심리자본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단계에 따라 순차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긍정 심리자본은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한 가정에서의 부모와 학교상담교사들의 상담 및 심리 치료적 접근을 위한 개입과 효율적이며 긍정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s mental health.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23 students from M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Chungbuk.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amily functioning Scale, mental health Scale, peer relationships Sca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eer relationship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mily functioning, adolescent s mental health. Second, there wer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bet ween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s mental health. Third, there wer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lationships bet ween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s mental health. This study wa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s mental health.

      • KCI등재

        자아강도, 스트레스 대처 및 긍정적 정신건강 간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진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강도와 스트레스 대처 그리고 긍정적 정신건강 간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강도와 긍정적 정신건강 간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가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제안모델로 제시하였다. 그 후 제안모델과 세 개의 대안모델들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249명(남자 161명과 여자 88명)에게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자아강도 척도 그리고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강도와 긍정적 정신건강 간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가 부분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제안모델이 대안모델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심리학적 개입방법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ego strength, stress-coping, and positive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proposed model in which stress-coping exer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go strength and positive mental health. Goodness of fit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proposed model against competing models. The participants were 249 high school students (161 males, 88 females). They completed the Stress-Coping Style Scale, the Ego Strength Scale, and the Positive Mental Health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had a better goodness of fi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positive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should consider strategies to enhance their ego-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