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태일 이후의 한국소설과 ‘기억의 정치’

        오창은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In a novel narrative dealing with historical events, memory is recorded in text as political unconsciousness. On November 13, 1970, Jeon Tae-il's burning himself to death was a historical event that shook the Korean society. His sacrifice led to the creation of the first democratic union, the Cheonggye Clothes Trade Union, and gave birth to the solidarity movement of workers and university students. Since the 1970s, the Korean populace movement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have started from Jeon Tae-il's burning himself to death. After his death, the Korean novels about Jeon Tae-il were a scene where 'the politics of memory and the unconscious of forgetting' compet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since the 1980s, Korean writers have played a variation of the ritualistic narrative about "the sacrifice of Jeon Tae-il". Appearing in Korean novels are a persistent obsession with records, a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events through individuals' memories, and intentional twists intended for the introspective awareness of memories. This study sought to trace the changing aspects of the memory narrative about 'the sacrifice of Jeon Tae-il' according to the times in Korean novels. Thus, a metaphoric meaning of politics was given to the narrative patterns of of writers responding to the politics of memory and unconsciousness of forgetting. Park Tae-sun's Mother (1985) as a work in the 1980s, Jeon Tae-il and Showgirl (1997), published by Kim Young-ha as a novel in the 1990s, and Lee Jae-woong's Jeon Tae-il's Bronze Statue (2013) were analyzed. Through these texts, efforts were made to define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that worked to the Jeon Tae-il reproduction patterns according to to age and generation. Park Tae-sun attempted to build the politics of record and memory that resisted the era of oppression. Kim Young-ha planned a recapitulation of events from the individual's point of view by gazing at the wounds left to individuals by collective memories. Lee Jae-woong delved into the 'self-introspection of memory' through the pattern of multi-layered struggle against transforming memories. Since the 1980s, novels about Jeon Tae-il's sacrifices have been an important field where 'politics of memory' was implemented. Korean writers raised 'ethics of memory' through 'political struggle' surrounding 'Jeon Tae-il's sacrifice'. 'Ethics of memory' is a product of the determination to reconstruct the value of' individuals' memories' in response to collective memories, while resisting the dominant ideology. 역사적 사건을 다룬 소설에는 망각에 저항하는 기억의 의지가 텍스트에 기입된다.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의 분신은 한국사회를 뒤흔든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의 희생이 계기가 되어 최초의 민주노조인 ‘청계피복노동조합’가 만들어졌고, 노동자와 대학생의 연대운동이 싹텄다. 1970년대 이후 한국 민중운동과 민주화운동은 전태일의 분신으로부터 출발했다. 그의 분신 이후, 전태일을 다룬 한국소설은 ‘기억의 정치와 망각의 무의식’이 경합하는 현장이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작가들은 ‘전태일의 희생’에 대한 제의적 서사를 변주해왔다. 한국 소설에는 기록에 대한 집요한 집착, 개인의 기억의 통한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기억에 대한 성찰적 인식을 위한 의도적 비틀기 등이 나타난다. 이 논문은 한국소설 속에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전태일의 희생’에 대한 기억 서사의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추적하기 위해 쓰여졌다. 이를 통해 기억의 정치와 망각의 무의식에 대응하는 작가들의 서사적 반응 양상을 정치적으로 의미화했다. 1980년대 작품으로는 박태순의 「어머니」(1985), 1990년대 소설로는 김영하가 발표한 「전태일과 쇼걸」(1997), 2000년대 텍스트로는 이재웅의 「전태일 동상」(2013)을 분석했다. 이들 텍스트를 통해 시대와 세대에 따라 전태일의 재현 양상이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태순은 억압의 시대에 저항하는 기록과 기억의 정치를 구현하려 했고, 김영하는 집단의 기억이 개인에게 남긴 상처를 응시함으로써 개인의 관점에서 재구성되는 사건 서술을 기획했으며, 이재웅은 변형되는 기억에 대한 다층적 투쟁의 양상을 통해 ‘기억의 성찰성’에 대해 천착했다. 1980년대 이후, 전태일의 희생을 다룬 소설들은 ‘기억의 정치’가 이뤄지는 중요한 현장이었다. 한국 작가들은 ‘전태일의 희생’을 둘러싼 ‘정치적 투쟁’을 통해 ‘기억의 윤리’를 제기하고 있다. ‘기억의 윤리’는 지배이데올로기에 저항하면서, 집단적 기억에 대응하는 ‘개인의 기억’의 가치를 재구성하려는 의지의 산물이다.

      • KCI등재

        한국 개항장도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

        오미일 ( Mi Il Oh ),배윤기 ( Yoon Gi Bae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3

        개항장도시의 장소성 혹은 로컬리티 형성과 관련하여 ‘기억의 정치’ 문제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근현대 인천 공간에서 제국주의 혹은 국가에 의해 기념일 제정과 기념사업을 통해 형성된 ‘집단기억’은 역사적 정치적 환경 변화에 따라 양상을 달리하며, 오늘날 인천의 장소성 형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해왔다. 개항 이후 인천은 서울의 ‘다리목’이자 전략적 항구란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갑신정변과 임오군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등 정치적 격변 속에서 전쟁물자 조달을 통해 번창했고 성장했다. 러일전쟁 개시 초에 인천 앞바다에서 전개된 인천해전의 기념과 개항기념은 식민도시 인천의 집단기억의 핵심코드였다. 인천해전기념이 ‘승리와 지배’란 정치사회적 목적의 기능기억으로 역할했다면, 개항기념은 ‘근대화와 산업개발’이란 경제적 측면의 기능기억이었다. 일본인이 떠난 후 정치적 목적의 인천해전 집단기억은 소멸되고, 이를 대체한 것이 ‘맥아더의 인천상륙’이었다. 이 새로운 집단기억의 제도적 장치는 1957년에 세워진 맥아더 동상, 1980년 인천상륙작전 30주년기념으로 세워진 인천지구전적비,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1984년 준공된 인천상륙작전기념관과 자유수호의 탑이었다. 그런데 정치환경 변화에 따라 전쟁 기념의 정치적 집단기억은 바뀌었지만, 근대화·산업화를 상징하는 개항관련 집단기억은 경제개발과 함께 그대로 지속되었다. 개항기에는 영국인 무역상 존 스톤의 별장과 독일 무역상 세창양행이 위치했으며, 일제시기에는 인천해전에서 승리한 전함 치요다호의 마스트를 세워 두었고, 그리고 해방 후에는 맥아더 동상이 건립된 곳인 자유공원과 이를 중심으로 한 개항장 일대는 인천의 ‘기억의 장소’이며, 인천 장소성의 벡터이다.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placeness and locality of the Open Port city, the issue of ‘politics of the memory’ is a most important part. ‘The collective memory’ that has been formed through establishment of memorial day or memorial project by the imperialism or the government in modern and contemporary space of Incheon, has been changed in aspect depending on its change in histor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nd It has been affected as an important element on the formation of the placeness of today’s Incheon. After opening the port, Incheon has been thriving and growing through the procurement of war supply during the political turbulences such as Gapsin Coup(甲申政變), Immo Army Rebellion (壬午軍亂) and Sino-Japanese War(淸日戰爭) due to geopolitical position that Incheon was a ‘bridge-head’ for Seoul and a strategic port. The commemoration on the Incheon naval battle off the coast of Incheon at early stage of Russo-Japanese War and the commemoration of Open Port were the key code of the collective memory of a colonial city Incheon. While the commemoration on the Incheon naval battle took a role as functional memory for sociopolitical purpose of ‘victory and ruling’, the commemoration of Open Port was an functional memory for the economic aspect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fter Japanese people left,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Incheon naval battle for political purpose disappeared, and that was replaced by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of MacArthur’. The regulatory devices for this new collective memory were the statue of MacArthur set up in 1957, the Monument of Incheon region War Record set up in 1980 to celebrat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and finally the Memorial Hall for Incheon Landing Operation completed in 1984 and the Tower of Protecting Freedom. However, the political collective memory for war commemoration has been changed depending on political environments but the collective memory related to port opening that represente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s been lasting together with economical development. The Freedom Park where the villa of an English trader, John Stone, and Saechang Corporation were located in the period of port opening, the mast of the battle ship Chiyoda that gained victory from the Incheon Naval Battle was standing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statue of MacArthur was established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Open Port area surrounding the Freedom Park are the ‘place of memory’ and a vector of the placement of Incheon.

      • KCI등재

        분단의 기억, 기억의 정치

        김항 ( Hang K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이 논문은 한반도에서의 분단 기억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때 한반도에서의 분단은 남북 국민국가의 궁극적 정당성을 규정하는 ‘주권적 장치’로서 기능하며, 기억의 정치란 이 주권적장치로서의 분단을 정지시키는 것을 고유의 성격으로 가짐을 시론적으로 제시했다. 우선 주권적 장치란 국가의 주권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예외상태를 픽션적으로 만들어내는 지식과 제도의 총체이다. 남한의 경우 국가보안법을 최종심급으로 하는 다양한 정치/경제/지식의 총체적실천이라 할 수 있다. 기억의 정치란 이런 주권적 장치를 정지시키는 고유성을 가져야 함에도 기존의 기억 연구는 이런 정치성을 추출하지 못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억의 정치를 이데올로기 대립이나 국가/개인의 대립으로 환원하여 설명함으로써 기억의 정치에 고유성을 문제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발터 벤야민과 도미야마 이치로는 기억의 정치가 내장한 고유성을 드러내준다. 벤야민은 기억이 근대의 역사기술이 362 인문논총 제73권 제2호 (2016.5.31)가정하는 승자와 패자 어느 쪽도 아닌 억압된 자나 쓰러진 자의 과거전유라 정의했고, 도미야마는 비슷한 맥락에서 국민국가의 역사 속에서 망각의 구멍으로 내몰린 유령적 형상을 소환한다. 이들은 이를 통해 근대의 역사기술이 절대로 가닿을 수 없는 과거의 실존을 기억의 정치라는 테마를 통해 문제화했다. 김소진의 소설은 분단의 기억을 이러한 기억의 정치로 전유한 작품이다. 그는 개흘레꾼으로서의 아버지를 형상화함으로써 분단의 역사경험 속에서 승자로도 패자로도 기술될 수 없는 역사의 공백을 제시했다. 이 역사의 공백은 분단이라는 주권적 장치가 정지되는 지점으로서, 기억의 정치는 이 공백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잇는 삶의 고유성을 회복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possibility of how the memory of division in Korean peninsula could be appropriated politically. That division of the peninsula has functioned as ‘dispositif of sovereignty’ and the politics of memory should suspend this function is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Dispositif of sovereignty’ is a complex of knowledges and institutions that produces fictional state of exception through which sovereignty of the state could present itself. In the case of South Korea, it would be shown in the law of national security that is a decisive element constructed by various political, econimical and scientific practices. The politics of memory can be regarded as a sort of practice which should suspend function of such dispositif, but the previous discourses about this politics have not been able to clarify this kind of suspension. Walter Benjamin and Ichiro Tomiyama are influential figures who can give an important perspective proposing what is characteristic to the politics of memory. Benjamin defined the memory as an appropriation of the past which could never belong to winner or loser in history, and Tomiyama, along with Benjamin, has recalled a figure of ghost which was forgotten and thrown into hall of oblivion. Sojin Kim, a novelist in contemporary Korea, thematized this kind of politics of memory in his works. He showed us a cesura of history by describing his father’s life. This cesura of history which Sojin Kim made exist is a point of suspension of dispositif of sovereignty, and the politics of memory could redeem an original form of life combining the past and the future onto the present.

      • KCI등재

        아동문학 작품에 드러난 베트남 전쟁의 반기억 연구

        방은수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5

        The memory of the Vietnam War reveals a completely different aspect, depending on the views taken. To date,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Vietnam War in Korean society has not escaped the borders of national / national narratives. But there are memories that cannot be assimilated into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Vietnam War. This memory is called counter-memory. In the chapter of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works dealing with the counter-memory of the Vietnam W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counter- memory of the Vietnam War is revived in the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and how the memories are creating a crack in the existing collective memory.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anti-memory revealed in the Vietnam War assimilation. First, we discussed the memory discourse about the Vietnam War.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anti-memory revealed in the Vietnam War assimilation, mainly with vetera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military workers abandoned from the state’, ‘the memory of the massacre and the reflection of the perpetrators’. 기억이란 단순히 어떤 사건의 내용물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틀이자, 가변적인 쟁점이다. 베트남 전쟁의 기억 또한 마찬가지이다. 각자 취하는 관점에 따라 베트남 전쟁의 기억은 전혀 다른 양상을 드러낸다. 현재까지 한국 사회에서 베트남 전쟁의 집단 기억은 국가/민족 서사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의 집단 기억에 동화될 수 없는 기억들이 있다. 이러한 기억을 반(反)기억이라고 한다. 문학은 반기억들이 분출되는 대표적인 통로이다. 아동문학의 장에서 베트남 전쟁의 반기억을 다룬 작품들이 있다. 이들 작품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권위적인 기억에 맞서는 가운데, 아동문학의 관점에서 당대 현실에 대한 서사적 대응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기억이 어떻게 아동 문학 작품 속에서 부활하는지, 그 기억들이 기존의 집단 기억에 어떤 균열을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미래 세대인 아동은 아동문학을 통해 베트남 전쟁을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 전쟁 동화에 드러난 반기억을 살펴보았다. 먼저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억 담론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참전 군인을 중심으로 베트남 전쟁 동화에 드러난 반기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로부터 유기된 군사노동자’, ‘집단학살의 기억과 가해자의 반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국가(國歌)와 기억의 정치 ― 의용군진행곡(義勇軍進行曲)을 중심으로

        김수연 ( Kim Sooyeon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1 中國學論叢 Vol.- No.74

        Maurice Halbwachs, who first proposed the concept of ‘collective memory’, points out two characteristics of memory as a methodology. First, memory is a social rather than an individual process. In society, memory is acquired, and what to remember and what to forget are determined and arranged. Second, Memory is different from history. Whereas history pursues a formal, singular and universal meaning, memory is informal, irregular, plural and individual. Pierre Nora, who has further studied the collective memory of France, proposed this concept of ‘place of memory’, which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memory and history. It has meaning not as a ‘something’ that people remember, but as a ‘place’ where memory works. This article intends to graft the methodolog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a place of memory' onto the memory study of the current Chinese national anthem, 義勇軍進行曲.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social memory is formed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mass media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ational anthem. In this way, we shoul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interaction between politics and memory, but also find out the ‘cracks’ in collective memory between China, Taiwan, and Hong Kong.

      • KCI등재

        1960-70년대 ‘집단기억’과 기억의 재구축 : 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본고에서는 이청준 소설에서 무엇이, 얼마나, 어떻게 재현되는지, 또한 왜 기억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집단기억의 내적 원리를 규명하고 있다. 이는 작가가 어떤 사건을 얼마나 공정하게 다루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으며, 그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통해 얻으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답을 찾는 일이다. 기억과 문화 및 사회 집단의 관계를 체계화하고 개념적으로 세분화한 알라이다 아스만의 기억이론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집단정체성, 트라우마, 기억정치 등의 요소를 해명하는데 유효한 경로로 제공한다. 이청준은 1960-70년대 집단기억의 양상을 가장 잘 드러낸 작가이다. 그는 한국전쟁을 체험하고 전후 폭력적 현실과 상처를 회상하는 가운데 집단기억이 만들어낸 병리와 정체성,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섬세하게 재현한다. 특히 ‘전짓불 체험’으로 상징되는 트라우마와 관련된 집단기억 방식은 1960, 70년대 역사의 의미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이청준 소설의 중요한 의미는 ‘현실’을 기억의 토대 위에 구축했다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동시에 현재를 의식하고 그것을 다양한 층위의 기억 방식을 동원해 집단 기억의 실체를 보여주었다는 데 있다. 작가는 전쟁의 비극이 가라앉기도 전 4.19의 희망과 5.16의 좌절을 함께 경험하고, 급속한 산업화의 길로 들어선 현실 공간의 모순, 이데올로기 뒤편에 숨겨진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탐색하고 있는 것이다. Lee, chung-joon is an author who best reveals the aspect of 1960-70s' collective memory. He delicately draws the pathology and identity which collective memory and the process of politicization of memory have made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Korean War and recollecting the violent reality and injury after war. The most remarkable point is the method of memory regarding Trauma, that is so-called ‘flashlight experience’, which can be said to be a signifying process of 1960-70s' history. The value of his novel does not stay at the point that he built ‘reality’ on the basis of memory, same as other authors, however he recognizes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with the past, and reveals true nature of collective memory by mobilizing the method of memory various level, e.g. restoration, recognition, reminding, and remaining memory, beyond the comprehension of the past. In this process, Lee, chung-joon shows the contradiction of real space where the experience of the hope of 4.19 and frustration of 5.16 at the same time, just before the tragedy of war was settled and rapidly entered industrialization, the politicization process of memory which is hidden behind ideology, i.e. western modern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thes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ner principle of collective memory by investigating what, how much, in which way, is reproduced, and why it is reminded in Lee, chung-joon's novel. This is not the matter of how fairly the author treats an event, but the matter of how he remembers anything in which method, and to search for the answer to what to get through politicization of that memory. Alaida Assmann's memory theory, which systemized and conceptually segmented the relation among memory, culture and social group provides a useful route to explain the elements of the memory, collective identity, trauma, the politics of memory politics, etc. displayed in his novel. In this process, the significance of the generations' fiction-writing, who remember this period, can be interpreted.

      • KCI등재

        김원일 소설의 ‘기억’과 ‘회상’ 연구

        이평전(Lee, Pyeong-jeon)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9

        이 논문은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억의 양상을 살피고 있다. 김원일은 한국전쟁과 관련한 기억을 소환해 시간의 연속성을 확보하면서 당대 집단 기억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집단적 기억은 기억과 문화 및 사회 집단의 관계를 체계화하고 개념적으로 세분화한다는 점에서 회상과 집단 정체성 형성 그리고 정치적 합리화 과정의 다양한 국면에 작용한다. 여전히 한국 사회의 정신사적, 문화사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은 김원일 소설에서 일종의 문화론적 의미를 갖는다. 문화는 지나간 것을 보존하고 기억하는 행위(또는 그러한 행위의 산물)로 단순 기억의 재생이 아닌 변형과 창조의 산물이다. 결국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회상의 특징적 국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작가가 당대의 집단적 기억 혹은 공식적 기억에 의해 억압된 기억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려 한다는 점이다. 이때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동체의 문화적 기억이 집단적 기억과 사적 기억 사이의 대립과 합의의 결과라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작가가 한국전쟁의 비극적 상황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하는 일반적 시도에서 벗어나, 어떻게 과거를 기억하고 회상하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응답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일이다.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memories related with the Korean War in the novel of Kim, won-il. And it also looks into the relationship with recall, memory and oblivion, and investigates how that time in 1960s and 1970s works on the consciousness of people. The distinct feature of his novel is that cultural memory and political identity are closely crossed. In particular, it is noticeable that the cultural memory of community forming the identity could have consequence for the opposition and agreement between collective and personal memories. This makes sure that the writer tries to get out of general attempts at how to reproduce the tragic situation of the Korean War, however, he tries to show how to memory of the past and recall from fundamental questions. He also secures the continuity of time recalling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wants to rid of oppression of collective memory He is conscious of a collective memory is memory and cultural and social groups to organize relationships, and conceptually recalls and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in that it is broken down and explained the process of political rationalization and forming of the community’s identity as subdividing the concept.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which affects on the psychosocial and cultural history in his novel has kinds of cultural meaning. At this point, culture is simply the outcome of creations and variations not replaying of the memory in the way that culture preserve and memory the past. In his novel, recalling for the Korean War is forced to resistant to the oppression of the official memory of that time. Raising the objection to the social legitimacy, recalling officially the destructed memory has a sort of dynamic force against distortion or tooling of the memory. In this sense, his novel would be specific evidence by materializing the time as if the place of the memory and also had the role to prove the existence to the group or individual. Finally, the memory and the recall in his novel show that the writer tries to recover the repressed identity through the collective and official memory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프랑스의 보훈정책 : 가치-제도-선양 삼위일체의 기억정치

        한종기 한국보훈학회 2011 한국보훈논총 Vol.10 No.2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nkage between state value system, institutional system for patriots and veteran affairs,and system of patriotism, based on ‘politics of memory’, in France. France has established a national value system of republican identity, institutional system of constitutional patriotism as a moral order for mnemonic practice, and cultural nationalism as a median memo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republican identity and cultural nationalism which has long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f French Veterans Affairs Policy. Firstly, republican tradition as a unity and integration of state value system constitutes a collective memory constructs the basis of French Veterans Affairs policy. In other words, republican memory itself formed a core of the national identity as a collective possession and a symbol of cultural tradition. Republican identity, in turn, supports republic constitution that underlined sovereignty of people, integrity, and patriotism, and becomes a solid basis of national community that is based on the strong bondage between nation state and civil society. Second, French Veterans Affairs policy and system based on consitutional patriotism embodies constitutional patriotism by institutionalizing compensation and justice, triggering moral order. It has also been featured by the expansion of compensation and a higher position of veteran-related institutions in a bureaucratic hierarchy. Furthermore, it not only activate medium of memory though commemoration and celebration, but also bring an evolution of republican value system. Finally, French Veterans Affairs system constitutes a part of cultural nationalism that links past and present as a medium of memory. it is based on ‘dialogue model’that incarnates identity, memory and patrimony into cultural nationalism.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a Veterans Affairs policy is a strategic and constructive process of political dynamics of collective memory. The finding also suggests that a trinity system of value, institution, and enhancement based on collective memory constitutes a key factor of a success ofa Vertran Affairs policy. 본 연구는 프랑스의 보훈 정책이 ‘기억의 정치’를 토대로 국가가치체계-보훈제도체계-보훈선양체계를 어떻게 삼위일체적으로 연계시켜 추진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집단기억에 대한 국민국가의 일반적인 정치적 정당화의 기본 메카니즘을 설정하고, 프랑스 보훈정책이 역사의 긴 시간 속에서 환원불가능한 전체로서의 공화국 정체성 가치체계, 기억실천을 위한 도덕적 명령으로서의 헌정애국주의 제도체계, 그리고 기억 매개로서의 문화민족주의 선양체계 선양체계를 구체화시켰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동안 제도중심의 프랑스보훈정책 연구들이 가볍게 취급한 국가가치체계인 공화국 정체성과 보훈선양체계인 교육과 문화재 중심의 문화민족주의에 대한 연구공백을 메우고자 했다. 프랑스보훈정책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프랑스의 국가가치체계 측면에서 단일과 통합의 공화국전통에 대한 집단기억이 그 자체로 하나의 고유한 사회적 사실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즉 프랑스에서 공화국기억은 프랑스라는 집단의 소유물이자 문화유산으로서 그 자체로 고유한 존재론적 지위를 갖는 상징이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국가정체성의 핵으로 뿌리내리고 있는 것이다. 이런 자기규정으로서의 공화국정체성은 공화국 헌법이 인민주권, 통합주의, 애국주의를 강하게 함축하는 규범)으로 자리 잡게 하고, 나아가 국가와 시민사회를 일체화시켜 국가공동체를 실현시키는 핵심 국가가치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프랑스의 보훈제도체계는 보상과 정의의 제도화를 통해 헌정애국주의 형태를 구체화하고, 기본적으로 금기와 금지, 의무와 요구라는 도덕적 명령을 작동시키는 기제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이런 헌정애국주의 형태의 보훈제도체계는 프랑스의 보훈제도가 보상과 지원의 확대, 보훈행정조직의 위상제고와 연계성 강화, 그리고 기념제위주의 보훈관리로 특징되도록 하였고, 나아가 정치적으로 성과 속이 밀접하게 얽혀 있는 제도적 추진체계를 통해 기념제와 기억매체를 활성화시키고 또 공화국 가치체계를 지속 혹은 변형시키는 기제이다. 마지막으로 프랑스의 보훈선양체계는 의미의 생산과정인 교육과 홍보, 문화재와 기념제로 특징되는 문화민족주의의 특징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매개하는 문화적인 기억매체의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런 문화민족주의적 성격의 보훈선양체계는 유아론적 독백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대화하는 모델로서, 프랑스인에게 ‘정체성’(identity)과 ‘기억’(memory)과 ‘문화재’(patrimoine)라는 3개의 개념을 하나의 문화민족주의로 각인시키는 기억정치의 주된 동력원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런 분석결과는 보훈정책이 전략적 과정인 동시에 구성적 과정인 집단기억의 정치동학을 통해 전개되며, 경로의존적인(path-dependent) 집단기억을 토대로 가치체계와 제도체계와 선양체계가 삼위일체를 이룰 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문화적 기억과 그것의 정치-신학적 영향사에 관한 연구

        이석규 ( Seok Gyu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26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tudy Jan Assmann`s concepts on memory and it`s history of influencing politics and theology. According to J. Assmann, memory can be defined not only as individual and collective, but also as a social and historical construct. J. Assmann intends to compare all these memory-terms in the cultural category in order to recover a special meaning of memory. The cultural memory can influence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as well as the social and historical dimensions. Comparing with the memory theory of J. Assmann, Johann Baptist Metz tries to make remarks about memory in the light of human history. For him, history is not merely a history, but a history of human suffering. The history of human suffering let Christian theology and church become aware of such sufferings themselves. The human suffering also is something that should be remembered culturally in society and history. Auschwitz or Vietnam as a human individual and collective memory become a signal and event for such human suffering and at the same time a cultural memory which must remember in repetition. It will have a very important role especially as corrective function for the Christian church and theology, because they can take the memory to the world for heal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crisis and renewing their identity. In conclusion, it is clear to present the memory of suffering as cultural memory in order for it to be a healing category for overcoming social and historical victims, and in this way the Christian church plays the role as a messenger of redemption of such memory.

      • 조선후기 의병장 鄭文孚의 기억 양상

        김강식(Kang-Sik Kim)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국난 임진왜란을 극복하는 데 기여했던 정문부(鄭文孚)는 관북 지방 의병장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에 임진왜란 극복을 위해서 많은 공적을 세운 대표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조선후기에 의병장 정문부를 기억하는 모습을 붕당정치의 전개 속에서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직후 붕당정치 성립기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성리학 질서의 재확립과 실천이 시급한 문제였다. 이에 선조와 광해군 대에는 공신을 책훈하고 전쟁에서 활동하다 희생된 인물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의병장으로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쳐서 관북 지방을 지켜낸 정문부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올랐으며, 병조참판(兵曹參判) 등의 관직을 추증받았다. 본격적으로 붕당정치가 전개된 인조 이후에는 임진왜란 중에 성리학의 이념을 실천한 인물과 사례에 대한 발굴 작업을 통해서 지역사회에서 붕당의 기반을 다지고, 나아가 중앙정치에서 다른 붕당에 비해서 우위에 서려고 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이괄의 난에 연루되었던 정문부는 이원익(李元翼)의 추천으로 기복(起復)되었다. 정문부를 기리는 종성의 창렬사(彰烈祠)와 경성의 현충사(顯忠祠)가 창건되었다. 현종 때에는 창렬사에 사액(賜額)이 내렸다. 숙종 때 충의(忠毅)란 시호를 받았으며, 초간본 『농포집(農圃集)』이 간행되었다. 북평사 최창대(崔昌大)가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를 건립하였으며, 17세기 말~18세기 말에 창의토왜도(倡義討倭圖)가 그려졌다. 이때 집권 세력 서인 계열의 민정중(閔鼎重)의 활동이 주목되는데, 이는 앞서 북평사를 역임한 서인 이식(李植)의 노력을 이은 것이다. 임진왜란에 대한 전쟁의 기억이 희미해지고, 붕당정치가 폐해를 드러내면서 탕평정치와 세도정치가 전개되자, 임진왜란의 기억을 발굴하거나 재생하여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중앙정치에 다시 진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전개되었다. 정문부는 정조 때 충신으로 정표(旌表)되었으며, 부조(不祧)의 은전을 받았다. 또 임진왜란 때 북도에서 순절했지만, 아직 사당에 배향되지 못한 인물들을 추가 배향하는 과정에서 정문부에 대한 기억도 재생되었다. 정문부는 부령의 창암사(靑巖祠)에 배향되었다. 철종 때 편찬된 김경복(金慶福)과 이몽서(李夢瑞)의 실기 『속정충록(續精忠錄)』에 실린 「쌍포대첩도(雙浦大捷圖)」를 통해서 정문부 의병의 활약상이 재현되었으며, 철종 때 신도비(神道碑)를 후손들이 용인에 다시 세웠다. Jeong, Moon-boo, who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on many battles as the largest righteous army commander in Gwanbuk. Accordingly, he is widely known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has made a contribution to overcom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party polit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membering and transferring the main gate of the righteous army commander. Immediate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implementation of the Neo-Confucianism order was urgent at the national level because it was the time when the party politics was established. Accordingly, King Seonjo and the Gwanghaegun Army organized the figures who were active in the war by lecturing meritorious subjects. The main gate department, which defended the government-run northern region by performing a prominent role as a righteous army commander, was ranked first in the Seonmuwonjonggongsin and received various government posts, including various military affairs. After King Injo's full-fledged development of Bungdang politics, he tri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party in the community and gain an advantage over other party in central politics through excavation work on figures and cases that practiced Neo-Confucianism during the Imjin War. The main gate was posthumously awarded to Woo Chan-seong, and Changryeolsa Temple in Jongseong and Hyeonchungsa Temple in Gyeongseong were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a Buddhist monk was given to Changryeolsa Temple,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he wasgiven the title of Chungui-ran. The first edition of “Nongpojip” was published during King Sukjong's reign, and Choi Chang-dae of Bukpyeongsa Temple built the Bukgwan Battle Monument, and the subjugation of the uprising of map was painted from the late 17th to the late 18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emory of the war faded and Tangpyeong politics unfolded as the party politics revealed its harmful effects, efforts were made to regenerate the memori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o build a social foundation in the community and further lay the foundation for re-entry into central politics. During King Jeongjo's reign, the main gate department was marked as a loyalist and received a favor from the Buddhist monk. The main gate department was enshrined in Cheongamsa Temple in party politics. In addi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emory of the main gate was passed down in the process of additionally orienting figures who died in Bukdo, but have not yet been enshrined in the shrine. Various combat records and seven transmission maps are included in the practical skills of Kim Kyung-bok and Lee Mong-seo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and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in the main gate can be guessed through the Ssangpo Battle Map.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the memorial stone was rebuilt, but it remains in Yon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