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성기 시에 나타난 세계의 중심과 시적 공간 연구

        김교식 인문예술학회 2020 인문과 예술 Vol.-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the aesthetic meaning of Han Sung-Gi’s poetic literature by noting the center of the world and poetic space in Han Sung-Gi’s poetry, which was published form the 1950s to the 1980s. The raising of this problem is based on the fact that ‘image of road’ construction is closely linked to ‘poetic space’ in many of Han Sung-Gi’s work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Center of the World and poetic space in poetry of Han Sung-Gi are as follows. First, the poetic space of Mountain Road contains the natural feelings and the will to life of poetic subject. In this sense, Han Sung-Gi’s Poetry can be seen starting from pain and injury. The reason can be found in the loss of his hometown from the divided nations, the death of his wife, and the deterioration of his health. The world of the Han Sung-Gi’s poet is filled with loneliness and longing. Second, the poetic space of ‘causeway’ is often filled with a sense of skepticism or rejection of reality by critical civilization. The problem is that in the poem “mountain road”, if the self-discovery and reflection of the poetic subject were at the center of the poem, in the poem “causeway” it is expanding its poetic perception from the issue of ego to the outside world. In Han Sung-Gi’s poems, the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criticism can be found in the phenomenon of the blocking of nature and human beings, compromise with civilization, problems of pollution or population, and the restoration of love for neighbors and humanity. Third, the poetic space of sea route is constantly expressing feelings of sadness and circular world recognition. In Han Sung-Gi’s poems, the image of water appears as ‘water light’, such as sea, river, alcohol, tear and rain are causing the poetic subject’s sadness and sorrow. What the poetic subject regards the sea, as the object to longing for can also be seen by the emotion of sadness and sorrow. Han Sung-Gi’s poetry creates a sense of sadness and cyclical world recognition in the image of sea route and poetic space. Fourth, the poetic space of the “wind path” is dotted with the contents of truth beyond religious enlightenment, showing the path to the salvation of man and nature. Therefore, the image of the mountain road, causeway and sea route read in his poems and poetic space, are gaining identity and eternity through the fusion of large natural objects.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restoration of identity by unity of the poetic subject and nature, and achieve eternity by the acceptance of nature’s principles and laws. 본 논문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발표된 한성기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을 ‘세계의 중심’에 주목하여 한성기 시문학의 미학적 의미를 재고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한성기 시 작품의 다수에서 ‘길’ 이미지의 구축이 시적 공간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한성기 시에 나타나는 시적 공간과 세계의 중심에서 도출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길’의 시적 공간은 시적 화자의 자연 친화적인 정서와 생명에의 의지를 담고 있다. 한성기의 시 세계는 고독과 그리움의 정서가 배면에 짙게 깔려 있다. 그것은 조국 분단에서 비롯된 고향 상실과 아내의 죽음, 그리고 건강의 악화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성기의 시는 개인적인 아픔과 시대적 상처에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둑길’의 시적 공간은 현실에 대한 회의감이나 거부감이 문명 비판 의식으로 점철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제적인 것은 ‘산길’의 시적 공간에서는 시적 화자의 자아 탐색과 성찰이 시의 중심에 있었다면 ‘둑길’의 시적 공간에서는 자아의 문제에서 외부의 현실 세계로 시적 인식이 확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성기의 시에서 문명 비판 의식은 자연과 인간의 차단 현상, 문명과의 타협, 공해나 인구의 문제, 이웃에 대한 사랑과 인간성의 회복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바닷길’의 시적 공간은 비애의 정서와 순환적인 세계 인식을 끊임없이 표출하고 있다. 한성기의 시에서 물의 이미지는 ‘물빛’으로 나타나는데, 바다, 강물, 술, 눈물, 비 등은 시적 화자의 슬픔과 서러움의 정서를 유발하고 있는 시적 대상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적 화자가 ‘바다’를 그리움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 또한 슬픔과 서러움의 정서로 파악할 수 있다. 한성기의 시는 ‘바닷길’의 이미지와 시적 공간에서 비애의 정서와 순환적인 세계 인식을 생성하고 있다. 넷째, ‘바람길’의 시적 공간은 종교적인 깨달음을 넘어서는 진리의 내용으로 점철되어 있어서, 인간과 자연 존재의 구원의 노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시에서 읽히는 ‘산길’, ‘둑길’, ‘바닷길’, ‘바람길’의 이미지와 시적 공간은 커다란 자연물의 융합으로 동일성과 영원성을 획득하고 있다. 이는 시적 화자와 자연이 합일을 이루면서 동일성을 회복하고, 자연의 원리와 법칙을 수용하여 영원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하이쯔(海子)와 기형도(奇亨度)의 시적 세계관 연구

        김삼주(Kim Sam-j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아시아문화연구 Vol.18 No.-

        Ki, Heung Do's poetic persona aims to expose the misery and the overwhelming tragedy of realism. "The world has closed his eyes, broken, wounded, so dark and scary world". His outlook delves on the evil that dominates the world and is attributed from materialism and capitalism. His obsession in exposing this kind the reality in light of poetry is his conscious way of letting even the most odious thoughts flow artistically. Poetic truth of nature can also be found in unfamiliar with the writing, and he did not insist on physical retaliation. The courage to modernize the military dictatorship came about since the new leadership took place and so did the evils of capitalism and materialism surfaced and brought a terrible reality for the people in front of the worn-stricken 'street.' Indeed, even he had a poetic ideal, but he was no longer moving on to the utopian world of writing but as a throbbing burden. Although the era of his poetic world signifies dark poetry, the pain and atrocities were eventually replaced by terms of self-righteousness. It's rather the simplicity and beauty of the c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re the most celebrated realities of Ki, Heung Do's poetry. His poetic language longs for freedom. He criticized Capitalism and materialism. Although it may be pointed out that he did not easily promote conformity to a specific ideal. On the other hand, Hayijeu was crossing over, covering the boundaries of the reality and fantasy. His poems are liberal and able to stimulate the reader's imagination. Hayijeu's poetic language is difficult to comprehend. But Ki, Heung Do's poetic style provides an excellent description. They are brilliant representations of conflict, the ongoing political turmoil and social reality in response to the discovery of a new utopia.

      • 篁谷 李稱의 生涯와 詩世界 硏究

        姜求律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2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1

        16세기 조선의 위대한 두 知性인 퇴계와 남명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당대 사회와 국가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퇴계는 벼슬을 통하여 국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했고 아울러 수많은 제자를 길러내어 직접, 간접적으로 나라와 사회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남명 또한 벼슬을 하여 직접적으로 국가에 기여한 바는 없으나 여전히 당대 현실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개진하는 방법으로 일정하게 국가에 기여하였고 동시에 수많은 제자들을 길러내어 나라와 사회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이 두 지성인의 제자였던 篁谷도 일정하게 나라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본고는 황곡의 생애와 시세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시켰다. 황곡의 시세계는 첫째, 宦路에 진출하지 않고 자연에 은거하면서 자신의 분수를 편안히 여기며 自足自樂하는 삶의 자세를 말하는 安分自樂의 詩世界와 血肉間의 情을 대단히 소중하게 여기는 인간적인 면모를 지녔다고 하겠다. 특히 안분자락의 시세계는 황곡이 생애의 대부분을 宦路進出에 대해 별다른 뜻을 두지 않고 오로지 經學의 연구에 전심전력하였으며 또한 篁谷幽居라는 草亭을 지어 원근에서 찾아오는 학자들과 어울려 학문을 토론하고 당대의 名賢들과 道義로 사귀기도 하는 등의 사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혈육에 대한 정은 전란의 와중에 자신의 형제가 戰死 또는 病死하는 비운을 겪는 과정에서 더욱 증폭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혈육의 정은 말년에 남아있는 한 동생과 儉溪 위에다 草亭을 지어놓고 날마다 어울려 吟詠自娛하는 생활을 통하여 더욱 독실하게 유지하였다. 둘째는 戰亂의 慘狀描寫와 愛民精神의 시세계를 들 수 있다. 황곡은 당시 몸소 체험한 임진왜란이란 비극적 전쟁에서 수많은 백성들이 전란의 참화로 고통받는 현실을 목도하고 그들이 겪는 참상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전란을 초래하게 한 당대 위정자들에 대한 비판을 내면화시켰다. 그리고 전란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백성들의 삶에 대해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그들의 처지를 진심으로 이해하려는 따뜻한 시각과 자세를 소유하였다. 이러한 관심과 애정, 자세와 시각을 애민정신으로 승화시켜 그의 시세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으로 황곡의 시세계를 모두 다 드러내었다고는 할 수 없다. 다만 하나의 시작에 불과하다. 시세계의 또 다른 중요한 부분에 대한 규명은 앞으로 계속 연구를 진행하여 보완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남명의 제자이기도 하였던 만큼 남명의 영향에 대한 연구도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후일을 기대해본다. Toegye and NahmMyong, the great intellectuals of 16th century in JohSeon, made tremendous contributions to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nation in the many aspects. Toegye rendered great services to the nation by taking up a public office in the government an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 of nation and society through the students he had taught. NahmMyong didn't enter into public service, but set forth his views on the contemporary social issues to the political arena and also educated his own great number of students to have them serve the society and nation. Hwang Gok, a student of both Toegye and NahmMyong, added much to the advancement of society and nation. This paper centers on his life and poetic world. One aspect of his poetic world can be characterized as assuming not only a self-complacent attitude to the life but also humane characteristics of highly esteeming fraternal feelings. His poetic world of self-complacency can be identified in the fact that he spent most of his life in studying Confucianism with no intention of going into politics and discussing the contemporary academic and moral issues at the pavilion called Hwang Gok-Yougeh with high-profiled scholars visiting him from many parts of the country. His fraternal feelings were strongly incorporated into his poems when he went through hard times of losing his brothers in war or to an illness. His fraternal feelings were strongly harbored through his daily life of composing and reciting poems with his only brother alive at the pavilion built near the stream. Another aspect of his poetic world can be summarized as representing his spirit of taking great care of the people as well as picturing the disastrous scene of war. By vividly describing the terrible sights of war and many people's miserable condition he had watch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o JohSeon, he incorporated into his poems his criticism of contemporary politicians for resulting in the japanese invasion to the nation due to their negligence. He also had a warm heart to try to understand the people's pitiable situation with his deep concerns about their lives and affection for them suffering from war. Those spirits of his loving the people were incorporated into his poems and became his poetic world. It appears to me that the above argument is not enough to describe the whole picture of his poetic world. I believe that this study is nothing but a scratch. A close investigation into another important aspect of his poetic world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study of NahmMyong's influences on him should also be made with this at the same time because he was one of NahmMyong's students. I am looking forward to studying this in my future paper.

      • KCI등재후보

        언어-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 활성화 방안

        장창영(Jang, Changyoung)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5 No.-

        이 논문은 언어-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언어-문학영재들의 시적 언어능력은 어휘의 선별과 배치, 감수성과 직관력, 상상력과 창의력, 창조성과 실험정신, 형상화와 미적 완성도 등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언어-문학영재들이 지니고 있는 시적 언어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언어-문학영재들은 시적 언어능력을 작품 창작으로 체화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재확인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인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한다. 그러므로 때문에 언어-문학영재들이 시적 언어능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실체를 점검하고 단계화를 통해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1단계에서는 사고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정관념 해체, 장면 전환 대응 훈련, 어휘력 강화훈련을 시도하고자 한다. 2단계에서는 경험과 상상력을 구체화하는 표현력 강화훈련과 시야 확장 훈련을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자아 만족감, 원활한 대인관계 형성, 지속성 강화훈련을 시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언어-문학영재들은 상상력의 무한 확장, 언어 표현력의 확장, 정서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심리 변화, 잠재능력 개발에 따른 자아 성취감 형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시적 언어능력 개발과 관련한 요소들은 언어-문학영재들이 언어를 매개로 하여 자신 및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장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시적 언어능력 활성화 방안은 언어-문학영재들에게 그들에게 주어진 기회이자 또 다른 가능성을 만나기 위한 우리의 미래 성장 전략이기도 하다. This paper considers about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application plan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 and this meaning.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acts in the sorting of the vocabulary and arrangement, susceptibility and intuition abil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creativity and experimenting spirit, and patterning and aesthetical percentage of completion compositively. In this paper, the concrete stratagem developing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which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rry in 5 sides tried to be devised.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have some unique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at accumulate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with the creation of works, and reconfirm and materialize their own cap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rocess of intensifying the ability through the leveling in order to activate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In the first step, the pliability of thought, fixed idea dismantling, and vocabulary intensified training are attempted. In the second step, the power of expression intensified training and view expansion training are progressed to materialize the experience and imagination. In the final step, the euphoria can be promoted at the writing process by implementing the self satisfaction expansion,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 with a mentor, the psychological balance sense is maintained with the power of expression Through this,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n expect the feeling of self accomplishment formation by the unlimited expansion of the imagination, the expansion of the ability of lingual expression, the emotional sense of stability,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latent faculties development, and etc. The elements related to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enlightenment looked into in this paper have the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y are the devices which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n communicate with themselves and world by the medium of the language. In addition to that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activation plan is not only the obligation given to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but also our investment to meet the another world.

      • KCI등재

        김우진 시의식 고찰

        김낙현(Kim, Nak-hyeon)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9

        본고의 목적은 김우진의 시의식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김우진의 시의식은 ‘유교적 전통에 대한 거부와 순응의 태도’,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 ‘죽음의식과 그 역설적 의미’ 등으로 전개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가부장적인 부친의 엄격한 태도와 일본 유학시절 김우진이 심취했던 표현주의 영향에 의해, 그가 유교적 전통과 인습에 대한 강한 저항과 거부의 태도를 보인 것으로 논의하였다. 그러나 전통과 인습에 대한 김우진의 태도를 단선적으로 저항과 거부의 태도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여러 작품과 일기 등에서 유교적 가정에서 장남으로 태어난 김우진은 유교적 도리를 실천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자아와 세계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했던 김우진은 특히 자신의 꿈의 원천이었던 어머니라는 매개체를 통해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려는 시의식을 드러낸다. 5살 때 여읜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동경은 김우진을 더욱 더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으로 이끄는 강렬한 기폭제가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 부재한 어머니를 통해 새로운 세계에 도달할 수 없기에, 결국 김우진은 절망으로 치닫게 되며 이는 곧 죽음의식으로 나아가는 결정적인 동인이 된다. 김우진 시에서 죽음이란 단순한 육체적인 생의 마감을 뜻한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죽음이란 곧 새로운 생의 시작이고 그 죽음을 통해 영원한 안식과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역설적인 의미를 뜻한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김우진의 고고한 역설적 진리는 결국 그가 29세의 나이에 스스로 생을 마감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시의식을 살펴보면, 김우진은 희곡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오히려 그의 삶과 문학은 시에서 보다 더 잘 표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development on the Kim Woo-Jin’s poetic consciousness. The poetic consciousness of Kim Woo-Jin is unfolded into ‘disapproval and conformity to Confucian tradition’, ‘admiration and longing for a new world’, and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paradoxical meaning.’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he shows strong resistance and rejection to Confucian tradition and conventions due to his patriarchal father’s strict attitude and the influence of expressionism that Kim Woo-Jin engrossed during his study abroad in Japa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Kim’s attitude toward tradition and convention cannot be explained only by his attitude of resistance and rejection. Rather, Kim Woo-Jin, who was born as the eldest son in Confucian families shows an attitude to practice Confucian doctrine in his various works and diaries. Kim Woo-Jin, who constantly conflicted between himself and the world, reveals his poetic consciousness of moving into the new world, especially through the medium of his mother who was the source of his dream. The longing and admiration for his mother, who died when he was five years old, becomes a powerful catalyst for Kim Woo-Jin for a new world even more. However, as Kim cannot reach the new world through her absent mother in real life, he eventually goes to despair, which is the decisive driver of the awareness of death. In Kim’s poem, death does not mean the end of a simple physical life. In his poem, death means the paradoxical meaning that it is the beginning of a new life, and by its death it can obtain eternal rest and salvation. Kim Woo-Jin’s paradoxical truth about death eventually served as a factor that led him to end his own life at the age of 29. Examining his poetic consciousness, Kim Woo-jin is widely known as a playwright, but his life and literature are better expressed in poetry.

      • KCI등재

        김우진 희곡의 시극 가능성 연구

        손필영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4

        This study searches for the new aspects of Korean poetical drama through discovering how Kim, Woo Jin's drama work, created through his transcendental artistic perception, shows the possibility of being poetical drama and exploring how Kim's work are different from other poetical drama during the same era. The basis of how Kim's play has potential of being categorized as a poetical drama is that when he wrote <Wild Boar>, he kept rhythm in mind, and presented rhythm, flowing throughout the work, to a drawing. Kim showed a world that cannot be reached through logic by showing reconciliation and infinite possibility as a symbolic image at the conclusion reached through rhythm. In addition, Kim derived his work through rhythm using music or poem not only in <Wild Boar>, but also in his other work such as <Midday>, <Disillusionment of the Poet in Rags>, <Yi Young Nyu>, and <Wrecked> where images formed with rhythm were found. This clearly reveals Kim's spiritual world, trying to surpass ordinary and secular world. Rhythm is created through the conscious of the person trying to create the rhythm and thus, the rhythm in the poem and play means more than the systematic combination between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the work. The conclusion of the work <Wild Boar>, <Wrecked>, and <Yi Young Nyu> reveals writer's consciousness which seeks values that surpass the reality, allowing the readers to feel the momentary religionism that Eliot seeks in the poetical drama. Kim Woo Jin's play written during the beginning of the modern drama era, can be viewed as an autogenous poetical drama which combine poem and play by the writer's internal desire. 김우진의 선험적인 예술인식으로 창작된 극작품이 어떤 면에서 시극의 가능성을 지닐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김우진은 <산돼지>를 쓸 때 리듬을 염두에 두고 극 전편에 흐르는 리듬을 그림으로까지 제시했고 극의 리듬으로 도달한 결말에서 시를 통해 화해와 평온을 상징적 이미지로 나타내 논리로 다가갈 수 없는 세계를 보여주었다. 이외 그의 모든 극작품도 감정의 극치에 자연스럽게 다다를 수 있도록 리듬을 이루는 반복으로 구성되었다. <정오>는 식민지 현실의 분노가 한 여름날의 정오의 열기로 드러나 이 상황이 반복 될 것이라는 것을 극형식으로 보여주었다. <두데기 시인의 환멸>에서도 반복되는 주인공 시인과 신여성의 갈등이 마지막에는 자신들의 모순을 희화화하여 스스로를 폭로시킴으로 당대 해결해야할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영녀>에서도 영녀의 유린당하는 삶이 노동자로, 수탈당하고 모욕당하는 삶으로 가난한 재혼 여성의 병든 모습으로 동일한 주제가 병렬구성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난파>에서도 표현주의 극 형식인 정거장식 구조를 통해 자아 탐색 과정이 반복되다 순간적으로 ‘난파’라는 결말에 도달된다. 김우진은 내용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노래나 시로 극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리듬으로 극을 구성하였고 비가시적 세계를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일상성과 세속성을 뛰어넘는 정신세계를 드러내었다. <산돼지>, <이영녀>, <난파>의 결말 부분에서 드러난 이미지는 현실을 뛰어넘어 순간적으로 종교성마저 느끼게 한다. 김우진의 희곡은 태생적으로 시인인 김우진의 기질이 반영되어 시적인 요소를 담을 수밖에 없었고 개념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본질적인 차원에서 시극의 면모를 지닌다.

      • KCI등재

        앙리 보스코 소설에 나타난 인간 실존의 차원과 시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 -소설 『말리크루와』(Malicroix)를 중심으로-

        김동윤 ( Kim Dong Yo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6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중반 프랑스 문단에서 크게 주목받았던 앙리보스코의 주요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문학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인 『말리크루와』 (Malicroix)는 앙리 보스코의 작품 가운데 완성도가 높은 수작(秀作)이다. 거대한 자연현상과 공간에 대한 깊은 관조, 내면의 움직임과 심리 묘사, 존재의 다양한 층위와 환상성의 테마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물·불·공기·대지 등 근본원소로서 구성되는 세계에 대한 주인공 화자의 감수성과 내면의 심리가 매우 짜임새 있고 묘사 또 한 정치(精緻)하다. 작품은 거대한 대지와 강(카마르그와 론 강), 거센 바람 등에 맞서는 한 인간의 실존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실존적 모습은 주인공(마르시알 메그레뮈트)의 깊은 내면의 운동성과 변주된다. 그리고 내면에로의 탐험은 관념이 아니라 자연현상에 대한 감각적 경험으로 묘사된다. 주인공 마르시알이 보여주는 내면의 탐험은 개인사적 차원을 넘어서 거대한 자연현상과 그것에 대한 존재론적 추구로 나타난다. 보스코의 내면의 탐험은 단순한 어린 시절로의 회귀가 아니라 자연의 근원적인 모습과 까마득한 기억의 깊은 우물을 천착하는 과정과 유사하며, 시원(始原)에 대한 갈망은 두려움과 외경의 마음으로 경험된다. 여기서 시원에 대한 갈망은 명확히 규정할 수 없는 존재와 신비감에 대한 갈망이기도 하다. 화자는 거대함과 불투명성, 불확실성 등으로 표현되는 존재 앞에서 두려움에 전율하면서 그것과 하나가 되려는 경향을 보여준다. 거대한 존재와 혼융하려는 주인공이 현실과 초현실을 넘나듦으로 서 환상성의 테마가 동시에 나타난다. 보스코 문학의 환상성은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소멸, 초자연적인 현상, 이상한 느낌, 실존적 불안을 시적 차원으로 승화시키는 서사기제로 기능한다. 거대한 존재와 혼융하려는 시도는 주인공에게 공간과 대지에 대한 상상력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존재의 열림이나 영성적 차원으로 심화한다. 영성을 추구하는 주인공은 어둠과 암흑을 뚫고 빛에로 나아가며 빛은 모종의 존재의 계시이며 절대적 정신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영성과 신비감은 종교의 차원이 아니라 낭만주의 문학의 감수성으로부터 영향 받은 것으로 보인다. 낭만주의가 말하는 세계를 인식하는 적극적인 방식이란, 내면의 심연으로 침잠하여 각자의 리듬이 보다 커다란 보편적인 리듬과 조응하는 관계를 내면적으로 깊이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내면의 세계에 대한탐구는 인간 실존에 대한 깊은 관조와 인식에서 비롯되고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인간 실존의 국면을 깊이 의식하는 화자는, 그가 마주하는 근본적인원소로 구성되는 세계를 거대한 열림으로 받아들인다. 거대한 열림에 대한 그의 열망은 내면성으로 경험되며 이로부터 독창적인 시적 서사로 표현되는 실존의 지평이 전개된다. 한마디로 주인공 화자의 실존적 태도가 공간의 현상학, 감각적 존재론, 시적 상상력, 영성과 성스러움의 차원과 깊이 관계 맺고 있다는 점이 이 소설 『말리크루와』의 큰 미덕이라 할 것이다. 전후 매우 혼란한 정치 사회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실존과 존재와 근원에 대한 깊은 사유를 보여준 보스코의 소설은, 시적 세계의 소멸과 실존적 사유의 빈곤을 목도하고 있는 오늘의 척박한 삶의 상황에서, 새롭게 재조명되어야 할 충분한 문학적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how the dimension of human existence will be constituted through the poetic imagination in Henri Bosco`s major literary work Malicroix. Even though this work contains an abundant richness about the question of human existence faced with a harsh condition of nature, this topic remains till now barely exploited in term of literary research. Indeed, in this fictional text, nature appears first of all as a violent and threatening entity rather than a mild, docile one to allow for hardships to human living condition. The unwelcoming world with which the narrator is struggling to survive can be said a geological world founded on cosmic universal elements (water, air, fire, earth) in the phenomenological sense of Gaston Bachelard. The narrator facing the world to which human beings are not welcome plays the role of a solitary protagonist like a romantic hero in absolute silence. With such an `etat d`ame` (state of soul), human existence is being inscribed into the dimension of being, but we are not able to define exactly its stretch of meanings. In revealing by itself through the fictional text, this existential dimension is being unfolded through particular temporal aspects: waiting and slowing down over the time. As a central theme, the very contemplative act of waiting can be interpreted as its fundamental levels: for instance, ethical, metaphysical and especially ontological ones. If these aspects are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what we call human existence, the theme of waiting is quite similar to the dimension of being in the Heideggerian sense. As for an example, the narrator`s stay in the absolutely desert place (the isle of Camargues in Provence) seems to be a way of waiting in search of the meaning of life and human existence. Therefore, we can say the act of waiting in this work is no more than a creative moment free from boredom (ennui) and anxiety upon which human condition is based, according to Blaise Pascal. In other words the act of waiting as a way of human existence is open up onto all possibilities of the events; it could be also an expression of a strong desire to live authentically a span of time with neither worries nor anxiety. However when waiting and living timeless moments within the terrible silence, the narrator tends to be fused with the cosmic and elementary world: in this context suddenly appears the theme of dissolution of self into the fantastic world. The making use of the fantastic themes in Bosco`s fiction seems to be evident as far as the loss of the narrator`s identity goes: fusion of the self with the being sealed in nature. So we might say that material imagination out of the profundity of space and silent immensity as well prevails over Bosco`s fictional text. The world of cosmic elements as a narrative background of Malicroix can be also a geological world from which poetics will be unfolded in full swing.

      • 徽菴 李冑承의 生涯와 詩世界의 몇 局面

        姜求律 ( Kang Koo-youl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6 지역문화연구 Vol.5 No.-

        This paper is on the study of Whyam(徽菴) Lee-Juseung's(李冑承) life and the several aspects of his poetic world. He lived to be a seventy seven years old. He lived in the country, so called Jecheon(堤川) city. When he was young, he studied hard to be a confucianist and at last became a great scholar. Instead of taking a job in the government, he remained as a distinguished scholar out of office and made an effort to fulfill his duty. When his nation met with destruction, he gave up everything and was engaged in the justice army. But he acted on indirect method instead of direct resistance. Finally, his nation met with liberation. He lived in the independent nature and died a natural death in his native place. I looked into his chinese poems and could find four aspects of his poetic world. In a nutshell,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his poetic world shows the critical attitude to the reality of colonial period. He accurately recognized his age and correctly diagnosed the reason to such actuality. So he had a clear recognition of removing the reason issues from his actuality of the age. Secondly, he was interested in the encouragement of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his younger students. He thought that students were our future, therefore, we must excellently teach them to serve their nation and history. In this chapter, we see that he emphasized with great concern the importance and pleasure of learning to his students. Thirdly, he was interested in farming and loved to his nation's people. Farming was people's life and foundation. In the colonial period, people must make an effort to live and farming was an important survival method. He loved his nation's people suffering from the difficulty they had faced under the colonial rule. He recognized this was a confucianistic scholar's duty. Finally, he was greatly concerned about the mood of country life. He took part in poetic meeting and composed a poem with his companion poets. He occasionally went fishing in river with his comrades. That was seemingly well expressed in his work. I am looking forward to studying this more deeply in our academic world and also to other scholars' heavy researches into this matter.

      • KCI등재

        김현구 시 연구

        임환모(Lim, Hwanmo)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4

        이 논문은 강진의 시문학파 동인인 김현구의 시세계와 미의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김영랑이나 정지용의 시와 어떻게 다른가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의 시가 가지고 있는 시적 형상화의 원리와 방법을 치밀하게 탐색해야 할 것이다. 현구의 시는 기본적으로 땅찔래꽃의 눈물처럼 애틋하면서도 새아씨 웃음 같이 걷잡을 수 없는 역설적인 세계이다. 눈물과 웃음이 공존하는 마음의 세계가 그것이다. 똑같은 시공간에서 느끼는 봄이라도 그 속에서 기쁨과 생명의 물결을 보기도 하지만 동시에 옛 설움을 자아내는 물레를 보기도 한다. 시인으로서의 현구는 꽃이 피고 지는 그 순간에 불생불멸의 높은 경지인 ‘빛나는 설움’을 경험하지만, 생활인으로서는 슬픔에 젖어서 외롭게 울고 있는 검정 비둘기(玄鳩)일 뿐이다. 과거의 기억이나 가난, 또는 자신의 성격이 슬픔과 고독의 원인이기도 하지만 현구는 그것들 속에 ‘마음속 빛나는 길’을 마련한다. 그는 현실의 비애를 극복하는 삶의 방편으로 시를 썼다. 자신이 시적 대상과 만나는 순간에 경험하는 황홀과 희열을 순간의 아름다움으로 형상화 하고 있는데, 그 시적 방식은 김영랑처럼 마음의 공명이 끝나고 나서 그것을 한 폭의 동양화처럼 이미지화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공명과정 그 자체에서 섬세하게 움직이는 마음의 변화를 포착하여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현구가 ‘내마음’의 세계에서 물오리처럼 잠방거리면서 시를 쓰는 행위자체가 자신의 넋을 기쁘게 하고 황홀을 경험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그에게 시 쓰기는 존재의 이유이자 삶의 탈출구였던 셈이다. 예술시로서의 서정시 의 모범을 보여줄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순간의 미학이 구체적인 형상성을 얻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현구의 시세계와 시적 태도가 영랑이나 지용과도 구별되는 독특함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면, 현구를 시문학파의 아류쯤으로 치부하는 기존의 평가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poetic-world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Kim, Hyungu who was active in as a coterie of Simunhakpa. We need to search for the principles of methods of poetic figuration of Kim’s poems elaborately in order to verify that Kim’s poem differ from Kim, Youngrang and Jeong Giyong. Hyungu’s poem is basically the paradoxical world that is pitiful like tears of terra-multiflora, yet is unable to get out of hand like laughter of new-mistress. That is world of heart where is a melting pot of tears and laughter. Even if the feeling of spring in same time and space, Kim show a wave of joy and life too, but at the same see the spinning wheel out the old sorrow. Hyungu as poet had gone through shining sorrow of the high ground of the immortality at the moment of the flower blooming and falling. But to remain to him as personal life was black dove crying lonely grief-wet only. He found a shinning way in mind in the midst of memories of the past, or poor, sadness and loneliness. He wrote poem as a way of life to overcome the sorrow of the real world. He had given shape of ecstatic and orgasm that are experienced moments meet with the poetic subject. His poetic method is to express figuratively with picked up a delicately moving a change of mind of the resonance process of the heart. It is differ from Youngrang’s poems which did imaging like of oriental painting after the resonance width of the heart. Writing poem was his reason for being and escapeway to him for to write poem was the act of pleasing his soul and experience the ecstatic. The reason why his poem was able to show as an example of the lyric, the aesthetics of this moment had a concrete figurativity. Therefore, Hyungu’s poetry and poetic attitude have a unique feature to distinguish from Youngrang and Giyong. We need to sublate the existing valuation that his poem is a poor imitation of Simunhakpa.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시적 현실’의 문제

        유영희(You, Young-hee) 우리말글학회 2024 우리말 글 Vol.101 No.-

        이 연구에서는 문학교육에서 현실과 관련한 부분들이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반성적으로 고찰하면서 현대시교육에서 ‘시적 현실’을 가르칠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적 현실은 리얼리즘 이론과 관련하여 애매한 범주에서 이해되고 규정되어 왔다. 시적 현실이 점점 더 다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얼리즘 이론에만 매몰되어 구체적이고 발전적인 논의를 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그러므로 시적 현실을 다큐 세계, 허구 세계, 가상 세계로 나누어 재개념화하고 각각의 시적 현실을 시 텍스트와 관련하여 재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통해 시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한 축인 시적 현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더욱 깊이 있는 감상이 이루어지리라고 기대해 본다. In this study, I reflectively examined how aspects related to reality are being taught in literature education. Additionally, I explored ways to teach ‘poetic reality’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Poetic reality has been ambiguously understood and defined in relation to realism theory. Given the increasing diversification of poetic reality, it is problematic to be confined solely to realism theory without engaging in concrete and progressive discussions. Therefore, this study reconceptualized poetic reality by dividing it into the documentary world, the fiction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Furthermore, I proposed methods to reconstruct each type of poetic reality in relation to poetic texts. Through this approach, learners will be able to grasp the important aspect of poetic reality in understanding poetic texts, leading to a deeper appreciation of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