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일치수준과 자녀 놀이몰입 간의 관계 분석

        김성숙(Kim, Sung suk),서현아(Soe, Hyun ah)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6

        본 연구는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일치수준과 자녀 놀이몰입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아 293명과 그들의 부모 293명을 대상으로 놀이참여와 놀이몰입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자녀 놀이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자녀 놀이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일치 집단이 불일치 및 낮은 일치 집단에 비해 자녀 놀이몰입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놀이몰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유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이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향후 유아 놀이몰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agreement and infants’ play immersion. Accordingly, we measured the level of play participation of 293 parents and 293 infants’ play immersion using related measur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higher level of play immersion in infants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play participation. Second,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higher level of infants’ play immersion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Third, the congruent group with a high level of father and mother play particip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infants’ play immersion than the incongruent and low concordanc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r increasing infants’ play immersion, the level of parental play participation must consistently be high.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infants’ play immers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놀이선호도와 참여도에 따른 사회성 연구

        박선자 ( Sun Ja Park ),한상우 ( Sang Woo H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본 연구는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놀이 선호도와 참여도의 상관성과 놀이 선호도와 놀이 유형별 참여도가 사회성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연구되었다. 첫째, 성별에 따라 놀이 선호도와 참여도를 살펴보며 종합놀이, 창작놀이, 상상놀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탐구놀이, 학습놀이, 대 근육놀이에서는 남녀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전체에서는 남녀의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요인 안정성 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놀이 선호도에 따른 놀이 참여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각 놀이에 대한 선호도는 그 놀이에 대한 참여도를 높여 주고 있다 (p<.05). 넷째, 놀이참여도에 따른 사회성과의 상관관계는 놀이 선호도 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p<.05). 다섯째, 놀이선호가 사회성과의 관계를 설며하는 회귀분석 모형 1에서는 0.53%(R2 =.053, F=1.27, p>.05)의 영향을 설명하고 있지만, 모형 1을 추가한 놀이 참여도 분석 모형 2에서는 놀이에 대한 참여도와 사회성과의 관계는 20%(R2=.203, F=2.776, p<.01**)의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의 놀이 활동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남학생들이 선호하고 자주 참여하게 되는 상상놀이 활동은 다른 놀이유형에 비해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력이 작용될 수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합놀이와 창작놀이 활동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 하여 올바른 사회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체계와 관심이 요구되어 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red play and participation, soci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ubjects consisted of male students 75 people, female 69 people. Depending on the gender play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was looking at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ve play, creative play, imaginative play(p<.05).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explore play, learn play, gross motor play. The sociality was no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but safety factor (sub-item)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5).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play participation and play preferences, preferences of each play was giving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hat play(p<.05). Participation in any play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entire sociality, imaginative play participation was confi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activities. In addition, six kinds of sub-elements of the three items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participate in imaginative play that(reliability and diligence, compliance) was found activity to have lowest social relevanc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of play and socialit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play preferences(p<.05). In regression model 2, participation of play showed the explanatory power 20%(R2= .203, F=2.776, p<.01**) influenced on sociality. In conclusion of play activities for elementary students varies depending on gender, especially imaginative play activities that boys often prefer to participate may have a negative impact may be applied to social development compared to other types of play. Therefore, students in general play and creative play activities, voluntary participation is required by the education system and are interested to promote proper social skills.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최혜순(Choi Hye-Soon),김찬숙(Kim Chan-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3~5세 유아 236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학급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을 평정하였으며, 가정에서의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은 부모용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을 놀이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부모가 신체놀이, 역할놀이, 기능놀이에서의 참여수준이 높을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 역할놀이, 기능놀이 수준이 높은 경우, 어머니의 경우 역할놀이의 참여수준이 높은 경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부모의 신체놀이 참여 수준과 유아의 행동억제와 정서성이, 부모의 역할놀이 참여수준과 유아의 행동억제가, 부모의 기능놀이 참여수준과 유아의 정서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 시간이 많을 때 자기조절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유아의 행동억제가 부모의 놀이참여 시간이 많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studied how parent’s play participation level and duration affecte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236 children at age between 3-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For the study, self-regulation ability of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play participation level and duration were recorded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self-regulation ability of childre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ents’ level of participation. In terms of different types of play, child showed higher level of self-regulation when parents showed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play, role play, and functional play. Moreover, higher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ole play and functional play, and higher participation of mothers in role play is correlated with higher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ir children. In terms of sub categories of self-regulation, parents’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play and children’s ability of behavior and emotional control;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role play and behavior control;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functional play and the emotional control are related to each other. 2) Children exhibit higher self-regulation when parents participate in play for longer duration. Among the sub categories, children show better behavior control when the parents participate in play for longer duratio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소라 ( Moon So-ra ),황혜정 ( Hwang Hye-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3

        본 연구는 만 3, 4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한 후,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도,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이 있었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원시 A, B유치원에서 만 3, 4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며, 실험집단은 6주간 주 2회씩 총 12회기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기 놀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놀이를 지지하는 놀이지지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놀이참여 전체 및 상호작용이 있는 놀이, 신체를 활용한 놀이, 정형화된 인지구성 놀이의 참여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의사소통능력 중 부정적 의사소통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녀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민주적 의사소통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점차 변질되어 가는 부모의 유아기 놀이에 대한 신념을 바로잡고, 부모의 놀이신념 및 참여, 의사소통능력의 증진을 위한 이론적인 내용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ose a play-based parent-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for mothers of children aged 3-4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gram on mother`s belief in play,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and positive communication skil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mothers (20 persons in the test group and 20 persons in the comparison group) who had children aged 3 and 4 in A and B kindergarten in Suwon City. The test group attended a play-based parent-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for 6 week(a total of 12 sessions, 2 sessions per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la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lief in play which leads t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lay in early childhood and supporting play. Second, pla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 ha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total mothers`s participation in play, and mother`s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play, play using body, and formal cognitive play. Third, pla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negative communication ability among communication ability but it promoted democratic communication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ect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suggested a concrete and practicable educational method, not just theoretical contents, for correcting the parents` belief in play which becomes deteriorated in a modern society and improving the parent`s belief and participation in play and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유아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형신 ( Park Hyoung-shin ),김정주 ( Kim Jeong-j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아버지-유아 간의 친밀감을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K, J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242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목적과 응답방법에 대한 안내지를 포함한 질문지를 가정에 배부하여 놀이참여도와 아버지-유아 간 친밀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관한 자료를 담임교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모형(mediation model)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버지의 놀이참여는 아버지-유아 간의 친밀감을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자녀와의 친밀감이 유아의 놀이에 대한 사회·정서적 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on child’s play flow and peer play behavior mediating through father-child intimacy. For this purpose, 242 children and their fat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 city and J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Play participation and father-child intimacy were collected through father, and child’s play flow and peer play behavior were collected through homeroom teacher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model using Hayes(2013) PROCESS macro was tested. As a result, father’s play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lay flow and peer play behavior of children mediating through father-child intim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ther’s play participation and intimacy with childre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of children’s play.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ther’s parenting role to influence child’s play. It is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reinforce these variables considering that the child’s play satisfaction and healthy play behavior can be induced as father’s play participation influenced th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 child.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의 조절효과

        김정수(Jung Soo Kim),황혜신(Hae Shin Hw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만 3, 4, 5세 유아 230명과 그들의 아버지 230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아버지의 놀이성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 아버지의 놀이성,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은 아버지의 자기보고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버지의 놀이성은 유아의 자아탄력성,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유머감각은 유아의 주도성, 유아의 자기통제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재미탐닉은 유아의 애착, 유아의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은 아버지의 익살스러움과 유아의 주도성 간 관계, 아버지의 유머감각과 유아의 주도성 간 관계 그리고 아버지의 재미탐닉과 유아의 주도성 간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아버지의 익살스러움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계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버지와 유아가 주로 놀이를 통해 상호작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아버지의 놀이적 성격에 중점을 두었으며,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임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layfulness on children’s ego-resilience, as well as whether fathers’ play participation time moderated that relationship.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1) How is the relationship among fathers’ playfulness, children s ego-resilience and fathers’ play participation time. (2) Does the fathers’ playfulness affect their children’s ego-resilience. (3) Does the fathers’ play participation tim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their children’s ego-resilience. Methods The participations were 230 fathers of 3, 4 and 5-year-old. Fathers were asked to fill in the questionnaire on Fathers’ playfulness, Fathers’ play participation time and Children’s ego-resilience.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Results First, fathers’ sense of hum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initiative, self-control and concerned behavior. and fathers’ enjoy silli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attachment and initiative. Second, fathers’ play participation tim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fun-loving-children’s initiative, their sense of humor-children’s initiative and their enjoy silliness-children’s initiative. Fathers’ play participation time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fun-loving-children’s concerned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thers’ playful character, considering that father and their children interact mainly through play.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fathers’ playfulness is a direct factor in enhancing the children s ego-resilience. Play participation time, accompanied by the father s positive play personality traits, affects the children’s ego-resilience, and emphasize that the fathers’ helps the children overcome healthily external factors that can be encountered as they grow up.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최진숙(Choi, Jin-Suk),곽경화(Kwak, Kyeong-Hw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전체 및 하위요인인 민감하게 놀기, 반응적으로 놀기, 즐겁게 놀기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는 부모의 인식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의 하위요인 중 민감하게 놀기와 반응적으로 놀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자아존중감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Also this study is to debunk how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For this study,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250 children who aged from 3 to 5 and 500 their parents who were registered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North Jeolla province. As a result, first, sensitive playing, responding playing, fun playing that are part of or whol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Second, Depending on the parents perceptions, the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created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ird, the gradual returning analysis shows that as cause elements, sensitive playing and responding play that are part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parent education that would support to know how to participate in play and the importanc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 KCI등재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김명순 ( Myoung Soon Kim ),조항린 ( Hang Rin Cho ),박영림 ( Young Lim Park ),신혜영 ( Hye Young Sh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유아 부모의 가정에서의 놀이참여의 실제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3곳에 재원 중인 유아 총 287명(남아 148명, 여아 139명)과 그 유아의 부모 287쌍으로 하였다.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le과 Mendez(2006)가 제작한 부모 놀이신념 척도(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이한별(200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놀이참여 횟수 및 시간은 연구자들이 직접 고안하여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tevenson, Leavitt, Thompson과 Roach(1988)의 놀이 유형과 이숙재(1984)의 놀이참여 단계를 참고로 원희영(1998)이 제작한 부모용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유아 부모의 놀이신념은 ‘놀이지지’ 신념이 ‘학습중심’ 신념보다 전 연령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자녀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는 반면, ‘학습중심’ 신념은 만 3세 보다 만 4세 부모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녀와 더 빈번히 놀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더 어린 연령 자녀와의 놀이참여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있어 구성놀이와 기능놀이에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고, 교수놀이, 게임놀이와 역할놀이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다. 또한 구성놀이에서는 만 3세 부모가 만 5세 부모보다 놀이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교수놀이에서는 만 3세 아버지가 만 5세 아버지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넷째, 부모의 놀이신념 중 ‘놀이지지’의 점수가 높은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많은 시간, 높은 수준의 놀이를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습중심’ 놀이신념 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적은 시간, 낮은 수준의 놀이를 하고, 놀이하는 횟수 또한 적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liefs about play and actual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play. Study subjects were fathers (N=287) and mothers (N=287) whose children were across 3 years through 5 years. The parent reports were used to investigate parents` beliefs, frequency of playtime as well as playtime with their children per week. Parent beliefs about play was evaluated using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Fogle & Mendez, 2006) and each parent completed the play participation questionaire devised by Stevenson and his colleages(1988). Findings from the study demonstrated as follows; (1) Both par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play support describing enjoyment of play than academic focus reflecting an emphasis on academic skills. (2) Father-child and mother-child play varied in quantity, hence each parent spent more time with younger children on play. (3) Fathers engaged in physical as well as functional play, whereas mothers took part in instructive play differed by parent gender. (4) Parent play belie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volvement in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play level of them.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 that parents should have play belief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with their child.

      • KCI등재

        어머니 양육참여와 아버지 놀이참여가 자녀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지인(Lee, Ji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양육 참여와 아버지의 놀이 참여가 유아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첫째 주에 B광역시에 소재한 유아 부모 38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배경,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 참여와 아버지의 놀이 참여는 유아 미디어중독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두 변인 중 어머니의 양육 참여가 아버지의 놀이 참여보다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어머니 양육 참여와 아버지 놀이 참여의 하위 변인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발달지원 참여, 아버지의 상징놀이 참여가 유아 미디어 중독을 떨어뜨리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두 변인 가운데 어머니의 발달지원 참여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 미디어중독을 해소하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유아를 길러내기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 참여, 아버지의 놀이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play to infant media addic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research purpose I anylized the general backgrou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385 parents of infant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ther 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father s participation in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infant media addi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mong the two variables, mother s participation in parenting had a higher influence than father s participation in pla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variables of mother-parenting participation and father s play participation, mother s participation in developmental support and father s participation in symbolic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infant media addiction. And among the two variables, the mother s participation in developmental support had a greater influ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mother 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father s participation in play are necessary in order to resolve media addiction to infants and raise mentally healthy infan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Su Jin Kim),김보현(Bo Hyun Kim),이수진(Su Ji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만 3세~5세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놀이지원 실천역량, 놀이학습공동체 참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을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놀이지원 실천역량의 하위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놀이학습공동체 참여는 놀이지원 실행, 놀이지원 평가를 높이는 데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분석되었지만 놀이지원 계획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놀이지원 계획, 실행, 평가에 미치는 설명력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놀이학습공동체 참여는 놀이지원 계획보다 놀이지원 실행과 놀이지원 평가를 더욱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주도성과 자발성이 존중되는 놀이 진행을 위해서는 유아교사들의 놀이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lay learning community on their ability to practice play support.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homeroom teachers aged 3 to 5 who a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data related to play support practice capacity and participation in play learning communities were colle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lay learning community on play support practice competency. analysis was performed. them. Result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lay learning community on the play support practice competenc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the play support practice competency. Participation in play-learning community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increasing play support execution and play support evaluation, but the effect on play support planning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lanatory power on play suppor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play learning community was found to explain play support execution and play support evaluation more effectively than play support pla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y learning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to be activated in order to proceed with play in which the initiative and spontaneity of infants are res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