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자유 발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의 음소 전이 빈도

        신지영(Jiyoung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정상적으로 구사하 는 성인 화자들의 자유 발화를 수집․전사하여 한국어의 자유 발화에서 관찰되는 음소 전이 빈도 (두음소 빈도) 정보를 살펴보고, 체계적으로 기술하여 한국어의 말소리 관련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 는 것이다. 음소 전이 빈도에 대한 이러한 지식은 한국어 화자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어의 기본적인 지식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식을 체계화시키는 작업은 기초 연구로서 반드시 필요하다. 방법: 서울 방언을 구사하는 성인 57(남 28, 여 29)명의 자유 발화를 수집하고 이를 음성 전사한 후에 운율 단 위를 고려하여 음소 전이 빈도(두음소 빈도)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자료는 총 35,439 발화, 403,572음절, 858,479음소였다. 결과: 발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두 980,639개의 두음소가 관찰되었다. 논리적으로 연결 가능한 두음소 1,225종 중에서 1,009종의 두음소가 관찰되었고, 이중 5.5%에 해당하는 고빈도 두음소 55종의 출현 빈도 합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두음소는 #+ㄱ > ㅐ+# > ㅏ+# > ㄱ+ㅡ > ㄴ+# > ㅡ+ㄴ > ㄱ+ㅏ 등이었다. 고빈도 두음소들은 대체로 고빈도 문법 형태소의 음절형과 유관한 것으로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음소 전 이 빈도를 면밀히 살펴본 결과, 한 음소와 다음 음소의 전이 역시 고빈도 유형이 발화에서 반복적 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음소 전이 빈도에 대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어학은 물론, 언어병리학, 한국어 교육, 음성 공학 분야에서도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frequencies of occurrence for units of Korean bi-phoneme based on the careful analysis of spontaneous speech spoken by adult speakers of Korean. Information on bi-phoneme frequency as well as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and basic knowledges on Korean language and is used in the segmentation of speech signal into meaningful utterance units. Methods: 57 adult (28 male and 29 female) speakers of standard Korean were employed as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Spontaneous speech spoken by the subjects were recorded and phonemically transcribed. Bi-phoneme frequency was calculated from the database. The data size of the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35,439 utterances, 403,572 syllables, and 858,479 phonemes. Results: 980,668 classified into 8 types (C+V, V+C, C$C, C$V, V$C, V$V, #+P, P+#) according to prosodic boundaries between phonemes, were examined. Logically possible numbers of bi-phoneme types were 1,225 types and 1,009 types of bi-phonemes were found in the data. However, only 5.5% (55 types) of bi-phoneme types covered over 50% of the speech data. Discussion & Conclusion: Information on bi-phoneme frequency of Korea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and basic data for speech pathology,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speech engineering as well as Korean linguistics.

      • KCI등재

        CTC를 적용한 CRNN 기반 한국어 음소인식 모델 연구

        홍윤석,기경서,권가진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8 No.3

        For Korean phoneme recognition, Hidden Markov-Gaussian Mixture model(HMM-GMM) or hybrid models which combine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HMM have been mainly used. However, current approach has limitations in that such models require force-aligned corpus training data that is manually annotated by experts. Recently, researchers used neural network based phoneme recognition model which combines recurrent neural network(RNN)-based structure with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CTC) algorithm to overcome the problem of obtaining manually annotated training data. Yet, in terms of implementation, these RNN-based models have another difficulty in that the amount of data gets larger as the structure gets more sophisticated. This problem of large data size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lacks refined corpora. In this study, we introduce CTC algorithm that does not require force-alignment to create a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 Specifically, the phoneme recognition model i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which requires relatively small amount of data and can be trained faster when compared to RNN based models. We present the results from two different experiments and a resulting best performing phoneme recognition model which distinguishes 49 Korean phonemes. The best performing phoneme recognition model combines CNN with 3hop Bidirectional LSTM with the final Phoneme Error Rate(PER) at 3.26. The PER is a considerable improvement compared to existing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s that report PER ranging from 10 to 12. 지금까지의 한국어 음소 인식에는 은닉 마르코프-가우시안 믹스쳐 모델(HMM-GMM)이나 인공신경망-HMM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성능 개선 여지가 적으며, 전문가에 의해 제작된 강제정렬(force-alignment) 코퍼스 없이는 학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모델의 문제로 인해 타 언어를 대상으로 한 음소 인식 연구에서는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순환 신경망(RNN) 계열 구조와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CTC) 알고리즘을 결합한 신경망 기반 음소 인식 모델이 연구된 바 있다. 그러나 RNN 계열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많은 음성 말뭉치가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해질 경우 학습이 까다로워, 정제된 말뭉치가 부족하고 기반 연구가 비교적 부족한 한국어의 경우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제정렬이 불필요한 CTC 알고리즘을 도입하되, RNN에 비해 더 학습 속도가 빠르고 더 적은 말뭉치로도 학습이 가능한 합성곱 신경망(CNN)을 기반으로 한국어 음소 인식 모델을 구축하여 보고자 시도하였다. 총 2가지의 비교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 존재하는 49가지의 음소를 판별하는 음소 인식기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실험 결과 최종적으로 선정된 음소 인식 모델은 CNN과 3층의 Bidirectional LSTM을 결합한 구조로, 이 모델의 최종 PER(Phoneme Error Rate)은 3.26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음소 인식 분야에서 보고된 기존 선행 연구들의 PER인 10~12와 비교하면 상당한 성능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음소인식과 읽기 능력

        조문현(Cho Moon H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음소인식의 개념과 음소인식과 읽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음소인식 발달의 교수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 결과 음소인식은 의미를 구별할 수 있게 하는 음의 최소 단위가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며, 읽기의 선행요소이며 결과로 상호인과성의 관계가 있으며 초기 및 후기 읽기와도 관련되고 철자와 이해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음소인식은 유아기부터 발달되어야 하며 이것은 훈련을 통해 가능하다. 음소인식 교수전략으로는 정해진 시간에 직접 지도를 하는 것보다 의도적으로하되 통합적인 문식성 활동 맥락에서 지원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며, 어린 유아에게는 순수한 구어 언어적 방법이, 좀더 나이든 아동에게는 인쇄물과의 상호작용을 결합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음소인식의 교수책략에 따른 음소인식 발달 차이에 대한 연구와 음소인식을 위한 구체적 자료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concept of awareness of phoneme as well as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phoneme and reading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to find supporting strategies to develop the awareness of phoneme. As a result of review of literatures, the awareness of phoneme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minimum unit of a sound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meaning. The awareness of phoneme and reading have a reciprocal causation. The awareness of phoneme also affects the other areas of literacy such as spell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supporting strategies to develop the awareness of phoneme, supports under the connection of integrated literacy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ies on difference in developing the awareness of phoneme by instructional methods well as studies on detailed data for the awareness of phoneme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성인 자유 발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의 음소 및 음절 관련 빈도

        신지영(Jiyoung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2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정상적으로 구사하는 성인 화자들의 자유 발화를 수집․전사하여 한국어의 자유 발화에서 관찰되는 말소리 관련 빈도 정보 중에서 특히 음소 및 음절 빈도를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치밀하게 분석하여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려는 데 있다. 말소리 관련 빈도에 대한 이러한 지식은 한국어 화자들이 음성 신호로부터 발화 단위를 분절하는 데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기본적인 지식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식을 체계화시키는 작업은 기초 연구로서 반드시 필요하다. 방법: 서울 방언을 구사하는 성인 57명(남:여=28:29)의 자유 발화를 수집하고 이를 음성 전사한 후에 음소 빈도와 음절 빈도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자료는 총 35,439개의 발화, 403,572개의 음절, 858,479개의 음소였다. 결과 및 논의: 발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음 47%, 자음 5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음 중에서 75.9%는 초성으로 쓰였고, 24.1%는 종성으로 쓰였다. 자음과 모음을 통합하여 고빈도 6개(/ㅏ/>/ㄴ/>/ㄱ/>/ㅣ/>/ㄹ/>/ㅓ/)의 소리가 전체 자료의 약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절의 경우에도 출현한 1,219종 중, 3.0%에 불과한 고빈도 36종이 전체 자료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어의 음소 및 음절 관련 빈도 정보는 음성 언어 이해 과정과 음성 언어 산출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가 됨은 물론이거니와 한걸음 더 나아가 언어 병리학, 한국어 교육, 음성 공학 분야에서도 긴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frequencies of occurrence of units of Korean phonemes and syllables based on the careful analysis of spontaneous speech spoken by adult Koreans. Information on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and basic knowledge on Korean language and is used in the segmentation of speech signal into meaningful utterance units. Methods: Fifty-seven adult speakers (28 males and 29 females) of standard Korean were used as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Spontaneous speech of the subjects was recorded and phonemically transcribed.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were calculated from the database. The data size of the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35,439 utterances, 403,572 syllables, 858,479 phonemes. Results & Discussion: The percentages of vowels and consonants used are 47% and 53%, respectively. 75.9% of consonants occupy the onset position in the syllable structure. Among 37 phonemes, /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a, n, k, i, l, ʌ/ occupied the next rankings. The cumulated frequency of these six phonemes was over 50%. Syllable frequency was also investigated. A total of 1,219 syllable types were observed. However, the most frequent 36 syllable types, i.e. 3.0% of all observed syllable types, account for over 50% of the speech data. In most cases, the frequently occurring syllable types were part of grammatical words or morphemes. Conclusion: Information on the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of Korean is fundamental and basic data for speech pathology, Korean language teaching, speech engineering, and linguistics.

      • KCI등재

        현대시 음운의 의미론적 기능 연구

        권혁웅 ( Hyuk Woong Kwon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60

        이 논문은 현대시에서 음운이 갖는 의미론적 기능에 관해 연구한 논문이다. 시의 음운 자체가 의미로서 작용하는 현상을 셋으로 나누어 살폈다. 첫째, 의성과 의태로서 기능하는 음운이 있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문법적 의미와 이면에 숨은 음운적 의미가 상호작용함으로써 시를 구성하는 시편들의 예가 있다. 둘째, 어조를 강화하는 음운의 의미화 작용이 있다. 시적 주체의 전언을 강력히 지지하는 음운들이 있다. 시적 주체의 감정과 전언과 상황은 이 음운의 배열로써만 드러난다. 셋째, 행갈이가 감당하는 음운적 의미가 있다. 행과 연의 분절이 만들어내는 휴지는 의미를 낳거나 강조하거나 변형하는 마이너스 장치로 기능한다. 음운적 의미는 시가 기표의 자립성을 다른 어느 장르보다도 중시한다는 증거 가운데 하나다. 이를 고려함으로써, 시의 분석과 해명이 완전해질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semantic function of phoneme. There are three type of which a phoneme in poetry gets a meaning. First, there is onomatopoeic and mimetic functions of a phoneme. Between grammatical meaning on surface and phonemic meaning of inside, poetry is composed of. Second, The phonemic meaning make force the tone of poetic subject. These phonemes support the message of poetic subject. Lastly, there is a phonemic meaning through division of verses. The pause what division of verse and stanza makes is a kind of minus mechanism. Considering a phonemic meaning, the analysis of poetry will be completed.

      • KCI등재

        언어권과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 음소 오류를 중심으로 -

        유소영 ( Yoo Soyoung ),강현화 ( Kang Hyonhwa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onemic errors in Korean learner’s spoken corpus. Through this,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ommon errors and the errors in certain languag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Errors that distinguish three phonemes(plain sound, tense sound, aspiration sound) were high in all languages. In the middle phonemes, the most common errors in pronouncing ‘ㅓ’ in all languages. Second, the errors of each language are different. Comparing the ratios by position, Chinese characters had the most common errors with 50% in final phoneme, and the Japanese language showed equal errors in initial, middle, and end. In English, initial phoneme errors accounted for 58%. Vietnamese Learners showed intensive errors in the initial and final phoneme. Third, in addition to the phoneme errors, we also examined the allophone errors and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errors. The allophone errors are mainly concentrated in ‘ㄹ’,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foreign language is mainly used in the source language or the native language of the learners. This paper analyzes the phoneme errors in the Learner’s spoken language through the spoken corpus data with representative and annotation consistency.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mpare the difference of phoneme errors of Main Korean learners.

      • KCI등재

        Teaching L2 Phoneme or Rime Awareness to L2 Readers

        Seunghyun Baek 한국영어학학회 2009 영어학연구 Vol.- No.28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ynthetic (phoneme-based) versus analytic (rime-based) phonics on L2 phonological awareness and L2 word reading. Forty-three Korean-speaking EFL children in third grade were randomly assigned to phoneme-based or rime-based group. The two groups had equal English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ading skills. Twelve 40-minute teaching sessions over three months were provided to each group. After treatments, L2 phonological awareness (phoneme and rime) and L2 word reading with two conditions (unfamiliar real words and pseudo words) were measured. The findings of the two experimental tasks showed that children explicitly taught to read out words with phoneme-based reading strategy performed better on L2 phonological awareness and L2 word reading than those with rime-based reading strategy. Furthermore, L2 phoneme awareness across the two groups was largely associated with L2 word reading. More specifically, L2 nucleus (medial vowel or vowel cluster) and coda (final consonant or consonant cluster) awareness were stronger predictors of L2 word reading than L2 rime aware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a letter recoding strategy based on L2 phoneme may play a crucial role in, at least,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to read in an L2.

      • KCI등재

        제2 언어가 한국어인 베트남 성인의 한글 해호화 초기과정에서의 자소-음소 대응

        윤혜경,박혜원,권오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4

        본 연구는 제2 언어로 한국어를 배우면서 한국어의 문자체계인 한글을 학습하는 외국인 성인의 한글 해호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울산 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 이주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생활한 기간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글 자소-음소 대응과정에 영향을 주는 음운인식 수준을 평가하고 이로부터 한글 자소-음소 대응과정 즉 음소인식과 자소와의 대응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음운인식과제와 자소대치/탈락과제를 사용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인 베트남 피험자들은 비록 한국어를 사용한 음운지각과제이지만 음절인식은 물론 음소인식(68%)에서도 비교적 높은 정반응을 보였다. 둘째,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음절인식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음소인식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초성인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소대치과제에서는 전체적으로 77%-82%의 수행을 보였는데, 받친글자에서는 자소위치에 따른 자소-음소 대응 차이가 없었으나(74%-79%) 민글자에서는 종성대치(89%)가 초성과 중성에서의 수행(78-80% )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이 외국인 성인의 음운인식능력과 한글 해호화 과정에서의 자소-음소대응과정과 연관 지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elations in Hangul phonics as used by Vietnamese adults who speak Korean as a second language.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nd grapheme substitution/addition tasks were administered to 20 Vietnamese women who had been married to Korean men in Ulsan for 1 to 6 years. Analyses revealed that these Vietnamese-Korean bilinguals showed a 75% correct rate of syllable awareness regardless of the place of the syllable and a 68% correct rate of phoneme awareness, regardless of the placement of phoneme. However, phonemic awareness for syllables in different places was vari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The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 first phoneme awareness was lower than that for the middle or final phoneme awareness in the subjects who had lived less than 5 years in Korea. Finally, the performance rate for the grapheme substitution/addition task was 77% to 82%; the performance for the final grapheme was likewis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or middle graphem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Hangul phonics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Hangul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elations.

      • KCI등재

        의서의 음소 상관도 연구 -『언해납약증치방』과 구급방류를 중심으로 -

        김남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47

        This paper explore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data based on the arithmetic information in the computerized Korean language history data. In this regard, based on the specific values of the phonemes (initial, middle, and final phonemes) of the three types of pre-established Gugeupbang types: Gugeupbang, Gugeupganibang, Eonhae Gugeupbang,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degree of correlation by arithmetic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literature 『Eonhae Nayakjeungchibang』. By comparing with the average notation tendency of the same type of literature ‘Gugeupbang types’, it is an attempt to quantify how far individual literature deviate from the average tendency. The target literature, 『Eonhae Nayakjeungchibang』, is a book that lists medicines to be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and records dosage and contraindications according to symptoms. Due to the high similarity in terms of purpose, content, and format, it is an appropriate data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with Gugeupbang types. After identifying the average tendency of notation between the related literatures of 『Eonhae Nayakjeungchibang』 and ‘Gugeupbang types’, it was expressed as a numerical value through the Pearson correlation of the arithmetic mean and the weighted mean on each of the initial phonemes, middle phonemes, and final phonemes to determine how well individual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mean. And this was intended to reveal the degree of correlation. In the initial phonem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a value of ‘0.981∼0.994’, which is very close to +1 in the literatures of Gugeupbang types (Arithmetic Mean: 『Eonhae Gugeupbang (0.991)』, 『Gugeupganibang(0.988)』,『Gugeupbang(0.985)』,Mean:『Gugeupganibang(0.994)』,『EonhaeGugeupbang(0.985)』,『Gugeupbang(0.981)』) showed ‘0.854’ in the arithmetic mean and ‘0.842’ in the weighted average, so there was at least a difference of ‘0.133’ in 『Eonhae Nayakjeungchibang』 in the initial phonemes compared to the literatures of Gugeupbang types. In the case of the middle phonemes, the three literatures for Gugeupbang types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81∼0.991’, whereas in 『Eonhae Nayakjeungchibang』, an arithmetic mean of ‘0.962’, and a weighted average of ‘0.957’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Even in the final phonemes, the three literatures for Gugeupbang types showed more than ‘0.982∼0.995’, but in 『Eonhae Nayakjeungchibang』, the arithmetic average is ‘0.947’ and the weighted average is ‘0.934’. Among the literatures of Gugeupbang types,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with 『Eonhae Gugeupbang』, showing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879’ in the initial phonemes, ‘0.977’ in the middle phonemes, and ‘0.955’ in the final phonemes. Among the literatures of Gugeupbang types,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with 『Eonhae Gugeupbang』, showing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879’ in the initial phonemes, ‘0.977’ in the middle phonemes, and ‘0.955’ in the final phonem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