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과 의철학 교육

        조태구 한국의철학회 2024 의철학연구 Vol.37 No.-

        의철학은 철학의 한 분과 학문이다. 따라서 대학의 철학과에서 의철학을 교육한다고 해서, 이상할 이유는 아무것도 없다. 그럼에도, 철학과 내에 개설된 의철학 강좌가 낯설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한국 대학의 철학과에서 의철학 과목이 교육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는 사실 때문만은 아니다. 의철학이 가지는 낯섦의 근본적인 원인은 의학 자체가 매우 전문적인 영역으로 인식되고, 이러한 의학을 대상으로 전개되는 의철학 역시 매우 전문적인 것으로서, ‘의료인에 의한, 의료인을 위한 특별한 학문’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철학은 ‘의사들의 의철학’과 ‘철학자들의 의철학’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연구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의료인에 의한, 의료인을 위한 학문’이라는 규정은 이 두 경향 가운데 ‘의사들의 의철학’에 해당할 수 있는 규정이다. 본 글에서는 우선 ‘의사들의 의철학’과 ‘철학자들의 의철학’이라는 의철학의 두 가지 경향을 간략하게 구분하고, 동아대학교의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철학 교육과, 경희대학교 철학과에 개설된 ‘의철학’ 강좌,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 개설된 ‘철학의 눈으로 본 의학’ 강좌를 살펴봄으로써 철학과에서 의철학 교육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The philosophy of medicine is a branch of philosophy. Therefore, there is nothing strange about teaching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 the philosophy departments of universities.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philosophy of medicine courses offered within philosophy departments often feel unfamiliar. This is not only because the teaching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is rare in the philoso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unfamiliarity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lies in the perception that medicine itself is a highly specialized field; accordingly, the philosophy of medicine, being centered around this specialization, is also highly specialized. This philosophical branch is recognized a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is practiced 'by medical professionals, for medical professionals'. However, the philosophy of medicine can be distinguished into two different research trends: "physicians' philosophy of medicine" and "philosophers' philosophy of medicine." The designation of 'a discipline by medical professionals, for medical professionals' would pertain to the first trend. In this article, we briefly distinguish these two trends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Then, we examine how the education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is conducted at Dong-A University's Department of Philosophy and Biomedical Ethics, the "Philosophy of Medicine" course offered at Department of Philosophy in Kyung Hee University, and the "Medicine through the Lens of Philosophy" course at the Humanitas College of Kyung Hee University. This will allow us to explore how philosophy departments approach the education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and its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도학사상

        오석원 ( Suk Won Oh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본 논문은 문묘에 배향된 도학자 우계 성혼의 도학사상을 고찰한 글이다. 우계는 부친인 청송 성수침의 가학을 전수받았으며, 근원적으로는 정암 조광조의 도학사상을 계승한 것이다. 도학사상이란 공자와 맹자의 인도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도학사상은 개인적으로는 인격을 완성하여 성인(聖人)을 목표로 하고 사회적으로는 왕도(王道)를 구현하여 대동사회(大同社會)를 이루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밀하고 합리적인 송대의 성리학적 이론을 보충하여 이루어진 실천유학을 말하며, 유학의 철학적, 윤리적, 종교적 영역을 포괄하고 있는 종합적인 사상이다. 고려 말기에 송대의 도학사상을 수용한 조선의 도학사상은 도학사상이 갖고 있는 인도(仁道)의 정신과 의리(義理)의 정신의 두 요소 가운데에서도 특히 의리정신이 강조되었다. 한국인의 고유한 민족정신에 침략과 패도를 부정하고 진리와 정도를 숭상하는 선비정신이 고양되었으며, 이를 실천한 대표적인 인물이 정암 조광조의 도학사상이다. 정암은 애민정신을 기반으로 하여 당시의 사회적 부정과 비리를 비판하고 의리와 정도에 근거하여 개혁을 시도하다가 순절하였다. 이러한 정암의 도학사상은 청송에게 이어졌으며, 청송은 당시 을사사화를 당하여 산림에 묻혀 도학을 실천하면서 이러한 도학사상을 우암에게 가학으로 전수하였다. 우계사상의 특징은 성리학적 이론보다는 도학적 실천에 치중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소학』을 매우 중시하여 자신의 수양에 힘썼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정치를 강조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인륜의 대도(大道)를 구현함에 목표를 두었다. 이론과 실천이 하나로 연결된 우계의 실천적 도학사상은 진정한 인간성의 회복과 사회정의를 요청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많은 의미를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moral philosophy(道學) of u-gye(牛溪), Seong-Hon`s(成渾) who has been kept a spirit tablet in a Confucian shrine, has been considered in this paper. U-gye who had learned a family`s academy for generations from his father, Seong Su-chim(成守琛), essentially inherited The moral philosophy of jeong-am(靜庵), Jo Gwang-jo`s(趙光祖). The moral philosophy that claims to stand for humanitarian principles of Confucius and Mencius, individually sets one`s sights on Confucius with rounding one`s character and will be socially aimed at the bliss-society with realizing the rule of right. Concretely being mentioned of a practical Confucianism philosophy supplemented by accurate and reasonable Neo-Confucianism in the Sung dynasty period(宋), The moral philosophy is a comprehensive thought which embraces philosophy, ethics and religion. The moral philosophy in the Joseon Dynasty(朝鮮) which had accommodated The moral philosophy of Sung dynasty`s in the last period of Korean dynasty(高麗), put emphasis on loyalty(義理) more especially than humanitarianism(仁道) between them. Intrinsic racial sprit of Korean was cultured having seon-bi spirit which had gainsaid invasion and the rule of might but sought truth and right path, being become a reality by The moral philosophy of jeong-am, Jo Gwang-jo`s who was a representative moralist in the Joseon Dynasty. Criticizing the then current social corruption and irregularity, Jeong-am died for one`s chastity on instituting reforms based on loyalty and right path of love of the people. The moral philosophy of Jo Gwang-jo`s was carried over by Seong Su-chim who retired to hermitage in the mountain and practiced The moral philosophy, undergoing a massacre of scholars in 1545 years(乙巳士禍). He handed down The moral philosophy to Seong-Hon by a family`s academy for gener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eong-Hon`s thought had more weight with the moral philosophy` practice tha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He, therefore, gave oneself trouble on setting great store by the So-bible(小學), accentuated about politics which could help subjects sincerely and ultimately set himself targets in giving body to the great truth of human relations. The moral practical philosophy of Seong-Hon`s which unites the theory and practice into one, will bring out the many meanings to modern society which should be rehumanized in earnest and make its request a just society.

      • KCI등재

        실정법철학의 가능성과 방법: 민법학을 예로 하여

        양천수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叢 Vol.29 No.1

        Recently, voices are heard everywhere that basic law is in crisis. In particular, it is convincingly argued that basic law may be in crisis because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in basic law will not grow properly. A great crisis can be found across all academic disciplines and across the university. The following aspects also contributed to the crisis of law. Side effects appear as the law school system is operat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goal in South Korea. The most striking reality among these is that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is subordinated to the bar exam. As the bar exam is strongly oriented toward practical ability, the negative effects of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are emerging. As a result, basic law, including the philosophy of law, was excluded from the bar exam subjects, and the philosophy of law is rapidly losing power in the law school system. In this crisis situation, how to restore the academic status of the philosophy of law is urgently discussed. Several approaches can be considered for this. This article proposes a new approach to the philosophy of law as one of them. Unlike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law, which approaches law based on philosophy, the new approach seeks a philosophy of law that is more friendly to positive law or precedent. As an example, this article refers to the ‘positive law philosophy’. Here,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defined as a sub-division of legal philosophy that explores the philosophy of law with positive law as the starting point.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understood as a field of legal philosophy that examines the basic concepts, systems, and principles that positive law studies are based on. This article explores how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made possible by taking the discussion made in civil law as an example.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positive law philosophy is explored by analyzing the basic principles of civil law developed by civil law scholar professor Kwon, Youngjoon. Among them, this article examines what kind of argument the positive law philosophy uses throug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ight to claim for injunction can be recognized in torts. Through this, one way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the philosophy of law is explored. 최근 법철학을 포함하는 기초법학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특히 학문후속세대가 제대로 성장하기 못해 기초법학이 고사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주장된다. 그 때문에 위기에 처한 법철학을, 기초법학을 구해내고자 하는 노력과 시도가 진행된다. 법철학과 같은 기초법학이 위기에 처하게 된 이유로는 여러 가지를 언급할 수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도 한 몫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원래 추구했던 목표와는 달리 운용되면서 여러 부작용이 등장하는 것이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현실로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법학교육이 변호사시험에 심하게 종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법철학을 포함한 기초법학이 변호사시험 과목에서 배제되면서 법철학은 법학전문대학원 체제에서 급속하게 힘을 잃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법철학의 학문적 위상을 복원할 수 있는지가 절박하게 논의된다. 이에는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글은 그중 한 가지로 법철학에 대한 접근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는 것을 제안한다. 철학에 기반을 두어 법학에 접근하는 전통적인 법철학과는 달리 실정법이나 판례에 더욱 친화적인 법철학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 이 글은 ‘실정법철학’을 언급한다. 여기서 실정법철학이란 실정법 또는 실정법학을 출발점으로 하여 실정법의 철학을 탐구하는 법철학의 하부 분과로 규정할 수 있다. 실정법철학은 실정법학이 기초로 삼는 기본 개념이나 체계, 원리 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법철학의 분야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법철학과 같은 기초법학이 아닌 실정법학 내부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법철학을 모색하여 형성된 것이 실정법철학이다. 이 글은 민법학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예로 하여 실정법철학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특히 민법학자 권영준 교수가 전개한 민법학의 기본원리를 분석함으로써 실정법철학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그중에서도 불법행위에서 금지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를 통해 실정법철학이 어떤 논증을 구사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현재 법철학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을 탐색한다.

      • 지역과 세계, 상대성 보편성의 경계에 선 철학

        박치완(Tchi 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철학의 세계성(globality)은 실제 철학의 지역성(locality)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역성, 상대성이 높을 때 세계성, 즉 보편성에 다가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증험(證驗)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사람들은 철학을 논할 때면 예외없이 비지역적이고 초시간적인 보편성만을 사유의 모범으로 고집한다. 보편성, 세계성은 물론 시공간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인문 지식의 보편성이 존재할까? 서구인들을 위한 서구적 보편성이 동양이나 한국에서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도 타당한 담론일까?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지역학으로서 철학(philosophy as a localology, the study of localness)의 밑그림을 제시해보았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은 기본적으로 철학에 대한 지리ㆍ문화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며, 실제 우리가 구분하곤 하는 독일고전철학, 프랑스현상학, 영미분석철학, 한국불교철학 등도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지역에는 서로 다른 철학이 존재한다. 한국철학도 결국 자신의 지역성, 상대성을 모태로 연구될 때 이제까지의 외부에 의해 강요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되어 자발적ㆍ창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가 강조해보려고 했던 것은 다음 명제다: 철학이란 지역성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역성에서 출발한다. 즉 땅의 정령이 숨 쉬는 지역이 철학의 출발지요, 모태라는 것과 지역성의 표현이 철학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지역의 독립은 결코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하지 않는다.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hilosophical globality is controlled by the philosophical locality. This has proved that the provability to approach to the globalit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is getting higher when the locality, the relativity is higher. But for what reason, people stick to the non-local and trans-temporal universality as the norm of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without excep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universality, in other word globality is transcend time-space, and applied to everyone. By the way, really can such a universality of the knowledge of humanities be existing? Can the western universality for Westerners be a rational discourse in the East, Korea and Ethiopia in Africa? In this study, under this critical mind, the rough sketch of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has been proposed.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philosophy, and German classic philosophy, French phenomenolog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Korean Buddhism, practically classified by us a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So, every different region has its own philosophy. Eventually Korean philosophy, when its location, locality and relativity are the matrix of studies, can be independent from the forced external eye-line and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restructured. Through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the propositions intended to emphasize is: "A locality is not the destination of/to philosophy, but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 the fact that the region, where the spirit of the soil is breathing, is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he matrix of philosophy and the fact the expression of localness is the final destination of philosophy shall be segregated.

      • KCI등재

        철학과 존재이해

        손영삼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6

        We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a philosophy? and What does mean it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 to research on a philosopher’s philosophy? We research on Heidegger’s philosophy. Every philosophy begins with a man’s doing-philosophy. While doing philosophy, someone becomes a philosophy student, a philosophy researcher, and a philosopher. Philosophy researchers generally investigate into a philosopher’s philosophy, and try to have a unique system for their own philosophy. In this research, a philosopher's philosophy is a ladder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s. Not all philosophy researchers need the ladder, but we take Heidegger's philosophy as the ladder. In investigating into Heidegger's philosophy, we have arrived at some achievements in our own way. Now we are going to review these achievements by ask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According to what we get as Heidegger's philosophy, we always inevitably do philosophy as long as we exist in human beings. How do we, doing-philosophy,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Pointing out that the philosophy, investigating into the nature of beings, does not ask the question on Being, Heidegger trie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oes Dasein understand Being?" while analyzing Dasein ontologically in Sein und Zeit. Not asking questions on Being is called Being-forgetting by Heidegger. This Being-forgetting i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and then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As long as philosophy originates from the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s, so doe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from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There are attempts to find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what Heidegger called Being-forgetting. However, Heidegger found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not to ask questions on Being. The Being, forgotten at the dimension of human beings, is understood at the dimension of Dasein, and this Being-understanding continues to the philosophy, and then to human beings. In this respect,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cannot be Being-forgetting of human beings’. Analyzing of Dasein in Sein und Zeit, Heidegger discusses o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The ordinariness of Dasein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naturalness, and non-originality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originality. There are attempts to find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However, Heidegger's strategy, distinguishing between the ordinariness and the naturalness of Dasein, and between the originality and non-originality of Dasein, is not intended to show that any problems arise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is respect, we cannot find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According to Heidegger,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stem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How can we explain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especially the philosopher Heidegger's participation in the Nazis? In the following study, we will try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n the proces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to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함께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일은 철학 연구자에게 무슨 의의를 갖는가?”라는 물음을 우리는 지난하게 묻고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어느 철학이든지 모두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로부터 시작된다. 철학하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누군가는 철학도가 되고, 철학 연구자가 되고, 철학자가 된다. 철학 연구자는 대체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철학하기에 고유한 체계를 갖추려고 기획한다. 이 일에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은 철학 연구자에게 일종의 사다리이다. 비록 모든 철학 연구자에게 사다리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철학자인 하이데거의 철학을 사다리로 삼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하이데거의 철학을 나름대로 연구하면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고는 있다. 이제 우리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는 무엇인가? 우리가 하이데거의 철학이라고 파악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우리는 인간으로 실존하는 한, 언제나 필연적으로 철학한다. 그런데 철학하는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른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철학인가? 존재자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이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에서 현존재(Dasein)를 존재론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현존재는 존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했다.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태도를 하이데거는 존재망각(Seinsvergessenheit)이라고 일컫는다. 이 존재망각은 우선 철학의 존재망각이지만,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고 우리는 파악하고 있다: 철학이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에서 비롯되는 한, 철학의 존재망각도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하이데거가 존재망각이라 일컫는 것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망각에 빠진 철학의 밑바탕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Seinsverständnis)를 찾아내었다. 인간의 차원에서는 망각되고 있는 존재가 현존재의 차원에서는 이해되고 있으며, 이 존재이해가 존재망각에 빠진 인간에게 나아가서는 철학에 이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가 인간의 존재망각일 수는 없다. 존재와 시간 의 현존재 분석론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일상성(Alltäglichkeit)과 비본래성(Uneigentlichkeit)에 대해 논의한다. 현존재의 일상성은 근원성(Ursprünglichkeit)에 비해 그리고 비본래성은 본래성(Eigentlichkeit)에 비해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현존재의 일상성과 비본래성에서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현존재의 일상성과 근원성을 구별하고, 비본래성과 본래성을 구별하는 하이데거의 전략은 현존재의 존재이해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우리는 현존재의 존재이해, 특히 일상성이나 비본래성에서 찾을 수는 없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 ...

      • KCI등재

        교육철학: 교육학에 대한 학(學)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최근 교육철학 내에서 하나의 경향을 형성하고 있는 ``실천철학으로의 전환``의 흐름은 새로운 교육철학이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학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철학 내에서 이 흐름을 주도해왔던 영국의 교육철학자 Carr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론철학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교육적 실천에 대한 단일한 연구를 지향하는 이와 같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기획은, 그것이 보증하는 교육학에 대한 긍부정을 떠나,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명징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 실천철학론을 주도하는 연구자들의 이와 같은 카의 연구에 대한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카의 기획이 현존의 교육철학들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존의 교육과학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그로 인해 카의 작업이야말로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임을 또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카의 연구에 대한 평가와는 무관하게 국내에서 실천철학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실천철학의 필요성을 현존하는 교육철학들이 교육적 실천을 연구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한 교육적 실천에 대한 영향력 상실에서 찾고 있는 것은, 자칫 이론의 진위를 실천으로 검증하려는 조야한 도구주의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할 여지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천철학을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교육철학은 교육학에 대한 학이 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Nowadays ``a current of conversion to practical philosophy`` making a tendency in philosophy of education is not new philosophy of education, but aims at new science of education. It can be ascertained in the studies of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Carr at the head of this tendency. This Aristotelian project, separating from the realm of theoretical philosophy and intending a sole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has showed the identity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Such understanding of Carr`s study that domestic scholars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have showed seems implicit errors in two aspects. First,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fact that Carr`s project was not converting existing philosophi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but existing scienc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Second, they also could not know Carr`s work is truly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In addition, domestic scholars who are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criticize existing philosophies because they don`t study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ult in loosing influence in educational practices. However, there is some possibility of doing that this approach reproduces vulgar instrumentalism which verifies the truth of theory through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point out the above stated problems of the domestic scholars leading practical philosophy and prove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become science of educational scienc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어린이 철학교육을 위한 어린이 ‘철학함’의 본질 탐색

        장사형(Chang, Sha-Hyung)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8 No.-

        This paper is the study of the nature of ‘doing philosophy’ of children as the basis of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In order to discover it, this study looks at ‘doing philosophy’, as a thinking process of children. In detail, focusing on how children’s thinking and experience can be related to philosophy and with that, giving arguments for possibility of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as well as offering some directions and tasks for that. Until a recent date, the idea of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was negatively viewed dominantly. The reason for that was that philosophy was understood as a difficult study that requires logical insistence and abstract thinking system. However, philosophy is a series of thinking process that starts from ordinary life to raises questions, and to find solutions for it. In other words, philosophy is a study of a series of process to discover the source, which is looked upon as doing philosophy, instead of some kind of thought that has been accumulated by philosophical thinking. On this note, children’s daily life where they constantly raise questions about the world around them can ultimately be seen as a process of ‘doing philosophy’. If children’s philosophical life is acknowledged, then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has to be acknowledged as well. The material of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philosophy’ as contents which learn the professional philosophical knowledge, but ‘doing philosophy’ as a process of life which think critically about everything, caring for others’ situation, and understanding. In this,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naturally fulfilled by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through activity and play. Along with peers and teachers, children should gain philosophical wisdom by experiencing ‘doing philosophy’.

      • KCI등재

        법에서 정치철학은 무엇인가―법의 이념과 형식으로서 정치철학의 가능성―

        김대근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Politics, philosophy, and law are inseparable, complementary, and fateful domains and entities that constantly intersect. Political philosophy and legal philosophy, in particular, as methods of self-reflection in politics and law, form the frontiers of ideology as tools for criticizing the legitimacy of their own systems, but they have a long history of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making each other as a part of their identity. However, recent political or legal philosophies do not seem to push their reflections on democracy, law, rights, and the rule of law any further than what state operators can describe. In short, this political philosophy is sometimes criticized for trying to ce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reat classical theories and the everyday forms of justification of so-called liberal democracy. For example, while thinking more broadly about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s and horizons of justice, they do not extend their scope to concretizing justice as a matter of law. These questions are finally thought through by the political philosopher John Rawls, who distinguishes political philosophy from moral philosophy and makes justice the unique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since justice has been established as an ideology and value of law in the long history of law, political philosophy makes a practical contribution to law through the medium of justice or as a method of justice. This discussion specifically examines the issue of politics (of philosophy) in law by arguing how and on what grounds the call for equality as a form of justice contributes to the generalization of law (as a form).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equality as a form of justice and a value ideology operates in law by positively exploring the function of the generalization of law through a shift in perspective on prejudice and by introducing the ways in which the generalization of law interacts with the justice ideology of equality. It can be said that legal philosophy is a branch of law that criticizes and theorizes the form of justice, its effectiveness and systemic legitimacy, and political philosophy is a branch of political science that identifies and theorizes the substance and legitimacy of justice. In this discussion, we will try to provide a simpl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is political philosophy in law' by explaining that the concept of 'justice' is the medium and method through which politics (of philosophy) meets law (of philosophy). 정치와 철학, 그리고 법은 분리 불가능하고 보완적이며 끊임없이 상호 교차하는 필연의 영역이자 존재자들이다. 특히 정치와 법의 자기성찰의 방법으로정치철학과 법철학은 자신의 고유한 체계의 정당성과의 비판의 도구로서 이데올로기의 전선(frontier)을 형성하지만, 오랜 시간 속에서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서로를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로 삼아 온 역사가 있다. 그러나, 최근의 정치철학 혹은 법철학은 민주주의와 법, 권리와 법치국가에 대한 국가의 운영자들이 논의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자신의 성찰을 더 밀고 나가려고 하는 것같지 않다. 요컨대 정치철학은 고전적인 위대한 학설과 이른바 자유민주주의라고 하는 국가들의 일상적인 정당화 형태들 사이의 소통을 확고하게 할 뿐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이를테면 정의의 정치철학적 맥락과 지평을 보다 광범위하게 사유하면서, 정의를 법의 문제로 구체화하는 데까지는 자신의 영역을 확장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마침내 정치철학자 롤스가 정치철학을 도덕철학과 구별해 내고, 정의를 정치철학의 고유한 주제로 삼으면서 사유되기 시작한다. 한편 정의는 법의 오랜 역사에서 법의 이념이자 가치로서 자리매김해 왔기 때문에 정치철학은 정의를 매개로 또는 정의를 하나의 방법으로법에 실천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본 논의에서는 정의의 형식으로서 평등의 요청이 법의 일반화(라는 형식)에기여하는 방법과 근거를 논증함으로써 법에서 정치(철학)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편견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통해 법의 일반화가 갖는 기능을 긍정적으로 모색하고 법의 일반화가 평등이라는 정의 이념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소개함으로써 평등이라는 정의의 형식이자 가치이념이 어떻게 법에서 작동하는지를 검토했다. 법철학은 정의의 형식, 그리고 형식의 효력과 체계정당성을 비판하고 이론화하는 법학의 분과고, 정치철학은 정의의 실질과 정당성을 규명하고 이론화하는 정치학의 분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정의(justice)’ 개념이야말로 정치(철학)가 법(철학)과 만나는 매개이자 방법이라고 설명함으로써 비로소 ‘법에서 정치철학은 무엇인가’에 대한 소박한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재의 나에게 ‘철학함’의 의미는 무엇인가 - 칸트와 모종삼의 철학을 생각하며

        정재현 한국중국학회 2009 중국학보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some problematics related to the questions of the universality of philosophy, of the nature of oriental philosophy, of the nature of dong philosophy etc. in order to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it does mean by ‘my doing philosophy at the present time.' My reflection on these problematics is made out of thinking through Mou Zongsan and Kant whose works I recently read, even though those problematics have been formed since I started studying philosophy more than two decades ago. The reason to choose them is because I think that they respectively established philosophy as a science and doing Oriental philosophy as a systematic theoretical inquiry as Western philosophy, and they, believing in the priority of practice over theory and in the concept of philosophy as a humanities, still suggested doing philosophy essentially as a theoretical job. Both Mou and Kant are committed to the historical view of philosophy as the outcome of doing philosophy. According to it, philosophy is just an universal ideal which can be realized only through unending efforts to answer to the concrete problematics we are faced with. This view of philosophy can be usually misunderstood as suggesting two extreme positions which say that ‘doing philosophy can be excercise only through practices rather than reading philosophy books’ or that ‘philosophy should be like a science rather than a humanities or vice versa.' Against these extreme claims, I conclude that my doing philosophy is nothing but reading philosophy books critically which includes both the concept of philosophy as a science and the concept of philosophy as a humanities. My concept of doing philosophy well matches with Kant' and Mou' doing philosophy.

      • KCI등재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1) - 근대 전환기 ‘철학’ 용어의 탄생과 외래철학의 수용 문제를 중심으로 -

        이철승 ( Lee Cheol-seu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Philosophy’에 대한 번역어로서의 ‘철학(哲學)’ 용어는 일본사람인 서주(西周, 니시 아마네)에 의해 전통철학의 배제와 근대 서구중심주의적인 문명관을 반영한 개념이다. 이 개념은 근대전환기에 한ㆍ중ㆍ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사상계에 빠르게 확산되었다.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현대 한국의 철학 1세대들은 대부분 어려서부터 서양식근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그들 가운데 일부는 독일, 프랑스, 미국 등 서양과 일본에서 유학하고, 일부는 경성제국대학 철학과에서 공부하였다. 경성제국대학의공부 시스템은 동경제국대학을 모델로 삼고, 동경제국대학은 서양의 선진적인 국가의 교육 시스템을 모방하였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은 조선의 식민화를 공고화하기위한 일본 정부의 정책에 부응하였다. 이 때문에 경성제국대학 철학과의 주요 교과목 역시 현실 문제와 비교적 관련이 적은 관념론 중심의 ‘서양철학’ 과목이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그들의 사유와 연구 또한 대부분 ‘서양철학’ 중심이다. 이 무렵전통철학은 제도권 안에서 독자적으로 설 기회를 갖지 못하고, 제도권 밖에서 연구되었다. 이 때문에 이 당시의 많은 사람들에게 ‘서양철학’은 보편적인 철학이고, 전통철학은 특수한 ‘동양철학’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편견이지, 사실이아니다. ‘동양철학’과 ‘서양철학’ 속에는 각각 특수와 보편이 공존하고 있다. 그런데 철학계의 이러한 불균형적인 풍토는 해방을 맞이하고 산업화를 지나, 21세기가 진행 중인 현재에도 여전히 우리 사회에 팽배하다. 이러한 현실은 철학의 실천 활동과 학문의 균형적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국의 철학계는 철학의 현실적 의의와 균형적 발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이제 우리도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적합한 우리의 철학을 연구하여 의미 있는 이론을 생산해야 한다. 외국이론을 무비판적으로 소개하고 전파하거나, 이전에 형성된 철학을 맹목적으로 지지하고 복원하는 것으로 우리의 철학적 임무를 다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우리철학을 정립해야 한다. 그 철학은 협애한 민족주의나 편협한 국수주의적인 성향을 띠지 않아야 한다. 그 철학은 비록 특수한 상황을 토대로 하여 성립하지만, 여러특수한 상황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새롭게 형성되는 공통의 공속의식을 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곧 이러한 철학은 한국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면서 한국인의 정서와 정신을 깊게 반영하여 성립시킨 보편성을 지향하는 합리적인 이론 및 외국으로부터 전래되었지만 맹목적으로 그것을 추종하지않고 한국의 실정에 부합할 수 있도록 주체적으로 새롭게 구성한 이론 등을 아우른다. 이러한 철학이 바로 ‘우리철학’의 중요한 내용이다. The term “zhexue” 哲學 was coined by Japanese scholar Nishi Amane 西周 as a translation for “philosophy.” It is a common understanding that the translation “zhexue” was coined to signify the denial of Eastern traditional philosophy and acceptance of Western values. The translation was widely accepted by East Asian scholars. The first generation group of Korean modern philosophy was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ntrol and received Western modern eduction. Some of them studied abroad in Japan and Western countries including Germany,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Some also majored in philosophy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KIU) at Seoul. The educational system of KIU was mainly from that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which accepted Western systems at the time. KIU was utilized to consolidate Japanese colonial control over Korean Peninsular. This is why the curriculum of the philosophy department at KIU was full of Western idealism courses which had little concern with practical and comtemporary issues. Most of their research topics were also about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and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was widely neglected. For this reason, Western philosophy was viewed as universal and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was understood as something particular under the name of “Eastern philosophy.” However, this understanding is biased and is not a collect approach, since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they all comprise universals and particulars in them. Much too our regret, such a wrong understanding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are still pervasive in the 21st century. Now, there is a growing request to break down such a wrong approach to philosophical traditions and Korean philosophers should do their part to promote practical dimensions of philosophy and to make balanced approaches to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Now is the time to formulate philosophical theories appropriate to Korean current issues. We are not supposed to introduce foreign theories blindly, and our goal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restoration of and support for Korea traditional philosophies. We need to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Korean current issues and should establish our own philosophical system, “woori-philosophy.” Woori-philosophy is not a nationalist or Korean ethnic-centered approach. Though woori-philosophy is based on Korean particular situations, it pursues interrelated and holistic approaches which can promote a strong sense of community and mutuality. In other words, woori-philosophy is designed to find harmonious points between Korean particular spiritual traditions and Western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aims at developing philosophical theories which can give practical and independent solutions to Korean current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