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사들의 동료 수퍼비전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미,박은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동료 수퍼비전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코비전(co-vision)이라는 동료 수퍼비전 그룹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 기간은 2017년 4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이다. 연구 과정은 연구 참여자 선정, 참여자 인터뷰, 현장 참여 및 관찰, 자료 분석 및 보고서 작성 등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다각적․심층적 경험, 수평적이며 신뢰 형성이 가능, 접근이 용이함-개방적, 성장이 이루어짐, 동료 수퍼비전 그룹의 한계점 등 5개의 주제로 범주화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동료 수퍼비전 그룹은 전통적 수퍼비전을 대체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퍼비전 그룹이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참여자들이 치료사로서의 성장과 발달을 이루어나갈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 본 연구가 이전 동료 수퍼비전 연구와 차별화되는 부분은 다양한 발달단계를 가진 치료사들이 공존함, 5영역으로 나누어 수퍼비전을 제공함, 주수퍼바이저로서의 역할을 하는 리더연구원이 존재함 등이었다. 이런 특징들은 수퍼비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동료 수퍼비전 연구의 포문을 열었다는 것과 동료 수퍼비전의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peer supervision for art therap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for the co-vision group.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2017 to July 2018.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selecting research participants, interviewing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and observing the field, analyzing data, and writing reports. Five theme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multifaceted and in-depth experience, horizontal and trustable atmosphere, easy to access-open, growth, and limitations of peer supervision. The peer supervision group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long-term maintenance of the supervision group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therapist, despite the limitations that made it difficult to replace traditional supervi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er supervision that differentiate it from the previous peer supervision research are the coexistence of therapists with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the provision of supervision in five areas, and the presence of a leader who serves as the main supervisor. These featur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upervisory satisfaction of peer supervi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focused on peer supervision for art therapists and suggested various supervision methods by introducing the peer supervision.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과 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태

        고미영,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ceive, practice and need for self-supervision at school related to HE. Questionnaires were sent by E-mail and 150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reported using SPSS/win 10.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First, middle school HE teachers perceived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essential since it promoted self reflection of teachers themselves and improved professional skills. Furthermore, peer-coaching was highly preferred. Second,negative responses to the supervision of principal, vice-principal, and peer teachers overwhelmed positive answers. Information exchange among peer teachers was frequent, yet, approximately 22.6% of middle school HE teachers were still avoiding sharing information process for several reasons. About half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all teachers needed to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hird, they pointed out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not implemented well because of the lack of time due to the heavy work load, negative and passive attitude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dministration-centered supervision that did not reflect teachers' opinion, and shortage of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 HE teachers perceived that peer teachers who were doing good practices were most helpful for the supervision. Also, they preferred self-evaluation at the end of the self-supervision at school. Forth, to improve self-supervision at school, there were very high demands for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additional time, fundamental philosophy toward HE education. Fifth,the purpose and detailed plans of self-supervision were recognized as the results that were democratically derived by the HE teachers. Sixth, class inspection and informal inspection were operated once in a year, and self-training was rarely operated. Peer coaching and self-coaching were operated occasionally. Self-coaching and peer coaching were reported as the most helpful types of supervision. In addition, HE teachers answered that supervision was helpful to teaching method followed by contents, evalu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관한 인식 및 수행실태를 알아봄으로써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전문성 신장 활동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150부는 SPSS/Win(Ver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로 분석되었다.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 인식에 대해서 대부분(88.0%)의 가정과 교사는 이 장학이 자기반성과 전문성 향상에도움이 되므로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장학은 동료장학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교과 교내 자율장학의 목표 선정 및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대해서 반 정도(50.7%)의 가정과 교사들은 이 장학의 목표 선정 및 계획 수립 과정이 가정교과협의회를 거쳐서 민주적으로 결정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내장학의 유형별 실시 횟수의 경우, 수업장학과 약식장학은 1년에 1회 정도이었고, 자체연수는 실시되지 않는편이였다.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은 수시로 이루어졌다. 장학의 유형별 도움의 정도는 자기장학과 동료장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에 도움을 얻는 분야는 장학유형에 상관없이 가정과교수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음으로는 교과내용, 교육평가, 교육철학 순이었다. 넷째, 교장이나 교감과 동료교사의 장학에 대한 실제적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별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와의 다양한 정보공유는 열심히 하는 편이나 아직도 22.6%에 달하는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이 정보공유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정도(43.3%)의 가정과 교사는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수업공개자로 ‘모든 교사’를 꼽았다. 다섯째, 대부분(70.7%)의 가정과 교사는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이 잘 실행되지 않는 이유로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인한 시간 부족, 교수-학습 개선활동에 대한 부정적, 소극적 태도, 교사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는 행정위주의 장학형태,경제적, 환경적 여건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들은 항상 열심히 교수-학습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동료교사를 장학담당자로 가장 선호하며, 교내 자율장학의 수행 후 평가방법으로는 교사 스스로 평가하는 자기 평가를 가장 선호하였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 잡무경감 및 시간적 여유, 가정교육학에 대한 확실한 철학,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인지,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제공, 도서, 자료, 도구, 장소 등 물리적 지원, 교내가정과 동료교사가 없는 경우 관내에서 가정과 교사들과 연계, 장학담당자(교장, 교감)의 장학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

        학교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김명화,송현심,하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school counselors’ importance of peer supervision and examine what experiences are done in peer supervision and which support system are required based on the experiences. Methods For this, a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total ten school counselors with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for three years or more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developed by Hil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task and organization systems felt by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peer supervision, and factors for growing as school counseling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chool counselors’ peer supervision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were discussed. That is, th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an increase in various tasks, roles, and cases of crises an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of peer supervision according to school manager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found to participate in peer supervision and agonize about practical help, emotional comfort, efforts for improving expertise, and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support. Conclusi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ool counselors were living their lives as a counselor in the working environment which was neither diverse nor systematic. They were also solving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s a school counselor by finding their own method through peer supervision. Even though the school counselors were receiving realistic help and emotional comfort that could complement deficiencies through peer supervision, they were experiencing limitations and feeling psychological discomfor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ies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offici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also to provide the supervisor education as an expert in some areas. 목적 본 연구는 학교 상담자들의 동료 수퍼비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동료 수퍼비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또한 그 경험을 토대로 어떠한 지지체계를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3년 이상의 학교 상담경력이 있는 10명의 학교 상담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참여자 선정은 눈덩이 표집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Hill에 의해 개발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다. 반구조화된 면접과 개방형 질문을 통해 참여자들의 반응을 유도하고, 연구팀과 감수자를 두어 자료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여러 사람들의 시각과 관점을 반영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결과 학교 상담자가 느끼는 업무 및 조직체계, 학교 상담자에 대한 학교의 인식, 동료 수퍼비전의 경험, 그리고 학교 상담 전문가로성장하기 위한 요인들로 정리되었다. 즉, 학교 상담자는 다양한 업무와 역할, 위기 사례의 증가로 인한 어려움, 학교 관리자에 따른동료 수퍼비전 인식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반면, 동료 수퍼비전에 참여하며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논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 상담자들은 다양하고 체계적이지 않은 업무환경에서 상담자의 삶을 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학교상담자로써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나름의 방법을 찾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부족한 영역을 채울 수 있는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을 얻고 있으나, 동시에 한계를 경험하며 심리적 불편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일정 부분은 전문가인 수퍼바이저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동료 슈퍼비전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김솔아(Kim, Sol-A),박은경(Park, Eun-Kyung),선혜연(Seon, Hye-Y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동료 슈퍼비전 경험과 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 슈퍼비전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의 자료 분석과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과정에는 3명의 평정팀과 1명의 감수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영역, 13개의 범주, 3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전문상담교사들은 상담교사 업무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담감이 적은 동료 슈퍼비전을 시작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동료 슈퍼비전 과정을 통해 상담 업무 및 역할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정서적지지, 지역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동료 슈퍼비전 후 사례에 대한 전문성 향상, 정체성 및 연대감을 형성하고 성장 동기를 다지게 되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하였으며 학교 상담자 교육에 대한 실제적 의의와 동료 슈퍼비전 연구에 대한 학문적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er supervision experience of school counselors by understanding the beginning, the process, and the subsequent change of peer supervision experien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in peer supervis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a research team composed of three evaluation teams and one auditor participated in the data analysis process. Next, 3 areas, 13 categories, and 36 sub-categories were derived. While counselors use supervision as a general method to counsel students, the supervision method may be difficult to process and use because of the counselors’ workload. Therefore, the school counselors in this study used the peer supervision experience method as it was more efficient and was able to relieve the burden that the school counselors faced. Participants connected emotionally, formed local networks, and understood counseling tasks and roles through the peer supervision process. Following the peer supervision method, I experienced changes such as improved expertise and sense of identity and solidarity and increased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were conducted, an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school counselor education, academic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peer supervision research were presented.

      •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위한 장학에 대한 연구

        조혜경 한국성서대학교 출판부 2006 一粒論叢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licies for supervision over day care teachers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those teachers. The discussion on supervision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aspect of day care.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the proper direction of supervision in day car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on supervision over day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ies for supervision in day care should be introduc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day care should be reinforced. Second, the scope of supervision in preschools should be discussed and negotiated. Third, the attempt should be made to approach the proper, multilateral, and distinguished supervision. Fourth, the attempt to improve self supervision in preschools should be made. Finally, self-supervision and peer supervis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day care, should be planned and carried out in day care.

      • KCI등재후보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이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오은석 ( Oh Eunseok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carry out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sent to 1,000 teachers in 40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ich resulted in 845 (84.5%) responses. We used 805 (80.5%)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excluding 40 responses with missing or incorrect answer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mediated a relationship of peer supervision and self- supervision to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소집단 수퍼비전에서 동료 수련생에 의한 긍정적․부정적 사건과 그 영향

        신은혜,신서원,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by peer supervisees in a small group supervision and their effects. The presence of peer supervisees in a small group supervision is a key factor in creating unique interactions and following effects. Although these dynamics should be understood and utilized appropriately, most studies on small group supervision have only focused on supervisor factors which are common to all kinds of supervisions. In this study, 15 counselor trainees with the experience of small group as a supervisee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and meaningful themes were categor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providing various views on a counseling case’, ‘receiving feedback on unrecognized emotions’, and ‘receiving emotional support and encouragement’ were discovered as positive events. ‘Increasing self-disclosure in the supervision’ and ‘increasing the motivation for training’ were also reported as the effects of the positive events. As negative events, ‘conflict between a supervisor and a peer supervisee’, ‘competitive situation with peer supervisees’, ‘unequal time distribution’, ‘discordance in expectations due to career differences’, ‘insincere attitudes of peer supervisees’, and ‘reprimanding feedback from peer supervisees’ were found. As the effects of the negative events, ‘reducing self-disclosure in the supervision’ and ‘becoming disaffected with the supervisor’ were commonly repor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events possibly have a grea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supervision session than the positive ev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possible supervisory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positive interactions or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in a small group supervis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소집단 수퍼비전에서 발생하는 동료 수련생에 의한 긍정적․부정적 사건 및 그 영향을 탐색한 연구이다. 소집단 수퍼비전에서 동료 수련생의 존재는 독특한 상호작용과 영향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 수련생 15인을 모집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중요한 의미 단위를 추출하고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사건으로는 ‘상담 사례에 대한 다양한 관점 경험’,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받음’, ‘동료 수련생이 나와 유사한 고민을 개방함’, ‘상담 수련 활동을 위한 정보 공유’, ‘인식하지 못했던 감정에 대한 피드백’이 확인되었으며, 그러한 긍정적 사건의 영향으로는 ‘자기개방 증가’, ‘상담 공부에 대한 동기 제고’ 등이 확인되었다. 동료 수련생에 의한 부정적 사건으로는 ‘동료 간의 경쟁적 구도’, ‘수퍼바이저-동료 수련생 사이의 갈등’, ‘수퍼비전 시간의 불공평한 배분’, ‘경력 차이로 인한 수퍼비전 기대 불일치’, ‘동료 수련생의 불성실한 태도’, 그리고 ‘동료 수련생의 질책하는 듯한 피드백’이 확인되었으며, 그러한 부정적 사건들은 수련생들의 자기개방을 감소시키고 수퍼바이저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하는 등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사건들은 긍정적 사건에 비해 수퍼비전 회기 만족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소집단 수퍼비전을 운영하는 수퍼바이저들이 촉진해야 할 상호작용과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동료 수퍼비전에서의 평가도구 활용 가능성 탐색: 미시적 상담 수퍼비전 모델(MSM)에 근거한 상담면접평정양식(CIRF)의 사용을 중심으로

        최연실 한국가족치료학회 2012 가족과 가족치료 Vol.20 No.2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evaluation instruments in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supervision efficacy. Methods: This study introduced Russell-Chapin and Sherman’s (2000) Counseling Interview Rating Form (CIRF), which is based on the Microcounseling Supervision Model (MSM). The researchers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applying the evaluation instrument to supervision for two sessions of counseling conducted with a family with a college stud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IRF aided both in the development of a reciprocal supervision system and in supervisees’ self-evaluation by providing constructive feedback between supervisor and supervisee and among peers. Conclusions: The results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CIRF as an objective evaluation instrument in supervision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동료 수퍼비전을 위해 수퍼비전에서의 평가도구 활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 상담 수퍼비전 모델(MSM)에 근거해 Russell-Chapin과 Sherman(2000)이 개발한 상담면접평정양식(CIRF)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상담사례에 대한 수퍼비전에 적용하여 평가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상담면접 5단계와 전문성, 서술적 평가로서 강점과 개선할 영역 등 45개 항목을 포함하는 CIRF는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 동료 간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호혜적 수퍼비전 체계의 발달과 자기 평가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 자녀가 있는 가족의 상담사례 중 두 회기에 대한 동료 수퍼비전에서 상담면접평정양식을 평가도구로 활용한 결과, 상담 수퍼비전 현장에서 CIRF의 객관적인 평가도구로서 효과적이고 유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 전공생의 동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

        이연미,서은실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4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usic therapy students’ experience of peersupervision as supervisee. A total of 17 participants in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twotimes in structured dyadic peer supervision with a different student. In-depth, semi-structured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conducted and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analyzing thedata. The results showed that peer supervisi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echnique asstudents experienced an accepting and supportive emotional climate that increased theirmotivation in terms of their professional growth. However, the students also experienced anxietyand dissatisfaction when they could not get a definitive answer from their peer or their peercould not solve their problem. The structure of peer supervision could help the participants byfacilitating the process, providing directions, and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peer. This study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s actual content in music therapy students’ experiences as asupervisee, and enables students to apply peer supervision to their professional growth. 본 연구는 동료 수퍼비전에서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을두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소재 음악치료 대학원 전공생 17명이었으며, 연구자가 제공한 구조에따라 2회에 걸쳐 일대일 형식으로 수퍼비전을 시행하였다. 수퍼비전 진행 후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가 이루어졌고 내용을 전사한 후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의 중요성에 대해 보고를 하였는데 수퍼바이지의 관점에서 내용을 분석했을 때 동료 수퍼비전 안에서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환경은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하고 전문적 역량의 성장을 촉진한다. 동료 수퍼비전에서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는 동료의 역량부족과 부적 감정 경험이있는데 이는 동료의 역량부족으로 인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답답함, 불안감과 같은 부적 감정과관련이 있다. 동료 수퍼비전 내 구조는 진행을 용이하게 하고 수퍼비전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상호과정 촉진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전문가로 성장을 하기 위해 동료 수퍼비전을 적용함에 있어 필요한 실제적인 내용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체육교사의 동료장학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문화" 탐색

        권민정(Min Jung Kwon),김경숙(Kyung Sook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5 No.2

        체육교사들은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동료장학을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동료장학에 대한 이론적 정의와 실천적 정의에 다소 차이가 나타나 체육교사들의 실천적 정의를 ``동료문화``로 재개념화 한 후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재개념화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동료장학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문화``의 형성과 그 의미를 탐색하고, 교사 재교육적 관점에서 체육교사들이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동료장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참여자로 경기·인천 지역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를 경력교사와 초임교사로 구분하여 유목적적 표집법으로 4명씩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면담, 집단토론, 자극회상질문법, 이메일, 전화 통화 등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연구참여자들간 검토 및 삼각검증을 통해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체육교사의 동료장학에 영향을 미치는``동료문화``로는 경력교사와 초임교사간 ``노코멘트`` 문화, ``따로 따로`` 문화, ``갈망``문화, ``나눔`` 문화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노코멘트`` 문화에서는 비언어적인 ``지켜보기``와 ``몰래보기``의 방법이 활용되었고, 서로를 수용하지 않는 ``따로 따로`` 문화에서는 실망과 상처로 동료 관계를 악화시켜 두 가지 문화 모두 동료장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갈망`` 문화에서는 서로에 대해 탐색하고 기다리는 형국을 보여 동료간 협조적인 관계 형성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나눔`` 문화에서는 소통과 배움을 통해 협동적인 동료장학을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여 동료장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For this study, the authors divid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area into two groups, the experienced teacher group and the beginning teacher group, and selected 4 participants from each group by purposeful sampling.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group discussion, self-reflective question, e-mail and telephone contac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and componential analysis were condu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analysis were obtained from review and triangulation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peer culture`` of the participants that influenced their peer supervision: ``no comment`` culture, ``separate`` culture, ``longing`` culture and ``sharing`` culture between two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