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aradigms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onstructing a Communal Contextual Approach in Korea

        유재상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2

        In this article I will explore the trajectory of pastoral care & counseling movement in three paradigms: classical, clinical, and communalcontextual. Pastoral care & counseling in Korea has flourished for the last decades. People want to understand more about themselves, others,and God in the context of change of family systems, traditions, values,norms, etc. In the classical paradigm people understand their life through the lens of the Scripture and religious traditions, which are the norms and authority upon their life. However, the classical paradigm does not resonate with modern knowledge based on scientific worldview. A shift to the clinical paradigm is related to this cultural change. While the clinical paradigm contributed to giving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human suffering in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levels, it failed to address the core problem of human suffering in socio-political levels. In this paradigm, individual pathology is emphasized and the go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primarily focused on therapeutic recover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new paradigm, so called, the communal-contextual paradigm began to emphasize the care of world beyond the care of person. In this paradigm, the moral vision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regained and the voices of the marginalized are hear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ssue of social justice because the care of person is, indeed, the care of world. The discussion of those three paradigms in North American context will be helpful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movement in Korea.

      • KCI등재

        패러다임 간의 類推에 따른 語幹 再構造化

        김경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4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 and the process of analogy on the restructuring. Analogical processes evidently affect the restructuring of underlying form and they push forward the direction of uniformity. In fact, the argument about analogical processes mainly focuses on ‘paradigm'. Up to the present, the restructuring related paradigms rises up as the important issu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s you know, ‘paradigmatic analogy' and ‘reanalysis' should be critical facts on the restructuring. These facts must be based on paradigms and bring some problems of paradigmatic analogy to us. The reason why paradigms are so important for the analogical mechanism is that there are some examples for restructuring hard to explain through the rule mechanism. Nevertheless, the argument about analogical processes and paradigmatic analogy is not examined thoroughly. In this paper, I try to devide the type of paradigmatic analogy into two groups. The one is ‘an analogy in one paradigm' and the other is ‘an analogy cross some paradigms'. Especially, I concentrate on the analogy cross some paradigms of verbal stems. Consequently, I conclude that the analogy cross some paradigms makes several paradigms about the same verbal stem and it draws the coexistence of paradigms. And I confirm the same grammatical composition and the same surface form are the trigger to realize the analogy cross the paradigms. 어간 형태소나 어미 형태소의 再構造化를 논의할 때, 規則으로 설명이 쉽지 않은 경우 ‘패러다임에 근거한’ 類推의 과정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패러다임이란 하나의 曲用 패러다임이나 活用 패러다임의 내부를 넘어서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몇몇 활용 어간들의 패러다임 실현 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화자와 청자는 개별 활용형의 실현에서 다른 어간 패러다임들을 서로 견주어 본다는 것(cross-referencing)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일한 문법 구성을 가진 동일한 표면음성형에 유추되어 새로운 활용형을 가진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고,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기저형의 再分析이 이루어져 어간의 재구조화에 이를 수도 있다. 이를 ‘패러다임 간의 類推’로 보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共時的으로 하나의 어간 형태소에 대해 여러 가지 패러다임이 共存할 수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패러다임 전환에 의한 기업 측면의 IoT 경영 프로세스 구축방안 연구

        정민의,유성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5 지능정보연구 Vol.2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s of the Internet of Things(IoT), the major issue and IoT trend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also reviewed the advent of IoT era which caused a ‘Paradigm Shift’. This study proposed a solution for the appropriate corresponding strategy in terms of Enterprise. Global competition began in the IoT market. So, Businesses to be competitive and responsive, the government's efforts, as well as the efforts of companies themselves is needed. In particular, in order to cope with the dynamic environment appropriately, faster and more efficient strategy is required. In other words, proposed a management strategy that can respond the IoT competitive era on tipping point through the vision of paradigm shift. We forecasted and proposed the emergence of paradigm shif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past management paradigm and IoT management paradigm as follow; Ⅰ) Knowledge & learning oriented management, Ⅱ) Technology & innovation oriented management, Ⅲ) Demand driven management, Ⅳ) Global collaboration management. The Knowledge & learning oriented management paradigm is expected to be a new management paradigm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rapid development such as IT infrastructure and processing of data, storage, knowledge sharing and learning has become more important. Currently Hardware-oriented management paradigm will be changed to the software-oriented paradigm. In particular, the software and platform market is a key component of the IoT ecosystem, has been estimated to be led by Technology & innovation oriented management. In 2011, Gartner announced the concept of "Demand-Driven Value Networks(DDVN)", DDVN emphasizes value of the whole of the network. Therefore, Demand driven management paradigm is creating demand for advanced process, not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demand simply. Global collaboration management paradigm create the value creation through the fusion between technology, between countries, between industries. In particular, cooperation between enterprises that has financial resources and brand power and venture companies with creative ideas and technical will generate positive synergies. Through this, The large enterprises and small companies that can be win-win environment would be built. Cope with the a paradigm shift and to establish a management strategy of Enterprise process, this study utilized the ‘RTE cyclone model’ which proposed by Gartner. RTE concept consists of three stages, Lead, Operate, Manage. The Lead stage is utilizing capital to strengthen the business competitiveness. This stages has the goal of linking to external stimuli strategy development, also Execute the business strategy of the company for capital and investment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Manege stage is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reats and internalize the goals of the enterprise. Operate stage proceeds to action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s across the enterprise, also achieve the integration and simplification of the process, with real-time data capture. RTE(Real Time Enterprise) concept has the value for practical use with the management strategy. Appropriately appli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IoT-RTE Cyclone model' which emphasizes the agility of the enterprise. In addition, based on the real-time monitoring, analysis, act through IT and IoT technology. ‘IoT-RTE Cyclone model’ that could integrate the business processes of the enterprise each sector and support the overall service. therefore the model be used as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for Enterprise. In particular, IoT-RTE Cyclone Model is to respond to external events, waste elements are removed according to the process is repe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del the operation of the process more efficient and agile. This IoT-RTE Cyclone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response s... 본 연구는 최근 가장 큰 이슈로 떠오르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개념과 국내·외 IoT 시장에 대한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IoT 시대의 도래로 인해 유발되는 패러다임 전환 발생에 따른 기업측면의 적절한 대응방안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티핑포인트(Tipping point)에 있는 IoT 경쟁 시대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경영전략을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이라는 시각을 통해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과거의 경영 패러다임과 IoT 시대의 경영 패러다임을 비교·분석하여 ⅰ)지식 및 학습 주도 경영, ⅱ)기술 및 혁신 중심 경영, ⅲ)수요 창출 경영, ⅳ)글로벌 협업 경영으로 새롭게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 및 제안하였고,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측면의 경영전략 프로세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Gartner가 제시한 ‘RTE Cyclone model’을 활용하였다. ‘실시간 기업(RTE)’ 이라는 개념은 급변하는 IoT 시대에 기업측면의 경영 전략 프로세스로 활용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 적절히 응용하여 ‘IoT-RTE Cyclone model’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한 모델은 기업의 민첩성을 강조하고 IT 및 IoT 기술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 실행을 기본으로 하며, 기업의 경영 프로세스 각 부문을 통합시켜 기업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IoT 시대에서 영위하는 기업측면에서의 효과적인 대응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패러다임과 법의 변화

        한상훈(HAN, Sang Ho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1

        본고는 지난 70 여년 서양법학을 수용하여 발달한 한국법학, 형사법학이 21세기 어떠한 방법론을 가져야 할 것인지 검토하면서, ‘법 패러다임주의’(legal paradigmism)를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인류가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에 올바른 법, 바람직한 법을 발견하고 적용하기 위해 본고는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현상의 출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특히 Basalla교수의 토착과학의 3단계 발전모델과 이종범 교수의 사회과학 4단계 발전론에 주목하면서, 본고는 1980년대 후반까지는 단순모방기이고, 1990년 이후 2006년까지는 적응모방기, 그리고 2006년 이후는 창조태동기로 조심스럽게 평가한다. 이러한 발전이 가능했던 중요한 요소로 우리나라의 판례와 입법역사에 대한 연구의 역할을 평가한다. 본고는 향후 한국법학이 더욱 발전하기 위한 모델로 토마스 쿤(Kuhn)의 패러다임주의를 적용하려고 시도한다. 쿤은 하나의 패러다임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정착되면 그때의 과학은 정상과학이 되고, 과학자들은 정상과학하에서 개별적인 문제풀기에 몰두한다. 그러다가 종래의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상사례(anomaly)들이 관측되어 누적되면, 결국 기존 패러다임의 위기가 도래하고, 이러한 이상사례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다른 경쟁 패러다임이 등장하여, 기존의 패러다임과 경쟁하다가 점차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의 지위를 차지하여 결국 새로운 지배적 패러다임이 되고, 이에 입각하여 다시 정상과학이 정립된다. 쿤은 이러한 지배적 패러다임의 전환(paradigm shift)을 정치혁명에 비유하여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이라고 한 것이다. ‘패러다임주의’는 법학방법론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법학에서 ‘지배적 패러다임’은 통설과 판례가 모두 지지하는 견해라고 할 수 있다. 지배적 견해 또는 지배적 법리가 형성된다면, 이는 하나의 ‘정상법학’(normal jurisprudence)이 되어 대부분의 ‘통상사례들’(routine cases)을 해결한다. 지배적 견해를 기초로 성립된 법적 삼단논법(legal syllogism)에 의하여 대부분의 수많은 사건들은 큰 고민 없이 손쉽게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해결이 곤란하면 소위 “난해한 사례”(hard case)가 되는 것이다. 기존의 지배적 견해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또는 적정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상사례가 증가하면, 결국 이상사례를 보다 잘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법리(경쟁 패러다임)가 등장하게 된다. 경쟁 법리는 마침내 기존의 지배적 패러다임 또는 지배적 견해를 대체하여 새로운 지배적 패러다임 또는 지배적 견해가 된다. 이러한 과정은 쿤이 말하는 과학에서 패러다임의 변화와 유사한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 법의 영역에 패러다임의 이론을 적용하는 관점을 ‘법 패러다임주의’(legal paradigmism)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법 패러다임주의’의 관점에서 복사문서를 문서에 관한 죄의 문서로 인정한 1989년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2008년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그리고 2015년 헌법재판소의 간통죄 위헌결정 사건을 검토한 후, 법 패러다임주의가 이러한 사례들, 나아가 다른 많은 사례들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In the 21<SUP>st</SUP> century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and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re coming closer, it is more important to rethink and reflect our legal methodology and to devise a new method to navigate an unprecedented age. The majority of 11 review papers published from 1978 to 2011 recognizes that Korean jurisprudence has adopted, and is still widely influenced by Western jurisprudence, especially from Germany and United States, sometimes via Japan. Commentators emphasized the need to outgrow the imitation or import of jurisprudence and to develop an original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However, the specific methodology how to get to the goal was rarely suggested. In 1987, Professor Shin Dongwoon evaluated the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and criticized that it overly concentrates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theories, and that it neglects independent Korean research. As alternatives, he advocated the historical analysis method which studies the history of Korean legislation, the comparative law analysis method which utilizes the comparis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w and foreign laws 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law, and the case analysis method which emphasizes the research of court cases. This method contributed to the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enormously. However, in this fast changing era we need a more scientific method. Thomas Kuhn describes paradigm as an “exemplar” or “disciplinary matrix,” and says that scientist’s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natural phenomena occurs based on a paradigm in his book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Once a paradigm settles into a dominant or prevailing paradigm, the science at the time becomes normal science, and scientists devote themselves to individual puzzle-solving during normal science. When a crisis comes, a new paradigm becomes the dominant paradigm and a new normal science is established. In jurisprudence there can be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law that receives support from both the Court and a majority of legal scholars. Let us call this ‘dominant opinion’(herrschende Meinung in German). Such a ‘dominant opinion’ has a similar status as the dominant or prevailing paradigm in science, which serves as exemplar or disciplinary matrix. Just as numerous puzzles are solved based on a prevailing paradigm in the field of science, legal professionals and academics solve a bulk of legal cases efficiently under the legal paradigm or dominant opinion. Once a dominant opinion or dominant legal theory is formed, it becomes normal jurisprudence and solves most of the routine cases. However, a normal jurisprudence is disturbed when such anomalies or non-routine cases emerge and accumulate. They cannot be resolved by existing dominant opinion or legal theory, and crisis comes. With the growth of anomalies an alternative legal theory or a competing legal paradigm appears, and it finally replaces the existing dominant paradigm or dominant opinion and becomes the new dominant paradigm. In this regard, the application of paradigm theory in the field of law may be termed ‘legal paradigmism.’ The paper examines 3 cases, regarding a forgery of photocopied documents case (1989), exclusion of illegally seized evidence case (2007), and the unconstitutionality of adultery punishing clause case (2015). This paper asserts that with the legal paradigmism, we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legal changes, and interpret the law more scientifically.

      • KCI등재

        IMF 위기 이후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패러다임 전환 : 특별 포럼의 의의와 목적, 그리고 학문적 과제

        신동엽(Dongyoub Shin),구자숙(Jasook Koo),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2

        이 논문은 IMF 위기 이후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조직들에서 발생한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의 전환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려는 학문적 목적을 가진 본 특별 포럼의 시대적 배경과 거시적 맥락, 사회심리와 의식적 기반, 그리고 이런 변화의 주행위자인 리더들의 역할 모델 변화 등을 조망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특별 포럼 논문 다섯 편이 제시하는 학문적 토론의 기반과 맥락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특별 포럼의 개별 논문들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지난 10여 년간의 한국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단순히 한국 내부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 수준에서의 경영패러다임의 역사적 변동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즉 대량생산, 효율성 경쟁, 시스템 경영, 계획 경영, 성과와 보상/통제 등을 핵심 특성으로 하는 20세기 산업사회형 경영패러다임이 최근 무너지며 상시창조적 혁신을 추구하는 완전히 새로운 21세기형 경영패러다임이 이를 급속히 대체하고 있는 글로벌 수준에서의 거시적이고 역사적인 패러다임 대전환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최근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특별 포럼 논문들이 다루고 있는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의 의식적, 사회심리적 기반의 변화를 조망한다. 즉 IMF 위기 이후 지난 10여년간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전통적 기반인 장기 고용, 내부 승진, 연공주의, 위계적 집단주의, 온정주의가 급격히 무너지며, 단기 고용, 외부 노동시장, 개인주의, 성과주의가 이를 대체하였는데, 이는 일시적 변화가 아니라 우리나라 인사조직경영의 의식적, 사회심리적 기반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지속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특히 이런 변화는 전통적 심리적 계약의 심각한 위반으로 인식되어 우리나라 인사조직경영의 잠재적 위기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 조직들이 지향하는 새로운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은 안정적 심리적 계약의 성립 자체를 어렵게 만드는 본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21세기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가장 중요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여 년간의 한국 인사조직 패러다임 전환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행위자 유형인 조직 리더들의 리더십 모델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글로벌 리더십 학계와 국내 리더십 학계의 리더십 담론의 변화 추세를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지난 10여 년간 글로벌 리더십학계에서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나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강력한 리더들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쇠퇴하였고, 구조적 맥락 등과 같은 복수 레벨에서 리더십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증가하였으며, 21세기형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리더십 모델인 진정성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리더십과 창의성/혁신 등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으나, 국내 학계에서는 이런 새로운 리더십 모델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약하고 반대로 글로벌 학계에서 쇠퇴하고 있는 강력한 카리스마적 리더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연구 분야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가 IMF 위기로 인해 전통적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을 서구형 성과주의 패러다임으로 대체해나가는 급격한 변혁기를 거치며 강력한 리더십에 대한 사회적 필요가 존재하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맥락에서 특별 포럼에 게재된 다섯 논문의 핵심 논지들을 소개한 후, 이런 패러다임 전환의 격변기에서 학계의 가장 중요한 소명은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온 대변혁의 원인과 과정, 결과, 그리고 전망과 과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이며 심층적인 지적 의미부여를 계속해서 시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The current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historical and macro context, socio-psychological foundation, and leadership discourse underlying the paradigm shift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By so doing, this paper provides a starting ground from which five papers of the special forum may develop their respective arguments. First, the current paper submits that the paradigm shift in Korea should be re-examine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 economic crisis, but also from a macro perspective in which the existing dominant management paradigm at the global level has been rapidly deinstitutionalized during the same period. That is, we argue that to understand the ongoing paradigm shift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accurately, scholars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urrently ongoing replacement of the traditional management paradigm based on the principles of mass production, efficiency, and system maximization, by a completely new paradigm focusing on continuous creative innovation at the global level. Second, this paper reviews the change of socio-psychological foundation underlying the paradigm shift in Korea.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have shifted from long-term stable employment to flexible employment, from internal promotion to external labor market, from seniority principle to performance principle, and from collectivism to individualism. We argue that this shift was perceived as a serious violation of the existing psychological contract, which would seriously diminish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respect, we stress that the greatest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will be to find a creative way to rebuild a strong psychological contract with employees under the situation in which such goal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achieve. Third, this paper also reviews the change of leadership discourse in Korea during the period, since leaders play a pivotal role in paradigm shift. According to our comparison of dominant leadership discourse between global and Korean management fields during the last decade, Korean management field has still been strongly preoccupied with Neo-charismatic leadership models, while they have been significantly declined at the global level. Moreover, we also found that Korean field has not started yet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leadership and creativity/innov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agenda at the global level during the past decade. We argue that this discrepancy in leadership discourse between Korean and global management fields during the period comes from Korea’s uniqu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entire society was preoccupied with the rapid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nventional HR-organization management paradigm. After briefly introducing five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forum, we call for continued attempts to make theoretical sense of the currently ongoing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HR-organization management paradigm that has immensely and fundamentally affected lives of the entire Korean citizens as an imminent calling of all management scholars living in the early 21st century.

      • KCI등재

        The Changing Structure and Paradigm Shift in International Law

        Kim Boochan(김부찬) 대한국제법학회 2018 國際法學會論叢 Vol.63 No.4

        20세기 후반에서부터 국제사회는 세계화의 과정을 거쳐서 점차 국제공동체로 발전해 왔다. 21세기에 접어든 현재도 세계화는 국가 및 국제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도전적 요소들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화 과정을 거쳐서 국제사회에 구조적 변화가 초래되어 왔으며 그 결과가 국제공동체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국제공동체의 구조적 변화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요소 가운데 하나가 바로 개인을 비롯하여, 국가 이외의 다양한 실체들 즉, 비국가적 행위자들이 국제공동체 및 국제법의 무대에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개인을 포함한 다양한 국제법주체들의 상호관계를 규율하기 위하여 국제법의 규율 대상과 영역이 획기적으로 넓어지게 되는 현상이 초래되고 있는 것이다. 국제법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현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우선 국가의 주권 개념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절대적인 권한 또는 통제력으로 인식되고 있던 주권 개념이 점차 상대화 되고 국가의 의사 여하에 불구하고 구속력이 인정되는 강행규범 및 대세적 의무 규범이 국제법 체계에 도입됨에 따라 전통적으로 국제법의 구속력의 근거로 간주되어 왔던 주권 개념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국가 간 상호주의에 바탕을 둔 평등한 질서로 존재해 오던 국제법 질서도 위계질서를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헌법적 질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국제법의 헌법화 현상은 최근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연구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국제공동체는 유엔 창설 이후 인권 및 국제인권법이 점차 국제법 전반에 걸쳐서 그 영향력을 증대시켜 나가고 법을 통한 평화와 정의 실현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 특징적 현상이다. 이러한 변화에 바탕을 두고 국제법의 확산 및 강화를 의미하는 국제적 법치주의가 제고되고 이와 더불어 국제법체계 속에서 인권 존중과 인권법의 원칙을 우선시하는 국제법의 인간화 현상도 크게 두드러지고 있다. 국제공동체가 법적공동체로 존재하고 일종의 헌법적 질서를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국제공동체는 국가와는 달리 집권적인 정부 조직이 결여된 분권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그 특징이자 한계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부 없는 글로벌 거버넌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구축할 것인가 하는 것이 국제법의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국제사회가 국제적 법치주의 및 글로벌 거버넌스에 바탕을 둔 국제공동체로 발전하고 국제법의 인간화 및 헌법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국제공동체의 주요 구성원이자 국제법의 기본적 주체는 여전히 주권국가임을 부인할 수 없다. 인간중심적인 국제법을 지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여전히 강력하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국가중심적인 전통적인 패러다임과의 사이에서 긴장관계를 보이면서도 그 발전적 역할을 수행해 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법의 구조 변화와 패러다임 전환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International society and international law have constantly evolved and have undergone vital changes from their inception.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law responds to changing conditions and needs in international society. Therefore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law has changed in order to respond to changing structure of international society. From the beginning up to now,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which is consisted of not only states but also diverse non-state entities including individuals. Nowadays, states and non-state entities such as IGOs, NGOs and individuals are expected to move to activ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on the global basis. We know that the once homogeneous community of states, whose sovereignty lay at the very heart of the system, has given way to a much wider community of diverse actors and interests. In the legal perspective, international community means an international legal community. It is evident that international law has performed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international legal community. In this paper, to review the changing structure and paradigm shift in international law, some problematic issues such as reconceptualization of sovereignty, the international rule of law, the humanization of international law, the constitutionalisation of international law, and strengthening of global governance, are selected and examined in general. It is admitted that the new paradigm of international law such as community-based approach or human-centred paradigm is needed for international legal scholarship to explain the changing structure of international law and promote the newly needed community interests and values in the international legal system. It is admitted that the need and justification for paradigm shift lies in that we are no longer justified or satisfied in explaining the structures and theories of international law in view of older traditional paradigm based on Westphalian system. Indeed, there have been persistent competitions between the older paradigm and the newer paradigm. As of now, the shift from the older paradigm to the newer paradigm is not at all full-fledged, so the successful process of paradigm shift in international law remains to be seen. Therefore, it is urgent for the international legal scholars to reform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law and develop new paradigm in international law in order to respond to the need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KCI등재

        경영 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과 그 진화

        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근래 들어 경영학자들과 경영 구루들 사이에서 인본주의적 경영담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또 다른 학자들은 지나가는 유행에 불과하다고 폄하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 두 극단적 해석을 모두 지양하는 대신, 이 현상을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꾸준한 자기실현적 진화 과정의 일부로 파악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선 경영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다. 인류의 역사에는 바람직한 이상 사회에 대한 두 가지 사상적 구성물, 즉 유토피아적 메타패러다임이 존재하는데, 이를 각각 기술주의적 메타패러다임과 낭만적 메타패러다임으로 부를 수 있다. 경영 패러다임은 이 두 가지 메타패러다임이 조직의 맥락 속에서 구체화된 사고체계이다. 이 논문에서는 각각의 메타패러다임에 상응하는 경영 패러다임을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과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으로 개념화한 뒤, 이 패러다임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 전제들을 비교하고 이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경영담론과 경영현실에 구현되어 왔는지를 검토한 다. 과학적 관리론은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원형적 모습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 구현했으며, 그러한 이유 때문에 이후의 경영담론 진화의 경로를 상당 부분 결정했다.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강한 구속력 때문에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은 그 동안 그 본원적 모습을 제대로 구현하기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 내에서 생산된 담론들은 인간관계론 이후 꾸준히 그 본원적 모습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Barley & Kunda가 주장한 경영담론의 주기적 반복 명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으로부터 인본주의적 경영패러다임으로의 느리지만 지속적인 진화의 관점에서 새로운 경영담론을 해석하고 그 미래를 예측해 본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in management discourse calling for a humanistic approach to diverse managerial issues ranging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corporate strategy. Some management scholars call it a harbinger of profound change in management thinking, while others dismiss it as simply a passing fad. By employing a philosophical, histor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nature and history of management thoughts, this paper proposes that management discourse has been moving slowly but steadily toward a humanistic paradigm ideal since the emergence of the human relations movement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paper begins by tracing the social roots of the management paradigms from which a variety of management theories and discourse have arisen. Building on Karl Mannheim’s approach to the sociology of knowledge, I argue that management paradigms are rooted in the fundamental aspirations of human beings to lead ideal lives in ideal societies. The epitome of these aspirations coalesces in what I call a utopian meta-paradigm. Examining the utopian meta-paradigm more closely, two sub paradigms emerge with fundamentally different organizing principles and underlying assumptions: the technocratic utopian meta-paradigm and the romantic utopian meta-paradigm. I discuss and compare the technocratic versus romantic utopian paradigms via their fictional realizations in Edward Bellamy’s Looking Backward and William Morris’ News from Nowhere, respectively. From this basis, I construct two separate managerial paradigms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each of which is a secularized version of the corresponding utopian meta-paradigm: technocratic management paradigm and humanistic management paradigm. At one extreme, the technocratic management paradigm focuses on the accomplishment of material abundance through technocratic work process design and rational control of labor. According to this paradigm, people willingly subsume their autonomy, authority, and innate talents to the requirements of bureaucratic operations in return for material gain. At the other extreme, the humanistic management paradigm emphasizes self-actualization, self-expression, maxim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collective performance, and trust-based mutual dependence within an organizational community. A historical review of management theories and discourses suggests that the two management paradigms have framed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theories and discourses since the emergence of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pecifically,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was not only the first embodiment of technocratic utopian ideals but also the theoretical construct that realized these ideals in an almost perfect fashion. Sinc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had attained such a high degree of legitimacy early in the history of management, technocratic management projects that attempted to go beyond the reach of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uch as system rationalization and reengineering, ended up being considered failures. At the same tim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et the foundation for the evolution of the humanistic management paradigms. Although the human relations movement arouse as an alternative model of management to technocratic management (specifically,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its humanistic spirit rapidly wound down due to the strong allegiance practitioners and management scholars held for the technocratic view. Initially locked in the technocratic vision of utopia, however, human relations movement succeeded in making a path-breaking paradigm shift (though not the traditional sense of paradigm shift that involves the replacement of one with another), calling attention of management scholars and gurus to human-centered aspects of management such as human motivation and employee satisfaction. This early humanistic management discourse, which I call ‘commitment’ discourse, evolved into ‘parti

      • KCI등재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의 상응성에 관한 연구

        이재완(李在完)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4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정보를 생산 보유하고 있는 정부의 역할과 공공정보를 소비하는 일반국민의 역할을 기준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그 분석 결과,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은 역사적으로 ‘비밀수호자-수동적 수신자 모형’에서 ‘투명한 공유자-능동적 청구자 모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즉 정부운영 패러다임은 정부 중심의 일방향 정보제공을 지향하는 ‘정부 1.’0에서 정부와 국민의 쌍방향 정보제공을 지향하는 ‘정부 2.0’을 거쳐 개인별 맞춤형 정보제공을 지향하는 ‘정부 3.0’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공개 패러다임은 ‘정보공개 결정 패러다임’에서 ‘정보공개 청구 패러다임’을 거쳐 ‘청구-결정 상호작용 패러다임’으로 발전하였다.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이 모두 정부와 일반국민들 간의 정보의 자유로운 쌍방향 흐름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는 점에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웹기술에 기반한 정부운영 패러다임의 급속한 진화는 정보공개 패러다임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기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 및 공공부문의 빅데이터에 대해 일반국민들이 자신의 정보욕구에 맞게 필요한 정보를 청구하면 정부가 그 수요에 맞는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 3.0은 청구-결정 상호작용 패러다임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government paradigm and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relate to each other, and how they have been changed with respect to time. For the analysis, the framework was established where the bases were roles of government in charge of producing and retaining public information as well as roles of citizens entitled to consuming public inform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historical progress from ‘Secret Protector ? Passive Recipient Model’ toward development of ‘Transparent Sharer ? Active Applicant Model’ with respect to the two paradigms. Government paradigm has been shifted from ‘Government 1.0’, characterized by a one-way and government-oriented provision of information to ‘Government 2.0’, aimed at enabling interactive information provision between government and citizens, and then currently to ‘Government 3.0’, where information provision is customized to meet each individual citizen’s needs. In the meanwhile,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has also changed from ‘Information Disclosure Approval Paradigm’ to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tion Paradigm’ and then currently to ‘Application-Approval Interaction Paradigm’. As both government paradigm and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have evolved to foster feel flow of information and interactivity between government and citizens, the two paradigms are interrelated. In this vein, it is anticipated that given the current rapid evolution of web technology-based government paradigm will serve as a tool inducing further changes in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Likewise, ‘Government 3.0’, enabling the provision of customized public information when citizens make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on big data of government and public sector,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cooperative governance of application-approval interaction paradigm.

      • KCI등재

        비행청소년 상담(관리) 패러다임의 전환: 교정패러다임에서 탈비행패러다임으로

        김경숙,남현우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2

        In this study, I explore a shift from Correctional paradigm, the time-sustained paradigm in counseling (managing) juvenile offenses and repeat offenses, to the new Desistance paradig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ques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rrectional paradigm that bases itself on the point when an offense takes place and bring local publicity to the new trend for the desistance paradigm in Korea, thus trying to shift the perspective to desistance. For this purpose, I have surveyed the concept and theoretical model of desistance as shown in about ten foreign studies, thus verifying the foundation of the paradigm of desistance. Also, I hav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offense paradigms with a focus on the desistance paradigm, and identifie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desistance paradigm. My research method consists in performing a theoretical analysis of key topics, targeting the studies of desistance and the desistance paradig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cept of desistance, I have confirmed the indispensable temporal process that goes through secondary desistance and human agency, and deepened my understanding of the phases of shift through the theoretical models of desistance such as risik-needs-responsivity model, good lifes model, and intrapersonal moderator model. Second, I have verified that the development proceeds through non-treatment paradigm, revised paradigm, and correctional paradigm before desistance paradigm and that the goal of paradigm gradually improves from diminishing repeat offenses to an offender’s changed life. Lastly, desistance paradigm characteristically sets great store by the lives of individual offenders, pursue focusing on desistance, and has intervention incorporated as a component of the whole. With this, I look forward to effective practices of desistance paradigm that critically emphasizes the dynamic shift to desistance and the life of an offender as a human.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 비행‧재범상담(관리)의 지속적 패러다임이었던 교정패러다임으로 부터 새로운 탈비행패러다임으로 전환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비행발생지점 증거에 기초한 교정패러다임의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탈비행패러다임의 신 동향을 알리고 탈비행으로 관점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여 편의 외국연구의 탈비행 개념과 이론모형들을 조사하여 탈비행패러다임의 기초를 개관하였다. 또한 탈비행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비행 상담(관리)패러다임의 변천사를 분석하고 탈비행패러다임의 현저한 특성들을 추출하였다. 연구방법은 탈비행 및 탈비행패러다임 연구들을 대상으로 핵심주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비행개념은 이차적 탈비행과 중개자아를 통해 탈비행에 이르는 시간적 과정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탈비행 변환단계를 강조하는 이론모형은 위기-욕구-대응모형, 좋은 삶 모형, 대인중재모형 등이 나타났고 대인중재모형은 통합적으로 변화의 결심과 인지요소를 결합하였다. 둘째, 탈비행패러다임 이전에 비처치패러다임, 개정패러다임, 교정패러다임 변천사를 전개하였고 패러다임의 목표가 재비행 감소에서 비행자의 삶의 변화로 점차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탈비행패러다임은 비행자 개인의 삶을 중시하고 탈비행-초점화를 추구하며 개입이 전체속의 부속물로 포용되는 특성들이 나타났다. 향후 탈비행의 역동적 변화과정과 비행자의 인본적인 삶을 결정적으로 강조하는 탈비행패러다임의 효과적인 실행을 기대한다.

      • KCI등재

        영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망

        이신동(Shin-Dong Lee),이정규(Jeong-kyu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The term paradigm means a system of thought or practice that controls thinking, feeling, and doing in an academic field. In gifted education over 10 years in Korea, it can be important to gain the insight into the paradigm of gifted edu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n insight and establish three kinds of paradigms of gifted education, and then present a prospective paradig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To set up a paradigm and a vision, we describe the paradigm shift in gifted education as three paradigms. (1) identification paradigm, (2) talent development paradigm, and (3) differentiation paradigm,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framework, "basic assumptions", "educational purposes", "selection", "teaching strategies". We compare and contrast three paradigms and find some limits of these paradigms. Finally, we propose Eminent Achievement Paradigm for future study that continues to assist exceptional people to achieve their accomplishments through intensive researches on people with eminent achievements in history. 패러다임이란 어떤 학문분야에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을 지배하는 사고 또는 실행 시스템을 의미한다. 10년이 넘은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있어서도 영재교육에 관한 패러다임에 대한 통찰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에 대한 세가지 패러다임을 통찰하여 정립하고, 영재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미래의 영재교육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재교육의 비전과 패러다임 설정을 위해 "기본가정", "교육 목적", "영재 선발", "교수전략"의 네 가지 분석틀에 기초하여, 지금까지의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1) 영재 판별 패러다임, (2) 영재 재능계발 패러다임, (3) 영재 차별화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세 가지 패러다임이 갖는 한계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 탁월한 성취를 보인 사람들에 대한 집중 연구를 통해 이런 탁월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이 계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는 "영재 탁월한 성취 패러다임" 연구가 차기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