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는 "기술"인가 "신적 영감"인가? -플라톤의 『이온』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와 이온의 논전을 중심으로-

        박규철 ( Kyu Cheol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이온』에서 소크라테스는 음유시인 이온의 성공이 기술에 근거한 것이 아님을 그를 상대로 한 대인논증을 통하여 논증한다. 이 때 그가 전제하는 원리는 기술과 대상 간의 일대일 대웅원리다. 제1부(530a-532c)에서 이온은 자신이 호메로스 시에 정통함을 자랑한다. 그런데 소크라테스는 그가 호메로스 시에 관한 전문가임을 자랑하려면,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을 소유하고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그는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에 관한 기술을 전혀 소유하지 못하였다. 그의 성공은 기술에 근거한 것이 아닌 것이다. 제2부(532d-535a)에서, 소크라테스는 시인들과 음유시인을 움직이게 하는 힘은 기술이나 지식이 아니라 신적인 힘임을 강조한다. 소크라테스는 시인과 음유시인이 지닌 신적 영감을 설명하기 위해 ``자석의 비유``를 도입한다. 마치 큰 자석이 주변에 있는 모든 쇠 반지들을 끌어당기듯이, 신적 영감의 원천인 무사 여신들은 시인들과 음유시인들을 연쇄적으로 끌어당긴다. 그리하여 무사 여신들의 신적인 힘은 우선적으로 시인들에게 전달되고, 그들의 힘은 음유시인에게 전달되며, 음유시인의 힘은 시를 듣는 청중에게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쇄과정을 통하여, 소크라테스는 이온의 능력이 기술이나 지식에 근거해 있는 것이 아니라 신적인 힘에 의존해 있음을 주장한다. 이런 점에서 시인이나 음유시인이 지닌 힘은 예언자나 점쟁이가 지닌 힘과 유사하다. 제3부(535b-542b)에서, 소크라테스는 음유시인 이온을 신적 섭리 또는 신적 광기의 지배를 받는 사람으로 규정한다. 기술과 신적 섭리 개념 간의 명확한 대비 속에서, 소크라테스는 이온에 대한 비판을 마무리한다. 이 때 그가 전제하는 원리는 기술과 대상 간의 일대일 대응원리이다.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모든 기술에는 어떤 특정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그 각각의 기술에는 그것과 연관된 고유한 대상이 있다. 기술이 다를 경우 대상 또한 달라지며,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소크라테스는 기술과 대상 간의 일대일 대응원리에 입각해 이온의 지닌 기술적·지적 한계를 비판한다. 결론적으로, 소크라테스는 『이온』에서 시인과 음유시인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아테네 사회에서 호메로스로 대표되는 시인이 가진 사회적·정치적 영향력을 문제 삼는다. 그리고 시인들이 가졌던 아테네 청년들에 대한 교육의 주도권을 전문가인 철학자에게 돌려주려 한다. 『변론』에서 시작된 플라톤의 이러한 문제의식은 『국가』에 가서야 온전히 드러나는 그런 사상이지만, 우리는 『이온』에서 미약하나마 그 기본 구도를 볼 수 있는 것이다. Is Poetry techne or the Divine Inspiration? -Focused on the controversy between Socrates and Ion in Plato`s Ion - Park, Kyu-Cheol(AC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techne and the nature of poetic inspiration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Socrates and Ion in Plato`s Ion. In addition, it demonstrates to prove that Ion has no techne, but is like a soothsayer or prophet in being divinely possessed. Socrates`s argumentation is ad hominem against Ion. In section Ⅰ(530a-532c), Socrates claimed that the success of Ion as a rhapsode was not based on techne. In this regard, his presuppositions follow the principle follow of a one-to-one mapping between techne and subject matter. Firstly, Ion has his self-confidence in that he is an authentic poet of Homer. However, Socrates insists that he should have possessed universally applying to knowledge in order to be proud as an expert on epics of Homer. But, as Socrates judged, Ion has commonly do have much less technical knowledge than the expert. After all, his success is not based on techne. In section Ⅱ(532d-535a), Socrates emphasis the fact that the power to make poet and rhapsode to move is not art or knowledge but ``divine influence``(theia dynamis, 534c). At first, Socrates introduced ``the famous image of the magnet`` to explain divine inspiration that poet and rhapsode have. As if the magnetic stones pull out all iron rings around it, Muse who is source of divine inspiration attracts poet and rhapsode continuously. Therefore, divine inspiration of Muse delivered to poet preferentially and their power delivered to rhapsode and then power of rhapsode finally delivered to audiences who is listening poem. Through above serial process, Socrates insists that Ion`s ability is not based on techne or episteme but relied on divine power. At this point of view, the power that poet and rhapsode possessed is similar to the power that prophets or a soothsayer or prophet have. In section Ⅱ(532d-535a), Socrates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power to make poets and rhapsodes frenzied is not art or knowledge but ``divine influence``(theia dynamis, 534c). At first, Socrates introduced ``the famous image of the magnet`` to explain divine inspiration that poets and rhapsodes have. As if magnetic stones pull out all iron rings around it, Muse, as a sourceful god of divine inspiration incessantly attracts the poets and rhapsodes. Therefore, the divine inspiration of Muse preferentially conveys to poets and their power delivers to rhapsodes and finally to audiences who is listening the poems. Based on these processes, Socrates argues that Ion`s talent is not originated from techne or episteme but from the divine power. Therefore it can be construed that the ability of poets and rhapsodes is similar to that of prophets or soothsayers. In section Ⅲ(535b-542b), Socrates described the rhapsode, Ion was frenzied by ``divine dispensation``(theia moira, 536d) or divine madness. As Socrates ends up with criticism on Ion in a sharp contrast between art and divine dispensation, he concludes that every techne has an ability to perform particular kinds of task since each art has an intrinsic object linked to techne. Thus, if techne is different, subject matter will be different too. As aforementioned above, Socrates restricts the divine dispensation that Ion possessed based on one-to-one mapping between techne and its subject matter. In conclusion, Socrates fundamentally caused social and educational roles of poets rooted from Homer in Athens Society into question in terms of criticism on poets and rhapsodes in Ion. Moreover, he tried to return the initial goal for education on young men of Athenian to philosopher from poet. Amo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forming Plato`s criticical arguments, Ion was ranked a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Apology and Republic.

      • KCI등재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과 전보배상’에 관한 절차법적 고찰 - 대법원 2012. 5. 17. 선고 2010다2860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정상민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2 法과 政策 Vol.28 No.2

        The object of the lawsuit or the subject of judgment in a civil procedur is called a subject matter of lawsui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 subject matter of lawsuit as a right or claim under substantive law may not result in a significant divergence between substantive law and procedural law. In the late 19th century, Windscheid established the concept of ‘Anspruch’ by separating the elements of substantive law from the ‘actio’ in Roman law, and immediately defining it as the object of the lawsuit in the German Code of Civil Procedure of 1877, it seemed as if substantive and procedural law were in harmony. However, in the case of a concurrence of claims in which the right to claim damages due to tort and default are established respectively in a single case, even though this is only a single event, the question has been raised that the ideological division of the subject matter is contrary to the one-time settlement of dispute or a judicial economy, and a common sense of general public. The debate sparked by Rosenberg in 1925 was by no means a terminal phenomenon of conceptual jurisprudence but a valuable discussion that explored the uniqueness of the Civil Procedure over Civil Law. And the new theory that identify a subject matter around the procedural elements of the cause of action is one of its brilliant results. In criticizing the case law on the basis of claims under substantive law, i.e., the old theo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principle of disposition, and to explore together its rational methods of operation and supplements. If the concept of a subject matter of lawsuit is to be expanded by shifting from the old theory to the new theor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mpulsory representation by lawyer while strengthening court’s duties of requesting elucidation so that a more faithful trial can be carried out while the parties’ right to defense and procedural rights can be practically guaranteed. 민사소송에서 심판의 대상이 되는 소송의 객체를 소송물이라 한다. 소송물이라는 개념을 실체법상의 권리 내지 청구권으로 이해하면 실체법과 절차법 사이에 큰 괴리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19세기 후반 빈트샤이트가 로마법상 악티오(actio) 중 실체법상 요소를 분리하여 실체법상의 청구권(Anspruch)이라는 개념을 확립하여 청구권 중심의 근대 민법체계를 정비하고 곧바로 1877년 독일 민사소송법전에서 이를 소송의 대상으로 규정하였을 때에는 마치 실체법과 절차법이 조화를 이루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하나의 사건에 대하여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과 채무불이행에 기한 청구권이 각각 성립하는 청구권경합의 경우, 이는 하나의 생활사실에 불과함에도 그 소송물을 관념적으로 나누는 것은 분쟁의 일회적 해결이나 소송경제에 반하고 일반인의 상식에도 반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이 1925년 로젠베르크에 의해 촉발된 소송물논쟁은 결코 개념법학의 말기적 현상이 아니고 실체법에 대한 소송법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탐구한 값진 논의였다. 그리고 청구취지와 청구원인이라는 소송법적 요소를 중심으로 소송물을 식별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신소송물이론은 그 빛나는 결과물의 하나이다. 다만 분쟁의 일회적 해결이라는 목표만을 쫓다보면 실제 변론에 있어서는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심리의 기본원칙인 처분권주의와 변론주의의 적용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소송물 자체가 심판의 대상을 명확히 하여 민사소송이라는 절차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 등 소송상 주요제도의 적용의 유무와 범위를 결정짓는 기능적, 도구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체법상 청구권을 기준으로 소송물을 포착하는 판례의 입장, 즉 구소송물이론을 비판함에 있어서는 처분권주의와 변론주의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그 합리적 운용방안과 보완책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구이론으로부터 신이론으로 전환하여 소송물개념을 확대한다면, 보다 충실한 재판이 이루어지면서도 당사자의 방어권과 절차적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법원의 석명 내지 지적의무를 강화하는 한편 변호사 강제주의를 도입하여야 한다.

      • KCI등재

        축소된 상자그림을 활용한 미세먼지 데이터의 군집분석

        최호식,박창이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5

        In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conducted at an early stage of data analysis, a boxplot (box-whisker plot) is often used for understanding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data. Boxplot visualizes the distribution of data via 5-number summary based not on the values but on the ranks or quantiles of data and it is represented by box-shaped plot and two boundaries with respect to range of data. In this study, we conside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model with one categorical explanatory predictor and introduce a simple quantile regression estimator used in estimating boxplot. Under this framework, we introduce a shrinkage quantile regression estimator using pairwise fused penalty function for parameters. Moreover, we explain how to perform clustering boxplot-valued data based on the shrinkage quantile regression estimate. By applying the method on the particulate matter data of Seoul in 2015 first quarter, among 31 measurement sites, we obtained clusters showing similar boxplots or interquartile ranges effectively. 상자그림(box-whisker plot)은 데이터분석의 초기 단계에서 수행하는 탐색적 데이터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EDA)에서 분포의 개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된다. 상자그림은 데이터의 크기보다는 데이터의 순위(rank) 혹은 분위수(quantile)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다섯 가지 요약숫자(5-number summary)로 축약하고 이를 상자와 상자의 경계 및 경계 밖의 데이터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범주형 설명변수를 고려하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에서 분위수회귀추정량을 활용하여 상자그림 구성에 필요한 추정치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쌍별규합벌점함수로 벌점화된 축소된 분위수회귀추정량을 설명한다. 아울러 이를 활용하여 범주형 설명변수의 수준별로 상자그림을 탐색하고, 여러 상자그림들을 군집화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자그림의 사분위수 범위와 상/하 사분위수 및 중위수가 동시에 유사한 상자그림을 군집분석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2015년 1분기 서울시 미세먼지 일별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31개의 측정소들을 상자그림과 사분위수 범위가 유사한 지역들로 효과적으로 군집화할 수 있었다.

      • KCI등재

        Study on Consolidation Behaviors of Peaty Soils Using a Viscoelastic Rheological-Consolidation Model in Kunming, China

        Fan-Ge Zhang,Kan Liu,Min Yang 대한토목학회 2020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4 No.3

        Due to the presence of organic matters, peaty soils have a highly compressible nature, and the consolidation process is complicated by the occurrence of rheological deform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behaviors of the peaty soils sampled from the city of Kunming, the capital of Yunnan province in southwestern China. A series of one-dimensional compression tests are carried out on the peaty soil specimens with different organic matter contents. Considering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eaty soils, the three-element viscoelastic rheological model is introduced into the consolidation equation, then the analytical solution is derived for the viscoelastic rheological-consolidation model. Finally, the influences of consolidation pressure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on the model parameters determined by test data fitting are investigated. It has been shown that the model is coinciding fairly well with test results, and the consolidation pressure and organic matter content have a remarkable effect on the model parameters.

      • KCI등재

        정주학과 불교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심성론과 공부론을 중심으로 ―

        김결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5

        This paper philosoph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engZhu and Buddhism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acceptance and criticism of ChengZhu and Buddhism, focusing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e practical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human natur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Li’ as a universal and immutable basis for moral practice in ChengZhu was influenced by the ‘Buddha nature’ represented by the dharma realm of Li(理法界) and the Budda nature as ideal(理性). While we can see conceptual similarities between Buddha nature and Li, Yichuan's ‘One principal’(理一)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Buddhism in that it refers to an embodied morality of humanity. Next, Zhu-za interprets ‘One principle and Numerous manifestations(理一分殊) in terms of Buddhism's ’the moon reflects thousands of rivers’(月映萬川), which emphasizes the absolute and indivisible unity of the substance(本體), something that both the original Moon and One principal can share. However, they are at odds from a fractional point of view, as Buddhism understands the phenomenal world, which the Moon illuminates in all waters, as the dependent arising(緣起) without any own-being, whereas the Zhu-za understands individual objects as having physically endowed nature and actually existing. 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al theory,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engZhu and Buddhism in two ways. First, the idea that ‘sainthood can be attained’ from the thought of Budda nature by Chu, Dao-Sheng(竺道生) influenced the practical theory of ChengZhu, but the spirit of ‘sainthood can be learned’ is inherent in the Confucian thought itself. Second, in terms of the practice of sainthood, the ChengZhu opposed the sudden enlightenment(頓悟) of Zen and advocated ‘studying deep into the root of matter’(格物), but their strong sense of criticism did not go so far as to deny the enlightenment that can be attained through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studying deep into the root of matter. 본고는 심성론과 공부론을 중심으로 정주학과 불교의 이론적 수용 및 비판을 살펴봄으로써 양자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심성론의 측면에서 봤을 때 정주학에서 도덕실천이 절대적으로 가능한 보편불변의 근거인 ‘리(理)’ 개념의 설정은 법장의 리법계(理法界)와 징관의 리성(理性)으로 대표되는 ‘불성(佛性)’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때 불성과 리 사이에서는 개념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정이천의 ‘리일(理一)’은 실체화된 인륜 도덕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불교와는 다른 함의를 드러낸다. 이어 주자는 불교의 월영만천(月映萬川)으로 리일분수(理一分殊)를 해석하는데, 본체는 절대적이며 분할되지 않는 단 하나를 강조한다는 점은 불교의 ‘일월(一月)’과 정주학의 ‘리일’이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일월이 모든 물에 비추는 현상세계를 불교는 어떠한 자성도 없는 연기로 이해하는 데 반해 주자는 개별 사물들 모두 기질지성을 가지며 실제로 존재한다고 파악하기 때문에 분수의 관점에서는 상충된다. 한편, 공부론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로 정주학과 불교의 관계를 살펴본다. 첫째, 축도생의 불성 사상으로부터 ‘성인에 이를 수 있다’는 사상적 흐름이 정주학의 공부론에 영향을 주었지만, ‘성인은 배울 수 있다’는 정신은 유가 사상 자체에 내재되어 있다. 둘째, 성인됨의 실천방법에 있어서 정주는 선종의 돈오식 공부법을 반대하며 격물을 주장하지만, 그들의 강한 비판의식이 불교적 깨달음의 경지를 반대한 것은 아니다.

      • KCI등재

        1930년대 재만조선인, 이등국민론의 비판적 성찰 - 교육정치사의 관점과 사례를 중심으로 -

        정안기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8

        1937년 재만조선인의 교육행정권은 만주국의 치외법권 철폐의 결과, 종래 조선총독부로부터 만주국 정부 관할로 이관되었다. 1938년 이래 신학제에 입각한 재만조선인 교육은 재만일본인과의 명백한 민족차별과 양질 저하로 이어지면서 재만조선인 사회는 물론이고 현지조선인 사회의 거센 반발을 초래했다. 그 와중에서 1937년 중일전쟁 발발에 따른 중국인의 민심이반과 조선인의 전시동원은 재만조선인의 교육문제에 대한 일본제국 차원의 대응을 불가피하게했다. 그 결과, 1941년 4월 선만수뇌의 ‘신경회담’이 개최되었고, 재만조선인교육행정권은 종래 일원적인 만주국 정부 관할로부터 ‘선만일여의 문교정책’에입각한 선만공동관리로 전환했다. 결국, 1937년 이래 재만조선인 교육정책의변화는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재만조선인의 정치적 위상이 급변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선만관계사 혹은 교육정치사의 관점에서 1937년 이래 재만조선인의 교육문제를 검토하고, 종래 ‘이등국민론(二等國民論)’ 혹은 그 ‘허상론(虛像論)’과도 구별되는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In 1937, th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rights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were transferred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Manchuria thanks to the abolition of extraterritoriality. As a result, from 1938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based upon the theological system brought obvious racial discrimination and a lowering of the quality of education, which in turn caused severe resistance from Korean residents in Korea, as well as by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With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Japan’s aggressive response to the education-related matters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was inevitable in terms of the estrangement of public sentiment among Chinese people and the wartime mobilization of Koreans. The study found that a Korea- Manchuria meeting was held in Changchun in April 1941. In terms of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a conventional one-way system was transformed into a joint Korea-Manchuria management system under the educational policy of “Korea and Manchuria are one and the same.” The changes in educational policy for Korean residents meant that the political stance of Korean residents in Changchun had dramatically changed since the start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rights of the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since the abolition of extraterritoriality in 1937 and trends among the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and to pay attention to the Korea-Manchuria talks in 1941 from the new research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Korea-Manchuria Relations and the history of educational politics. Then, it suggested another perspective which differs from the view of second-class citizens among Korean residents and the illusion of second-class citizens in Manchuria.

      • KCI등재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에 관한 비판적 고찰 -판결주문과 이유의 판단과 관련하여-

        범경철 ( Kyung Chul Beom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3

        At present, a civil lawsuit is composed of parties with individual rationality as an expression of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mong their private rights. It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disposition and pleading as well as the court`s authority in order to reach a favorable judgment. The process is the principle of dominance, a realization of legal liberalism which is a product of the modern civil revolution, and it assures that human dignity is maintained by putting the human perspective first in the lawsuit. Furthermore, the principle of a lawsuit is the settlement of a legal dispute in which each party presented their own standpoint and the court made a well-reasoned decision. The conclusion of the case continues to affect future lawsuits according to the justice of the proceedings. The res judicata accepts a decision of a lower court in an appellate court. To understand the scope of the res judicata, we must examine civil procedure code No. 216 section 1, which states that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applies to the text of the decision. Hence, it does not apply to the legal cause. However, civil procedure code No. 216 section 2 indicates that the res judicata can be applied to the sum of opposing positions even if they fall under the reason of decision if it is a decision for a set-off defence. This is to promote one-time settlement of conflicts since a previous lawsuit is rendered meaningless if there is a separate dispute about the existence of an automatic bond. Moreover, disputes ar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in the highly developed barter economy of today. As a result, the number of one-time settlement inquiries of litigation economy and disput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re is an ongoing debate through theories and cases on the necessity of giving the law binding force for legal cause as well and not merely the text of the decision. Thus, this paper defines that civil procedure code No. 216 section 1 has the res judicata on the text of a decision. Concurrently, this paper examines section 2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has the effect on a sum of an opposing position for a set-off defence to determine the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reason and text of decision as well as the scope of the effect based on lawsuit objective theory. Furthermore, theories and cases related to the binding force of a reason of decision are introduced to suggest suitable directions for interpretation.

      • KCI등재

        헤겔과 로크에서 지각과 사물 개념

        김옥경 ( Ock-kyoung Kim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39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과 로크의 지각과 사물 개념을 해명하는 데에 있다. 헤겔은 지각 장에서 사물을 ``성질``이나 ``물질``로 보는 근대 물리학적 이론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성질의 관점에서 사물을 파악하는 로크의 이론을 발견한다. 로크는 사물을 성질이나 입자로 파악하는 보일(Boyle)의 이론을 받아들여 자신의 경험론적인 지각 이론을 전개해나간다. 헤겔도 이러한 사물 개념을 자신의 지각 이론에 수용하여, 이를 정신의 변증법적 체계 속에 하나의 요소로서 사유한다. 물론 헤겔은 사물을 성질이나 입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지각이론보다는 사물들의 전체를 힘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동력학 전통에 기초한 오성의 관점을 더 우위에 둔다. 이러한 연유로 헤겔의 지각이론은 헤겔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각이론은 헤겔 『정신현상학』 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헤겔에 있어서 지각은 힘이나 유기체적 운동 그리고 정신의 운동의 단초를 마련하는 가장 기초적인 사물의 변증법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헤겔 변증법의 핵심 구조 중의 하나인 단일성과 다양성 혹은 동일성과 차이의 관계의 단초 또한 지각과 사물 개념에서 찾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헤겔의 지각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헤겔이 전제로 하고 있는 로크의 경험적 지각을 헤겔이 어떻게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이론으로 변형시키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perception and thing by Hegel and Locke. In the chapter on perception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Hegel examines the modern theory of physics, in which thing is determined by property and matter. Here we discover a theory of Locke, which grasps a thing in respect to property. Accepting the theory of Boyle in which thing is understood as property and corpuscular, Locke proceeds his empirical theory of perception. Hegel also takes over this concept of thing in his theory of perception and further develops it as an essential moment in the dialectical system of spirit. Of course Hegel insists that the power of understanding that conceives of a totality of things in terms of a relation of power is prior to the perception that only grasps thing in terms of property and corpuscular. Here in order to elucidate thing, Hegel puts a more emphasis on dynamics than the corpuscular hypothesis. For this reason, Hegel``s theory of perception has been overlooked.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Hegel,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theory of perception. And we can discover this importance in the chapter of perception in Phenomenology of Spirit. According to Hegel, perception unveils the dialectics of thing which forms the basis for the force, the movement of organism and eventually the movement of spirit. Also in perception and thing, we can discover a clue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unity and manifolds or the relation of identity and difference, which is an essential structure in Hegel``s concept of dialectics. And Hegel``s theory of perception presupposes Locke``s theory. Hence to understand Hegel``s theory of percep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theory of perception by Locke.

      • KCI등재

        근기학인近畿學人의 퇴계학退溪學 수용과 실학實學 ― 한백겸韓百謙과 유형원柳馨遠을 중심으로

        조성을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First, Han Baek-kyum and Lyu Hyung-won as Practical Learning scholars, both were versed in Neo-Confucian Philosophy. Their philosophies experienced three phases of development (1)Theory of Principle- Matter Oneness based on Only-Matter Theory, (2)Reception ofPrinciple-OrientedToegye'sphilosophy(3)TheoryofPrinciple- 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s development is a kind of dialectical process. Secondly, Han Baek-kyum's and Lyu Hyung-won's Practical Learning were philosophically on the foundation of Theory of Principle- 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rdly, the Practical Truth in Lyu Hyung-won consists in all aspects of Nature and Man. Fourthly, the difference between Neo-Confucianism lies in the fact that the latter receives the limitations by real world much and the former pays much attention to ideal world Fifthly,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is not attributed only to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e currents of social reform thoughts since the end Koryo dynasty als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Lastly, it was not Philosophy itself but social changes from late 16th until early 17th century that most basically influenced on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백겸韓百謙과 유형원柳馨遠은 매우 깊은 성리학적 토대를 갖고 있었으며 두 사람 모두 대체로 ①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기일원론氣一元論- ②리理의 수용(퇴계학의 수용)- ③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리일원론理一元論의 단계를 겪었다(한백겸의 경우 뒤의 두 단계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음). 둘째 이러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은 리理라는 원칙을 끝까지 견지하면서 이것을 구체적으로 현실 속에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하려는 점에서 실학의 전개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 기능할 수 있었다. 퇴계학은 실학의 철학적 토대 형성을 위한 매개적 기능을 하기는 하였으나 그 자체가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된 것은 아니다. 도기일체론적 기일원론(화담적 경향)이라는 테제가 선행하여 있었고 여기에 다시 주리적主理的인 퇴계학이라는 안티테제가 있었고 양자가 지양, 종합되어 최종적으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 철학(정명도적 경향)이 형성되어 이것이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되었다. 셋째 유형원에 대한 퇴계학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더불어 “실리實理”를 『반계수록』의 철학적 토대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자체로서는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리는 송대 이래 성리학에서 일관되게 강조되는 것이다. 다만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자연은 물론 인간의 윤리, 국가제도의 모든 측면까지 확대된, “도기일체론적 실리”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모든 현상 속에 강력하게 구현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주자학과 한백겸·유형원 실학의 차이는 흔히 생각하듯이 리를 구체적인 현실의 제도로 구현하느냐, 않느냐의 차이는 아니다. 기氣에 의한 현실적 제약을 어느 정도 인정하느냐의 차이에 달려 있다. 주자 역시 조세개혁론 정도의 구체적인 국가제도 개혁을 생각하였으나 정전井田의 이상에 입각한 토지개혁은 현실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이것은 그가 리·기에 주목하면서도 기의 제약성을 강하게 의식하는 리기이원론적理氣二元論的 입장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비하여 한백겸과 유형원은 국가제도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인 토지개혁부터 실현하여야 하다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이 그 자체로서만 실학을 낳은 것은 아니다. 이에 선행하여 여말선초 정도전鄭道傳과 같이 『주례周禮』에 입각한 총체적 국가제도 개혁론의 흐름이 선행하여 있었고 사림파 내에서도 여러 개혁론이 제기되었다. 이런 학문을 흐름이 선행적으로 있었기 때문에 실학이 가능하였다. 여섯째 보다 근본적으로는 16세기 전반 이미 조선초기의 제도가 파탄된 상황에서 임란과 호란에 따른 전국토의 황폐화와 인민의 참상이라는 현실과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욕구가 강하여져서 실학을 탄생하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구체적 현실의 여러 모순과 문제가 먼저 있고 이에 대한 강한 개혁 의지가 생겨났으며 이런 가운데 새로운 철학적 모색이 치열하게 진행되어 새로운 철학이 정초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정합적‧총체적으로 국가제도 개혁론을 추구한 것이 바로 『반계수록』이다.

      • KCI등재

        근기학인近畿學人의 퇴계학退溪學 수용과 실학實學

        조성을(趙誠乙)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백겸韓百謙과 유형원柳馨遠은 매우 깊은 성리학적 토대를 갖고 있었으며 두 사람 모두 대체로 ①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기일원론氣一元論- ②리理의 수용(퇴계학의 수용)- ③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리일원론理一元論의 단계를 겪었다(한백겸의 경우 뒤의 두 단계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음). 둘째 이러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은 리理라는 원칙을 끝까지 견지하면서 이것을 구체적으로 현실 속에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하려는 점에서 실학의 전개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 기능할 수 있었다. 퇴계학은 실학의 철학적 토대 형성을 위한 매개적 기능을 하기는 하였으나 그 자체가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된 것은 아니다. 도기일체론적 기일원론(화담적 경향)이라는 테제가 선행하여 있었고 여기에 다시 주리적主理的인 퇴계학이라는 안티테제가 있었고 양자가 지양, 종합되어 최종적으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 철학(정명도적 경향)이 형성되어 이것이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되었다. 셋째 유형원에 대한 퇴계학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더불어 “실리實理”를 반계수록의 철학적 토대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자체로서는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리는 송대 이래 성리학에서 일관되게 강조되는 것이다. 다만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자연은 물론 인간의 윤리, 국가제도의 모든 측면까지 확대된, “도기일체론적 실리”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모든 현상 속에 강력하게 구현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주자학과 한백겸·유형원 실학의 차이는 흔히 생각하듯이 리를 구체적인 현실의 제도로 구현하느냐, 않느냐의 차이는 아니다. 기氣에 의한 현실적 제약을 어느 정도 인정하느냐의 차이에 달려 있다. 주자 역시 조세개혁론 정도의 구체적인 국가제도 개혁을 생각하였으나 정전井田의 이상에 입각한 토지개혁은 현실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이것은 그가 리·기에 주목하면서도 기의 제약성을 강하게 의식하는 리기이원론적理氣二元論的 입장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비하여 한백겸과 유형원은 국가제도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인 토지개혁부터 실현하여야 하다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이 그 자체로서만 실학을 낳은 것은 아니다. 이에 선행하여 여말선초 정도전鄭道傳과 같이 『주례周禮』에 입각한 총체적 국가제도 개혁론의 흐름이 선행하여 있었고 사림파 내에서도 여러 개혁론이 제기되었다. 이런 학문을 흐름이 선행적으로 있었기 때문에 실학이 가능하였다. 여섯째 보다 근본적으로는 16세기 전반 이미 조선초기의 제도가 파탄된 상황에서 임란과 호란에 따른 전국토의 황폐화와 인민의 참상이라는 현실과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욕구가 강하여져서 실학을 탄생하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구체적 현실의 여러 모순과 문제가 먼저 있고 이에 대한 강한 개혁 의지가 생겨났으며 이런 가운데 새로운 철학적 모색이 치열하게 진행되어 새로운 철학이 정초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정합적?총체적으로 국가제도 개혁론을 추구한 것이 바로 『반계수록』이다. First, Han Baek-kyum and Lyu Hyung-won as Practical Learning scholars, both were versed in Neo-Confucian Philosophy. Their philosophies experienced three phases of development (1)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Matter Theory, (2) Reception of Principle-Oriented Toegye"s philosophy (3)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s development is a kind of dialectical process. Secondly, Han Baek-kyum"s and Lyu Hyung-won"s Practical Learning were philosophically on the foundation of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rdly, the Practical Truth in Lyu Hyung-won consists in all aspects of Nature and Man. Fourthly, the difference between Neo-Confucianism lies in the fact that the latter receives the limitations by real world much and the former pays much attention to ideal world Fifthly,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is not attributed only to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e currents of social reform thoughts since the end Koryo dynasty als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Lastly, it was not Philosophy itself but social changes from late 16th until early 17th century that most basically influenced on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