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Proposal of the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for Scent Generator Using Web Service

        ( Jeong Do Kim ),( Hyung Gi Byun ) 한국센서학회 2012 센서학회지 Vol.21 No.4

        Among the human senses, olfactory information still does not have a proper data presentation method unlike that regarding vision and auditory information. It makes presenting the sense of smell into multimedia information impossible, which may be an exploratory field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which is a way to use smell as multimedia information, and show an application for scent generation and odor display using a web service. The olfactory information can present smel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nsity, persistence, hedonic tone, and odor description. The structure of data format based on olfactory information can also be organized according to data types such as integer, float, char, string, and bitmap. Furthermore, it can be used for data transmitting via a web service and for odor display using a scent generator. The scent generator, which can display information of smell, is developed to generate 6 odors using 6 aroma solutions and a diluted solution with 14 micro-valves and a micropump. Throughout the experiment, we confirm that the remote user can grasp information of smell transmitted by messenger service and request odor display to the computer controlled scent generator. It contributes to enlarge existing virtual reality and to be proposed as a standard reference method regarding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for future multimedia technology.

      • KCI등재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이국희 ( Guk Hee Lee ),최지훈 ( Ji Hoon Choi ),안충현 ( Chung Hyun Ahn ),이형철 ( Hyung Chul Li ),김신우 ( Shin Woo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2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 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그 냄새가 실감을 증대시키는지 (실감증대효과),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라는 세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세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there has been much advancement in the methods of provid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olfaction for video rea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fine and knotty to manipulate. As a first step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using olfactory inform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users` acceptability of smell when they watch videos of various kinds and then classified the video clips based on their acceptability of different criteria. To do so, we first selected three questions of whether the scene in the video appears to have an odor (odor presence), whether a matching odor is likely to improve a sense of reality (effect on sense of reality), and whether s/he would like a matching odor to be present (preference for the matching odor). Then after collecting 51 video clips of various genres that would receive either high or low ratings for the questions above, we had participants to watch the videos and rate them for the above three questions on 7-point scale. For video classification, we paired each two questions to construct 2D space to draw scatterplot of video clips where the scales of the two questions represent X or Y axis. Clusters of video clips that locate at different quadrants of the 2D space woul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 providing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 천연향 자극에 대한 향 관련 종사자들의 EEG 반응

        강인형 ( In Hyeng Kang ),민병찬 ( Byung Chan Min ),진승현 ( Seung Hyun Jin ),전광진 ( Kwang Jin Jeon ),성은정 ( Eun Jung Seng ),김철중 ( Chul Jung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02 추계학술대회 Vol.2002 No.-

        향 관련 직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는 유기 화학적 냄새에 폭로된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작업환경 개선을 주된 목적으로 실시되어져왔으나 천연향 자극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관련 전문직과 화장품 판매직을 대상으로 100%의 basil oil, lavender oil, lemon oil, jasmine oil, ylang-ylang oil (KIMEX co. Ltd, Korea), skatole (TAKASAO co. Ltd, Japan)등 6종 향 자극에 대한 EEG, 주관평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문직에서 선호도가 높은 향은 Fz와 F3에서, 선호도가 낮은 향은 P4에서 α/β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호 정보량에 대해서는 두 직업 모두 선호도가 낮은 향에 대한 상호 정보량이 선호도가 높은 향에 비해 더 많았다. 특히 화장품 관련 전문직에서는 전두엽의 상호 정보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판매직과 비교하여 전문직은 천연향 자극이 감성효과가 아닌 외부자극에 대한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 영역과 관련된 지성효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The Predictors of Parent Reported Behaviors Related to Olfactory Information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DHD

        Ahmad Ghanizadeh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0 PSYCHIATRY INVESTIGATION Vol.7 No.2

        Objectiveaa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heterogeneous disorder with contradictory findings about smell detection function. It is not clear if the parent perceived behavior related to olfactory function is associated with age, gender, severity of ADHD, and cooccurring symptoms of anxiety and oppositional behavior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aaParticipants were a clinical sample of 104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using DSM-IV diagnostic criteria by a semi-structured interview. Parent perceived behavior related to olfactory processing function was assessed trough a questionnaire. The parent reported Olfactory Functioning Checklist was used to evaluate “seeking behavior and over-responsiveness to smell (SSBO)” and “smell detection ability (SDA)”. ResultsaaADHD and separation anxiety symptoms count (severity) predicted the SDA scale score. None of the variables of gender, age, ADHD subtypes, co-morbidity with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and symptom count of ODD predicted SSBO and SDA scales’ scores. ConclusionaaParent reported behavior related to olfactory detection impairment increased with higher ADHD and anxiety severity. It is independent of age and gender.

      • KCI등재

        총설논문 : 후각정보의 감성측정을 이용한 영상실감향상

        이국희 ( Guk Hee Lee ),김신우 ( Shin Woo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5 감성과학 Vol.18 No.3

        오렌지 과즙이 생생하게 표현된 영상과 함께 제시된 오렌지 향은 영상실감을 향상시킬까? 혹은 남녀 간의 데이트 장면에 로맨틱한 향을 제시한다면 영상실감이 향상될까? 전자는 영상에 구체적인 대상 혹은 장소가 존재할때 향을 활용하여 영상실감을 향상시키는 경우라면, 후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 향을 활용하여 실감향상을 시도하는 경우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다양한 영상과 향에 대한 수용도와 감성에 대한심리적 측정을 진행해 온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고, 이 연구들이 주는 시사점과 한계, 연구 전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후각정보 수용도, 향 유사성 지각,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과 영상실감, 향 감성에 부합하는 색상, 색온도, 그리고 감성 형용사를 측정한 방법과 결과에 초점을 맞춰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가 영상실감을 위해 향을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자 혹은 공학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Will orange scent enhance video reality if it is presented with a video which vividly illustrates orange juice? Or, will romantic scent improve video reality if it is presented along with a date scene? Whereas the former is related to reality improvement when concrete objects or places are present in a video, the latter is related to a case when they are absent. This paper reviews previous research which tested diverse videos and scents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two different questions, and discuss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measurement methods and results regarding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perception of scent similarity, olfactory vividness and video reality, matching between scent vs. color (or color temperature), and description of various scents using emotional adjectives. We expect this paper to help researchers or engineers who are interested in using scents for video reality.

      • 영상미디어에 등장하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후각정보 분류

        이국희(Guk-Hee Lee),최지훈(Ji Hoon Choi),안충현(Chung Hyun Ahn),이형철(Hyung-Chul O. Li),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영상미디어에서 접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냄새를 영상미디어에 등장하는 빈도, 선호, 그리고 인 지적 표상의 구체성이라는 기준에 따라 분류한 탐색적 연구이다. 다양한 냄새 표집을 위해 실험자는 영상미디어에서 접했을 법한 일상생활의 냄새 300개를 7명의 사람으로부터 수집하였고, 수집한 각각의 냄새를 영상미디어에 등장하는 빈도, 선호, 구체성에 따라 7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이렇게 부여된 3가지 기준별(빈도, 선호, 구체성)의 점수는 각각 2차원 평면에 표현하기 위한 좌표로 활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빈도 점수를 가로축에 구체성 점수를 세로축에 두면, 점수에 따라 각각의 냄새를 2차원 평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여러 가지 냄새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의 냄새 분류에 관한 연구가 화학 분자식 수준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반해 일상생활에서 냄새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언어를 그대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며, 영상실감 증대를 위해 후각자극을 활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경험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Present research is one of the explanatory research where the fragrances of everyday life are classified by how many times do you meet this odor(frequency), how do you like it(preference), and how do you know this odor(concreteness). To do this research, experimenters collected 300 everyday-life odors from 7 people who were asked to remember odors, which they probably have met them in visual media and then these odors are rated by frequency in media, individual preference of odors, and concreteness of cognitive representation about odors in 7 scales. The given scores of each odor with 3 standards was used coordinates to represent odors on a 2 dimensional space. For instance, we presented the score of frequency as a horizontal axis and the score of concreteness as a vertical axis. In this way, we confirmed the relative locations of each odor on 2 dimensional space. Compared with past studies that usually focused on molecular formulas to classify scents, this research has originality with respect to everyday language of odors where people have frequently used to present when they have met some odors in ordinary life. Finally, this article involves an implication to be able to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to improve a sense of reality in visual media using olfactory stimuli.

      • KCI등재후보

        Olfactory Interaction based on ISO/IEC 23005 Standard

        Choi, Jang-Sik,Chang, Sung-June,Lee, Hae-Ryong,Byun, Hyung-Gi The Korean Sensors Society 2017 센서학회지 Vol.26 No.5

        Realistic media comprised of metadata of the five senses to provide enhanced experiences by stimulating our memory and sensations have had an increasingly pervading effect in our daily lives. Many researchers and companies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ir own authoring systems running on different platforms to serve realistic media, resulting in compatibility issues among the systems. To tackle these issue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have standardized the interface, data format, protocol, API, etc. required to provide the realistic media. In particular, the ISO/IEC 23005 standard, which is called MPEG-V in SC29/WG 11, has defined XML schemas for olfaction interaction based on electronic nose (E-Nose), and scent display. In this paper, the MPEG-V standard for olfaction interaction is reviewed, and a data flow diagram that can be used for olfactory interaction based on the MPEG-V standard was designed. In addition, the necessary schemas related to the E-Nose sensor for olfactory interaction was provided.

      • 후각자극에 대한 실감우선선호, 개인선호, 강도, 지속시간에 따른 영상분류

        이국희(Guk-Hee Lee),김정열(Jung Yul Kim),안충현(Chung Hyun Ahn),최지훈(Ji Hoon Choi),이형철(Hyung-Chul O. Li),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다양한 영상을 후각정보에 대한 개인적 선호와 실감을 위해 감수할 수 있는 수준, 그리고 냄새가 제시되 길 희망하는 강도와 지속시간간의 관계에 따라 분류한 탐색적 연구이다. 그동안 냄새의 구현과 제거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영상을 보는 상황에서 냄새를 제시할 때 사람들이 가지는 냄새에 대한 표상과 선호 등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었는데, 실감증대를 위해 냄새를 활용하는 것에 있어 위와 같은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51개의 다양한 영상을 표집하였고, 실험참가자들은 표집한 영상 각각에 대해 4가지 설문(실감우선선호, 개인적 냄새선호, 냄새강도, 냄새지속시간)에 대해 평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많은 연관 분야에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Present research is one of the explanatory studies, tha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preference of scents and prior preference to odors in media, which people are willing to endure for enhancing realization, and als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sity of odors and the duration of odors. Specifically, the experimenters collect 51 video images which have different genres. Participants who take part in this research watch each video image and rate 4 questions such as prior preference of odors to a sense of reality, personal preference to odors, intensity of providing odors, and duration of od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needed on a lot of relevant fields to progress.

      • 후각정보의 존재, 실감증대효과, 그리고 실감우선선호에 따른 다양한 영상분류

        이국희(Guk-Hee Lee),김정열(Jung Yul Kim),방동민(Dong Min Bang),김경수(Kyung Su Kim),최지훈(Ji Hoon Choi),안충현(Chung Hyun Ahn),이형철(Hyung-Chul O. Li),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영상미디어에 있을 법한 냄새에 대한 사람들의 표상과 표상한 냄새의 실감증대효과 사이의 관계, 실감증대 효과와 실감증대를 위해 감수할 수 있는 냄새의 범위 사이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영상을 분류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51개의 다양한 영상을 표집하여 실험참가자들에게 제시한 후 설문조사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내용은 냄새의 존재, 존재하는 냄새의 실감증대 효과, 실감을 우선한 냄새 선호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실험참가자는 모든 영상을 이러한 3가지 문항에 따라 1-7점으로 평정하였다. 본 연구는 차세대 실감미디어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다양한 응용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resent research is one of the explanatory studies, which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of odors and the effect of improving a sense of reality in visual media, and als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 of improving a sense of reality and prior preference to odors, which people are willing to endure for enhancing realization in media. To this research, we collect 51 video images which have different genres, and participants who take part in this research watch each video image and rate 3 questions such as existence of odors, the effects of improving a sense of reality, and prior preference of odors to re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a great deal of relevant fields to develop Immersive Media Industry.

      •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과 영상분류

        이국희(Guk-Hee Lee),이형철(Hyung-Chul O. Li),안충현(Chung Hyun Ahn),최지훈(Ji Hoon Choi),김신우(ShinWoo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3 No.6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냄새존재여부),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가 내가 좋아하는 냄새인지 (냄새자체선호), 그리고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가 얼마나 구체적인지 (냄새의 구체성)라는 네 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네 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