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죄형법정주의의 가능조건에 대한 연구 -푸코의 권력-지식론을 중심으로-

        신동룡 ( Dong Ryong Shin ) 연세법학회 2015 연세법학 Vol.26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condition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in the view of Foucault’s power-knowledge theory. Foucault’ l``enonce is the sign which has not gained its meaning yet. The l``enonce can gain its meaning through an operation of power-knowledge in the discourse space.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was based on the representational discourse space and power’s technology on a sign’s representation. In this space, a human being was understood as a reasonable being who can signify an object into a definite language with his reasonal power after observing the object. The theory of psychological coercion of Anselm Feuerbach was that which intended to prevent the human being from committing a crime with legal sign’s representation. In limitation’s discourse space, however, the human being was regarded as a restricted being who had a body, a madness and the otherness. He was not able to represent clearly the object with language which had its own rule. The modern thoughts intended to overcome this inevitable limitation and schemed out a disciplinary power-technology.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and the theory of psychological coercion could get their practical condition through this disciplinary power which excluded the otherness and made it the oneness. This study is helpful to understand how the ‘obscence’ as a l``enonce in the clause 243 of Penal Law can have the precondition to get its meaning.

      • KCI등재

        죄형법정주의 원칙의 관점에서 바라본 강제추행죄에서의 “폭행 또는 협박으로”

        이창섭 한국형사정책학회 2024 刑事政策 Vol.36 No.2

        최근 「대법원 2023. 9. 21. 선고 2018도13877 전원합의체 판결」에서는 강제추행을 폭행 또는 협박이 추행보다 시간적으로 앞서 그 수단으로 행해진 ‘폭행·협박 선행형’ 강제추행과 폭행행위 자체가 곧바로 추행에 해당하는 ‘기습추행형’ 강제추행으로 구별하고 ‘폭행·협박 선행형’ 강제추행에서 ‘폭행 또는 협박’은 폭행죄 또는 협박죄에서 정한 ‘폭행’ 또는 ‘협박’을 의미한다고 판단했다. 기습추행형 강제추행은 강제추행죄의 ‘폭행 또는 협박으로’라는 문언을 ‘폭행 또는 협박의 방법으로’라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을 때 강제추행죄로 처벌할 수 있는 행위가 된다. 그러나 ‘협박의 방법으로’ 추행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폭행 또는 협박으로’를 ‘폭행 또는 협박의 방법으로’라는 의미로 풀이할 수는 없다. 그리고 입법자는 ‘폭행 또는 협박’, ‘위력’, ‘추행’이라는 문언을 구별하고 있다. 강제추행죄의 ‘폭행 또는 협박으로’라는 문언을 사문화하는 기습추행형 강제추행은 별도의 입법이 없는이상 이를 처벌할 수 없다고 함이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부합한다. 강제추행죄와 준강제추행죄의 구성요건을 논리·체계적으로 해석하면 강제추행죄의 ‘폭행 또는 협박으로’와 준강제추행죄의 ‘사람의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의 상태를 이용하여’는 상응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강제추행죄의 ‘폭행·협박’은 적어도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의 것이어야 한다. 이렇게 해석해야 강제추행죄와 위력에 의한 추행죄, 미성년자의제강제추행죄, 공중밀집장소추행죄 등의 범죄를 구별할 수 있고, 위력에 의한 추행죄 등의 구성요건이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추행’ 자체도 사람의 신체에 대한 불법한 유형력 행사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기습추행의 법리를 인정하고 강제추행죄에서 폭행·협박의 정도를 따지지 않는 현재 대법원의 관점에 의하면 유형력 행사 형태의 ‘위력’에 의한 추행죄, 미성년자의제강제추행죄 등으로 규율해야 할 사안이 강제추행죄의 규율영역으로 들어오게 되어 처벌이 강화된다. 현행 형법의 규율체계에서 강제추행죄의 ‘폭행 또는 협박’은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의 것으로 해석되어야 위력에 의한 추행죄, 미성년자의제강제추행죄 등과의 조화로운 해석이 가능하고,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부합한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대법원의 관점 변화가 필요하다. In the recent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8 Do13877 Decided September 21, 2023」, the Supreme Court divided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to violence or intimidation preceding type indecent act by compulsion and sudden indicency type indecent act by compulsion and judged that violence or intimidation in the latter means unlawful exerting physical force on the other person’s body or warning the other person of harm to the point of instilling fear in that person. Sudden indecency type Indecent act by compulsion becomes an act that can be punished as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when the legal words of ‘through violence or intimidation’ in the crime can be interpreted as ‘by method of violence or intimidation’. However, indecent act cannot be carried out ‘by method of intimidation’. So ‘through violence or intimidation’ cannot be interpreted as ‘by method of violence or intimidation’. In addition, legislator distinguishes between the words ‘violence or intimidation’, ‘threat of force’, and ‘indecent act’. It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that it is interpreted that sudden indecency type indecent act by compulsion, which makes a nonsense of the legal words of ‘through violence or intimidation’, cannot be punished unless there is a separate legislation. According to the logical and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and the crime of quasi-Indecent act by compulsion, ‘through violence or intimidation’ and ‘by taking advantage of the other's condition of unconsciousness or inability to resist’ should be evaluated as equivalent. Therefore, ‘violence or intimidation’ i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should be at least enough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victim to resist. It should be interpreted in this way to distinguish crimes such as indecent act by compulsion and indecent act by the threat of force, indecent act on minor, et cetera, and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the crimes such as indecent act by the threat of force, indecent act on minor, et cetera can perform their original func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indecent act’ itself is also an unlawful exerting physical force on the other person’s body. According to the current Supreme Court's point of view, which acknowledges the legal principle of sudden indecency and does not consider the degree of violence and intimidation i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 matters to be regulated by the crimes of indecent act by the threat of force, indecent act on minor, et cetera enter the regulation area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is strengthens the punishment. In the current criminal law's regulatory system, ‘violence or intimidation’ i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must be interpreted as what is at least enough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victim to resist. It enables a harmonious interpretation of the crimes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decent act by the threat of force, indecent act on minor, etc., and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It is necessary for the Supreme Court to change its perspective.

      • KCI등재

        조선말기 형사법과 근대적 형사입법활동에 대한 평가

        류부곤(Ryu, Bu-Gon) 한국형사정책학회 2012 刑事政策 Vol.24 No.1

        In the 《Hyeong-beob Dae-jeon(刑法大全)》as a initial result of the modern criminal legislation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Dynasty, we can find some elements of western-modern legal system in the structural aspect. It is composed by the general part and specific part like a modern criminal law. But, in the substantial aspect, it has mostly the contents of 《Ta-Ming-Lu(大明律)》and 《Dae-jeon Hoe-tong(大典會通)》. This point causes negative doubt about the modernity of 《Hyeong-beob Dae-jeon》 in spite of some reformative elements made in the times of ‘Gab-o Reform(甲午改革)’. Specially the problem, whether legislators of 《Hyeong-beob Dae-jeon》recognized and admited the concept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No law, no crime and punishment)’ at that time or not, is very important point related with the modernity of 《Hyeong-beob Dae-jeon》. Because, the concept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is basic principle for analysis and application of modern criminal law. Of course, grasping of the general character with only one concept has an obvious limit. But this trial may presents sufficient directivity for understanding the criminal system of Joseon and the modern legislations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For an investigation of this issue, this work studies laws and ordinances, preceding the 《Hyeong-beob Dae-jeon》, in the flowering time of Joseon for finding logical connections with legislation of 《Hyeong-beob Dae-jeon》. Then, it tries to evaluate a modernity of criminal law and modern criminal legislation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Dynasty through an examination about the concept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in the traditional criminal system of Joseon and 《Hyeong-beob Dae-jeon》.

      • KCI등재

        군형법상 항명죄와 죄형법정주의

        류지영(Ryu Jeeyeong)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3 No.-

        군형법의 경우, 군인에게 군기강 유지 · 확립과 군 전투력의 보존의 원칙에 따라 개인적 법익, 사회적 법익은 해당하지 않고 모두 국가적 법익을 침해하는 죄에 속하게 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군형법이 일반형법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특수한 규율을 하고 있는 것은 일면 타당한 점도 부인할 수는 없으나 군인일지라도 국민의 일원이고 헌법의 근본원리를 침해할 수는 없는 것이다. 군인도 ‘제복을 입은 시민’으로서의 기본권은 유지되어야 하고 헌법상의 원칙인 법치주의의 적용에서 벗어날 수 없다. 죄형법정주의는 법률이 없으면 범죄도 없고 형벌도 없다(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는 모토 아래 가벌성 자체 뿐만 아니라 형벌의 종류와 정도까지도 범행 이전에 미리 성문화된 명확한 법률에 의해 확정되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형식상 법률의 형태로 되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정당한 형법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도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해주는 원리로서 그 내용이 적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의 권위는 국가의 사실상의 존재 자체나 국가가 행사하는 사실상의 힘에서 연유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진리성, 즉 오로지 국가목적인 인간의 실존을 위한 수단, 인간의 윤리적인 자기보전과 윤리적인 자기발전에 봉사하는 유용한 수단이라는 신뢰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권위에 대한 시민의 복종의무는 국가가 시민의 자유와 안전을 보호할 의지와 능력을 갖고 있는 한에서만 지속될 수 있을 뿐이다. 인간이 국가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가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하고 국가는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헌법적 가치결정에 따른 자유민주주의적 법치국가를 유지해야 하고 인간과 사회의 윤리적 자기 본전과 자기발전의 객관적 전제조건들을 실현하는 봉사단체일 뿐이다. 군형법상 항명죄의 해석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원칙에 입각해 해석되어야 하고 「상관의 정당한 명령」에 대하여 구성요건적 요건을 엄밀히 규정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항명죄에 있어서 상관의 범위를 특정할 필요가 있으며 항명죄에 있어서 상관은 구체적인 상관의 개별적인 명령을 전제로 반항이나 불복종을 처벌해야 할 것이다. 대법원의 판례태도도 항명죄의 상관을 당해 명령을 할 수 있는 직권을 가진 장교라 하여 항명죄의 상관을 한정하고 있다. 항명죄의 요건인 정당한 명령의 해석도 엄격한 해석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즉, 군사적 필요에 의한 행위의무를 부과하는 명령, 규칙에 한정시켜야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여기에 현실을 인정하여 명령이나 규칙에 그 근거를 인정하더라도 사후적 판단의 절차를 확보하거나 그 요건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행위로서 반항과 불복종을 별개의 행위행태로 구분하여 달리 처벌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항명죄의 범죄성립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여 상관의 책임의 범위와 하관의 책임범위를 명백히 한다면 책임원칙의 적용은 자연스럽게 적용될 것이라고 보여진다. 왜냐하면 권위주의적이고 군대수단적인 입장에서 오로지 지휘권의 확립이라는 목적을 위해 군형법이 적용된 경우라면 기대불가능성에 의한 하관의 책임조각이 논의될 수 있겠지만 엄격한 항명죄의 성립요건을 확립한다면 초법규적 책임조각사유는 거론할 필요도 없이 해결될 수 있음이 명백해 진다. 만약 현행대로의 항명죄 적용이 이루어 질 거라면 항명죄에 대응한 상관의 부당명령죄의 신설도 입법적으로 고려할 만한 사안이 아닌가 생각한다.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The Insubordination is prescribed in the following, Article 44 (Insubordination) A person who resists or disobeys a legitimate order of his/her superior shall be punish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subparagraphs: 1. In the face of the enemy: Penalty of death or imprisonment with prison labor for not less than ten years; 2. In wartime, during a disturbance, or in an area under martial law: Imprisonment with prison labor for not less than one year but not more than seven years; 3. In other cases: Imprisonment with prison labor for not more than three years. The military criminal act is a special law of criminal law concerning the military affairs, which precribe military criminal acts and punishments of military structure and system. Soldiers oboidged to nation in time of national crises and their military criminal acts may bring harms to military and nation, they should observe the military criminal acts as well as criminal laws. The insubordination crime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as compared with the criminal law, is stern discipline. The insubordination should be not punished by the order or rules but statutes of criminal law in civilian cases. On that ground, the insubordination crime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should be construed strictly. Judging from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ubordination crime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At first, concerning the military criminal act’s term ‘superior commissioned officer’ is necessary to define to narrow limits of the officer who has the right to order in concrete case.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term of「resists or disobeys a legitimate order」 by arbitrarily. The thir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term between resist and disobey. Reflect on these point, Article 44 (Insubordination) may be unconstitutional. In conclusion, Insubordination should be interpret not by criterior of commander’s order or rules, but by definitely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 KCI등재

        형법 제10조 제3항의 형법이론적 문제점과 ‘체계적’ 고찰

        박달현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9 No.-

        ‘actio libera in causa’ (= alic)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opics controversial in the general theory of criminal law. It is mainly to the criminality of ‘alic’. Of course, theoretically, there seems to be a dispute over denying or affirming the punishment of alic, but in reality, it is aiming to justify it on the premise of the punishment of alic. As a representative example, since alic is not explained by the “principle of simultaneous responsibility at the time of action”, the “exception of the principle of simultaneous responsibility at the time of action”, was drawn as a justification for it. The same is true of the time of beginning the commitment in alic. The controversy over this does not deny the time of commitment in alic, but is only a fight over ‘when is the time of commitment in alic’. In this respect, the criminal law theoretical discussion of alic is not as meaningful as it seems. Rather, a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for alic. alic consist of three parts: the general concept of alic, the concept of “alic by intention” and “alic by negligence”, and Article 10 and section 3 of the Korean Criminal Code(= KCC). Article 10 and section 3 of KCC should be included in the legal basis for alic and contains its requirements. However, the concept of alic by intention and the concept of alic by negligence, that is, a sub-concept of alic, are not included in Article 10 section 3 of KCC. Even in the same paper, the same author expresses the concept of alic differently. There seems to be no recognition that the general concept and sub-concept of alic and the requirements of Article 10 and section 3 of KCC are systematically and closely related. In fact, it is a general tendency to discuss independently in general textbooks and related papers, the general concept of alic, the concept of alic by intention and the concept of alic by negligence and Article 10 and section 3 of KCC, even if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is why alic should be dealt with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No matter how much the necessity of punishment for alic by negligence is required, it cannot be punished unless it is interpreted by Article 10 and section 3 of KCC. However, the majority theory states that ‘likelihood of prediction’ is interpreted by ‘prediction’ of “prediction of the occurrence of danger” in Article 10 and section 3 of KCC to punish alic by negligence. This violates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or rule of law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criminal law cannot exceed the meaning of a written word in KCC. And ‘self-willed’ in ‘willfully causing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y’ of Article 10 and section 3 of KCC do lexically means ‘unintentional’, that is, ‘self-reliant’, so it is also contrary to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to understand by including ‘intent’ or ‘negligence’.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는 형법총론에서 논란이 되는 대표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주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가벌성과 관련된 것이다. 물론 이론적으로 보면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가벌성을 부정하거나 긍정하는 것의 다툼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가벌성을 전제로 하면서 그것을 정당화하는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가 ‘행위시 책임능력동시존재의 원칙’으로 설명되지 않으니까 그것에 대한 정당화 근거로 그것에 대한 예외, 즉 ‘행위시 책임능력동시존재원칙의 예외’를 끌어들인 것이 그것이다.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실행의 착수시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에 관한 논란은 실행의 착수시기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로’ 보는 것에 대한 다툼이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에 대한 형법이론적 논의는 보이는 것만큼 의미를 갖고 있지 않다.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일반 개념, 일반개념에 포섭되는 ‘고의에 의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와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하위 개념 그리고 이들의 법적 근거인 형법 제10조 제3항이 그것이다. 형법 제10조 제3항은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법적 근거이면서 동시에 그것의 요건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 개념과 그 하위 개념은 모두 형법 제10조 제3항에 포섭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하위 개념인 고의에 의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와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개념은 상위 개념인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일반 개념에 포섭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형법 제10조 제3항에도 포섭되지도 않는다. 심지어 같은 저자가 같은 논문에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개념을 달리 표현하기도 한다.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 그리고 형법 제10조 제3항의 요건이 체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 자체를 인식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형법총론 교과서 및 관련 논문에서도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일반 개념, 그 하위 개념은 물론이고 형법 제10조 제3항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전제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것들이 상당하다. 이것이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를 체계적 측면에서 다루어야 할 중요한 이유이다. 아무리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에 대한 처벌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요건을 규정하고 있는 형법 제10조 제3항에 의해 해석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다. 다수설은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를 처벌할 형사정책적 필요성을 내세워 형법 제10조 제3항의 ‘위험의 발생을 예견하고’에서 ‘예견’에 ‘예견가능성’이 해석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는 법률의 해석은 법문의 의미를 넘을 수 없다는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된다. 또 형법 제10조 제3항의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하고’에서 ‘자의로’는 사전적으로 ‘타의가 아닌’, 즉 ‘자기 스스로’를 의미하므로, 여기에 ‘고의’나 ‘과실’을 포함시켜 이해하는 것 역시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된다. 따라서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는 위험의 발생을 예견한 사람이 자의로 심신장애 ...

      • KCI등재

        노동시장영역에서 중간착취배제와 형법 - 직업안정법상 벌칙조항을 중심으로 -

        우희숙 ( Woo Hee-sook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1

        Article 9 of Labor Standards Act(hereafter `LSA`) provide that no person shall intervene in the employment of another person for making a profit or gain as an intermediary, unless otherwise prescribed by any Act. And the person who violates any elements prescribed above, shall be punished by a fine of not more than 50 million won or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3 years. Paragraphs 1 of Article 33 of the Employment Security Act(hereafter `ESA), meanwhile, provide that no one shall provide labor supply services without obtaining permission from the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person who violates the permission element, shall be punished by a fine of not more 50 million won ore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5 years. These Acts aim to strive for the employment of the employment security of every worker by giving him/her an opportunity to find employment. And these Acts sought to do the purpose through punishment. Therefore the elements of these Act should do the principle of “nulla poena[nullum crimen] sine lege. But the scholars of labor or criminal law are dancing around th issue. In the meantime, the Supreme Court ruling adds, Whether a person violates the paragraphs 1 of Article 19 of the ESA shall be decided by whether job seeker is considered an employment under the Paragraphs 1 Article 2 of LSA. This Act provide that the terms “worker” means a business owner, or a person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for business or workplace for the earning wages. This means the employee is a person who offers work in a subordinate relationship to an employer to earn wages. But the definition of the ESA is not assuming the job seeker is employee of the LSA. Because the Paragraphs 2 of Article 2-2 of the ESA provide that the term “job placement” means arranging for an employment contract to be established between job seeker and job offerer by searching job seekers or job offerers or recruiting job seeker, upon receipt of a job-offering and job-seeking application. So the ruling is a against the principle of “nulla poena[nullum crimen] sine lege.

      • KCI등재

        형벌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에 관한 헌법적 검토

        박경철(Gyung Chul Park) 한국헌법학회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2

        헌법불합치결정형식은 변형결정의 일종으로 헌법재판소법에 명문의 규정은 없지만, 단순위헌결정을 하였을 경우 초래될 법적 공백상태와 이로 인한 법적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법률에 대한 위헌결정형식의 하나로 헌법불합치결정이 필요하다는 점에 관해서 학계와 실무에서 긍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벌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이 허용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문제되고 있다. 특히 최고사법기관인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이 이 문제에 관하여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형벌조항에 대하여 헌법불합치결정을 할 수 있는 논거와 기준에 관하여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채, 형벌조항에 대해서 적용중지의 헌법불합치결정과 잠정적용의 헌법불합치결정을 한 바 있다. 반면에 대법원은, 잠정적용의 헌법불합치결정이든, 적용중지의 헌법불합치결정이든, 형벌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은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3항 전문의 위헌결정의 소급효원칙 내지 헌법 제12조 제1항의 죄형법정주의와 제13조 제1항의 행위시법주의 및 형사소급입법금지원칙에 위배되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형벌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을 단순위헌결정으로 이해하고 있다. 형벌조항에 대한 잠정적용의 헌법불합치결정은 위헌으로 평가된 형벌조항을 잠정적으로 적용하여 형사처벌한다는 점에서 헌법에 규정된 법치국가원리와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법원과 입법자의 태도에 따라 적용법률이 달라져 예측가능성이 요구되는 형사사법절차분야에서 구체적 정의와 형평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어 잠정적용의 헌법불합치결정의 근거가 되는 법적 안정성의 요청과도 조화될 수 없다는 점에서 허용될 수 없는 결정형식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형벌법규에 대한 적용중지의 헌법불합치결정이 있는 경우에도 개선입법을 소급적용하여야 하는데, 형벌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의 선고로써 일단 불합치선언된 법률의 적용중지의 효과와 법적 공백상태가 발생하게 되고, 헌법재판소가 명시한 입법개선시한내에 사후적으로 개정된 개선입법이, 개선입법이 제정되기 전에 이루어진 피고인의 행위를 규율하는 것이므로 이는 사후입법에 의한 소급처벌임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헌법불합치선언된 법률은 실질적으로 위헌의 법률이므로 형사처벌의 근거법률이 될 수 없고, 따라서 적용되어야 할 법률이 위헌이어서 형사처벌할 수 없는 행위에 대해서 행위이후에 합헌적으로 개정된 신법을 적용하여 형사처벌할 수 있다는 것은 형사소급입법금지원칙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죄형법정주의를 잠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허용할 경우 형사제재에 관한 법률이 졸속으로 제정, 개정되어 국민의 기본권을 함부로 광범위하게 침해할 위험성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헌법재판소가 형벌조항에 대해서 헌법불합치결정형식을 사용하는 것은 위와 같은 헌법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시정되어야 한다. Diese Artikle handelt sich um die verfassungsrechtliche Problematik der Unvereinbarerklärung zum strafrechtlichen Gesetz bei der Prüfung der Normkontrolle. Es gibt keine Bestimmung in der Verfassung und im Verfassungsgerichtsgesetz( VfGG), dass Verfassungsgericht die Unvereinbarerklärungformel als die Verfassungswidrigkeitsfeststellung des Gesetzes benutzen kann. Also die Unvereinbarerklärung-formel ist eine Entscheidungsvariante. Verfassungsgericht hat die Unvereinbarerklärung-formel nicht nur zum nicht-strafrechtlichen Gesetz, sondern auch zum strafrechtlichen Gesetz benuzt. Verfassungsgerichtshof hat die Unvereinbarerklärung zum strafrechtlichen Gesetz erkennen, um die Rechtssicherheit vor das rechtliches Vakuum oder Chaos durch die Verfassungswidrigerklärung zu beschützen oder um die gesetzgeberische Gestaltungsfreiheit für die verfassungsmäßigen Nachbesserung des für unvereinbar mit der Verfassung erklärtes Gesetzes zu gewährleisten. Aber das oberste Gericht hat sich nach die Unvereinbarerklärung des Verfassungsgerichts zum nicht-strafrechtlichen Gesetz gerichtet, aber hat die Unvereinbarerklärung von Verfassungsgericht zum strafrechtlichen Gesetz verleugnet. Bei die Unvereinbarerklärung in Verbindung mit Weiteranwendungsanordung zum strafrechtlichen Gesetz, müssen das Fachgericht oder die Behörde ein für unvereinbar mit der Verfassung erklärtes Gesetz bis zur Nachbesserung des Gesetzes temporär anwenden. Dadurch kann sich man mit einem verfassungswidrigen Gesetz strafen. Ich denke, das ist nicht vereinbar mit dem Rechtsstaatsprinzip und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Bei die Unvereinbarerklärung in Verbindung mit Anwndungssperre zum strafrechtlichen Gesetz, müssen das Fachgericht oder die Behörde ein für unvereinbar mit der Verfassung erklärtes Gesetz nicht anwenden und ein Nachbesserungsgesetz anwenden. Ich denke, das ist nicht vereinbar mit dem Prinzip des strafrechtlichen Rückwirkungsverbotes. Ich glaube, auf diese Begründungen, muss Verfassungsgericht seine Auffassung für die Unvereinbarerklärung zum strafrechtlichen Gesetz aufgeben.

      • KCI등재

        로마형법상의 사기(詐欺) 범죄 - D.47.20 Stellionatus 역주 -

        최병조 ( Byoung Jo Cho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서울대학교 法學 Vol.48 No.3

        Stellionatus, swindling, was in ancient Rome an offence for which there is no secure evidence before the end of the second century with no more traces in post-classical sources including Codex Theodosianus. It seems to be an imperial innovation. From the very beginning it was sanctioned by cognitio extra ordinem, thus enabling the imperial judge to exercise his discretionary power. It was construed by the Roman jurists of the classical period quasi as a middle thing between public criminal proceedings and private civil proceedings, sharing with actio de dolo such characteristics as constituting fraud (dolus), subsidiarity to other actiones or crimes, and infamy in effect. It was the criminal equivalent of the actio de dolo. This paper is the first special study on stellionatus in Korea. I, therefore, try to give a full-fledged overview of it by translating and commenting on the relevant legal sources including the sedes materiae D.47.20 and C.9.34. Although a detailed debate on each problem cannot be intended, I have not hesitated, if needed, to argue critically with other opinions in question which deserve more attention. I think it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modes of thought in traditional societies to view Roman lawyers` operation with stellionatu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It is also interesting to evaluate this crimen extraordinarium in the light of the modern principle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 KCI우수등재

        신의칙과 형사처벌 - 형사법 영역에서 신의칙의 기능과 한계

        황태정 한국형사법학회 2023 형사법연구 Vol.35 No.4

        죄형법정주의가 지배하는 형사법의 영역에서 ‘법률’이 아닌 신의칙을 기초로 범죄성립을 인정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의 관점에서 기본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기어렵다. 강제규범에 의해 개인의 권리를 침해?제한하는 형벌규범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신의칙을 형법상 범죄성립의 기초로 삼는 경우에는 좀 더 보수적인 관점의 해석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범죄성립의 기초가 되는 형법적 의무와 형법외적 의무를 규정형식과내용의 측면에서 5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에 경우 신의칙이 범죄성립에 미치는영향과 그 타당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논의의 기본적 방향성은 ① 의무의 내용이 신의칙에서 출발한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형법적 의무로 설정된 이상 이는 법률상 의무로서 범죄성립의 정당한 근거가 된다. ② 다만 형법외적 의무를 설정하고있는 조항의 경우 의무의 인정이 곧 범죄성립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법률’ 이외의형식에 의한 의무의 인정은 형벌의 겸억성을 고려하여 엄격히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점이다. 논증의 자료로는 최근 보이스피싱 관련 사례에서 횡령죄 성립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과, 사기죄에서 고지의무에 관한 기존 대법원의 법리를 예로 들었다. 판례는 횡령죄와 관련하여 신의칙을 범죄성립 제한원리(예컨대 보호가치 없는 위탁관계)로도 범죄성립 확장원리(예컨대 착오송금 사례에서의 위탁관계 의제)로도 활용하고 있는데, 죄형법정주의 관점에서 전자는 허용될 수 있지만 후자의 인정은 신중하여야 할 것이다. 또 판례는 신의칙상 고지의무에 터잡은 부작위에 의한 사기죄 성립을 법리화하고있는바, 이 역시 죄형법정주의 관점에서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해석론이라고생각된다. 범죄성립의 근거로 작동하는 신의칙상 의무의 인정은 가급적 최소화할 필요가 있고, 법공동체의 수인한도를 넘어서는 신의칙 위반 행위유형 또한 순수한 신의칙 영역의 문제가 아니라 계약체결상의 부수의무로 포섭하여 해결함이 타당할 것으로 본다. It is natural that the stability of leg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community and the social trust that supports it are necessary.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recognition of the oblig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s recognized not only in the area of civil law but also in the area of criminal law. However, unlike the civil law field, in the criminal law field where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recognizing the duty to act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criminal liability based on it requires a more strict and conservative interpretation, considering the special nature of the penal law. Wheth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can operate as a crime constitutive principle must be discussed in two directions. I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goes beyond a simple moral dimension and is incorporated into the realm of normative coercion in the form of laws, contracts, etc., there is no question that this becomes a justifiable basis for criminal punishment. The question is whether it is possible and reasonable to use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ich has not yet reached the standardization stage, as the basis for criminal punishment. This will require a cautious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justice. In this paper, in light of this problem,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s a principle of expansion of establishment of crime,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upreme Court precedents.

      • KCI등재

        債務不履行과 背任罪(再論)

        문형섭(Moon, Hyung-Sub)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논총 Vol.27 No.2

        The perpetrator of criminal breach of trust, per the statutory elements of this offense, is the person who handles another’s matters. The Supreme Court, however, actually determines the existence of criminal breach of trust liability not by finding whether such elements are satisfied, but by finding whether there has been a violation of trust relationship with a certain scope. As for the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there has been a violation of trust relationship, resulting in the criminal breach of trust liability, it has been proposed to ask whether the duty was a substantial one or whether the duty has any importance. However, this standard is vague and not actually functional. In actuality, the real standard is whether it deserves social punishment on the case-by-case basis. This phenomenon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and the limits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blur, and applies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to the areas governed by the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thereby having a potential to threaten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nullum crimen] sine lege. Theories are supposed to guide, and if necessary, to criticize the cases. However, there is a serious concern that theories are in fact simply rubberstamping the cases. This concern is well-founded, as th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a breach of trust liability in a case involving non-performance of delivery obligations of a piece of property. Parties to a purchase and sales contract owe only the duty to perform the contractual obligations, not the duty to manage and protect each other’s property. Acknowledging a party as a trustee of the other, thereby imposing breach of trust liability upon the same is nothing but creating a crime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Although theories and cases recognize the person who manages and protects another’s property, in actuality, it means the person who takes care of another’s matters on his or her behalf. Such interpretation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German and Japanese breach of trust theories. It should be, however, noted that Korea’s breach of trust crime has different elements than those of those two countries and that in Germany and Japan, it is proper to interpret the crime in that way. Our vers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provides for a person who handles another’s matters, not for a person who breaches another’s trust. It therefore needs to be interpreted differently. Cases and theories, relying upon the theory of breach of trust(Treubruchstheorie), recognize the subject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pursuant to the degree of breach of another’s trust,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tatutory elements. However, there is no room in Korean law to interpret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under the theory of Treubruchstheorie. Setting aside the substances of breach of trust, we should at least note that the theory of Treubruchstheorie prevailed during the Nazi era. It forces us to consider the fundamental problem of whether to pursue the society of freedom or the society of state soc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