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시각단어재인에서 나타나는 이웃효과

        권유안,조혜숙,김충명,남기춘,Kwon, You-An,Cho, Hyae-Suk,Kim, Choong-Myung,Nam, Ki-Chun 대한음성학회 2006 말소리 Vol.60 No.-

        We investigated whether the first syllab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xical access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To do so, one lexical decision task (LDT) and two form primed LDT experiments examined the nature of the syllabic neighborhood effect. In Experiment 1, the syllabic neighborhood density and the syllabic neighborhood frequency was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lexical decision latencies were only influenced by the syllabic neighborhood frequency. The purpose of experiment 2 was to confirm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ith form-primed LDT task. The lexical decision latency was slower in form-related condition compared to form-unrelated condition. The effect of syllabic neighborhood density was significant only in form-related condition. This means that the first syllab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b-lexical process. In Experiment 3, we conducted another form-primed LDT task manipulating the number of syllabic neighbors in words with higher frequency neighborhood. The interaction of syllabic neighborhood density and form relation was significant.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words with higher frequency neighborhood are more inhibited by neighbors sharing the first syllable than words with no higher frequency neighborhood in the lexical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irst syllable is the unit of neighborhood and the unit of representation in sub-lexical representation is syllable in Korea.

      • KCI등재

        지방재정의 이웃효과 포착 및 유형분석: 복지예산을 중심으로

        유송희 경인행정학회 2022 한국정책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studies the neighbor effect of welfare finance that occurred among local governments. Specifically, this study has two research themes. The first theme is to capture the neighborhood effect of welfare finance. And the second theme is to analyze neighborhood effect type. This study analyzes whether neighborhood effects occurs among local governments in the welfare policy by using proportion of welfare policy budget. Looking at the methodology, the study of 'capturing the neighbor effect' was analyzed through Moran's I analysis, and the study of 'analysis of the type of neighbor effect' was analyzed using LISA analysis and the Cluster Map. The budget data of the local government used in this research is from 2003 to 2014.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eighbor effect of welfare finance among local governments was continuously and strongly occurring. In the neighborhood effect type analysis, the type of cohesion among neighboring governments was mainly det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of the welfare budget decreas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view of local finance research. In addition, it will also have special meaning in the field of local government research as a study analyzing intergovernmental relations through neighborhood effects. 본 연구는 지방재정 가운데 복지재정에서 발생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이웃효과를 포착하고 그 유형을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복지예산에서 발생하는 지방자치단체들 간 ‘이웃효과를 포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고, 두 번째로 ‘이웃효과 유형’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 229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의 전체 예산대비 복지예산의 비중값을 공간분석을 활용하였다.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 이웃효과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Moran’s I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웃효과 유형분석은 LISA분석의 The Cluster Map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정부 간 이웃효과가 포착되었는데, 2007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 동안의 복지예산의 이웃효과 유형은 복지예산의 비중값이 경쟁적으로 감소하는 LL유형으로 확인되었다. 2007년의 경우는 복지예산의 비중값이 경쟁적으로 증가하는 HH유형이 주요 유형이었는데, 이는 2007년도에 있었던 3차례의 선거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재정관련 연구에 이웃효과라는 개념을 접목하여 공간분석으로 결과를 풀어낸 본 연구는 지방재정관련 연구를 보는 시각을 넓혀줄 것이다. 무엇보다 이웃효과를 포착하고 분석하는 이웃효과 일반화 연구에 큰 보탬이 될 것이며, 지방자치 시대에 정부 간 관계를 재조명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 만족의 영향 : 주관적 이웃관계와 사회참여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류동(Dong Liu),허예진(Yejin Heo)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 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며 이 과정에서 주관적 이웃관계와사회참여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전국 만 65세이상 74세 이하 노인(N=30,531)에 해당하는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 만족은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 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주관적이웃관계와 사회참여는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 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관계에 있어서 주관적 이웃관계와 사회참여의 이중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만족할수록 주관적 이웃관계가 개선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참여가 증가하여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이웃관계가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고하며 이웃관계를 통해 사회참여를 이끌어내는것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노년기에 새로운 역할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고 만족스러운 노년을 보내는데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physic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to identify whether neighborhood relationships and social participation had double mediating effects. To this end, data about 30,531 people aged 65-74 from around the country was take from the results of a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community physical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subjective neighborhood relationships and social participation both had partial effects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physic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neighborhood relationships and social participation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physic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tisfaction with community physical environment improves subjective neighborhood relationships, which in turn increases their social participation, which in turn increases life satisfaction among the young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forts should be made up to improve the young elderly relationships in their neighborhoods to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These efforts can help the young elderly to establish a new role for themselves, improving their self-image, which would ultimately improve their satisfaction in old age.

      • KCI등재

        마을효과(Village effects)를 통한 마을 활성화: 거시적 미시적 마을효과의 통합을 중심으로

        김기홍 ( Gihong Kim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1

        ‘마을효과’란 마을이라는 공간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직·간접 관계를 가지면서 발생하는 연대감에 기초해 서로가 얻게 되는 유·무형의 장점을 뜻한다. 마을효과는 모든 모둠살이에서는 항상 존재하고 그 양상은 다양하다. 마을효과는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으로 크게 구분된다. 마을효과의 거시적 차원은 안전망 구축, 에너지와 식량조달, 복지 문제 해결 등 국가가 담당하는 역할을 떠맡으면서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공통적인 유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 마을효과의 미시적 차원은 각각의 개인들이 어울려 삶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얻고 치매·우울증을 예방하거나 극복하는 등 개인적이고 차별적으로 얻는 효과를 뜻한다. 이러한 마을효과는 서로 관심을 갖고 배려하는 마을 주민들의 자발성을 극대화함으로써 강화된다. 마을 주민들의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마을효과를 높이는 것은 일종의 포지티브 섬(positive sum) 전략으로, 경쟁과 효율성만을 중시함으로써 승자독식으로 귀결되는 제로 섬(zero sum) 전략과는 구분된다. 마을원리에 기초한 포지티브 섬 전략은 그 효과가 발휘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일정 수준으로 시스템이 구축되면 그 효과가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마을효과에 대한 이해는 마을운동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거시적·미시적 마을효과를 교차시켜 통합하면 4가지 범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즉 마을정(正)효과, 마을편(偏)효과, 마을역(逆)효과, 마을무(無)효과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마을정(正)효과를 높이는 방안으로서 인류의 본성과 함께 자발성·적극성에 기초해 생존원리를 잘 설명해주는 소셜 뉴로사이언스 (social neuroscience)를 마을운동에 접목해 갈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Here village effects mean to us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n, participation, and mutual cooperation of the members of vill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humankind in the 21st Century. Village effects alleviate the burdens of government through the improvement of safety net, the supply of energy and food, and the new approaches of welfare resources and the prevention of dementia and tristimania, the promotion of health and the extension of life span through commune life with neighborhoods. These effects are guaranteed by the spontaneity and positiveness of members who are concerned for and considerate of the neighbors, not by winner-takes-all effect. Like this, the village effects based on the principle of village as cooperation and coexistence are distinguished as a kind of positive-sum strategy from negative-sum strategy which is justified by unlimited competition and efficiency. Though the positive-sum strategy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village takes much time to exert the effects, there is an advantage the village effects are lasted after having been accomplished. The understanding of village effects is positively necessary to efficiently develop the village movement. The typology is one way to enhance the village effects. This study divided those into village effect, village partial effect, village adverse effect, and no-village effect. Last, this article suggests to utilize the social neuroscience for the sustainability of village through the optimization of village.

      • KCI등재

        근린지역 특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 Seon Hee Park ),박병헌 ( Byung Hyun Park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2

        본 연구는 빈곤계층의 지리적 집중 현상에 주목하면서, 빈곤 문제에 대한 비물질적 접근으로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개인요인 및 근린지역 요인을 함께 고려한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적 자본의 하위 요소인 신뢰, 호혜적 규범, 네트워크의 수준은 지역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지역 여부는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네트워크 수준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린지역 무질서는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빈곤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요인뿐만 아니라 근린지역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빈곤정책에 있어 지역(장소)에 기반한 접근이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neighborhood effect, which is defined as an influence of the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level on an individual.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 level apart from individual factor is that change as an approach,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verified beyond the individual approach of existing poverty policy because human beings are organism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This study sets 3 factors of social capital: trust, reciprocity, and network based o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s, a survey was taken in 16 regions in Busan. Finally 448 respondents`s replies were analyzed.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methods to increase social capital in two levels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neighborhood simultaneousl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tilizes multi-level model analysis method. Research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ocial capitals; trust, reciprocality, and networks according to regions.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clude age, neighborhood relations, regional leadership, and impoverished areas. In addition, perceived disorder in town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rust. And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ciprocity includ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nd neighborhood relations. Last,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networks include marital status, neighborhood relations, while factors that have a negative effect on networks were gender and impoverished region. Research results drew implications in policies and practices as follows: Firstly, enhancement of neighborhood relations and strengthening of regional leadership should be the first strategy to intervene for forming social capital. Secondly, the conditions of region can be affect positively or negatively on regional social capital. So we must pay more concern on how to use these regional condition to be useful to improve social capital. Lastly, diversification is required in th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methods of poverty policy.

      • KCI등재

        한글 음절 이웃 효과에서 한자어 형태소의 영향: 표기 및 음운 이웃과 한자어 이웃과의 관련성 중심으로

        권유안,남기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3 No.3

        본 연구는 두 개의 어휘 판단 과제를 통해 음운 및 표기 이웃 효과에 한자어 형태소 효과가 개입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증하였다. 과거 한글 음절 이웃 효과 연구들에는 한자어 형태소 요인을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음절 이웃 효과를 유발 시키는 주요 정보가 음운인지 표기인지 불확실 했다. 실험 1에서 표기 이웃 크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음운 이웃 크기와 한자어 이웃 크기 간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1 결과 음운 이웃이 크고 한자어 이웃이 큰 경우가 한자어 이웃이 작은 경우에 비해 어휘 판단 시간이 감소하였다. 실험 2는 음운 이웃 크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표기 이웃 크기와 한자어 이웃 크기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2 결과 표기 이웃 크기와 한자어 이웃 크기 간의 관련성이 나타났지만 실험 1 결과와는 다른 관련성이 나타났다. 논의에서 한글 음절 이웃 효과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한자어 형태소를 고려 할 것을 제안하였고 음절 이웃 효과를 유발하는 정보가 음운인지 표기인지를 논의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syllabic neighborhood effects had not considered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family size which could reduce inhibitory effects that take place as the size of syllabic neighborhood increas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large morphological family size reduces the neighborhood size effect in phonological syllables or in orthographic syllables. Two lexical decision task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is issue. The result of Experiment 1 revealed that large morphological family size led to the decrease in inhibitory effects as the size of phonological syllable neighborhoods increased. However, in Experiment 2, while the morphological family size had no effect in the reduction of lexical decision latency, the lexical decision latency increased for large orthographic syllable neighborhoods. The implications of different morphological family size influence on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size effect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지역사회의 참여적 속성이 사회적 고립과 식품미보장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김욱진 ( Wook Jin K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ory nature of community on food insecur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food insecurity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contextual effect of neighborhood. Data were obtained from two sources - Wave I (2009) of the Seoul Welfare Panel Data and the 2006 Seoul Survey Final Report - which were later merged for analysis. For multi-level analysis,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approach was used. Findings are to follow. First,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food insecurity varies across communities. Second, social isolation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food insecurity. Third, participatory nature of community makes littl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food insecurity. Fourth, participatory nature of community weakens the positiv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food insecurity. However, not all types of residents` participation have equal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nly participatory activities related to neighborhoods self-governing (e.g., neighborhood meetings or apartment-complex meetings) have the substantial effect to decrease food insecurity rates of the socially isolated.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interventions and practice efforts to promote residents` participation in order to address food insecurity can be successful only when they target the socially isolated populations, simultaneously strengthening neighborhoods self-governing capacities. In brief,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eighborhood contextual effects do exist only in a considerably limited form.

      • KCI등재

        지방정치 참여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수준분석: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동네효과를 중심으로

        곽현근 한국행정학회 2007 韓國行政學報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 neighborhood effect on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in neighborhood level. For the purpose, it classifies political participation as 5 categories including voter turnout in local election. It also uses rate of minimum living expense recipient families in a neighborhood as the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It carries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52 neighborhoods' resi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applied to the final 3,185 data. The result shows there exists a neighborhood effect in terms of its socioeconomic status only on voter turnout so that the lower the neighborhood economic status is, the higher the voter turnout will be. As another neighborhood-level variable, the status of residing in apartment area or not also affects voter turnout, contact with public official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group level. Housing ownership, length of residential stay, participation in community organization, community attachment, political efficacy, and government trust as additional individual-level variables appear to be diversly related with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시민의 지방정치 참여와 관련하여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미치는 동네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정치참여는 지방선거 투표참여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각 동네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비율을 사용하였다. 실증연구과 관련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52개 동네를 선정하고, 주민 3,185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5가지 유형 중 지방선거 투표참여와 관련해서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동네일수록 투표참여율이 높다는 동네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네수준에서 고려한 동네의 아파트지역 여부도 지방선거 투표참여, 공직자 접촉, 집단수준의 적극적 참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의 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수이외에 고려한 주택소유여부, 주거기간, 주민조직참여, 지역사회 애착, 정치적 효능감, 정부신뢰는 정치참여 유형에 따라 다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농가소득에 있어 이웃효과 추정

        권오상,강혜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농촌경제 Vol.36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xistence of neighborhood effects in farm income in rural Korea. A farm-level income survey data set combined with the data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s used to identify and estimate the neighborhood effects. It is shown that the neighborhood effects exist for farm agricultural income, off-farm income, and overall farm income. That is, the effects are identified for every major component of farm income. It is estimated that the multipliers including the feedback effects of income change are 1.081, 1.119 and 1.145 for agricultural income, off-farm income, and overall farm income, respectively. Hence, the neighborhood effects are the largest for off-farm income. Moreover, we identify and estimate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individual farm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incorporating the feedback effects existing among farms.

      • KCI등재

        지역사회 빈곤과 배제 : 사회적 신뢰는 중요한가? : 57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형용(Houng Yo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 효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개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지역사회 수준의 빈곤과 신뢰의 맥락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 57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에 거주하는 1,542명에 대한 다층자료를 이용한 위계적선형모형 횡단적 분석이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빈곤은 개인의 사회적 배제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지역사회가 형성하는 맥락효과라기보다는 거주민의 사회경제적 구성효과로 설명되었으며, 신뢰는 지역사회의 맥락효과로 유의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사회 역량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며, 향후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공간적 단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of neighborhood effects and verify the effects of neighborhood poverty and social trust on individual-level social exclusion. Methods consisted of a multi-level analysis of social isolation and perceived welfare resources, using a survey data of 1,540 individuals who are nested within 57 local counties in South Korea. Results show that neighborhood poverty was not associated with social exclusion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level predictors, but the effect of social trust was very strong and remained as a contextual effect. Also, social trust at the neighborhood-level explain the level of perceived welfare resources. It is concluded that neighborhood effects can be assessed empirically and there is at present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contextual factors for macro practice in social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