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이 각기 고유한 영역특수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전반적 욕구충족으로 수렴되는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욕구충족의 연속체를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초등학생 427명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CFA, ESEM, B-CFA 모형에 비해 B-ESEM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각각 일반요인으로 상정한 이중 일반요인 모형에 비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포괄하는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단일 일반요인 모형이 자료에 더 부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의 단일 연속체 가설을 지지하였다. 유능성만족과 유능성좌절이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중심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반면, 자율성좌절은 가장 높은 영역특수성을 나타냈다. 욕구충족 일반요인은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모든 적응변인(수업참여, 친사회적 행동, 긍정정서, 내재동기와 동일시조절) 및 부적응변인(수업이탈, 공격성, 부정정서, 외적조절, 내사조절, 무동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각 욕구별 영역특수요인은 욕구충족 일반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각기 다른 결과변인들과 여전히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의 고유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서로 독립적이고 구별되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단일 연속체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의미와 요인구조,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dimensionality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framework.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ere better represented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or as two distinct constructs. Using a sample of 4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pported the multidimensional B-ESEM representation including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dicators of both competenc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loaded strongly on the general factor, suggesting that competence was crucial for students’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ulfillment. Most items dropped into meaningful specificity once the global factor was accounted for, while autonomy frustration showed the highest specificity. Furthermore, global need 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all 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s,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ll mal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disengagement, aggression, negative emotions,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Specific factors explained the variance in certain outcome variables over and above the variance already explained by th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specific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global level of need fulfill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uld be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rather than as two distinct constructs.

      • KCI우수등재

        불안정 애착과 외도: 관계욕구 충족의 간접효과

        박수연,박유빈,박선웅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4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marital infidelity and to test the indirect effect of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between the two. In Study 1, 170 married men and women responded to measures of attachment,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and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xi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via low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On the other hand, attachment avoida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but the indirect effect appeared in an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suppression effect of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was present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In Study 2, 78 married couples completed measures of attachment,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infidelity, and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Results indicated that attachment anxi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and actual engagement in infidelity due to low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Meanwhile, attachment avoida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but unrelated to infidelity. However, indirect effect of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appeared to be significant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ttentiveness to alternatives and infidelity. Taken together, married individuals with high attachment anxiety were less fulfilled with their relatedness need, which in turn promoted more attention to alternatives and actual engagement in infidelity. On the other hand, avoidant individuals were less likely to pay attention to alternatives and engage in infidelity in general, but when their relatedness need was unfulfilled, they tended to engage more in infidelity. 본 연구는 부부관계에서 성인애착유형이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 및 실제 외도 경험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두 변인 사이에서 관계욕구 충족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성인 기혼남녀 170명을 대상으로 애착과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 그리고 관계욕구 충족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애착이 높은 성인들은 부부관계에서 관계욕구가 충족되는 정도가 낮았고, 이는 높은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회피애착의 경우 회피가 높을수록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은 낮았으나 관계욕구 충족의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즉, 관계욕구 충족이 회피애착과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 간의 부적 관계에서 억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구 2에서는 78쌍의 부부가 애착과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 외도 경험, 그리고 관계욕구 충족 척도에 답변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애착의 경우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과 실제 외도와의 관계에서 관계욕구 충족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면, 회피가 높은 성인들은 잠재적 파트너에 대한 관심은 낮고 실제 외도 경험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관계욕구 충족의 간접효과는 정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 종합적으로, 실제 부부들 사이에서 불안애착이 높은 성인은 관계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외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이 높은 성인은 전반적으로는 외도를 하지 않으나 관계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외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건강가정지원센터 상담실무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욕구충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춘희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is study surveyed 32 counselor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cor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need fulfillment of counselors. First, the level of total counselors' job satisfaction was 3.11 on the average in 5-point Likert. Th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bout 'counseling service itself' showed highest. And the level of total counselors' job stress was 3.35 on the average. The the level of job stress about ‘a month-end report, statistics of counseling, and counseling services record’ showed highest. Counselors perceived following needs more fulfilling: ‘I was recognized by my ability’ ‘There was a increase in understanding and love for the people’ ‘I became more confide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location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in need fulfillment by intention of keeping on working.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counselors in local Centers was higher than that of job satisfaction of counselors in Seoul. And the level of need fulfillment of counselors having intention of keep on working was higher than that of need fulfillment of counselors having no intention of keep on working. Third, the correlations between counselors'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cluding in all subarea of job stress. And the counselors' job satisfaction and need fulfillment showed generally positive correlation, but physical need and love/belonging need fulfillment were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subarea of need fulfillment. Fourth, counselors' job satisfaction was explained to its 45% by job stress and need fulfill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정상담팀에서 상담업무를 담당하는 상담실무자들의 직무만족도 증진방안 모색을 위한 일환으로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욕구충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자체 제작한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욕구충족에 대한 설문지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32개소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상담실무자 32명의 결과를 최종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로는 첫째, 건강가정지원센터 상담실무자의 전체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의 평균값을 단순비교시 직무스트레스 평균값(3.35)이 직무만족도(3.11)보다 다소 높았다. 그리고 직무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상담업무자체에 대한 만족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은 ‘월말보고서, 상담통계, 상담실적보고’에 관한 것이었다. 또한 상담실무자들의 욕구충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문항은 ‘상담업무를 통해 내 자신의 역량을 인정받는다’ 이었다. 둘째, 상담실무자의 직무만족도는 직무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r=-.602)를, 욕구충족과는 정적인 상관관계(r=.493)를 나타내어 직무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욕구충족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들 모두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특히 직장불안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으며(r=.68), 사업평가, 역량부족, 인간관계, 상담통계 및 행정처리, 업무과중 스트레스 순으로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욕구충족의 하위요인 가운데는 생존욕구와 애정 및 소속에 대한 욕구의 충족만이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실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욕구충족은 직무만족도에 4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삭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상담실무자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양을 줄이고, 생존욕구와 애정 및 소속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과 크게 연관된다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기업연상의 긍정적 행동유발효과에 대한 제품소비의 자아표현욕구 충족성과 자아동일시의 역할

        최낙환,박덕수,나광진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09 마케팅관리연구 Vol.14 No.4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plore the paths between corporate associations and positive behaviors for products of corporations. Corporate-related associations can be divided into ability associations and social responsibility associations. The hypotheses that consumers' associations about a corporation could cause consumers' positive behaviors toward products of the corporation were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which is related to fulfillments of value-expressive needs, consumer-corporate product identification, and positive behavior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we surveyed 184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rporate 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associations influence the extent to which the usages of corporate products fulfill self-expressive needs. It means that positive associations influence the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positively during consuming corporate products. Second, Consumers' self-expressive needs fulfillments influence both personal and social identification positively. In other words, favorable corporate associations influence consumers' identifications with products personally and socially through the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However,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of corporate associations on consumer-corporate product identifications. Third, consumers identified with corporate products personally or socially evaluate corporate products positively and in turn, they intend to repurchase and do positive word-of-mouths for products.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업에 관한 연상이 그 기업제품의 소비를 통한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을 통하여 기업 제품-소비자 동일시를 유도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동일시가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행동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업관련연상을 능력연상과 사회적 책임연상으로 구분하고, 소비 자의 자아표현욕구 충족성 및 자아동일시 그리고 긍정적 행동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기업연상이 긍정 적 행동을 유도하는 과정에 관한 가설을 도출했으며, 이렇게 도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성된 설문지 를 대학 및 대학원생 184명에게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능력연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연상은 소비자의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 이는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연상은 기업의 제품을 소비하면서 느끼는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에 긍정적으 로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둘째, 소비자의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은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호의 적 연상이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소비에서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을 매개로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 일시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기업에 관련된 연상이 사회적, 개인적 동일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 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셋째, 제품의 소비에 대하여 개인적, 사회적으로 동일시가 이루어진 소비자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며 재구매의도를 갖고 또 긍정적인 구전을 하게 된다.

      • KCI등재

        자기부인(Self-Denial)과 자기수용(Self-Acceptance)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조명

        이수미,유희주,배시은,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look at integrative approach on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ological self–denial and psychological self–acceptance, and to find Christian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self–denial includes self–sacrifice, self–emptying, self–love, and self–acceptance. Second, the concepts of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accept some basic needs of the human by including the process of need–fulfillment and need–regulation. Third,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are required for the human–growth. Fourth,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lead to self–fulfillment in God.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occurs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and in the growth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본 연구는 자기부인에 대한 신학적 관점과 자기수용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에 대한 문헌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자기부인과 자기수용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조명과 함의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부인은 자기비움, 자기희생, 자기포기, 자기사랑을 모두 포함한 포괄적 의미다. 둘째, 자기부인과 자기수용은 모두 인간의 기본적 욕구충족과 욕구조절을 인정한다. 셋째, 자기부인과 자기수용은 모두 인간의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 넷째, 자기수용과 자기부인은 성장의 과정에 수반되며, 모두 자기실현의 결과에 이른다. 다섯째, 자기부인은 하나의 진리를 향한 뚜렷한 방향성이 있지만, 심리학적 자기수용은 개개인의 다양한 진리를 인정함으로써 방향성을 상실했다. 본 연구의 기독교상담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상담자는 상담현장에서 자기수용을 회복해야 할 내담자와 자기부인을 다뤄야 할 내담자를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내담자는 충분한 수용과 공감을 통한 욕구충족을, 어떤 내담자는 직면과 해석을 통한 욕구조절이 상담의 초점이 될 수 있다. 둘째, 한 개인의 상담과정 중에 자기수용과 자기부인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또는 역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셋째, 기독교상담자의 자기수용과 자기부인에 대한 이해를 통해, 두 입장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진 기독교내담자들의 심리내적 갈등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e스포츠 이용자와 캐릭터 상호작용이 이용자-소비자의 욕구충족과 굿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O4O 개념을 중심으로

        김재훈,이상호,이승현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sports users and character interactions with offline consumers and character product purchase inten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1 users who had recently played League of Legends. The main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e-sports user and character interaction characteristics,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perceived familia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desire satisfaction, but perceived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desire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consumer needs, a paramet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ntention to purchase goods. It is suggested that if this is reflect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needs and intention to purchase goods.This study defined perceived control, perceived individualization, and perceived familiarity as interaction between e-sports users and characters, and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goods by satisfying consumer need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online experiences are increasing, we expect studies that deal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e-sports experiences, more diverse age groups, and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e스포츠 이용자와 캐릭터 상호작용이 오프라인 소비자와 캐릭터 상품의 굿즈 구매의도에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최근에 “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e스포츠 이용자와 캐릭터 상호작용 특성 중 지각된 개인화와 지각된 친숙성은 소비자 욕구충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지각된 통제감은 소비자 욕구 충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소비자 욕구충족은 종속변수인 굿즈 구매의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e스포츠 이용자와 캐릭터 상호작용으로 지각된 통제, 지각된 개인화 그리고 지각된 친숙성으로 정의하였으며, 소비자 욕구충족으로 굿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e커머스와 OTT 등 온라인 경험이 늘어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여러 e스포츠 경험과 더욱 다양한 연령층 그리고 요인 등을 추가하여 다룬 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복과 누락" 담론의 재구조화 -성인돌봄서비스의 사례-

        최영준 ( Young Jun Choi ),김주리 ( Juri Kim ),이승준 ( Seungjun Lee ),최혜진 ( Hyejin Choi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1

        최근 성인돌봄서비스는 탈산업화, 성평등화와 고령화 등의 영향이 초래한 전통적 돌봄 모델의 약화와 함께 급속한 확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돌봄에 대한 공적이고 사회적 책임이 부재했던 시기에 비해서 진일보된 모습을 보였지만, 동시에 다양한 문제점들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요약하고, 또한 정책을 개선시키기 위한 핵심적 담론으로 정부와 학계는 ‘중복과 누락’이라는 논의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중복과 누락’ 담론은 개념적, 그리고 이론적으로 검증이 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복과 누락’이라는 담론이 성인돌봄서비스 발전 및 개혁에 있어서 얼마나 유용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성인돌봄서비스의 개념과 이론적 이슈들을 살펴보고, 이후 한국복지패널 분석을 통해서 돌봄욕구와 실제이용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인돌봄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중복과 누락’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복과 누락’이라는 불명확한 담론 대신에 ‘욕구충족’의 차원, ‘형평성’의 차원, 그리고 전달체계의 효율화라는 차원에서 성인돌봄서비스 발전방향이 논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Adult social care services are being rapidly developed in South Korea, which undermines the traditional care model in line with de-industralization, gender equality, and aging process. The development demonstrates, on the one hand, stronger public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elderly with care needs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when care was in the hands of family and women.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has caused various problems and the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key discourse encapsulating current problems in social care by government and researchers. However, very few conceptual and theoret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whether the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discourse could be a usefu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adult care servi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we examine the concept of adult social care and related theoretical issues, and analyze the care needs and the actual service use of disabled adult and elderl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set. Finally,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dult social care services and discuss the problems of the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discourse. From the analysis, we argue that instead of the ambiguous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discourse, we need to reframe the discourse of adult care services with the issues of ‘needs fulfillment’, ‘equity’, and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delivering system’.

      • KCI등재

        성인 미혼 커플의 아동기 정서학대 경험과 관계적응: 성인애착과 관계욕구충족의 매개효과

        안하얀,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3 No.2

        Based on adult attachment theory and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set the model representing interplay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dyadic adjustment of dating couples mediated by adult attachment and relatedness needs fulfillment and investigated the model by employing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from data of 148 dating couples indicated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First, results revealed childhood emotional abuse had actor effects on adult attachment for men; actor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was significant on relatedness needs fulfillment and dyadic adjustment on the direct path. Second, results for women revealed that actor effect were presented on the direct path from childhood emotional abuse to adult attachment, from adult attachment to relatedness needs fulfillment, and from relatedness needs fulfillment to dyadic adjustment. Also, women’s attachment avoidance had partner effects on men’s relatedness needs fulfillment and dyadic adjustment. Third, the link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dyadic 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y attachment avoidance and relatedness needs fulfillment for men and wome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비자의 심리적 욕구충족이 브랜드 사랑에 미치는 영향

        안광호 ( Kwang Ho Ahn ),이재환 ( Jae Hwan Lee ),황필주 ( Pil Joo Hwang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6

        오랜 동안 연구자들은 소비자가 브랜드와 감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대한 연구를 확장해왔으며, 최근에는 소비자-브랜드 관계 구축의 기반이 되는 브랜드사랑에 주목하고 있다. 브랜드사랑은 특정 브랜드에 만족한 소비자가 갖는 열정적 애착과 브랜드와의 오랜 관계를 통해 형성된 긍정적 감정이 결합된 복합적 감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의 브랜드전략이 추구해야 할 주요목표 중 하나는 표적 소비자들이 브랜드사랑을 경험해 높은 브랜드몰입과 브랜드충성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와 감정적 유대관계를 갖는 강력한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기업은 소비자의 강력한 행동동인인 내재적(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자기결정성이론을 토대로 소비자의 자율성욕구, 관계성욕구, 유능성욕구의 충족이 브랜드사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에서 자율성욕구와 관계성욕구의 충족이 브랜드사랑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유능성 욕구의 충족은 브랜드사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and love has become of great interest to researchers and marketers and is considered as an key construct in explain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re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brand. Brand love is defined as coupled combination of emotions that are passionate attachment which the satisfied consumer has for a particular brand and positive emotions which have been experienced through long-standing relationships with. that brand may be one of important goals of brand strategy for building the brand equity and customer loyalty. This study applies self-determination theory to brand lov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ulfillment of consumer``s intrinsic needs (need for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on brand love.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need for autonomy and relatedness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love. However, the need for competence doesn``t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ve.

      • KCI등재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자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자원봉사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올림픽 관여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김대환,박찬민,김하니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lunteers’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on satisfaction and future volunteer activity intention. Additionally, we also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Olympic involvement i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on volunteer satisfaction. For these research purposes, a survey targeting 3,000 volunteers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as performed based on a cross-sectional design. The results of a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cluding 2,578 cases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eer satisfaction. Furthermore, volunteer satisfaction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volunteer activity intention. Interestingly, volunteers’ Olympic involvement moderat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on volunteer satisfaction. Specifically, as the level of Olympic involvement increases, the effect of relatedness on volunteer satisfaction increases whereas the effects of autonomy and competence on volunteer satisfaction decrease. In conclusion,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is a significant factor determining volunteer satisfaction, and volunteer satisfaction plays a pivotal role in future volunteer activity intention. Moreover, relatedness is more important for those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Olympics while autonomy and competence are more important for those who are less interested in the Olympics. 본 연구는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자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자원봉사 참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재참여 의도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원봉사자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자원봉사 참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올림픽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0명의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57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조절구조방정식(Latent Moderated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원봉사자들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관련된 심리적 욕구만족은 자원봉사 참여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봉사 참여만족도는 자원봉사 재참여 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자원봉사자들의 올림픽 관여도는 그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자원봉사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올림픽 관여도가 높을수록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만족이 자원봉사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였으며, 관계성 욕구만족이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내재적 동기와 관련된 심리적 욕구만족은 자원봉사 참여활동 만족도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심리적 변인이며, 만족도 역시 향후 자원봉사 참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올림픽 관여도가 높은 자원봉사자들에게는 관계성 욕구만족이 더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 반면, 관여도가 낮은 자원봉사자들에게는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만족이 더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