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 대비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연구에 대한 시론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오현아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2 No.-

        In the discussion of unification preparation education, this paper started from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not only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at the macro level, but also discussion of the related textbook jargon or concept language, microcosmically responding to the core content of teaching by individual subject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prior study on 'specialization terms', and Chapter 3 examines the ne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erminology in primary and secondary inter-Korean textbooks compared to unification, and the need for meta-analysi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erminology in each subject. And in Chapter 4,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rms specializ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two Koreas, focusing on grammar textbooks in high schools. In Chapter 2, previous studies on "specialized terms" were divided into 1) prior studies of "specialized terms" between the two Koreas on a academic level and 2) prior studies of "special terms" between the two Koreas on an educational level. Chapter 3, Section 1, the necessity of comparative analysis of terms specialize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ubjects against unification: 1) Chinese, foreign language-oriented Korean, native North Korean language-oriented terminology, and 3) Korean language-only terms for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s middle-class status in the division situation. Section 2 discussed the need for meta-analysis of the discussion on comparative analysis of terminology in each subject, and emphasized the need to finally prepare the <Comparison Dictionary of North and South Korean specialized terms>. In Chapter 4, compared and analyzed the terms specialized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unification, focusing on the terms of the high school grammar textbooks. 이 논문은 통일 대비 교육 논의에서 거시적인 수준의 교육과정 논의와 더불어 미시적인 수준에서 개별 교과별로 교과의 핵심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관련 교과 전문 용어 혹은 개념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한 후, 4장에서는 고등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1) 학술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 2) 교육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3장 1절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을 1) 한자어, 외래어 중심의 남한 교과 전문 용어와 고유어 중심의 북한의 교과 전문 용어, 2) 의미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과 전문 용어, 3) 분단 상황에서 중간자적 위상으로서의 중국 재외 동포 조선어 교과 전문 용어로 구분하여 논의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2절에서는 각 교과별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논의에 대한 메타 분석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남북한 교과별 전문 용어 비교 사전>을 마련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4장에서는 중등 문법 용어를 중심으로 통일 대비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성경의 직분 용어의 번역과 기독교의 토착화에 대한 연구

        유경민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5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ertain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choice of some Korean translated words and the nativization of foreign thought, especially, to reveal the reality of linguistic nativization of the Christian Bible by analyzing the transition of terms concerning ecclesiastic offices as shown in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The Korean Bible is not a text in the period of the Middle Korean when the use of Hangeul started in earnest. It is not a classic literature like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Buddhist and the Confucian scriptures which were published by a national organization. The Christianity, moreover, has not been like Buddhism and Confucianism that governed the political system of our nation as a national religion or traditional values. For these reasons, unfortunately, a prejudice is formed that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hristian Bible was not influential to our linguistic life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ecause of its coarse represent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Buddhist and Confucian scriptures. This prejudice has prevented th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from researching the Korean Bible in that field of study. This paper, however, verifies the linguistic signification of studying the Korean Bible. Missionaries, the main translators of the Bible in Korean, published the grammar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dictionaries, even before the Koreans did not establish the grammatical system of Korean. This fact strongly motivated the researcher to investigate how important and influential the Korean Bible was to the linguistic life of the Korean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y focusing Korean translated terms of ecclesiastic offices (especially, pastor, presbyter, and deacon), which were already used in a different context and nuance. 본 연구의 목적은 번역어의 선택과 외래 사상의 토착화 사이에 어떤 유기적인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어 번역 성경에서 확인되는 직분 용어의 변천을 고찰하여 개신교 성경의 언어적 토착화의실재를 규명하는 것이다. 개신교 번역 성경은 한글의 역사가 시작된 중세국어 시기부터 있어온 문헌이 아니다. 불경이나 유학서 언해처럼 국가 기관에서 그 간행을 주관한적도 없는 간행물이다. 또, 불교나 유교처럼 기독교가 우리 민족의 전통적 이념이었거나 정치 체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적도 없었다. 그래서 개신교 번역서가 불경이나 유학서만큼 정제되고, 우리의 어문 생활에 영향력이있는 텍스트가 아닐 것이라는 편견이 있다. 그래서 그간 국어사, 혹은 국어학적 연구에서 개신교 성경 텍스트가 상대적으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 역사에서 한국어 번역 성경 이전에 그만큼 국문 사용을 활성화시킨 텍스트가 있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 우리 스스로 한국어문법의체계를 잡기도 전에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조선어 문법서가 나왔고, 선교사들이 자신들의 조선어 공부를 위해 이중어 사전까지 편찬했다는 사실을 상기해보자. 이 사실들을 부정할 수 없다면, 그들이 가장 오랜 시간 정성을쏟아 집필한 가장 방대한 양의 자료인 한국어 번역 성경을 국어사 연구에서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고찰하는‘목사, 장로, 집사’는 현재 개신교 교회에서, 마치 개신교 전문 용어인 것처럼 쓰이고 있는 항존 직분 용어이지만 이 용어들은 모두 이미 우리의 전통적 체제안에서 사용되고 있었던 용어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의 직분 용어에 대한 연구이자 우리의 전통 용어에 대한 국어사적 연구이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산청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에 대하여

        김정대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Sancheong sub-regional dialect is one of several sub-regional dialects which belong to Gyeongnam regional dialect. The present author has intended to discuss three main topics as follows: First, we want to present a full list of the native-Korean kinship terms used in Sancheong sub-regional dialect. The result is classified in <table 1>~<table 4>. Second, we try to make an approach the dialect in ques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d formation, and investigating what is the generative principle. We assume the six principles as shown in (19) are the main generative ones of the native-Korean kinship terms used in that dialect. Third, we research the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 of that dialect, and analyz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hrasal native-Korean kinship terms. With reference to this topic, the author has found ou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m as follows: If a COMPL(complement) is pre-attached to a base X, then the synthesis is COMPL X', and if a ADJ(adjunct) is pre-attached to the COMPL X', then the synthesis is also X', but the character of this construction is a ADJ X' not COMPL X'. The ADJ X' occurs several times, but we think there are no X" node in the construction, because there are no elements which role like subject in the phrasal constructions. 산청 지역어는 경남 방언의 한 지역어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된 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산청 지역어에서 발견되는 고유어계 친족 명칭을 정리하고자 하는데, 그 결과는 <표-1>~<표-4>로 분류되어 있다. 둘째,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을 단어의 생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그 생성 원리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우리는 (16)에 보인 바와 같은 여섯 가지 원리가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의 생성 원리라고 가정했다. 셋째,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의 계열 관계와 통합 관계를 고찰하고, 그 구적 명칭의 내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적 구조를 발견했다고 믿는다: 만약, 보충어가 어기 X에 선접하면, 그 통합체는 보충어 X'가 되고, 만약 부가어가 이 보충어 X'에 선접하면, 그 통합체는 역시 X'가 되지만 이 구성의 성격은 부가어 X'이지 보충어 X'가 아니다. 부가어 X'는 여러 번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X" 교점은 이 구성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것은 이 구적인 구성에서 주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근대 계몽기 전문 용어의 수용과 생성 과정 연구- 생물학 담론을 중심으로 -

        허재영 ( Heo Jae-young ) 한말연구학회 2016 한말연구 Vol.- No.42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echnical terms relating to biological discussions in early modern Korea. In this time, a lots of technical terms created and accepted in various academic field. The term biology appeared the report of JOSASICHALDAN(朝使視察團, the group of envoys dispatched to Japan in 1881) written by Jo Junhyeong that called MUNBUSEONGSOHALMOKLOK(文部省所轄目錄, the lists of the Education Ministry`s operation in Japan). In the time after the period of the formation modern school system, biological discussions have become active. A lot of biological terms were formed in this time. The biological knowledge appeared the DOKLIPSINMUN(獨立新聞, the newspaper)`s editorials. These texts contained a lot of terms based on phrase structures or native tongue terms. These terms changed other Chinese characters terms. In 1906, Annie Baird translated zoology into Korean language. She translated a book physiology(in 1908) and botany(in 1913) into Korean as well. Three books used more Sino-Korean words or loanword than the DOKLIPSINMUN.

      • KCI등재

        수학 용어의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허민 ( Min Her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우리의 수학 용어는 대부분 한자말로 되어 있다. 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 대부분이 한글 세대인 현 상황에서는한자말 수학 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데, 부적절해서 잘못된 개념을 심어줄 수 있는 용어는 피하고 뜻은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용어는 가능하면 한글만으로도 구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토박이말을 활용할 여지가 있으며, 국가 교육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체적인 예를 통해 수학용어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살펴본다. Most of mathematical terms in Korean are Sino-Korean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efficient ways to teach Sino-Korean mathematical terms to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who dot not know Chinese characters well and use only Korean alphabet in mathematics. Especially, we have to avoid the inappropriate Sino-Korean words which can cause misconceptions and can distinguish homophones by Korean alphabet. We may use native Korean terms to do that and the national curriculum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way of improving mathematics terms in Korea with concrete examples.

      • KCI등재

        비한자어권 학습자의 한자 성어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대하여 -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를 중심으로 -

        서경숙(Suh, kyoungSook),박서현(Park, SeoHyeon)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본 연구는 읽기 과정에서 어휘 주석을 제공하는 것이 어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한자어에 대한 선지식이 없는 비한자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느 유형의 주석이 한자 성어의 우연적 학습에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석 유형을 달리하여 실험 집단을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집단 A는 한자 성어의 전체 의미를 제공하는 의미 주석 집단으로, 집단 B는 한자 성어의 전체 의미를 제공하고 아울러 개별한자의 뜻도 함께 제공하는 집단으로, 마지막 집단 C는 아무런 주석도 제공하지 않는 무주석 집단인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A와 집단 B가 집단 C에 비해서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어휘 주석이 한자성어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집단 A보다 집단 B가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한자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비한자어권 학습자도 한자 성어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 한자의 의미를 제공하는 주석이 한자 성어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 A와 집단 B가 집단 C보다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높았으며, 집단 B가 1차와 2차 사후 평가의 점수 변동이 완만하여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한자 성어에 대한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 특히 전체 의미와 개별 한자에 대한 주석을 제공받았을 때 한자 성어가 장기 기억으로 오랫동안 저장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notation types on the incidental learning of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by non-Sino native language learners who had no knowledge of hanja and Sino-Korean wor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pool of learner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different annotation types. Group A was provided the full meaning of the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Group B was provided the full meaning of the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as well as the meaning of each individual hanja and Sino-Korean word. The last group C was provided no annotation at all. First, group A and group B had higher scores on the primary vocabulary evaluation than group C.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vocabulary anno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of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In addition, group B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imary vocabulary evaluation score than group A.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providing the meaning of individual hanja and Sino-Korean words via annotation to non-Sino native language learners who do not have any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of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Second, Group A and Group B had higher scores on the 2nd post-evaluation than Group C, and Group B’s scores fluctuated only slightly between the primary vocabulary evaluation and the 2nd post-evaluation,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groups that received the annotations on the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especially when the annotations provided the whole meaning of the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as well as the meaning of each individual hanja and Sino-Korean word, were able to store them in their long-term memory for a period of time of at least a week.

      • SCISCIESCOPUSKCI등재

        Automatic proficiency assessment of Korean speech read aloud by non-natives using bidirectional LSTM-based speech recognition

        Oh, Yoo Rhee,Park, Kiyoung,Jeon, Hyung-Bae,Park, Jeon Gu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2020 ETRI Journal Vol.42 No.5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proficiency assessment method for a non-native Korean read utterance using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BLSTM)-based acoustic models (AMs) and speech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Specifically, the proposed method considers two scenarios, with and without prompted text.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prompted text performs (a) a speech feature extraction step, (b) a forced-alignment step using a native AM and non-native AM, and (c) a linear regression-based proficiency scoring step for the five proficiency scores. Meanwhile, the proposed method without the prompted text additionally performs Korean speech recognition and a subword un-segmentation for the missing text.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with prompted text improves the performance for all scores when compared to a method employing conventional AMs.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without the prompted text has a fluency score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the method with prompted text.

      • KCI등재

        나라 갈배움길 고치기에 생각 보태기 : 국가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소고

        이창수(Lee, Chang-Soo)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50

        이 글은 수시 개정 체제로 바뀐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우리만의 빛깔을 가진 교육과정, 좀 더 나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고자 쓴 글입니다. 본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었는데 하나는 좀 더 우리다운, 우리 빛깔이 나는 ‘교육과정학’을 만들기 위해 갈말(학술용어)을 다듬어 보자는 것입니다. 나머지 하나는 좀 더 나은 교육과정을 마련하고자 할 때 교육과정 개발, 운영, 성과의 각 단계별로 놓치고 있는 것들을 살펴보고 하나씩 챙겨갈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먼저 갈말(학술용어)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이라는 말과 ‘개정’이라는 말을글쓴이 나름대로 ‘갈배움길 고치기’라고 다듬어 보고 더 나은 말들을 만들어갈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이어서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는 ‘요구분석’과 관련하여 더 알찬 요구 분석으로 교육과정 개정의 첫 단추를 잘 꿸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그리고 설문조사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나오는 ‘핵심역량’과 관련해 ‘핵심역량’을 좀 더구체적으로 밝히되 그 수를 줄인 다음 각론 개발자들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있다는 것을 ‘자기관리 역량’과 국어 교과의 ‘고유어(토박이말)’ 관련 성취기준삭제와 관련지어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교수 요목기 때 일본식 한자어를 토박이말로 바꿔서 교과서를 만들었던 보기를 통해 진정한 학습자 중심이라 할 수 있을 쉬운 말로 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마련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교육과정 운영단계에서 학습자 특성, 반응,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개발, 교사, 학부모 연수 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교육과정 성과단계에서 실험용 교과서 적용 연구와 같이 교과별 교육과정실행 연구학교를 지정 운영함으로써 성취기준 하나하나에 대한 객관적 성취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정 때 성취기준을 조정하는근거로 삼을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무엇보다 더 나은 국가교육과정 마련을 위해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평가이론에 있는 절차와 내용을 충실하게 따르고 관련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별 교육과정 평가 준거에 따른 꼼꼼한 평가가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그 과정 속에 충분히 토론하고 소통할 시간을 넉넉하게 확보한 다음 느긋한 마음으로 천천히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 평가함으로써 우리만의 빛깔을 가진 교육과정, 더 나은 교육과정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on “curriculum revision,” which frequently takes place as part of efforts to create a better nationa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text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parts. In the first part, I addressed the issue of galmal (academic terminology) and proposed changes so that the “curriculum studies” offered in Korea could be made more unique to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Korea. In the second part of the text, I provided an overview of areas of improvement at each curriculum stag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suggested ways to establish a better curriculum. First of all, in relation to the galmal (academic terminology), I refined the words “gyoyuggwajeong” and the word “gaejeong,” reflecting both ideas in the term “galbaeumgil gochigi,” which can be translated as “correcting the way of learning.” 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tage, I suggested first steps that should be taken to revise curriculum using more meaningful demand analysis. I also asserted that “Core Competencies” should be outlined in greater detail in relation to the “Core Competencies” that first appear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dditionally, I addressed the need for curriculum developer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certain curriculum elements, and advocated the elimi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elf-management Competencies” and “Native Language”(tobagimal in Korean). In addition, I stated that curriculum and textbooks should be prepared ineasier ways—such as by transforming Japanese-style Chinese characters to native Korean words in the Syllabus Period—to make educational texts truly learner-oriented. Furthermore, I suggested the evalua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and responses,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and parents. I suggested designating and operating curriculum research schools for each subject, similarly to those used for the creation of experimental textbooks, to objectively evaluate achievement standards. I further suggested that these evaluations by specialized research schools be used as the basis for adjusting achievement standards during curriculum revisions. Above all, in order to establish a better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follow the procedures and contents outlined in existing curriculum and curriculum evaluation theory. It is equally important to thoroughly evaluate curriculum based on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each subject, as established by relevant prior studies. By slowly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curriculum and securing enough time for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I believe that we will be able to create a better curriculum that better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s a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